KR101439886B1 - 스트립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886B1
KR101439886B1 KR1020130023347A KR20130023347A KR101439886B1 KR 101439886 B1 KR101439886 B1 KR 101439886B1 KR 1020130023347 A KR1020130023347 A KR 1020130023347A KR 20130023347 A KR20130023347 A KR 20130023347A KR 101439886 B1 KR101439886 B1 KR 101439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disposed
winding
side guid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박용균
박현진
양해남
이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02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21C47/14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by means of a rotating guide, e.g. laying the material around a stationary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스트립을 권취 또는 권출토록 제공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을 안내토록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사이드가이드판;과,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양측 엣지부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보온부재; 및 상기 권취롤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온도 변화율을 감소토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가이드판에 밀착되며 스트립의 주변부를 밀폐토록 제공되는 가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드수단은, 권취설비상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1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권취롤의 하부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제1이동패널; 및 상기 제1이동레일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패널의 반대측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의 결합된 측부 형상은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게 제공되는 스트립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마그네슘 강판 등에 있어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강판의 폭 방향 온도편차를 방지하고 강판이 압연 적합한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강판의 엣지부 손상 방지 등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권취장치{Apparatus for coiling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강판 등에 있어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강판의 폭방향 온도편차를 방지함은 물론 강판이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구성된 스트립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마그네슘 강판의 압연공정(1)을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다.
도 1를 참고하면 종래 통상의 압연공정(1)에서는 권출롤(2), 권취롤(8), 디플렉터 핀치롤(3,7;deflector pinch roll), 인덕션 히터(4,6;induction heater) 및 압연기(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권출롤(2)에서 권출되는 마그네슘 강판(9)은 디플렉터 핀치롤(3)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된 후 인덕션 히터(4)로 유입되게 된다. 인덕션 히터(4)는 마그네슘 강판(9)을 압연기(5)에서의 압연 적정 온도까지 가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마그네슘 강판은 경량성, 기계가공성, 충격 및 진동 흡수성 및 전자파 차폐 성능 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다. 그런데 마그네슘 강판, 특히 마그네슘 합금 강판은 원자배열구조가 조밀육방격자 구조로 이뤄져 있어 압연성이나 성형성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 강판은 냉간 압연보다는 온간 압연이나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제조하지만, 다만 강판의 표면 품질을 위해 최종 압연 단계에서는 냉간 압연을 실시한다.
이때 온간 압연이나 열간 압연을 위한 인덕션 히터(4,6)의 가열온도는 대략 300℃ 정도이다.
압연기(5)에서 압연된 이후에 마그네슘 강판(9)은 다시 인덕션 히터(6)에 의해 가열되고 디플렉터 핀치롤(7)에 의해 권취롤(8)로 유입되어 권취되게 된다.
이후 다시 권취롤(8)은 권출롤로, 권출롤(2)은 권취롤로 역할 전환을 하며 마그네슘 강판(9)에 대한 정방향 및 역방향 압연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두께의 강판(9)을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덕션 히터(4,6)는 강판(9)의 중앙부와 엣지부간에 균일하게 가열하지 못하여 강판(9)에 폭방향 온도편차를 발생시킨다. 또한 강판(9)이 권출롤(2) 또는 권취롤(8)에 보관되는 상태에서 대기 중에 노출되어 역시 강판(9)의 엣지부에 대한 온도변화가 심하여 강판(9)의 중앙부와 엣지부간의 온도편차 및 강판(9)의 온도하락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그대도 압연을 진행하게 되면, 강판의 엣지부에서 찢어짐이나 강판의 폭방향 형상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연공정간 마그네슘 강판의 폭방향 온도편차 발생을 방지하며 강판이 항상 일정한 온도로 보온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마그네슘 강판 등에 있어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강판의 폭 방향 온도편차를 방지하고 강판이 압연 적합한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강판의 엣지부 손상 방지 등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스트립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스트립을 권취 또는 권출토록 제공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을 안내토록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사이드가이드판;과,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양측 엣지부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보온부재; 및 상기 권취롤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온도 변화율을 감소토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가이드판에 밀착되며 스트립의 주변부를 밀폐토록 제공되는 가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드수단은, 권취설비상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1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권취롤의 하부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제1이동패널; 및 상기 제1이동레일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패널의 반대측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의 결합된 측부 형상은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온부재는,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되는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스트립의 엣지부를 단계적으로 가열토록,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복수개의 보온유닛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온부재와 스트립의 직접접촉을 차단하며 스트립의 열손을 방지토록,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장착되며 보온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열손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가이드판과 상기 가드수단에 의해 밀폐된 스트립이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이동패널에는 각각 가열부재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권취되는 스트립의 각 부위별 온도를 측정토록,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이동패널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온도측정센서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이동패널에 복수개의 가열유닛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스트립의 각 부위별 온도값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가열온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의 일 실시예는 권취롤 양측에서 온도변화에 비교적 민감한 마그네슘 강판 등의 엣지부를 가열토록 함으로써, 강판의 중앙부와 엣지부간의 폭 방향 온도편차를 완화하여, 압연 등의 기타공정을 거침에 있어서 강판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강판이 권취되는 권취롤의 주변부를 최대한 밀폐하고, 강판이 모든 방향에서 전반적으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보온함으로써, 압연공정 등에 있어서 강판 엣지부의 찢어짐 또는 형상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권취롤에 권취되는 강판의 부위별 온도를 측정하여 각 가열유닛에 대해 별도로 온도를 제어하여 강판의 특정부위에서의 온도 변화를 빠르게 개별적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각 공정상 비교적 온도변화에 민감한 마그네슘 강판 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마그네슘 강판의 압연공정을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적용된 마그네슘 강판의 압연공정을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A-A'절개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이 권취됨에 따라 각 가열유닛 및 보온유닛에 대한 온도 제어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트립 권취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마그네슘 강판 등에 있어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강판의 폭 방향 온도편차를 방지하고 강판이 압연 적합한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강판의 엣지부 손상 방지 등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적용된 마그네슘 강판의 압연공정을 나타낸 개략 공정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A-A'절개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트립 권취장치(100)의 일 실시예는 스트립을 권취 또는 권출토록 제공되는 권취롤(10)과 상기 권취롤(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을 안내토록 제공되는 사이드가이드판(20) 및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10)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엣지부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보온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권취롤(10)에는 비교적 온도변화에 민감한 마그네슘 강판(9) 등이 권취될 수 있으나,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제철공정상에서 생산되는 강판도 권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트립과 강판을 혼용하도록 한다.
상기 권취롤(10)은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강판(9)을 권취 또는 권출하기 위해 상기 권취롤(10)을 회전시키는 일반적인 구동모터, 엔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원(미도시)에 회전축(11)이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롤(10)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코일 형태의 강판(9)을 끼워 권출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1)과 상기 구동원(미도시)은 유압실린더의 로드(미도시)에 함께 장착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은 상기 권취롤(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롤(10)에 강판(9)이 권취되거나 또는 상기 권취롤(10)에서 강판(9)이 권출될 때, 비교적 정확한 방향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은 상기 권취롤(10)의 회전함에 따라 상기 권취롤(10)에 감기거나 풀리는 강판(9)의 코일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은 권취 또는 권출되는 코일과의 끝단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온부재(30)는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권취롤(10)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강판(9)의 엣지부를 가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온부재(30)는 전기 히터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패드 등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온부재(30)의 마그네슘 강판(9)에 대한 적정 가열 온도는 도 2에 도시된 압연기(5)에서의 압연 적정 온도인 대략 30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부재(30)와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사이에는 세라믹 파이버(ceramic fiber) 등으로 구성된 단열재(3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부재(30)가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권취롤(10)에 권취된 강판(9) 또는 권출되는 강판(9)의 엣지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강판(9)의 엣지부간의 온도차를 완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이하 검토할 온도측정센서(70)에 의해 강판(9)의 중앙부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강판(9)의 중앙부의 온도에 맞쳐 상기 보온부재(30)를 가열함으로써, 강판(9)의 중앙부와 엣지부간의 온도편차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온부재(30)는,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되는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스트립의 엣지부를 단계적으로 가열토록,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복수개의 보온유닛(31,32,33)으로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서 상기 보온부재(30)가 3개의 보온유닛(31,32,33)으로 분할되어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상기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링된 강판(9)의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권취롤(10)에 강판(9)이 권취되거나 또는 권출됨에 따라 변화하는 강판(9)의 코일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보온유닛(31,32,33)을 단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10)에 강판(9)이 권취되는 초기 단계에는 비교적 두께가 작은 코일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가장 내측에 있는 보온유닛(31)만을 가열하도록 하여 강판(9)의 엣지부를 보온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공정상에서는 전력을 아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10)에 강판(9)이 지속적으로 권취되면, 점점 강판(9)의 코일 두께는 증가하게 될 것이고,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단계적으로 중앙측 보온유닛(32) 및 가장 외측에 있는 보온유닛(33)를 작동시킴으로써, 강판(9)의 엣지부가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코일 형태의 강판(9) 내경측과 외경측의 온도차가 있는 경우에는 각 보온유닛(31,32,33)별 온도제어를 통해 신속하게 온도차를 완화토록 할 수도 있다. 즉 코일 형태의 강판(9) 내경측의 온도보다 외경측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상기 가장 내측에 있는 보온유닛(31)의 가열온도를 상기 가장 외측에 있는 보온유닛(33)의 가열온도보다 높도록 하여 신속히 온도차를 낮추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온부재(30)와 스트립의 직접접촉을 차단하며 스트립의 열손을 방지토록,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장착되며 보온부재(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열손방지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열손방지부재(40)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손방지부재(40)는 일정 각도로 배치된 8개의 차단빔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상기 개수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열손방지부재(40)는 상기 보온부재(30)가 강판(9)이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될 때, 상기 권취롤(10)에 강판(9)이 권취되거나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비틀리게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보온부재(30)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열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권취롤(10)에 권취되거나 또는 상기 권취롤(10)에서 권출되는 강판(9)은 상기 보온부재(30)보다 우선하여 상기 열손방지부재(4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보온부재(30)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열손방지부재(40)는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양측단부가 각각 용접접합되거나 또는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취롤(10) 및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은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온부재(30)가 스트립의 양 엣지부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의 경우 코일링된 강판(9)의 일방향에서 진행이 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취롤(10) 및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의핸 코일링된 강판(9)의 양측에서 권취 또는 권출을 진행하게 되므로,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장착된 상기 보온부재(30)에 의해 강판(9)의 양측에서의 보온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한 쌍의 상기 권취롤(10)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강판(9)의 양측 엣지부간의 온도차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한 쌍의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에 각각 장착된 상기 복수개의 보온유닛(31,32,33)에 대한 개별적인 온도제어를 통해 강판(9)의 양측 엣지부간의 온도차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취롤(10)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온도 변화율을 감소토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가이드판(20)에 밀착되며 스트립의 주변부를 밀폐토록 제공되는 가드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드수단(50)은 고정패널(51) 및 제1,2 이동패널(54,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패널(51)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54,57)의 배치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상기 고정패널(51)은 강판(9)이 상기 권취롤(10)로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권취롤(10)에서 유출되는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51)은 고정빔(51a)에 의해 권취설비상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는 제1 밀폐판(52)이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패널(54)은 권취설비상에서 상기 고정패널(51)의 하부에 배치된 제1 이동레일(55)상에 안착되며, 상기 권취롤(10)의 하부로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동레일(55)은 일반적인 전기모터 등에 운용되는 LM가이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패널(57)은 권취설비상에서 상기 제1 이동레일(55)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 이동레일(59)을 따라 상기 고정패널(51)의 반대측으로 이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패널(57)도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밀폐판(58)이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레일(59)도 일반적인 전기모터 등에 운용되는 LM가이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51) 방향으로 상기 제1,2 이동패널(54,57)이 각각 상기 제1,2 이동레일(55,59)을 따라 이동하고, 한 쌍의 상기 권취롤(10)이 상기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게 됨에 따라, 상기 권취롤(10)의 일측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이 상기 제1,2 밀폐판(52,58)에 근접하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한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된 밀폐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강판(9)은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적게 받게 되어 사실상 일정한 온도로 보온되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과 상기 가드수단(50)에 의해 밀폐된 스트립이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패널(51)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54,57)에는 각각 가열부재(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패널(51,54,57)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재(60)와 상기 각 패널(51,54,57)사이에는 세라믹 파이버(ceramic fiber) 등으로 구성된 단열재(5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권취되는 스트립의 각 부위별 온도를 측정토록, 상기 고정패널(51)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54,57)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온도측정센서(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60)는 상기 고정패널(51)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54,57)에 복수개의 가열유닛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센서(70)에서 측정된 스트립의 각 부위별 온도값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가열온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패널(51)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54,57)상에 각각 상기 가열부재(60)가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가열부재(6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코일링된 강판(9)이 전반적으로 일정한 온도로 보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재(60)의 마그네슘 강판(9)에 대한 적정 가열 온도는 도 2에 도시된 압연기(5)에서의 압연 적정 온도인 대략 3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재(60)는 전기 히터의 일종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패드 등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측정센서(70)가 상기 각 패널(51,54,57)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부재(60)는 복수개의 가열유닛으로 분할되어 각 패널(51,54,57)에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는 코일링된 강판(9)의 특정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해 온도가 다른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특정 부위에 배치된 가열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타 부위와의 온도차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온도측정센서(70d)에 의해 측정된 코일링된 강판(9)의 특정 부위(D)에서의 온도가 타 부위에서의 온도와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코일링된 강판(9)의 특정 부위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가열유닛(60d)을 타 부위의 가열유닛에 비해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신속히 온도차를 보상하는 것이다.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온도측정센서(70c)에 의해 측정된 코일링된 강판(9)의 특정 부위(E)에서의 온도가 타 부위에서의 온도와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코일링된 강판(9)의 특정 부위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사이드가이드판(20)상의 보온유닛(33)과 상기 제1 이동패널(54)상의 가열유닛(60c)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신속히 온도차를 보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원리를 통해 마그네슘 강판 등에 있어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과정에서 강판의 폭 방향 온도편차를 방지하고 강판이 압연 적합한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강판의 엣지부 손상 방지 등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스트립 권취장치(100)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권취롤 20...사이드가이드판
30...보온부재 40...열손방지부재
50...가드수단 51...고정패널
54...제1이동패널 57...제2이동패널
60...가열부재 70...온도측정센서

Claims (9)

  1.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스트립을 권취 또는 권출토록 제공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일측에 배치되며,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을 안내토록 스트립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사이드가이드판;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권취롤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양측 엣지부를 가열토록 제공되는 보온부재; 및
    상기 권취롤에 권취 또는 권출되는 스트립의 온도 변화율을 감소토록, 상기 한 쌍의 사이드가이드판에 밀착되며 스트립의 주변부를 밀폐토록 제공되는 가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드수단은,
    권취설비상에 고정되는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제1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권취롤의 하부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제1이동패널; 및
    상기 제1이동레일에 수직하게 배치된 제2이동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패널의 반대측으로 이동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의 결합된 측부 형상은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재는, 스트립의 권취 또는 권출되는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스트립의 엣지부를 단계적으로 가열토록,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복수개의 보온유닛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재와 스트립의 직접접촉을 차단하며 스트립의 열손을 방지토록, 상기 사이드가이드판에 장착되며 보온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열손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가이드판과 상기 가드수단에 의해 밀폐된 스트립이 일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에는 각각 가열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권취되는 스트립의 각 부위별 온도를 측정토록,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온도측정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제1,2 이동패널에 복수개의 가열유닛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며, 상기 온도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스트립의 각 부위별 온도값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가열온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권취장치.
KR1020130023347A 2013-03-05 2013-03-05 스트립 권취장치 KR101439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47A KR101439886B1 (ko) 2013-03-05 2013-03-05 스트립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347A KR101439886B1 (ko) 2013-03-05 2013-03-05 스트립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886B1 true KR101439886B1 (ko) 2014-09-12

Family

ID=5175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347A KR101439886B1 (ko) 2013-03-05 2013-03-05 스트립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218A (ja) * 1995-11-28 1997-06-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状巻取体の端面加熱装置
JPH09192721A (ja) * 1996-01-08 1997-07-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端面加熱装置
JPH09271827A (ja) * 1996-04-09 1997-10-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内面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218A (ja) * 1995-11-28 1997-06-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状巻取体の端面加熱装置
JPH09192721A (ja) * 1996-01-08 1997-07-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端面加熱装置
JPH09271827A (ja) * 1996-04-09 1997-10-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内面加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682B1 (ko) 금속판의 평탄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23135B2 (en) Method of cold-rolling steel sheet and cold-rolling facility
JP6026014B2 (ja) 高強度鋼の形状矯正及び圧延方法と形状矯正装置
KR101439886B1 (ko) 스트립 권취장치
JP5217543B2 (ja) キュリー点を有する鋼帯の連続焼鈍方法及び連続焼鈍設備
JP4392115B2 (ja) 金属板の平坦度制御方法及び装置
PT1648630E (pt) Processo e sistema termo-electromecânico destinados ao enrolamento e ao desenrolamento de uma pré-tira liminada a quente, em linha, proveniente de uma conformação em contínuo de uma placa fina
JP5217542B2 (ja) キュリー点を有する鋼帯の連続焼鈍方法及び連続焼鈍設備
JPH0751726A (ja) コイル保温熱延方法
JP2509754B2 (ja) 熱間圧延設備
JP3971295B2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熱間圧延設備
JPS6114020A (ja) 巻取炉
JP4731363B2 (ja) ヒータユニット
JPH10314838A (ja) 熱延材の巻取方法及び装置
JP2001137943A (ja) 金属板の平坦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4894459B2 (ja) 熱延鋼帯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KR101147900B1 (ko) 열연강판의 온도 균일화 장치 그 방법
KR20120033106A (ko) 압연소재의 보온장치
KR20150116963A (ko) 코일의 서냉각 장치
JPS60115305A (ja) 熱間薄板材の圧延法および圧延設備
KR100306142B1 (ko) 미니밀공정의 유도가열패턴 설정방법
JPH07323324A (ja) 圧延設備
JPS61269905A (ja) 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747422A (ja) 熱間圧延設備用巻き取り装置
JP3620686B2 (ja) コイル内面保加熱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