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73B1 -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73B1
KR101439373B1 KR1020130086479A KR20130086479A KR101439373B1 KR 101439373 B1 KR101439373 B1 KR 101439373B1 KR 1020130086479 A KR1020130086479 A KR 1020130086479A KR 20130086479 A KR20130086479 A KR 20130086479A KR 101439373 B1 KR101439373 B1 KR 10143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lutch
gear wheel
belt retractor
pa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3008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19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 B60R22/4623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e.g. using a clutch on reel side the cable being pulled by mechanical means, e.g. pre-stressed springs, bumper displacement during cr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 벨트를 권취하는 리트랙터의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기어휠 및 하단 커버 사이에서 상대 회전 운동하며 일측에는 상단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드라이브 플레이트, 일측이 돌출부에 인접하고 연결구에 의해 기어휠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기어휠과 권취축을 커플링시키는 폴을 구비하고 있어, 단순한 구성만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용 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량 로드리미터의 작동에 있어 모터(100)의 개입을 완전히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과부하를 줄이고 모터(100)가 로드리미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Seat Belt Retractor Clutch}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 벨트를 권취하는 리트랙터의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가 동작하는 경우,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권취축에 전달하여 웨빙이 권취되도록 하여주고 과부하 상태에서는 동력 전달을 차단하여 주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차량에는 차량 탑승자를 보호해 주는 시트 벨트(Seat Belt)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이러한 시트 벨트 장치 역시, 과거의 단순 기계적으로만 작동하던 형태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전자식으로 자동 제어되는 스마트 시트 벨트(Smart Seat Belt)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는 차량의 각종 센서들과 연결되어 필요시 벨트의 느슨함을 없애 차량 탑승자의 구속력을 높이는 안전 기능 및 차량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풀고 나면 그 벨트를 되감아 정리해 주는 편의 기능도 가지고 있어 차량의 운행에 더욱 편리함을 주고 있다. 특히 사고의 발생 직전 차량에 부착된 각종 센서로부터 사고 발생 가능성의 신호를 미리 읽어, 시트 벨트의 느슨함을 없애 차량 탑승자의 구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 후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와 함께 작동하는 경우, 더욱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기능은 시트 벨트 장치의 리트랙터(Retractor)가 담당하는데, 도1은 종래의 리트랙터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리트랙터는 일반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100) 및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단절해 주는 클러치(300)와,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며 모터와 클러치를 특정의 기어비로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기어부(200)로 구성된다. 또한 클러치(300)는 그와 동축의 관계에서 연결되어 실제적으로 벨트가 감기는 부위인 권취축(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즉 시트 벨트의 권입이 필요한 경우 모터(100)를 작동시켜 회전력을 만들고 이러한 회전력을 전달받은 기어부(200)는 필요시 적정한 기어비로 설정된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감속 작용을 가한 뒤 이 회전력을 클러치(300)로 전달하고 클러치(300)가 회전하여 권취축을 회전시켜 최종적으로 권취축에 시트 벨트가 권입하게 된다.
시트 벨트는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하면서 자유로이 인출하여 결속할 수 있는 장치이며 따라서 스마트 시트 벨트 기능, 즉 모터(100)에 의한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터(100)와 클러치(300)의 권취축(미도시)과는 기계적 커플링이 해제(디커플링)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모터(100)는 시트 벨트의 권입 및 인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모터(100)가 작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즉 전술한 스마트 시트 벨트 기능들이 작동할 때에는 모터(100)와 클러치(300)의 권취축(미도시)과는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어 모터(10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야 한다. 결국 이러한 기계적 커플링과 디커플링은 클러치(300)가 담당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면 전술한 프리텐셔너가 기계적으로 트리거링 되면서 시트 벨트를 권입하여 느슨함을 없애고, 안전을 위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시트 벨트를 락킹(Locking)시킨다. 이러한 프리텐셔너의 구성 및 동작은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이며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05-0101984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충돌 발생시 프리센셔너가 동작하게 되면 탑승자를 구속하여 안전도를 높일 수 있으나 탑승자에 대한 지나친 압박으로 오히려 탑승자가 부상을 입을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일반적으로 에어백이 장착되는 자동차는 충돌 등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에어백의 팽창속도에 맞추어 비틀림에 의한 영구변형으로 웨빙의 구속에 따른 압력을 감소시키는 토션샤프트(Torsion Shaft)가 장착되어 로드리미터(Load Limiter) 기능을 발휘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드리미터는 전술한 모터식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의한 스마트 시트 벨트 기능에 의해 그 작동이 방해받을 수 있다. 즉 차량이 충돌 직전의 위험 상태에 있을 경우 스마트 시트 벨트 장치는 프리텐셔너의 작동 전, 미리 모터를 이용하여 시트 벨트를 권입시켜 프리텐셔너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운동에너지가 커서 탑승자로 인한 시트 벨트의 인출력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여 로드리미터가 작동해야 할 경우, 시트 벨트가 인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시트 벨트 권취축과 모터와의 커플링은 그 즉시 해제되어야 한다. 만약 해제되지 않는다면 모터의 권입력으로 인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은 더욱 증가하게 되며 나아가 로드리미터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대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07-0010031에서는 웨빙 권취 장치의 클러치 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슬라이더(144)를 도입하여 종래의 무거운 관성 디스크를 대체하는 것으로, 가벼우며 컴팩트한 리트랙터 클러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슬라이더(144)를 도입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다소 복잡한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시트 벨트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 다수의 스프링 돌기(182)에 의해 권취축이 모터와 디커플링되어 인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제품 조립시 다수의 스프링 돌기를 구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조립성이 나쁘며 구조가 복잡하여 불량이나 오작동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들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순한 구조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모터와 권취축과의 커플링 및 디커플링이 가능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충돌로 인하여 시트 벨트의 로드리미터가 작동할 경우, 단순한 구조로 리트랙터 모터와 권취축을 디커플링시켜 리트랙터 모터가 로드리미터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차량 탑승자를 구속시키는 웨빙이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권취축과 웨빙을 감기 위한 모터가 구성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서, 기계적으로 모터와 기어 케이스로 감싸여진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모터와 권취축과의 기계적 커플링 및 디커플링을 시켜주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상단 커버; 하단 커버; 외측에 기어가 형성되며 상단 커버 및 하단 커버와 각각 결합하는 기어휠; 기어휠 및 하단 커버 사이에서 상대 회전 운동하며 일측에는 상단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드라이브 플레이트; 일측이 돌출부에 인접하고 연결구에 의해 기어휠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기어휠과 권취축을 커플링시키는 폴; 및 폴에 형성되며 폴을 디커플링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있어서, 폴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정 세기의 힘을 받는 경우, 폴이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립하여 폴과 권취축을 디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있어서, 폴의 연결구는 특정 세기의 힘을 받는 경우 파단되어 폴과 권취축을 디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있어서, 연결구는 나사 혹은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프릭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프릭션 스프링은 기어 케이스와 마찰을 일으키며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가벼우면서 컴팩트한 구조로 만들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양산성이 개선되며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단순한 구조로써 로드리미터의 동작 전 과하중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력 전달을 강제로 차단하여 탑승자가 느끼는 하중을 줄이고 모터가 로드리미터에 주는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프릭션 스프링(360)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배면 사시도,
도3c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프릭션 스프링(360)과 기어 케이스(500)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기어휠(330)에 드라이브 플레이트(320), 하단 커버(310) 및 프릭션 스프링(360), 폴(370), 리턴 스프링(38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기어휠(330)에 구비된 연결구(333)에 폴(37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5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의 작동 상태 중 디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의 작동 상태 중 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가 폴(370)의 슬립으로 인하여 라쳇기어(400)와 디커플링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가 연결구(333)의 파단으로 인하여 라쳇기어(400)와 디커플링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파단되기 쉬운 구조의 연결구(333) 및 그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상단 커버(340)와 하단 커버(310) 사이에 드라이브 플레이트(320), 기어휠(330)이 결합되며 이에 더하여 프릭션 스프링(360)은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에 결합되고 기어휠(330)에는 폴(370) 및 리턴 스프링(380)이 추후 설명할 연결구에 결합하게 된다. 특히 파선 a'과 b'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의 결합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리벳(350)이 관통되는 연결홈이 상단, 하단 커버(340, 310) 및 기어휠(330)에 구비되어 있어 리벳(35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및 하단 커버(340, 310)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있어서 내부 부품들을 수납하고 보호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결합에 있어서 드라이브 플레이트(320)는 리벳(350)에 의해 고정되지 않으며 기어휠(330)과 하단 커버(310) 사이에서 그들과 일정 각도 상대적인 습동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 하단 커버(340, 310) 및 기어휠(330), 드라이브 플레이트(320)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기어휠(330), 드라이브 플레이트(320), 하단 커버(310)의 경우 추후 웨빙 권취축(미도시)과 연결된 라쳇기어(미도시) 및 권취축을 보호하는 슬리브 역할을 하는 기어 케이스(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도록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a는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다. 드라이브 플레이트(320)는 전체적으로 내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링의 형상이며 특히 리벳(350)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며 빈 영역인 공동부(322)를 구비하고 있어 기어휠(330)과 상, 하단 커버(340, 3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일측에는 상단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321)를 구비하고 있는데 돌출부(321)는 추후 설명될 라쳇폴을 밀어 라쳇기어와 커플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b는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에 프릭션 스프링(36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3c는 프릭션 스프링(360)과 기어 케이스(500)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릭션 스프링(360)은 라쳇기어(400) 일부 및 권취축(미도시)을 덮는 슬리브 역할을 하는 기어 케이스(500)를 감싸도록 조립될 수 있으므로 기어 케이스(500)와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결국 프릭션 스프링(360)은 기어 케이스(500)와 마찰을 일으켜 모터(100)가 작동을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 드라이브 플레이트(320)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기어휠(330)만 따로 상대 회전하도록 하여주는 역할을 하며 이때 저장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추후 모터(100)가 정지한 경우 다시 클러치가 디커플링 되도록 돕는다. 상세 내용은 아래의 작동 모습에서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기어휠(330)에 드라이브 플레이트(320), 하단 커버(310) 및 프릭션 스프링(360), 폴(370), 리턴 스프링(38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리벳(350)이 연결홈(332)을 관통하는 것으로 기어휠(330) 및 하단 커버(310)가 결합되었으며 둘 사이에는 드라이브 플레이트(320)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어휠(330)에는 가이드 홈(331)을 구비하여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돌출부(321)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면,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회전 범위를 특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특정 범위의 회전으로 돌출부(321)가 폴(370)의 일측을 밀 수 있도록 돌출부(321)와 폴(370)은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b는 도4a의 점선 부위를 확대하여 본 것으로 기어휠(330)에 구비된 연결구(333)에 폴(37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다. 연결구(333)와 폴(370)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380)이 설치되는데, 리턴 스프링(380)은 연결구(333)에 고정되어 폴(370)을 도면상 표시된 F 방향으로 밀어내는, 즉 라쳇기어(미도시)와 폴(370)을 디커플링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폴(370)을 원위치(디커플링 위치)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가 권취축(미도시)과 연결되는 라쳇기어(400)까지 구비한 채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5a는 리트랙터 모터(100)가 작동하지 않는, 클러치가 디커플링된 상태를 나타내며, 디커플링 상태에서 라쳇기어(400)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즉 라쳇기어(400)와 동축으로 연결된 권취축(미도시)에 감긴 벨트 웨빙을 탑승자가 인출, 혹은 인입시킬 때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 및 이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부(200)와 모터(100)는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차량 내 부착된 센서들이 충돌 직전 상황임을 감지한 경우 등 시트 벨트 웨빙을 되감을 것이 요구되는 경우, 모터(100)는 벨트 웨빙을 되감는 방향, 즉 권입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모터의 회전력이 기어부(200)를 거쳐 클러치(300)의 기어휠(330)로 전달이 되어 기어휠(330)은 도면상 표시된 권입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 전술한 내용대로 드라이브 플레이트(320)는 기어휠(330)에 대하여 일정량 습동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또한 프릭션 스프링(360)은 기어 케이스(미도시)와 마찰을 일으키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터(100)가 회전하기 시작한 직후에는 프릭션 스프링(360)이 주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드라이브 플레이트(320)는 정지되어 있으려고 한다. 이에 반하여 기어휠(330)은 모터(100)에서 전달된 힘을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로써 전달받아 권입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대 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결국 돌출부(321)가 폴(370)의 일단을 밀게 되고 폴(370)이 내측을 향하여 일정량 회전하여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라쳇기어(400)와 맞물려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이러한 커플링이 형성되면 폴(370)이 라쳇기어(400)에 맞물리며 고정되고 결국 기어휠(330)이 모터(100)에 의해 계속 회전하면서 폴(370)이 라쳇기어(400)를 권입 방향으로 밀게 되고 그와 맞닿아 있는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돌출부(321)까지 밀게 된다. 이 미는 힘은 프릭션 스프링(360)과 기어 케이스(미도시) 사이에 존재하는 마찰력보다도 더 크기 때문에 프릭션 스프링(340)은 일부 변형되며 탄성에너지를 저장한 채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와 함께 기어 케이스(미도시)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결국 모터(100)의 회전 초기 단계를 지나 폴(370)이 라쳇기어(400)에 커플링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권입 방향으로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폴(370)에 의하여 라쳇기어(400) 및 이와 동축으로 연결된 권취축(미도시)도 회전하면서 웨빙을 권취할 수 있다.
웨빙이 필요한 만큼 권취된 경우, 모터(100)가 정지하면 기어휠(330)도 그 즉시 정지하면서, 폴(370)이 라쳇기어(400)를 미는 힘이 사라지고 프릭션 스프링(34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해 드라이브 플레이트(320)가 일정 각도 역회전한다. 결국 이는 기어휠(330)에 대한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의 상대 회전이므로 돌출부(321)는 원위치로 복원되고 돌출부(321)가 폴(370)을 미는 힘이 사라져 결국 리턴 스프링(380)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는 다시 도5a의 디커플링 상태로 전환되며, 따라서 이후의 탑승자에 의한 벨트 웨빙의 권입 및 인출에는 모터(100) 및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300)가 개입하지 않게 된다. 결국, 드라이브 플레이트(320)에 돌출부(321) 구비하는 것으로 최소의 단순한 구성만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용 클러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6a 및 도6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모터(100)에 의한 벨트 권입에 있어 벨트 웨빙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폴(370)에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 홈(371)을 구성하여 모터(100)와 권취축(미도시)과의 기계적 커플링을 해제하는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다. 먼저 도6a는 전술한 메카니즘에 의하여 모터(100)에 의하여 벨트 웨빙의 권입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폴(370)이 라쳇기어(400)와 기계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다. 이 때 차량 충돌의 발생으로 탑승자에게 벨트 인출 방향으로의 과도한 힘이 가해지고, 이러한 과부하가 벨트 웨빙을 통하여 권취축(미도시) 및 라쳇기어(400)로 전달되어 폴(370)을 역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밀면 도6b에서 볼 수 있듯이 폴(370)이 슬라이딩 홈(371)을 따라 미끄러져 라쳇기어(400)와 기계적으로 디커플링된다. 즉, 모터(100)에 의해 기어휠(330)이 회전하려는 방향(시계 방향)과 충돌로 인한 벨트 부하에 의해 라쳇기어(400)가 회전하는 방향(반시계 방향)이 정반대이므로 폴(370)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폴(370)에 구비된 변형부(372)가 파단되거나 변형되어 폴(370)이 연결구(333)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홈(371)을 따라 슬립하는 것으로 인하여 폴(370)과 라쳇기어(400)는 기계적으로 디커플링되고, 따라서 기어휠(330)은 라쳇기어(400)에 대하여 공회전하므로 모터(100)의 회전력 전달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폴(370)의 변형부(372)는 특정 힘(과부하)이 작용할 경우 파단되거나 변형되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으며 폴(370)의 기타 부위는 상기 특정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만듦이 바람직하다.
도7a 및 도7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모터(100)에 의한 벨트 권입에 있어 벨트 웨빙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폴(370)을 지지하는 연결구(333)가 파단되어 모터(100)와 권취축(미도시)과의 기계적 커플링을 해제하는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6a 및 도6b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게, 특정 수준의 과부하가 벨트 웨빙을 통하여 권취축(미도시) 및 라쳇기어(400)로 전달되어 폴(370)을 역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밀면 도7b에서 볼 수 있듯이 폴(370)의 연결구(333)가 파단되어 폴(370)이 기어휠(330)에 구비된 수용홈(334)을 따라 이동하여 라쳇기어(400)와 기계적으로 디커플링될 수 있다. 도8a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는 나사 형태의 연결구(333)의 구조를 나타낸다. 특정 힘에 의해 쉽게 파단되는 부위인 파단부(d)를 구성하여 도8b에서 볼 수 있듯이 파단부(d)가 기어휠(330)에 연결구(333)가 삽입되는 경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클러치 장치의 타 부위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파단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연결구(333)는 예를 들어, 나사 혹은 리벳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내용대로, 본 발명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다른 구성을 도입하지 않아도, 최소한의 단순한 구조만으로 차량 로드리미터의 작동에 있어 모터(100)의 개입을 완전히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과부하를 줄이고 모터(100)가 로드리미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모터 200: 기어부
300: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310: 하단 커버
320: 드라이브 플레이트 330: 기어휠
340: 상단 커버 350: 리벳
360: 프릭션 스프링 370: 폴
380: 리턴 흐프링 400: 라쳇기어
500: 기어 케이스

Claims (5)

  1. 적어도 차량 탑승자를 구속시키는 웨빙이 인출 가능하게 감겨진 권취축과 웨빙을 감기 위한 모터가 구성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서, 기계적으로 모터와 기어 케이스로 감싸여진 권취축 사이에 개재하여 모터와 권취축과의 기계적 커플링 및 디커플링을 시켜주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에 있어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상단 커버;
    하단 커버;
    외측에 기어가 형성되며 상단 커버 및 하단 커버와 각각 결합하는 기어휠;
    기어휠 및 하단 커버 사이에서 상대 회전 운동하며 일측에는 상단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드라이브 플레이트;
    일측이 돌출부에 인접하고 연결구에 의해 기어휠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기어휠과 권취축을 커플링시키는 폴; 및
    폴에 형성되며 폴을 디커플링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폴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정 세기의 힘을 받는 경우, 폴이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립하여 폴과 권취축을 디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폴의 연결구는 특정 세기의 힘을 받는 경우 파단되어 폴과 권취축을 디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구는 나사 혹은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는,
    드라이브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프릭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프릭션 스프링은 기어 케이스와 마찰을 일으키며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KR1020130086479A 2013-07-23 2013-07-23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KR101439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79A KR101439373B1 (ko) 2013-07-23 2013-07-23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479A KR101439373B1 (ko) 2013-07-23 2013-07-23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373B1 true KR101439373B1 (ko) 2014-09-17

Family

ID=5175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479A KR101439373B1 (ko) 2013-07-23 2013-07-23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3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87B1 (ko) * 2015-11-27 2017-06-09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과도한 구속하중을 방지하는 리트랙터
CN107487294A (zh) * 2016-06-10 2017-12-19 Trw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座椅安全带张紧器的离合器
WO2024061785A1 (de) * 2022-09-19 2024-03-2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213A (ja) 2008-05-28 2009-12-1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218946A (ja) 2010-04-08 2011-11-0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120044757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KR101276354B1 (ko) 2012-03-14 2013-06-1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6213A (ja) 2008-05-28 2009-12-10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1218946A (ja) 2010-04-08 2011-11-0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120044757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KR101276354B1 (ko) 2012-03-14 2013-06-18 주식회사 삼송 리트랙터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87B1 (ko) * 2015-11-27 2017-06-09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과도한 구속하중을 방지하는 리트랙터
CN107487294A (zh) * 2016-06-10 2017-12-19 Trw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座椅安全带张紧器的离合器
CN107487294B (zh) * 2016-06-10 2021-07-02 Trw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座椅安全带张紧器的离合器
WO2024061785A1 (de) * 2022-09-19 2024-03-2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685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0983735B1 (ko) 시트벨트장치
EP0962365B1 (en) Seat belt retractor
JP3924213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及びクラッチ機構
JP437978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481964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5788176A (en) Safety belt retractor with belt tensioner acting on the belt reel
EP2246225B1 (en) Seat belt retractor
JP2008213538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439373B1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WO2014163073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KR20070012442A (ko) 웨빙 권취 장치
JP5648924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6113562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990481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112963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96157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127006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13700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JP411340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1439372B1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클러치
JP520388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314572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2173000A (ja)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
JP608139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