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275B1 -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 Google Patents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275B1
KR101437275B1 KR1020130031629A KR20130031629A KR101437275B1 KR 101437275 B1 KR101437275 B1 KR 101437275B1 KR 1020130031629 A KR1020130031629 A KR 1020130031629A KR 20130031629 A KR20130031629 A KR 20130031629A KR 101437275 B1 KR101437275 B1 KR 10143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fli
region
semiconductor device
breakdown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만영
조유습
금종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01L29/0873Drain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01L29/0873Drain regions
    • H01L29/0878Impurity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01L29/0873Drain regions
    • H01L29/0886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01L29/0619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with a supplementary region doped oppositely to or in rectifying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containing or contacting region, e.g. guard rings with PN or Schottky junction
    • H01L29/0623Buried supplementary region, e.g. buried guard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는 N형 기판 상에 형성된 N형 드리프트 영역;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P-base 영역; 상기 P-base 및 상기 N+ 영역과 접촉하도록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소스 전극;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N형 기판 하부 상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 및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복수의 플로팅 P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N형 드리프트 층에 포함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플로팅 P형 영역이 없고, N형 드리프트 층의 농도가 Nd인 특정 반도체 소자에 해당하는 항복 전압 및 상기 복수의 플로팅 P형 영역의 개수에 근거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ULTI FLOATING ISLAND}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파워 반도체는 고전압 고전류를 제어하는 전기적 스위치 역할을 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전력전자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기술들이 큰 화두로 떠올라 파워 반도체 분야에서도 에너지 절감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파워 반도체 소자의 하나로 Power MOSFET이 있다. Power MOSFET은 큰 전력(약 600V 이상)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MOSFET)의 특정 종류이다. 다른 전력 반도체 소자(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IGBT), 사이리스터 등)들에 비해 주요한 장점은 낮은 전압에서 통신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좋다는 것이다. 이것은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의 격리된 게이트와 공유되어 신호인가를 쉽게 할 수 있다.
Power MOSFET은 높은 입력 임피던스 및 빠른 스위칭 특성으로 모바일기기, 가전제품, 사무기기뿐만 아니라 미래 자동차인 전기자동차에도 전기적 에너지 제어를 위해 필수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절감, 즉 Power MOSFET의 특성 향상을 위해서는 높은 항복 전압을 확보하는 동시에 좋은 전도도를 갖도록 설계해야 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특성은 Trade-off 관계를 가지므로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088061호에는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등록특허 10-1088061호에는 N형 드리프트 층의 농도 조절을 통해 높은 항복 전압 및 좋은 전도도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높은 항복 전압과 좋은 전도도를 동시에 갖는 Power MOSFET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FLI(Floating Island)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이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에 해당하는 항복 전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최적화된 N형 드리프트 층의 불순물 농도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N형 기판 상에 형성된 N형 드리프트 영역;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P-base 영역; 상기 P-base 및 상기 N+ 영역과 접촉하도록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소스 전극;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N형 기판 하부 상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 및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복수의 플로팅 P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N형 드리프트 층에 포함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플로팅 P형 영역이 없고, N형 드리프트 층의 농도가 Nd인 특정 반도체 소자에 해당하는 항복 전압 및 상기 복수의 플로팅 P형 영역의 개수에 근거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는 높은 항복 전압을 확보하는 동시에 좋은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N형 드리프트 층의 불순물 농도의 조절을 통해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이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에 해당하는 항복 전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의 예시도이다.
도 2는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전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불순물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FLI 증가에 따른 항복전압 저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들의 3차원 전계 분포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항복전압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2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는 3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4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5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에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 및 상기 특정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을 구하는 방법 및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반도체 소자(예: Power MOSFET 또는 파워 반도체 소자)의 Switch-ON 상태에서의 전력 손실은 정격전류에서의 전압 강하량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전압강하는 Power MOSFET이 Switch-ON 상태에서 전류를 통할 때 반도체 소자 내의 저항에 의한 강하이다. 즉, Switch-ON 상태 전압강하는 반도체 소자에서 각 영역의 저항 성분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1
수학식 1의 저항 중 Switch-ON 상태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저항은 RJ와 RD이다. RJ는 JFET 영역의 저항으로, 플라나 게이트 MOSFET에서 P 베이스 사이의 전류 통과 영역의 저항이다. 이러한 JFET 영역은 온 상태에서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어 P 베이스(P base)와 N-드리프트(N-drift) 접합에 형성되는 공핍층의 확장에 의해 면적이 변할 수 있다.
RD는 N-드리프트 영역의 저항이다. 이 저항 성분들은 N-드리프트 영역의 저항률과 관계된 저항이므로, 각 영역의 도핑 농도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 농도가 높을수록 저항은 작아지고 전도도 특성은 우수해져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2는 FLI 구조가 없는 특정 반도체 소자의 항복 전압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항복 전압은 도 2(a)에 도시된 Power MOSFET(또는 파워 반도체 소자)의 오프 상태 유지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전기적 특성일 수 있다.
상기 항복 전압은, 도 2(b)에서와 같이 Switch-OFF 된 MOSFET의 PN 접합에서 공핍층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넓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Poisson 방정식인 아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해 소자 내부의 인가되는 전기장의 적분값이 소자가 견디는 전압이기 때문일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2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3
여기서, Breakdown Voltage는 항복 전압이다.
PN 접합에서의 공핍층의 길이는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에 반비례하므로 도 2(c)와 같이 도핑농도가 높을수록(예를 들어, 도 2(b)의 2배의 도핑농도) MOSFET의 항복 전압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파워 MOSFET의 항복 전압과 전도도 특성은 서로 Trade-off 관계이고, 항복 전압 대비 최대 전도도 특성을 가지도록 최적화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도 3은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FLI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예: MOSFET)는 N-드리프트 영역에 P형 FLI 층(또는 플로팅 P형 영역)을 삽입한 구조이다. MOSFET의 성능을 향상시키려면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 농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지만 결과적으로 항복 전압 특성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P형 FLI 층을 삽입하게 되면 N-드리프트 영역에서 또 다른 PN 접합 구조가 형성되어 인가된 전압을 견딜 수 있는 영역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도핑 농도를 높인 N-드리프트 영역에 P형 FLI 층을 삽입함으로써 추가적인 삼각형의 전기장 분포가 생기게 되고, 추가된 삼각형의 전기장 분포가 특정 반도체 소자(FLI 구조 없는 MOSFET)에 인가된 전기장과 동일한 넓이를 갖게 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FLI 구조의 항복 전압은 기존 MOSFET(FLI 구조 없는 MOSFET)의 항복 전압과 동일 또는 유사해질 수 있다.
특히, 수학식 2에 의해 수학식 4가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4
수학식 4는 MOSFET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미분값, 즉 기울기가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인 Nd와 비례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FLI MOSFET은 기존 MOSFET보다 높은 도핑 농도의 N-드리프트 영역을 갖게 되어 높은 전도도 특성으로 기존과 동일한 항복 전압을 확보할 수 있을 수 있다.
한편, 플로팅 P형 영역(P형 FLI)은 P형 반도체 영역으로 Si, SiC,GaAs, 및 GaN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전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FLI 구조의 MOSFET은 전도도 특성과 항복 전압의 특성의 Trade-OFF 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다만, Power MOSFET에 FLI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 항복 전압을 결정하는 최대 임계 전계는 파워 반도체의 도핑 농도와 상관없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실제로 최대 임계 전계는 도핑농도를 높일수록 높아지게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불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Scattering이 강해져 Avalanche Breakdown을 일으키기 위한 전자의 가속이 방해 받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계가 더 강해져야 반도체 내부의 전자가 Avalanche Breakdown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항복현상을 일으키는 최대 임계 전계는 도핑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질 수 있다.
Fulop의 실험식에 의해, 도핑 농도에 따른 실리콘 반도체의 최대 임계 전계는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5
수학식 5를 이용하여 FLI MOSFET을 설계 시 기존 MOSFET(FLI 구조가 없는 MOSFET)과 같은 항복 전압을 갖기 위한 최대 도핑 농도와 FLI 층의 수직 위치를 보다 정확히 얻어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 3의 경우, FLI 구조의 적용 및 기존 해석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일 FLI 층 삽입시 최대 임계 전계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도핑 농도에 따른 최대 임계 전계 변화를 고려하게 되면, 2배의 도핑 농도로 인해 아래 수학식 6과 같이 9%의 임계 전계 향상으로 도 5와 같이 기존 BV보다 넓이가 증가할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6
도 14에서 보이는 Excess Area는 항복 전압을 높여주지만 인가된 전기장의 기울기 값을 더 크게 만들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손실이다. 즉, MOSFET에 도핑 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Margin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argin을 고려하여 불순물의 농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는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불순물 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높은 전도도 특성을 위한 효과적인 FLI 구조 적용을 위해 기존 전기장 분포와 같은 넓이로 더욱 가파른 전기장의 기울기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보다 정확한 FLI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항복전압을 유지한 채 도핑할 수 있는 최대 도핑 농도를 기존 MOSFET의 도핑 농도의 배수 n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래 수학식 7과 같이 기존 MOSFET의 항복전압은 최대 임계 전계와 공핍층의 수직 길이가 이루는 삼각형의 넓이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7
도 5에서와 같이 단일 FLI 구조에서 이와 같은 항복전압을 갖도록 설계하려면 항복전압을 나타내는 삼각형의 넓이가 0.5 BV의 값을 가져야 한다. FLI 구조에 기존 구조 도핑량의 n배인 nNd로 도핑했다면 최대 임계 전계는 Fulop의 실험식을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8
전기장 분포가 형성하는 삼각형의 기울기는 Poisson 방정식 수학식 2에 의해 qNd/ε에서 qnNd/ε로 n배가 되었으므로 공핍층의 수직 길이 x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9 및 수학식 10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09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0
삼각형 하나의 넓이는 0.5 BV 이므로, 아래와 같은 수학식 11 내지 수학식 13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1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2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3
이와 더불어 공핍층 수직 길이는 수학식 10에 의해 n = 2.52 일 때 2x = 0.89d로, 공핍층의 수직 길이도 11% 줄어들어 N-드리프트 길이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단일 FLI 구조 MOSFET에서 동일한 항복전압을 유지하면서 도핑 가능한 최대 농도는 기존 MOSFET 도핑 농도 Nd의 2.52배인 2.52N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100)에 대한 다양한 변화(또는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n은 ±10%의 마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변화(variation)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n은 2.52의 ±10% 범위인 2.268 ~ 2.772인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예시도이다.
항복전압 및 저항 특성이 최적화 된 FLI 구조 MOSFET을 설계함에 있어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확인한 사실은 첫째, N-드리프트 길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N-드리프트의 길이를 FLI 층의 개수와 P-base영역의 합으로 나눈 값이 FLI 층 및 P-base 간의 거리 x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둘째, P형 FLI 층에 인접한 N-드리프트 영역은 P형 FLI 층에 걸리는 전계보다 낮으므로 항복전압의 저하를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후자의 요인으로 인해 FLI 층의 개수가 증가하면 항복전압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확인 작업으로 단일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서와 얻은 결론을 토대로 도핑 농도 배수 n의 값을 설정하여 FLI 층의 개수를 1부터 5까지 늘려가면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n의 값은 수학식 14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4
여기서, m은 FLI 층의 개수, Wd는 N-드리프트 공핍층의 길이, x는 FLI 층간 거리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FLI 층의 개수 m과 가능한 도핑 농도 배수 n의 관계는 수학식 1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5
하기 표 1은 FLI 개수에 따른 MOSFET의 설계 파라미터 및 전기적 특성 비교한 비교표이다.
설계 파라미터 FLI 층의 개수( m )
0 1 2 3 4 5
계산된
농도 배수 n
0 2.1 3.5 4.8 6.5 7.7
N-드리프트
농도(cm-3)
3×1014 6.3×1014 10.5×1014 14.4×1014 19.5×1014 23.1×1014
FLI 층
사이 거리(㎛)
- 27 18 13.5 10.8 9
항복전압(V) 650 659 579 559 530 497
표 1 은 FLI 개수 m에 따른 n값 및 MOSFET의 설계 파라미터이다. N-드리프트 영역이 55㎛의 길이를 가지면서 공핍층이 54㎛에서 항복현상이 나타나는 모델을 기준으로 도핑농도와 FLI 층외에 다른 조건들을 모두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설계된 다중 FLI MOSFET의 항복전압을 측정한 결과, FLI 층의 개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항복전압의 저하가 나타났다.
도 7 내지 도 10은 항복전압 저하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소자들의 3차원 전계 분포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FLI 영역에 인접한 N-드리프트 영역에서 충분한 전계를 받지 못하여 항복전압 특성이 낮아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항복전압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를 반대로 낮추어 초과 항복 전압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FLI 층 인접 영역에서 발생하는 항복전압 손실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초과 항복 전압 영역의 형성에 따라 결정되는 최적의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농도는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중 FLI MOSFET N-드리프트 영역의 도핑 농도를 수학식 15에서 적용한 이론값보다 낮추면서 생성되는 초과 공핍 영역을 통해 항복전압 손실의 보상을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항복전압 특성 손실을 없애려면 기준이 되는 보통 MOSFET의 항복전압을 갖는 N-드리프트 농도를 알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 650V 수준의 항복전압을 갖는 N-드리프트 농도를 FLI 층 개수에 따라 분류하여 차례로 실험하였다.
표 2 내지 표 5는 FLI 층의 개수가 각각 2, 3, 4, 5개일 때 MOSFET의 설계 파라미터와 측정된 항복전압을 나타낸다.
순번 N- 드리프트 영역 FLI
도즈량( cm -2 )
항복전압
(V)
두께(㎛) 농도( cm -3 )
1 55 7.0×1014 1×1017 547
2 55 7.0×1014 1×1016 559
3 55 7.0×1014 1×1015 576
4 55 7.0×1014 1×1014 588
5 55 7.0×1014 5×1013 595
6 55 7.0×1014 1×1013 678
7 55 8.0×1014 1×1017 555
8 55 8.0×1014 1×1016 566
9 55 8.0×1014 1×1015 580
10 55 8.0×1014 1×1014 593
11 55 8.0×1014 5×1013 603
12 55 8.0×1014 1×1013 685
13 55 8.5×1014 1×1017 559
14 55 8.5×1014 1×1016 569
15 55 8.5×1014 1×1015 583
16 55 8.5×1014 1×1014 600
17 55 8.5×1014 5×1013 610
18 55 8.5×1014 1×1013 644
19 55 9.0×1014 1×1017 563
20 55 9.0×1014 1×1016 571
21 55 9.0×1014 1×1015 589
22 55 9.0×1014 1×1014 607
23 55 9.0×1014 5×1013 617
24 55 9.0×1014 1×1013 580
25 55 10.5×1014 1×1017 579
26 55 10.5×1014 1×1016 588
27 55 10.5×1014 1×1015 510
28 55 10.5×1014 1×1014 400
29 55 10.5×1014 5×1013 400
30 55 10.5×1014 1×1013 418
순번 N- 드리프트 영역 FLI
도즈량( cm -2 )
항복전압
(V)
두께(㎛) 농도( cm -3 )
1 55 9.0×1014 1×1017 494
2 55 9.0×1014 1×1016 off
3 55 9.0×1014 1×1015 off
4 55 9.0×1014 1×1014 568
5 55 9.0×1014 5×1013 582
6 55 9.0×1014 1×1013 677
7 55 10.0×1014 1×1017 504
8 55 10.0×1014 1×1016 off
9 55 10.0×1014 1×1015 off
10 55 10.0×1014 1×1014 582
11 55 10.0×1014 5×1013 598
12 55 10.0×1014 1×1013 705
13 55 10.5×1014 1×1017 508
14 55 10.5×1014 1×1016 off
15 55 10.5×1014 1×1015 off
16 55 10.5×1014 1×1014 591
17 55 10.5×1014 5×1013 609
18 55 10.5×1014 1×1013 671
19 55 11.0×1014 1×1017 513
20 55 11.0×1014 1×1016 off
21 55 11.0×1014 1×1015 off
22 55 11.0×1014 1×1014 602
23 55 11.0×1014 5×1013 620
24 55 11.0×1014 1×1013 520
25 55 14.5×1014 1×1017 559
26 55 14.5×1014 1×1016 off
27 55 14.5×1014 1×1015 324
28 55 14.5×1014 1×1014 304
29 55 14.5×1014 5×1013 307
30 55 14.5×1014 1×1013 342
※ ‘off’ 는 시뮬레이션 구조가 동작하지 않음을 의미
순번 N- 드리프트 영역 FLI
도즈량( cm -2 )
항복전압
(V)
두께(㎛) 농도( cm -3 )
1 55 1.0×1015 1×1017 432
2 55 1.0×1015 1×1016 off
3 55 1.0×1015 1×1015 off
4 55 1.0×1015 1×1014 529
5 55 1.0×1015 5×1013 546
6 55 1.0×1015 1×1013 648
7 55 1.1×1015 1×1017 442
8 55 1.1×1015 1×1016 off
9 55 1.1×1015 1×1015 off
10 55 1.1×1015 1×1014 546
11 55 1.1×1015 5×1013 564
12 55 1.1×1015 1×1013 679
13 55 1.2×1015 1×1017 451
14 55 1.2×1015 1×1016 off
15 55 1.2×1015 1×1015 off
16 55 1.2×1015 1×1014 562
17 55 1.2×1015 5×1013 583
18 55 1.2×1015 1×1013 712
19 55 1.3×1015 1×1017 460
20 55 1.3×1015 1×1016 off
21 55 1.3×1015 1×1015 off
22 55 1.3×1015 1×1014 583
23 55 1.3×1015 5×1013 606
24 55 1.3×1015 1×1013 575
25 55 1.4×1015 1×1017 469
26 55 1.4×1015 1×1016 off
27 55 1.4×1015 1×1015 off
28 55 1.4×1015 1×1014 606
29 55 1.4×1015 5×1013 631
30 55 1.4×1015 1×1013 380
※ ‘off’ 는 시뮬레이션 구조가 동작하지 않음을 의미
순번 N- 드리프트 영역 FLI
도즈량( cm -2 )
항복전압
(V)
두께(㎛) 농도( cm -3 )
1 55 1.2×1015 1×1017 387
2 55 1.2×1015 1×1016 off
3 55 1.2×1015 1×1015 408
4 55 1.2×1015 1×1014 464
5 55 1.2×1015 5×1013 510
6 55 1.2×1015 1×1013 648
7 55 1.3×1015 1×1017 396
8 55 1.3×1015 1×1016 off
9 55 1.3×1015 1×1015 418
10 55 1.3×1015 1×1014 477
11 55 1.3×1015 5×1013 527
12 55 1.3×1015 1×1013 681
13 55 1.4×1015 1×1017 405
14 55 1.4×1015 1×1016 off
15 55 1.4×1015 1×1015 428
16 55 1.4×1015 1×1014 490
17 55 1.4×1015 5×1013 545
18 55 1.4×1015 1×1013 716
19 55 1.5×1015 1×1017 413
20 55 1.5×1015 1×1016 off
21 55 1.5×1015 1×1015 438
22 55 1.5×1015 1×1014 off
23 55 1.5×1015 5×1013 563
24 55 1.5×1015 1×1013 off
25 55 2.3×1015 1×1017 497
26 55 2.3×1015 1×1016 off
27 55 2.3×1015 1×1015 538
28 55 2.3×1015 1×1014 off
29 55 2.3×1015 5×1013 203
30 55 2.3×1015 1×1013 241
표 2 내지 표 5를 통해 N-드리프트의 농도에 따라 FLI 층의 도즈량에 변화를 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처럼 도즈량의 변화를 준 것은 N-드리프트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P형 FLI의 농도도 충분히 높아야 최대 임계 전계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2 내지 표 5에서 나타난 각 N-드리프트 영역에서 최대 항복전압을 나타내는 농도를 그림 4.4, 4.5에 도시하고 650V 수준의 항복전압을 갖는 최대값을 얻어내었다.
도 12는 2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3는 3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4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5는 5개의 FLI 층을 갖는 파워 MOSFET의 최대 도핑점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FLI 층의 개수가 2에서 5로 증가함에 따라 기준이 되는 650V의 항복전압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최대 도핑량은 각각 8.5×1014cm-3, 10.5×1014cm-3, 12.0×1014cm-3, 14.5×1014cm-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650V 항복전압 기준이 되는 보통의 파워 MOSFET N-드리프트 영역의 농도가 3×1014cm-3이므로 도핑 농도는 각각 280%, 350%, 433%, 486%의 수치로 항복전압의 저하 없이 증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FLI 층의 개수 m과 기존에 대비한 도핑 농도 증가량 p%와의 관계를 수학식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3025684812-pat00016
수학식 16은 실험에 근거하여 기존에 FLI 구조 해석되는 방법을 실제에 가깝게 만든 수식으로, 이를 통해 FLI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규명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6은 FLI 파워 MOSFET을 설계함에 있어 설계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매우 활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그 전기적 특성을 쉽게 최적화할 수 있는데 큰 의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FLI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에서 N형 드리프트 층에 포함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플로팅 P형 영역이 없고, N형 드리프트 층의 농도가 Nd인 특정 반도체 소자에 해당하는 항복 전압 및 상기 복수의 플로팅 P형 영역의 개수에 근거하여 결정되기에, 상기 반도체 소자는 높은 항복 전압을 확보하는 동시에 좋은 전도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N형 기판 상에 형성된 N형 드리프트 영역;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P-base 영역;
    상기 P-base 영역 내에 형성된 N+ 영역;
    상기 P-base 및 상기 N+ 영역과 접촉하도록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소스 전극;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N형 기판 하부 상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 및
    상기 N형 드리프트 영역 상에 형성된 복수의 플로팅 P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N형 드리프트 층에 포함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플로팅 P형 영역이 없고, N형 드리프트 층의 농도가 Nd인 특정 반도체 소자에 해당하는 항복 전압에 근거하여 결정되되,
    상기 N형 드리프트 층에 포함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Nd에 n을 곱한 값으로 정의되되, 상기 n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수학식 1]
    n = (m+2)*0.7
    (여기서, m은 플로팅 P형 영역의 개수를 의미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드리프트 층에 포함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Nd에 n을 곱한 값으로 정의되고, 상기 n은 ±10%의 마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P형 영역은
    P형 반도체 영역으로 Si, SiC, GaAs, 및 GaN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5. 삭제
KR1020130031629A 2013-03-25 2013-03-25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1437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629A KR101437275B1 (ko) 2013-03-25 2013-03-25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629A KR101437275B1 (ko) 2013-03-25 2013-03-25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275B1 true KR101437275B1 (ko) 2014-10-27

Family

ID=5199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629A KR101437275B1 (ko) 2013-03-25 2013-03-25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9663A (zh) * 2023-08-31 2023-12-12 海信家电集团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4414A (ja) 2000-03-24 2001-10-05 Toshiba Corp 電力用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1313393A (ja) 2000-04-28 2001-11-09 Toshiba Corp 電力用半導体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2222949A (ja) * 2001-01-25 2002-08-09 Nec Corp 半導体装置
KR20100109920A (ko) * 2007-12-04 2010-10-11 비샤이 제너럴 세미컨덕터 엘엘씨 플로팅 아일랜드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계단식 트렌치를 가진 전압 유지층을 구비한 전력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4414A (ja) 2000-03-24 2001-10-05 Toshiba Corp 電力用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1313393A (ja) 2000-04-28 2001-11-09 Toshiba Corp 電力用半導体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2222949A (ja) * 2001-01-25 2002-08-09 Nec Corp 半導体装置
KR20100109920A (ko) * 2007-12-04 2010-10-11 비샤이 제너럴 세미컨덕터 엘엘씨 플로팅 아일랜드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계단식 트렌치를 가진 전압 유지층을 구비한 전력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9663A (zh) * 2023-08-31 2023-12-12 海信家电集团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
CN117219663B (zh) * 2023-08-31 2024-04-05 海信家电集团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977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9379181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099841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786015B2 (en) Super-junction semiconductor device
US20140209972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10258386A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065623B (zh) 一种碳化硅金属氧化物半导体场效应晶体管及其制造方法
JP2016519428A (ja) 安全動作領域を拡大したSiCパワー縦型DMOS
US10886371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JP5630552B2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766490A (zh) 碳化硅半导体装置的筛选方法
KR101437275B1 (ko) 다수의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US9356100B2 (en) Semiconductor device
TW201803125A (zh) 垂直碳化矽金屬氧化物半導體場效電晶體
KR101367491B1 (ko) 단일 fli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반도체 소자
EP2963678A1 (en) Semiconductor device
JPWO2015107614A1 (ja) 電力用半導体装置
KR20200039235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884772B2 (ja) 半導体装置
KR101420528B1 (ko) 전력 반도체 소자
EP3223316A1 (en) Wide bandgap power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JP3244414U (ja) パワー半導体装置およびパワー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527233B (zh) 分離式閘極橫向雙重擴散金屬氧化物半導體結構
US9502498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KR101504300B1 (ko) 600v급 슈퍼 정션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