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267B1 -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267B1
KR101437267B1 KR1020130011613A KR20130011613A KR101437267B1 KR 101437267 B1 KR101437267 B1 KR 101437267B1 KR 1020130011613 A KR1020130011613 A KR 1020130011613A KR 20130011613 A KR20130011613 A KR 20130011613A KR 101437267 B1 KR101437267 B1 KR 10143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tainer
members
supporting
coi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987A (ko
Inventor
이극래
Original Assignee
이극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극래 filed Critical 이극래
Priority to KR102013001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2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 B65D85/0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nnular articles for coils of wire, rope or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지지부재(1000)는 경사면(17)(17)이 형성된 코일지지부재(10)(10)를 가진다. 상기 코일지지부재(10)(10)는 이들을 가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8)에 의하여 상호간에 연결이 되고, 상기 연결부재(8)의 상면에는 코일(200)을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지지부재(10)(10)에는 막음판(6)(6)이 설치되어 그 사이에 코일(200)(200')이 놓이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코일지지부재(10)(10)의 양 끝단에는 가로부재(14)(14)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Mounting device for coils on a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코일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에 관한 것이다.
강판스트립과 같은 금속스트립은 코일형태로 감겨서 운송이 되는데 통상적으로는 방수용 종이포장과 금속판포장의 이중포장을 한 후 운송수단에 적재된 후 고정되어 운송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송방법은 코일의 훼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다른 종류의 화물과 같이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되어 이송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코일형태의 금속스트립(이하 코일)을 컨테이너로 이송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79520의 코일 수송용 특수컨테이너 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10-0009544의 코일수송용 컨테이너와 같은 것이 제안되었다.
이들 출원의 발명들은 컨테이너 자체의 설계를 변경하고 개량하여 그 내부에 코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발명과는 달리,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그대로 활용하여 코일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것이 좋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간단한 구조로 쉽게 그 내부에 코일을 적재하여 운송이 가능하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그대로 활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코일을 쉽게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호간에 멀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들 경사면에 코일의 하방의 양측부가 지지되는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와;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평행한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코일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의 하방의 중앙부를 지지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코일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과;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코일이 놓이는 두 개의 막음판과;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의 양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의 하면을 가로로 연결하는 하면연결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와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레일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는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에서 벽면과 입구문짝의 사이에서 견고히 놓이고, 코일을 경사면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앞쪽의 코일은 슬라이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그대로 활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코일을 쉽게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컨테이너의 내부에 도 1의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가 설치된 것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에 코일이 놓인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1의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내부에 코일을 적재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의 일 실시예(1000)를 보인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가 제공되는데, 이들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바라보는 면이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호간에 멀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경사면(17)(17)에 코일의 하방의 양측부가 지지되어 진다. (도 3 참조)
이렇게 상호간에 평행한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간에 연결이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의 하면을 가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하면연결부재(8)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를 가로질러 막음판(6)(6)이 각각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막음판(6)(6)의 사이에 코일(200)이 놓이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슬라이딩수단이 제공되는데, 이것은 상기 평행한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의 사이에서 상기 코일지지부재(10)(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코일의 하방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코일을 상기 코일지지부재(10)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코일은 슬라이딩되어 상기 막음판(6)(6)의 사이에서 쉽게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수단(300)은 레일부재(18)와 상기 레일부재(18)와 결합된 이동부재(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3을 참고로, 상기 슬라이딩이송수단(300)은 레일부재(18)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동부재(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원안의 하부 그림 참조), 이 경우 상기 레일부재(18)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38)를 지지하는 베어링(18)이 설치될 수 있다. (원안의 상부 그림 참조) 만일 베어링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레일부재(18)와 상기 이동부재(38)의 결합면에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유를 바르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8)에 코일이 놓이면 상기 코일의 하방의 중앙부가 상기 이동부재(38)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코일을 밀게 되면 상기 코일은 상기 이동부재(38)에 얹히어서 이동부재(38)가 상기 레일부재(18)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면서 코일이 이송되게 된다. (도 4 및 도 5 참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코일을 코일지지부재(10)(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것 이외에 길이방향의 부재에 다수개의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롤러를 따라 코일이 슬라이딩되어 이송시키는 것 등 코일을 코일지지부재(10)(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막음판(6)(6)의 뒷면에는 보강부재(5)(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의 양 끝단에는 이들을 가로질러 가로부재(14)(14)가 각각 설치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가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설치될 때 벽면에 밀착되어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가 자리를 잡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가 컨테이너(100)의 내부(S)에 설치된 것을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내부의 바닥면에 상기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가 놓이며 이때 상기 가로부재(14)가 내부의 벽면(140)에 밀착되어 놓인 것이 보인다.
반대쪽의 가로부재(14)는 입구의 문짝과의 사이에서 목재 등이 개재되어 입구의 문짝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벽면(140)에 놓이는 가로부재(14)도 벽면(140)과의 사이에서 목재 등이 개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상기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의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에 코일(200)이 놓인 것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경사면(17)(17)에 코일(200)의 하방의 양측부가 놓이고 상기 코일(200)의 하방의 중앙부는 이동부재(38)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를 사용하여 코일(200)(200')을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적재하는 것을 보인다.
우선 컨테이너(100)의 내부에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가 놓인다. 그 상태에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코일(200)을 상기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의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에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얹혀 놓는다. 이때 상기 뒤쪽의 막음판(6)의 전면에는 목재(19)를 놓아서 간극을 메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코일(200)을 밀게 되면 이것은 슬라이딩되어 앞으로 이송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동부재(38)가 이송되어 코일(200)이 이송된다. 이 상태가 도 4에서 보이고 있다.
다음, 코일(200')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10)(10)의 경사면(17)(17)에 얹혀 놓게 된다. 앞쪽의 막음판(6)과의 간극은 목재(19')를 끼워 넣어 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앞쪽의 (즉 입구쪽의) 가로부재(14)의 전면에도 목재를 끼워 넣어 문짝과의 간극을 메꾸어 상기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1000)는 컨테이너(100)의 내부공간에서 벽면(140)과 문짝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는 컨테이너의 내부공간에서 벽면과 입구문짝의 사이에서 견고히 놓이고, 코일을 경사면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앞쪽의 코일은 슬라이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그대로 활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코일을 쉽게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0: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10: 코일지지부재
8: 하면연결부재
6: 막음판
14: 가로부재
300: 슬라이딩수단
18: 레일부재
38: 이동부재
200, 200': 코일

Claims (5)

  1. (a)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부로 올라갈수록 상호간에 멀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들 경사면에 코일의 하방의 양측부가 지지되는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와;
    (b)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c) 상기 평행한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코일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의 하방의 중앙부를 지지하며, 상기 코일을 상기 코일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과;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와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d)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코일이 놓이는 두 개의 막음판과;
    (e)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의 양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두 개의 코일지지부재의 하면을 가로로 연결하는 하면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KR1020130011613A 2013-02-01 2013-02-01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KR10143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13A KR101437267B1 (ko) 2013-02-01 2013-02-01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13A KR101437267B1 (ko) 2013-02-01 2013-02-01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987A KR20140098987A (ko) 2014-08-11
KR101437267B1 true KR101437267B1 (ko) 2014-09-02

Family

ID=5174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613A KR101437267B1 (ko) 2013-02-01 2013-02-01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3240A (ja) * 2019-04-26 2020-11-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コイル状製品用金属製パレッ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3645B (zh) * 2021-12-31 2023-12-05 江苏隆达超合金股份有限公司 一种贯通地线用护套盘管料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811A (ja) * 2004-01-09 2005-08-18 Kambara Kisen Co Ltd 重量物搬送台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811A (ja) * 2004-01-09 2005-08-18 Kambara Kisen Co Ltd 重量物搬送台及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搬送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3240A (ja) * 2019-04-26 2020-11-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コイル状製品用金属製パレット
JP7315370B2 (ja) 2019-04-26 2023-07-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コイル状製品用金属製パ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987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9065T3 (es) Procedimiento para el almacenamiento y la preparación de pedidos
US8256602B2 (en) Roller conveyor
WO2007038096A3 (en) Discontinuous conveyor system
CN104986686A (zh) 物料转移机
KR101437267B1 (ko) 컨테이너용 코일적재기구
CN110198634A (zh) 用于存储、烘焙和输出烘焙食品的装置
IT201600077940A1 (it) Carrello trasportatore di elementi lastriformi, impianto per la gestione di un magazzino di elementi lastriformi comprendente tale carrello trasportatore e relativo metodo per la gestione del magazzino
RU2013125982A (ru) Станция для перевалки товаров
CN104891198A (zh) 使用机械手的集装箱搬送装置
JP2016088683A (ja) 荷積荷降装置、荷積方法、及び荷降方法
US10611567B2 (en) Pallet displacement system for a pallet storage assembly
CN106219252B (zh) 一种带有托盘的码垛物料的推送方法及装置
KR20110112060A (ko) 수화물 이송장치
JP6978651B2 (ja) 移載装置および積荷移載システム
US20120141242A1 (en) Arm for a forklift fork and a forklift fork
CN215973351U (zh) 一种货品装卸用无轨巷道式堆垛机
KR101842909B1 (ko) 측면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판유리 운송용 모바일랙
CN105438543A (zh) 一种箱坯出入库作业方法
JP5601514B2 (ja) ロール体収納設備
US20160039620A1 (en) Unloading a Cylindrical Body from a Pallet
CN103112691A (zh) 一种链条牵引式积放输送机
JP4826900B2 (ja) 荷役作業用設備
WO2011120067A3 (de) Verfahren zum kommissionieren, kommissionierstation und kommissioniersystem
JP2003143714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交換装置
CN204549492U (zh) 集装箱装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