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69B1 - 모니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769B1
KR101436769B1 KR1020137005047A KR20137005047A KR101436769B1 KR 101436769 B1 KR101436769 B1 KR 101436769B1 KR 1020137005047 A KR1020137005047 A KR 1020137005047A KR 20137005047 A KR20137005047 A KR 20137005047A KR 101436769 B1 KR101436769 B1 KR 10143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amera
elevator
display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367A (ko
Inventor
유지 후지하타
기요지 가와이
마사야 구니타치
노부카즈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를 화재시의 피난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소정의 원격장소에 설치된 모니터에 재관자를 구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모니터 제어장치는, 방재센터(3) 등에 마련된 모니터(15)와, 모니터(15)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21)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카메라(5)와, 화재의 발생을 검출하는 화재감지기(4)와, 엘리베이터의 통상운전 및 화재시의 피난운전을 제어하는 운행제어수단(11)을 구비한다. 표시제어수단(21)은 운행제어수단(11)에 의해서 피난운전의 제어가 개시되면, 카메라(5)에 의해서 촬영된 승강장의 영상과, 화재감지기(4)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된 층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피난용 정보를 모니터(15)에 자동적으로 표시시킨다.

Description

모니터 제어장치 {MONI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방재센터 등에 설치된 모니터의 표시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소방대원의 구출활동에 이용되는 피난용 엘리베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건물의 각 층상(層床)에 카메라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내에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고,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엘리베이터칸 내의 모니터에 비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를 화재시의 피난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운전수(예를 들면, 소방대원)는 엘리베이터칸 내에 설치된 선택용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니터에 비추는 카메라 영상의 전환을 행하여, 승강장 상황의 확인을 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소64-7537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엘리베이터를 화재시의 피난용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 내 모니터에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승강장 영상을 비추고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내의 운전수(예를 들면, 소방대원 등)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이나 승강장 상황의 확인이라고 하는 각종 작업을 엘리베이터칸 내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되어, 구출활동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승강장 영상이 모니터에 비추어지는 것만으로는 재관자(在館者, 건물 내에 있는 사람)의 구출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승강장 영상의 전환을 엘리베이터칸 내의 운전수가 스스로 행해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승강장 영상을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것도 곤란했다.
예를 들면, 화재시에 피난용으로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는 비교적 높은 빌딩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은 빌딩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는 층상의 수가 많기 때문에, 승강장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대수도 필연적으로 많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 내의 운전수는 모니터에 비추어지는 영상을 차례차례 전환하여 각 승강장의 상황을 확인해야 하여, 그 확인작업에 다대(多大)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또, 모니터에 비추어지는 영상만으로는 화재의 발생장소 등을 특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어, 현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화재시의 피난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소정의 원격장소에 설치된 모니터에 재관자를 구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는 모니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모니터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및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원격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와, 모니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제1 카메라와, 엘리베이터의 통상운전 및 화재시의 피난운전을 제어하는 운행제어수단을 구비하고, 표시제어수단은 운행제어수단에 의해서 피난운전의 제어가 개시되면, 제1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승강장의 영상과 화재감지정보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된 층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피난용 정보를 모니터에 자동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를 화재시의 피난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소정의 원격장소에 설치된 모니터에 재관자를 구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한 구출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방재센터 내 모니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동작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을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1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2는 엘리베이터칸(1)의 주행제어 등, 엘리베이터 전체의 운행제어를 맡는 제어반이다. 제어반(2)은, 통상시는 그 통상 기능에 의해, 등록된 승강장 호출·엘리베이터칸 호출에 엘리베이터칸(1)을 차례차례 응답시키는 통상 서비스를 행한다. 또, 이 엘리베이터에는, 화재 등의 긴급시에 피난용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반(2)은 필요에 따라서 이를 위한 제어도 행한다.
3은 상기 엘리베이터이 구비된 건물의 1층 등에 마련된 방재센터이다. 방재센터(3)는 엘리베이터칸(1)이나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원격장소에 설치된 시설로 이루어지며, 건물 내 혹은 소정의 범위(부지(敷地) 등) 내의 방재설비나 소화설비 등의 집중관리를 행한다. 건물 내의 각 엘리베이터 혹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의 각 엘리베이터는 이 방재센터(3)에서 일괄관리되고 있으며, 상기 제어반(2)은, 예를 들면, 방재센터(3)의 중앙감시반(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엘리베이터가 구비된 이 건물에는 각 측상에 화재감지기(4)가,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카메라(5), 통화장치(6), 구출요청버튼(7)(구출요청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화재감지기(4)는 열이나 연기 등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화재감지기(4)는, 화재의 발생을 검출하면, 화재의 발생층이나 화재의 발생장소 등의 정보를 화재감지정보로서 방재센터(3)에 출력한다. 또한, 방재센터(3)는 화재감지기(4)로부터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하면, 그 수신한 화재감지정보(혹은, 그 화재감지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반(2)에 대해서 출력한다.
카메라(5)는 승강장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5)에 의해서 촬영된 각 승강장의 영상은 방재센터(3)에 입력된다. 또, 통화장치(6)는 승강장에 있는 사람이 방재센터(3)의 감시원이나 엘리베이터칸(1) 내의 운전수(예를 들면, 소방대원)와 이야기하기 위한 것이다. 통화장치(6)도, 카메라(5)와 마찬가지로, 방재센터(3)에 접속되어 있다.
구출요청버튼(7)은, 화재 등의 긴급시에, 건물 내의 재관자가 엘리베이터에 의한 구출을 요청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것이다. 구출요청버튼(7)은 제어반(2)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조작되는(누르는) 것에 의해, 구출요청정보를 제어반(2)에 대해서 출력한다. 또한, 구출요청정보에는, 예를 들면, 구출을 요청하는 취지의 정보나, 그 구출요청버튼(7)이 설치되어 있는 층상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구출요청버튼(7)은 그 조작을 특정의 자(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나 고령자 등)에 한정하기 위해 인증장치의 기능을 함께 구비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인증장치에 의해서 본인인증이 이루어졌을 경우만, 구출요청버튼(7)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다. 또, 버튼조작을 불필요하게 하고, 인증장치에 의한 본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제어반(2)에 대해서 구출요청정보를 자동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카메라(5), 통화장치(6), 구출요청버튼(7)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하는 복수의 승강장에 설치된다. 이들 기기는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하는 모든 승강장에 설치해도 되고, 일부의 승강장에만 설치해도 된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1)에는 카메라(8), 통화장치(9)가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8)는 엘리베이터칸(1) 내의 상황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8)에 의해서 촬영된 엘리베이터칸(1) 내의 영상은 제어반(2)을 통하여 방재센터(3)에 입력된다. 또, 통화장치(9)는 엘리베이터칸(1) 내에 있는 사람(승객, 운전수 등)이 외부와 통화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칸(1) 내의 사람은 이 통화장치(9)를 사용하여, 방재센터(3)의 감시원이나 승강장에서 통화장치(6)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과의 이야기를 행한다. 통화장치(9)도, 카메라(8)과 마찬가지로, 제어반(2)을 통하여 방재센터(3)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반(2)에는 상기 통상 서비스를 행하기 위한 통상운전이나,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에 의한 피난을 행하기 위한 피난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제어반(2)은 방재센터(3), 각 구출요청버튼(7), 엘리베이터칸(1)(의 각 기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통신수단(10), 운행제어수단(11), 승차검출수단(12), 구출요청층 검출수단(13), 정지검출수단(14)에 의해, 그 주요부가 구성된다.
통신수단(10)은 제어반(2)이 접속되어 있는 각 기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운행제어수단(11)은 통상운전이나 화재시의 피난운전 등, 엘리베이터의 각종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운행제어수단(11)은, 통상시는 통상운전을 행하고, 등록된 승강장 호출·엘리베이터칸 호출에 엘리베이터칸(1)을 차례차례 응답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 운행제어수단(11)은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4)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 소정의 개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를 통상운전으로부터 피난운전으로 이행시키고, 재관자의 구출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제어를 개시한다.
승차검출수단(12)은 엘리베이터칸(1) 내에 있는 사람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승차검출수단(12)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1) 등에 마련된 저울장치나 센서(적외선 센서 등)의 출력 혹은 카메라(8)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칸(1) 내의 사람의 유무를 판정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칸(1) 내에 사람이 있는 것을 검출한다. 승차검출수단(12)은 엘리베이터칸(1)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면, 그 결과를, 통신수단(10)을 통하여 방재센터(3)에도 출력한다.
구출요청층 검출수단(13)은 구출요청버튼(7)으로부터 수신한 구출요청정보에 근거하여, 구출의 요청이 행해진 층상(구출요청층)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출요청층 검출수단(13)은 수신한 구출요청정보에 근거하여 구출요청층을 특정하면, 그 결과를, 통신수단(10)을 통하여 방재센터(3)에도 출력한다.
정지검출수단(14)은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정지결정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칸(1)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권상기(卷上機)로의 감속지령 등, 소정의 정지결정이 필요하게 된다. 정지검출수단(14)은 이와 같은 정지결정이 행해진 것을 검출하고,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하는 층상을 특정한다. 정지검출수단(14)은 엘리베이터칸(1)이 다음에 정지하는 층상을 특정하면, 그 결과를, 통신수단(10)을 통하여 방재센터(3)에도 출력한다.
한편, 방재센터(3)에는 모니터(15), 통화장치(16), 제어장치(17), 수동전환수단(18)이 구비되어 있다.
모니터(15)는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에, 엘리베이터의 감시정보나 건물의 방재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통상시, 모니터(15)에는 일반의 감시정보가 표시된다. 또,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에 의한 피난을 행하기 위한 피난운전이 제어반(2)에서 개시되면, 소정의 조건하, 상기 모니터(15)에는 피난운전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정보(이하, 「피난용 정보」라고도 함)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구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정보가 피난용 정보로서 방재센터(3)의 모니터(15)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15)에 일반의 감시정보와 피난용 정보와의 양쪽을 전환하여 각각 표시함으로써, 모니터(15)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여, 모니터(15)의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피난운전시의 모니터(15)의 구체적인 표시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통화장치(16)는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이 외부와 통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반(2)에서 피난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 방재센터(3)의 감시원은, 이 통화장치(16)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칸(1) 내의 사람(승객, 운전수 등)이나 승강장으로 통화장치(6)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과의 이야기를 행한다.
제어장치(17)는 방재센터(3)의 중앙감시반 등에 구비되어 있다. 방재센터(3)에는 카메라(5 및 8)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15)에 리얼타임으로 표시시키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모니터(15)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5 및/또는 8)의 선택을, 자동으로, 또 필요에 따라서 수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제어장치(17)에는 통신수단(19), 화재정보 검출수단(20), 표시제어수단(21), 표시선택수단(22), 통화선택수단(23)이 구비되어 있다.
통신수단(19)은 방재센터(3)가 접속되어 있는 각 기기와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 화재정보 검출수단(20)은 화재감지기(4)로부터 수신한 화재감지정보에 근거하여 화재의 발생층이나 화재의 발생장소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표시제어수단(21)은 방재센터(3)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15)의 표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표시제어수단(21)은 엘리베이터에서 통상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평상시, 건물 내에 설치된 각 기기 상태나 엘리베이터 상태라고 하는 일반의 감시정보를 모니터(15)에 표시시킨다. 한편, 제어반(2)에서(운행제어수단(11)에 의해서) 피난운전의 제어가 개시되면, 표시제어수단(21)은 제어반(2)으로부터의 정보나 제어장치(17) 내의 다른 수단으로부터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상기 피난용 정보를 모니터(15)에 자동적으로 표시시킨다.
표시선택수단(22)은 모니터(15)에 영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카메라(이하, 「영상표시용 카메라」라고도 함)를 복수의 승강장에 설치된 카메라(5)나,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된 카메라(8) 중에서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표시제어수단(21)은 표시선택수단(22)이 선택한 카메라(5 및/또는 8)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15)에 리얼타임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선택수단(22)에 의해서 선택되는 영상표시용 카메라는, 1대라도 되고, 복수 대(예를 들면, 2대 혹은 4대 등)라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선택수단(22)은 화재감지기(4)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 화재정보 검출수단(20)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화재의 발생층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방재센터(3)의 모니터(15)에는 화재발생층의 승강장 영상이 자동적으로 비추어진다. 또, 표시제어수단(21)은 화재정보 검출수단(20)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층 및/또는 화재의 발생장소가 특정되면, 그 특정된 화재발생층 등의 정보를 피난용 정보로서 모니터(15)에 표시시킨다.
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어느 승강장에서 구출요청버튼(7)이 조작되어, 구출의 요청이 행해지면, 표시선택수단(22)은 제어반(2)의 구출요청층 검출수단(13)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구출요청층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15)에는 구출요청층의 승강장 영상이 자동적으로 비추어진다. 또, 표시제어수단(21)은 구출요청층 검출수단(13)에 의해서 구출요청층이 특정되면, 그 특정된 구출요청층의 정보를 피난용 정보로서 모니터(15)에 표시시킨다.
또, 예를 들면, 피난운전시에 엘리베이터칸(1)이 구출층에 정지하는 경우 등, 제어반(2)의 정지검출수단(14)에 의해서 정지결정이 검출되면, 표시선택수단(22)은 그 정지 예정의 층상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15)에는 엘리베이터칸(1)이 바로 뒤에 정지하는 구출층 등의 승강장 영상이 자동적으로 비추어진다.
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피난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승차검출수단(1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1) 내에 사람이 있는 것이 검출되면, 표시선택수단(22)은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8)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15)에는 엘리베이터칸(1) 내의 영상이 자동적으로 비추어진다.
상기 통화선택수단(23)은 방재센터(3)의 통화장치(16)의 선국처(選局處, channel)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표시선택수단(22)은 통화장치(16)가 통화장치(6 및 9)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면, 통화선택수단(23)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그 선국된 통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카메라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통화장치(16)가 통화장치(6) 중 하나를 선국했을 경우, 표시선택수단(22)은 그 통화장치(6)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15)에는 선국된 통화장치(6)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의 승강장 영상이 자동적으로 비추어진다. 또, 통화장치(16)가 통화장치(9)를 선국했을 경우, 표시선택수단(22)은 카메라(8)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15)에는 엘리베이터칸(1) 내의 영상이 자동적으로 비추어진다.
수동전환수단(18)은 모니터(15)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의 선택을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에게 수동으로 행하게 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즉, 방재센터(3)의 감시원은 수동전환수단(18)에 의해서 1개 혹은 복수의 카메라(5 및/또는 8)을 지정함으로써, 소망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승강장 영상 및/또는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을 모니터(15)에 비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모니터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은 방재센터 내 모니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에서 통상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건물 내 중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기(4)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 그 화재감지기(4)로부터의 화재감지정보가 방재센터(3)에 입력된다. 방재센터(3)의 제어장치(17)에서는 통신수단(19)에 의해서 화재감지정보를 수신하면, 화재의 발생을 확정하고(S101),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한다.
제어장치(17)에서는, 먼저, 화재시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피난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화재감지기(4)로부터의 화재감지정보는 방재센터(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제어반(2)에도 입력된다. 제어반(2)에는 화재시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개시조건이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운행제어수단(11)은 엘리베이터의 현재 상태와 이 개시조건을 비교함으로써, 피난운전으로의 이행의 가부(可否)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안전장치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등, 상기 개시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 엘리베이터에서는, 피난운전은 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장치(17)에서 이용 불가의 판정이 이루어지며(S102의 아니오), 표시제어수단(21)은, 예를 들면, 일반의 감시정보의 표시를 계속시킨다.
한편, 화재감지정보의 수신시에 상기 개시조건이 성립하고 있으면, 운행제어수단(11)은 엘리베이터를 통상운전으로부터 피난운전으로 이행시킨다. 방재센터(3)에서는, 이 피난운전으로의 이행을 검출함으로써, S102에서 이용 가능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방재센터(3)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구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모니터 제어가 제어장치(17)에서 개시된다.
표시제어수단(21)에서는, 피난운전으로의 전환이 검출됨으로써, 모니터(15)의 표시내용을 지금까지의 일반의 감시정보로부터 화재시의 피난용 정보로 변경한다(S103). 예를 들면, 모니터 제어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 표시제어수단(21)은 카메라(5)에 의한 승강장 영상 및 카메라(8)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과, 화재발생층, 화재발생장소, 구출요청층의 각 정보를 화재시의 피난용 정보로서 모니터(15)에 표시한다(S104).
또한, 모니터(15)에 비추어지는 영상은 표시선택수단(22)이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한 카메라(5 및/또는 8)에 의해서 촬영된 것이다. 화재시의 피난운전은 화재감지기(4)가 화재의 발생을 검출함으로써 개시된다. 이 때문에, 피난운전이 개시된 직후에는(즉, S104에서는), 표시선택수단(22)에 의해서, 화재발생층의 카메라(5)가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되며, 모니터(15)에는 적어도 화재발생층의 승강장 영상이 비추어진다.
S104에서 초기의 피난용 정보가 모니터(15)에 표시되면, 표시선택수단(22)은 방재센터(3)의 통화장치(16)가 승강장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통화장치(6)를 선국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5). 여기서, 방재센터(3)와 승강장과의 통화가 확립되어 있으면, 표시선택수단(22)은 통화장치(16)가 선국한 통화장치(6)의 설치 층상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하고, 그 승강장 영상을 모니터(15)에 우선적으로 표시시킨다(S106).
방재센터(3)와 승강장과의 통화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표시선택수단(22)은, 다음으로, 방재센터(3)의 통화장치(16)가 엘리베이터칸(1)에 설치되어 있는 통화장치(9)를 선국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7). 그리고, 방재센터(3)와 엘리베이터칸(1)과의 통화가 확립되어 있으면, 표시선택수단(22)은 엘리베이터칸(1) 내의 카메라(8)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하고, 그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을 모니터(15)에 우선적으로 표시시킨다(S108).
한편, 통화선택수단(23)에 의해서 통화장치(9)의 어느 하나의 선국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S107의 아니오), 표시선택수단(22)은, 다음으로, 승강장의 구출요청버튼(7)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9). 여기서, 어느 하나의 구출요청버튼(7)이 조작되어 있으면, 표시선택수단(22)은 그 조작된 구출요청버튼(7)의 설치 층상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하고, 그 승강장 영상을 모니터(15)에 우선적으로 표시시킨다(S110).
도 3은 S110에서의 모니터(15)의 표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구출요청의 유무가 층상마다 모니터(15)에 표시되고 있다. 또, 구출요청버튼(7)이 조작된 5층의 카메라(5)가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되어 있으며, 모니터(15)에는 5층의 승강장 영상이 표시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층의 구출요청버튼(7)도 조작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선택수단(22)은 3층과 5층의 쌍방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하고, 모니터(15)의 소정의 영역에 3층의 승강장 영상과 5층의 승강장 영상을 분할 표시시키거나 교호(交互)로 표시시키거나 해도 된다. 또, 표시선택수단(22)은 나중에 조작된 구출요청버튼(7)이 설치되어 있는 층상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해도 된다.
또, 도 3에서는 모니터(15)에 수동전환수단(18)을 표시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수동전환수단(18)을 터치패널식의 버튼에 의해서 구성하고, 모니터(15) 내에서 카메라의 수동선택을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통화장치(16)에 의한 선국 및 구출요청버튼(7)에 의한 구출 요청이 어느 것도 행해지지 않은 경우(S109의 아니오), 표시선택수단(22)은,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의 정지결정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1). 여기서, 엘리베이터가 구출층에 정지하는 것이 결정되어 있으면, 표시선택수단(22)은 엘리베이터칸(1)이 다음에 정지하는 층상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하고, 그 승강장 영상을 모니터(15)에 우선적으로 표시시킨다(S112).
S106, S108, S110, S112에서 새로운 승강장 영상 혹은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을 모니터(15)에 표시시킨 후, 혹은, S111에서 정지결정이 행해져 있지 않은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진 후, 표시선택수단(22)은 수동전환수단(18)에 의해서 카메라의 수동선택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3). 또한, 수동전환수단(18)에 대해서 조작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는(S114), 상기 S104 내지 S112에 나타내는 영상표시용 카메라의 자동 선택 처리가 우선되며, 현재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영상이 모니터(15)에 표시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식의 입력버튼이 눌려지는 등, 수동전환수단(18)에 의해서 카메라의 선택이 행해지면, 표시선택수단(22)은 수동전환수단(18)에 의해서 지정된(층상의) 카메라(5)를 영상표시용 카메라로서 선택하고, 그 승강장 영상을 모니터(15)에 우선적으로 표시시킨다(S115). 또한, 수동전환수단(18)에 의한 카메라의 수동선택이 행해진 후에도, 화재의 발생이나 통화장치(16)에 의한 선국, 구출요청, 정지결정 등이 새로 검출되었을 경우는, 영상표시용 카메라의 자동선택처리를 우선시켜, 모니터(15)의 표시의 전환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를 화재시의 피난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방재센터(3)의 모니터(15)에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재관자를 구출하기 위해(즉,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구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즉, 방재센터(3)의 감시원은 건물 내에서 화재가 어디서 발생하고 있는지, 엘리베이터에 의한 피난이 필요한 재관자(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가 어느 층상에 있는지와 같은 정보를 모니터(15)의 표시내용으로부터 순간(瞬間)에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방재센터(3)의 감시원은 엘리베이터칸(1) 내의 운전수 등에 대해서, 정확한 지시를 전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신속하고 또한 정확한 구출활동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고층빌딩에서는 승강장에 설치하는 카메라(5)의 대수가 필연적으로 많아져 버리지만, 상기 구성의 모니터 제어장치이면, 건물의 상황이나 재관자의 유무 등에 따라 적절한 영상을 모니터(15)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5)에 의한 승강장의 영상 및 카메라(8)에 의한 엘리베이터칸(1) 내의 영상과, 화재발생층, 화재발생장소, 구출요청층의 각 정보를 화재시의 피난용 정보로서 모니터(15)에 표시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화재감지기(4)로부터의 화재감지정보로 구체적인 화재발생장소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화재발생층의 정보만을 모니터(15)에 표시해도 상관없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구출요청버튼(7)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피난용 정보로 구출요청층의 정보는 포함되지 않고, 그 외의 정보를 모니터(15)에 표시하면 된다. 또한, 카메라(8)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은 피난용 정보로서 상시 모니터(15)에 표시시켜도 되고, 필요(각 수단의 검출결과 등)에 따라 모니터(15)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 엘리베이터칸(1) 내에 카메라(8)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에는 상기 피난용 정보에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은 포함되지 않고, 그 외의 정보를 모니터(15)에 표시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15)나 제어장치(17)가 방재센터(3)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모니터(15)의 설치 장소는 엘리베이터칸(1)이나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로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구출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장소이면, 어느 곳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모니터(15)나 통화장치(16), 제어장치(17) 등은 엘리베이터의 보수회사가 운영하는 감시센터나, 근린의 소방관계시설, 비상시에 임시로 설치되는 소방관계시설 등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방재센터(3)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방재센터(3)에는 모니터(15), 통화장치(16), 제어장치(17) 외에, 호출등록장치(24)가 구비되어 있다. 호출등록장치(24)는 방재센터(3)에서 엘리베이터(제어반(2))를 원격조작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호출등록장치(24)에는 전환수단(25), 복수의 행선지 버튼(26) 등이 마련되어 있다.
전환수단(25)은 호출등록장치(24)를 호출등록 기능과 카메라 선택 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전환수단(25)은, 예를 들면, 키 스위치(key switch)나, 기계식 혹은 터치패널식의 조작버튼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호출등록장치(24)가 전환수단(25)에 의해서 호출등록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행선지 버튼(26)은 방재센터(3)에서 엘리베이터의 행선지 호출을 원격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에 의해서 행선지 버튼(26)이 조작되면(눌리면), 호출등록장치(24)는 조작된 행선지 버튼(26)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반(2)에 송신하여, 행선지 호출의 등록을 행하게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 선택 기능은 모니터(15)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의 선택을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에게 수동으로 행하게 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호출등록장치(24)가 전환수단(25)에 의해서 카메라 선택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행선지 버튼(26)은 모니터(15)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를 지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은 행선지 버튼(26)을 조작하는(누르는) 것에 의해, 소망의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승강장 영상 및/또는 엘리베이터칸 내 영상을 모니터(15)에 비출 수 있다.
또한, 방재센터(3)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5도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가지는 모니터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모니터 제어장치의 동작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S201 내지 S203는 도 2의 S113 내지 S115에 상당한다. 즉, 도 2의 S101 내지 S112에 나타내는 각 처리가 행해진 후, 도 5에 나타내는 각 처리가 행해진다.
S201에서, 표시선택수단(22)은 호출등록장치(24)가 카메라 선택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1). 또한, 호출등록장치(24)가 호출등록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S202), 영상표시용 카메라의 자동선택처리가 우선된다. 즉, 표시선택수단(22)은 제어장치(17) 내의 각 수단이나 제어반(2)으로부터의 입력정보 등에 근거하여, 영상표시용 카메라의 선택을 행하고, 현재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영상을 모니터(15)에 표시시킨다. 이러한 경우, 호출등록장치(24)는 방재센터(3)의 감시원 등이 행선지 호출을 원격등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편, 호출등록장치(24)가 카메라 선택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201의 예), 호출등록장치(24)는 방재센터(3)의 감시원에 의해 모니터(15)에 영상을 비추는 카메라(5)를 지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표시선택수단(22)은 호출등록장치(24)의 행선지 버튼(26)에 대해서 행해진 조작(즉, 눌러진 행선지 버튼(26))에 근거하여, 영상표시용 카메라의 선택을 행하고, 그 선택한 카메라 영상을 모니터(15)에 우선적으로 표시시킨다(S203).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원격조작을 행할 수 있는 방재센터(3)에 있어서, 피난운전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모니터(15)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방재센터(3)의 감시원은 건물 내에서 화재가 어디서 발생하고 있는지, 엘리베이터에 의한 피난이 필요한 재관자(예를 들면, 휠체어 이용자)가 어느 층에 있는지와 같은 정보를 모니터(15)의 표시내용으로부터 순간에 파악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구출활동을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모니터(15)에 영상을 비추기 위한 수동 선택 기능을 호출등록장치(24)에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수동 선택에 필요한 장치가 대형화하거나 할 우려도 없다.
그 외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모니터 제어장치는, 방재센터 등,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이나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원격장소에 설치된 모니터의 제어를 행하는 것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칸 2 제어반
3 방재센터 4 화재감지기
5, 8 카메라 6, 9, 16 통화장치
7 구출요청버튼 10, 19 통신수단
11 운행제어수단 12 승차검출수단
13 구출요청층 검출수단 14 정지검출수단
15 모니터 17 제어장치
18 수동전환수단 20 화재정보 검출수단
21 표시제어수단 22 표시선택수단
23 통화선택수단 24 호출등록장치
25 전환수단 26 행선지 버튼

Claims (15)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및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원격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설치된 제2 카메라와,
    상기 제1 카메라 및 상기 제2 카메라 중에서 상기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표시선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통상운전 및 화재시의 피난운전을 제어하는 운행제어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에 의한 구출을 요청하기 위한 구출요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운행제어수단에 의해서 피난운전의 제어가 개시되면,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선택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과, 화재감지정보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된 층상(層床)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피난용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자동적으로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선택수단은 상기 구출요청수단에 의해서 구출의 요청이 행해지면, 구출요청층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카메라를 상기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장치.
  2.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및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원격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된 제1 카메라와,
    상기 제1 카메라 중에서 상기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표시선택수단과,
    엘리베이터의 통상운전 및 화재시의 피난운전을 제어하는 운행제어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에 의한 구출을 요청하기 위한 구출요청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운행제어수단에 의해서 피난운전의 제어가 개시되면,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선택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과, 화재감지정보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된 층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피난용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자동적으로 표시시키며,
    상기 표시선택수단은 상기 구출요청수단에 의해서 구출의 요청이 행해지면, 구출요청층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카메라를 상기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표시선택수단은 상기 화재감지정보에 의해서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 화재의 발생층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카메라를 상기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구출요청수단에 의해서 구출의 요청이 행해지면, 구출요청층의 정보를 상기 피난용 정보로서 상기 모니터에 자동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원격장소에 마련된 호출등록장치와,
    상기 원격장소에 마련되고, 상기 호출등록장치를, 호출등록장치와 카메라 선택 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호출등록장치는 행선지 호출을 원격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행선지 버튼을 가지고, 상기 전환수단에 의해서 호출등록기능으로 설정되면 상기 행선지 버튼에 대한 조작에 근거하여 행성지호출의 원격등록을 행하며,
    상기 표시선택수단은 상기 전환수단에 의해서 상기 호출등록장치가 카메라 선택 기능으로 설정되면, 상기 행선지 버튼에 대해서 행해진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카메라의 선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방재센터, 엘리베이터의 보수회사의 감시센터, 소정의 소방관계시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7005047A 2010-08-26 2010-08-26 모니터 제어장치 KR101436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4474 WO2012026016A1 (ja) 2010-08-26 2010-08-26 モニター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367A KR20130045367A (ko) 2013-05-03
KR101436769B1 true KR101436769B1 (ko) 2014-09-01

Family

ID=4572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047A KR101436769B1 (ko) 2010-08-26 2010-08-26 모니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10203B1 (ko)
JP (1) JP5516743B2 (ko)
KR (1) KR101436769B1 (ko)
CN (1) CN103108823B (ko)
WO (1) WO20120260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669A (zh) * 2017-04-14 2017-06-23 安徽省沃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火灾报警的小区电梯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3361A (zh) * 2013-12-27 2014-05-21 广州永日电梯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传输的监控方法
KR101963997B1 (ko) * 2015-05-18 2019-03-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6705683B2 (ja) * 2016-03-30 2020-06-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建物、及び、建物における避難誘導方法
US10227209B2 (en) 2016-04-06 2019-03-12 Otis Elevator Company Orchestration of a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sing destination entry fixtures
US10011460B2 (en) 2016-09-27 2018-07-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ynamic displays for messaging and communication
US20180093858A1 (en) * 2016-09-30 2018-04-05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tilizing multi-compartment elevators
CN106448036A (zh) * 2016-11-01 2017-02-22 合肥华贝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楼宇智能安防监控系统
CN106966249B (zh) * 2017-06-01 2023-03-31 深圳金三立视频科技股份有限公司 电梯监控系统
EP3483103B1 (en) 2017-11-08 2023-12-27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monitoring systems for elevators
US11312594B2 (en) 2018-11-09 2022-04-26 Otis Elevator Company Conveyance system video analytics
CN110304514A (zh) * 2019-07-15 2019-10-08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消防联动方法及系统
CN116783133A (zh) * 2021-02-01 2023-09-19 通力股份公司 与电梯通信系统相关联的应用服务器、电梯系统和方法
WO2022161641A1 (en) * 2021-02-01 2022-08-04 Kone Corporation Elevator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063A (ko) * 1999-12-24 2001-07-05 한상훈 영상 화재 감지장치
JP2006008332A (ja) 2004-06-25 200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JP2007131362A (ja) * 2005-11-08 2007-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避難運転装置
JP2008189413A (ja) 2007-02-02 2008-08-21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5378A (en) 1987-09-14 1989-03-22 Toshiba Corp Controller for elevator for emergency
JPH052693A (ja) * 1991-06-25 1993-01-08 Tetsuya Muraoka ホテル等建造物火災緊急避難誘導システム
JPH07215617A (ja) * 1994-02-03 1995-08-15 Toshiba Fa Syst Eng Kk エレベータ防犯監視装置
US20110108365A1 (en) * 2008-08-27 2011-05-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vacuation suppor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063A (ko) * 1999-12-24 2001-07-05 한상훈 영상 화재 감지장치
JP2006008332A (ja) 2004-06-25 200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防犯装置
JP2007131362A (ja) * 2005-11-08 2007-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避難運転装置
JP2008189413A (ja) 2007-02-02 2008-08-21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非常通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2669A (zh) * 2017-04-14 2017-06-23 安徽省沃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火灾报警的小区电梯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0203B1 (en) 2018-10-24
EP2610203A4 (en) 2017-10-25
KR20130045367A (ko) 2013-05-03
EP2610203A1 (en) 2013-07-03
WO2012026016A1 (ja) 2012-03-01
CN103108823A (zh) 2013-05-15
JPWO2012026016A1 (ja) 2013-10-28
JP5516743B2 (ja) 2014-06-11
CN103108823B (zh)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769B1 (ko) 모니터 제어장치
KR101436768B1 (ko) 엘리베이터의 모니터 제어 장치
KR10124596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CN101061052B (zh) 电梯控制装置及电梯运转方法
JP2007161417A (ja) エレベータ装置
US7938232B2 (en) Evacua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JP6726145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案内システム
CN111891870B (zh) 可视化报警救援系统
JP2013154978A (ja) 災害発生時に乗場情報を乗りかご内に伝達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05568B1 (ko)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JP2015224116A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KR20160057432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35639B1 (ko)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출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103774A (ja) エレベータ
JP567342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101782365B1 (ko)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22059096A1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7379597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430590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2409715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1270665A (ja) エレベータ非常停止システム
JP2015020835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