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65B1 -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365B1
KR101782365B1 KR1020150070422A KR20150070422A KR101782365B1 KR 101782365 B1 KR101782365 B1 KR 101782365B1 KR 1020150070422 A KR1020150070422 A KR 1020150070422A KR 20150070422 A KR20150070422 A KR 20150070422A KR 101782365 B1 KR101782365 B1 KR 10178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weight
boarding
uni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639A (ko
Inventor
김한봄
Original Assignee
김한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봄 filed Critical 김한봄
Priority to KR102015007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36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2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in the elevator car to be allo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다수개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중량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나 탑승체의 중량을 계측하고 탑승 가능한 여유 중량을 파악하고, 중량이 발생하는 센서의 위치 값을 활용하여 탑승 가능한 여유 공간을 파악하여 여유 중량과 여유 공간 정보를 동시에 알려주고, 엘리베이터의 버튼으로 내부 탑승자의 선택층, 외부 대기자의 선택층, 또는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가 동시 선택한 층을 버튼의 색상변화로 구분하여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상황 및 중량 정보를 외부 대기자에게 시청각 장치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탑승 여부에 대한 신속한 결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탑승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호출 여부에 대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운행횟수 감소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중량측정센서를 활용한 엘리베이터 바닥의 중량 분석을 통한 무게의 집중과 분산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탑승 대기자가 호출한 층수를 내부 탑승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내부 탑승자가 가지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및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음성으로 엘리베이터 운행 정보를 알려주어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각적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음성을 통한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 지원을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Proactive Elevator System for Informing Boarding Possibilit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다수개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중량측정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나 탑승체의 중량을 계측하고 탑승 가능한 여유 중량을 파악하고, 중량이 발생하는 센서의 위치 값을 활용하여 탑승 가능한 여유공간을 파악하여 여유 중량과 여유 공간 정보를 동시에 알려주고, 엘리베이터의 버튼으로 내부 탑승자의 선택층, 외부 대기자의 선택층, 또는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가 동시 선택한 층을 버튼의 색상변화로 구분하여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숙박시설이나 쇼핑몰과 같이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운영되는 곳을 방문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사용자는 신속하며 편리한 이동을 필요로 하는데,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단독 혹은 여러 명의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하나 혹은 복수로 선택된 층수를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알려주지 않으며, 엘리베이터 내부의 탑승자 또는 탑승체를 제외하고 얼마의 만큼의 여유 중량이 있는지를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알려주지 않으며, 엘리베이터 내부에 얼마만큼의 여유 공간이 있는지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이로 인해 외부 탑승 대기자는 자신이 호출한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에 도착하고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 이후가 되어서야 탑승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기에 이동 방법 결정에 대한 신속한 결정이 지연되고 동시에 희망하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시간 역시 지연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탑승 가능성을 확인을 하기까지 얼마나 기다려야하는지 사전에 파악할 수 없기에 기다리는 동안 심리적 불편함을 느낀다.
장시간 기다린 다음 외부 탑승 대기자의 탑승층에서 열린 엘리베이터 내부에 이미 상당한 내부 탑승자나 화물이 있어 일부의 외부 탑승 대기자가 탑승하더라도 엘리베이터 허용중량초과 경고음이 울리거나, 허용중량은 초과하지 않았으나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공간을 찾을 수 없어서 엘리베이터를 탑승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다른 한편으로 내부 탑승자에 입장에서 엘리베이터 탑승과 동시에 신속하게 이동하고 싶으나 알 수 없는 외부의 호출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자주 정지와 운행을 반복할 경우 역시 심리적 불편함을 느낀다. 내부 탑승자는 자신이 선택한 층에 도달하기 전에 엘리베이터가 정지 후 문이 열리게 되면 호출한 외부 대기자를 기다리게 되는데 외부 호출자가 없는 경우 심리적 불편함은 가중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4563호인 '엘리베이터 자동 호출 장치'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가정 내에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엘리베이터를 직접 호출하며 CCTV를 통한 엘리베이터 내부를 관찰하는 기술로서,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층수를 알 수 없으며, 엘리베이터 내부의 중량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75572호인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엘리베이터의 현재 층수를 나타낼 뿐 탑승자가 선택한 층수는 알 수 없으며, 내부의 중량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81555호인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수의 카메라 또는 거리측정센서 또는 하중센서를 사용하게 되므로 많은 비용이 필요하고, 내부 탑승공간을 확인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상부에 설치된 다수의 거리측정센서와 카메라 영상을 활용하는데 엘리베이터 특성상 상부에는 조명이나 환풍장치가 설치되므로 설치비용 대비 효과적인 정보를 취득하는데 한계가 있다.
(문헌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4563호(2006.04.17) (문헌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75572호(2000.09.21.) (문헌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81555호(2012.0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하부 공간에 좌표값 정보를 기억하는 다수개의 중량측정센서를 구비하여, 외부 압력을 통한 탑승자 또는 탑승체의 무게를 측정하고 남는 여유중량정보를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제공하며, 엘리베이터 하부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중량측정센서를 활용하여 중량이 발생하는 센서의 좌표값을 중심점으로 하고 측정된 중량의 크기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중량 원(Weight circle)을 활용하여 탑승 가능공간을 계산하여,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탑승 정보를 제공하고, 단독 혹은 여러 명의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선택층 정보를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외부 탑승 대기자가 자신의 탑승 가능여부와 엘리베이터가 자신이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사전에 추정하여 호출할 엘리베이터를 선택하거나 호출한 엘리베이터를 지속적으로 기다리거나 또는 자신이 위치한 곳까지 엘리베이터 이동을 기다리지 않고 비상구나 에스컬레이트 등의 다른 대안을 선택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 탑승 대기자가 선택한 층수 정보를 내부 탑승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행을 예측 가능하게 하여 내부 탑승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 발판에 형성된 중량측정센서(105a)의 신호를 감지하는 중량감지부(105), 상기 중량감지부(105)의 신호를 받아 탑승 대상의 중량 계산 및 여유 중량 계산하는 중량계산부(110), 상기 중량측정센서(105a)로 부터 측정된 탑승 대상의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하는 위치의 엘리베이터 바닥면의 공간 좌표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크기를 계산하여 여유공간을 계산하는 여유공간계산부(115), 상기 중량계산부(110)의 여유중량정보와 중량공간정보를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의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로 제공하는 여유중량표시부(120),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탑승구 일측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공간표시부(125), 외부 탑승 대기자가 건물의 어느 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선택 시 엘리베이터 선택신호를 감지하는 층수요청감지부(135), 상기 내부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내부 일측에서 이동을 희망하는 층수버튼을 선택 시 선택된 층수 신호를 감지하는 층수선택감지부(140), 상기 층수요청감지부(135) 또는 층수선택감지부(140)에서 선택된 층수정보를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동시에 제공하는 층수정보제공부(145),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0), 상기 중량감지부(105), 중량계산부(110), 여유공간계산부(115), 여유중량표시부(120), 여유공간표시부(125), 층수요청감지부(135), 층수선택감지부(140), 층수정보제공부(145), 데이터베이스(150)을 각각 제어하고 요청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 가능성을 엘리베이터 외부 탑승구 일측의 스피커(160a)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제공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내부의 여유중량 초과 시 외부의 탑승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여유중량은 엘리베이터 최대중량의 75%~90%인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는, 외부의 엘리베이터 탑승구 일측에 구성되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는 5kg 또는 10kg의 중량을 하나의 단위 중량으로 계산하여 여유중량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색상변화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는 엘리베이터의 총 가용면적을 100%로 하고 총면적의 5%를 단위 면적으로 계산하여 여유공간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색상변화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량측정센서는 중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층수정보제공부(145)는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층수 또는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수 또는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가 동시에 선택한 층수 정보를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선택된 층수 버튼의 색상변화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내부의 공간상황 및 중량 정보를 외부 대기자에게 시청각 장치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탑승 여부에 대한 신속한 결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탑승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호출 여부에 대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운행횟수 감소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중량측정센서를 활용한 엘리베이터 바닥의 중량 분석을 통한 무게의 집중과 분산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탑승 대기자가 호출한 층수를 내부 탑승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내부 탑승자가 가지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및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음성으로 엘리베이터 운행 정보를 알려주어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각적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음성을 통한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 지원을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도 1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여유중량표시와 여유공간표시 예시도이다.
도 3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층수버튼 예시도이다.
도 4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외부 엘리베이터 대기 예시도이다.
도 5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탑승 공간 가시화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 발판에 형성된 중량측정센서(105a)의 신호를 감지하는 중량감지부(105), 상기 중량감지부(105)의 신호를 받아 탑승 대상의 중량 계산 및 여유 중량 계산하는 중량계산부(110), 상기 중량측정센서(105a)로 부터 측정된 탑승 대상의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하는 위치의 엘리베이터 바닥면의 공간 좌표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크기를 계산하여 여유공간을 계산하는 여유공간계산부(115), 상기 중량계산부(110)의 여유중량정보와 중량공간정보를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의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로 제공하는 여유중량표시부(120),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부탑승구 일측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공간표시부(125), 외부 탑승 대기자가 건물의 어느 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선택 시 엘리베이터 선택신호를 감지하는 층수요청감지부(135), 상기 내부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내부 일측에서 이동을 희망하는 층수버튼을 선택 시 선택된 층수 신호를 감지하는 층수선택감지부(140), 상기 층수요청감지부(135) 또는 층수선택감지부(140)에서 선택된 층수정보를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동시에 제공하는 층수정보제공부(145),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0), 상기 중량감지부(105), 중량계산부(110), 여유공간계산부(115), 여유중량표시부(120), 여유공간표시부(125), 층수요청감지부(135), 층수선택감지부(140), 층수정보제공부(145), 데이터베이스(150)을 각각 제어하고 요청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 가능성을 엘리베이터 외부 탑승구 일측의 스피커(160a)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제공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내부의 여유중량 초과 시 외부의 탑승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여유중량은 엘리베이터 최대중량의 75%~90%인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는, 외부의 엘리베이터 탑승구 일측에 구성되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는 5kg 또는 10kg의 중량을 하나의 단위 중량으로 계산하여 여유중량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색상변화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는 엘리베이터의 총 가용면적을 100%로 하고 총면적의 10%를 단위 면적으로 계산하여 여유공간을 막대 그래프 형태로 색상변화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량측정센서는 중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층수정보제공부(145)는 내부 탑승자의 층수선택감지신호 또는 외부 대기자의 층수요청감지신호 또는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가 동시에 선택한 층수 정보를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선택된 층수 버튼의 색상변화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중량감지부(105), 중량계산부(110), 여유공간계산부(115), 여유중량표시부(120), 여유공간표시부(125), 층수요청감지부(135), 층수선택감지부(140), 층수정보제공부(145), 데이터베이스(150), 제어부(15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감지부(105)는 엘리베이터 내부 하측에 형성된 중량측정센서(105a)의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중량감지부(105)는 엘리베이터 내부 하측의 구획별로 구성된 중량측정센서(105a)로 부터 각각 별도의 중량 정보를 입수하여 중량정보를 중량계산부(110)로 넘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측정센서(105a)는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발생하여 전위차가 발생하는 압전효과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내부 하측 발판에 구획별로 구성되며, 각 구획별로 사용자 및 물체가 엘리베이터 내부 발판에 닿았을 경우 구획별로 발생하는 전위차를 감지하여 이를 중량감지부(105)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중량계산부(110)는 중량감지부(105)에서 제공한 각각의 중량정보를 계산하여 엘리베이터 내 현재 중량 계산과 여유 중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량계산부(110)는 중량감지부(105) 각각의 중량측정센서(105a)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중량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중량측정센서(105a)에서 측정된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되는 센서의 위치 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중심점과 크기를 결정하고, 엘리베이터 면적에서 계산된 중량원들의 총면적을 차감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여유공간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외부 탑승구 일측에 설치된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를 통해 외부 대기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량계산부(110)를 통한 중량계산으로 여유중량 초과 시 외부의 탑승 신호를 무시하며, 이때의 여유중량은 엘리베이터 최대중량의 75%~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유공간계산부(115)는 중량측정센서(105a)로 부터 측정된 탑승 대상의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하는 위치의 좌표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크기를 계산하여 여유공간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여유공간계산부(115)는 탑승 대상을 중심으로 중량이 측정되는 공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여유공간을 외부의 탑승 대기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상기 여유중량표시부(120)는 중량계산부(110)를 통해 얻어진 엘리베이터 내부의 중량과 여유중량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여유중량표시부(120)는 외부의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연결되어 있으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는 LED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서술한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엘리베이터의 중량을 표시하는 수단이 적용됨을 명시한다.
이때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는 LED램프를 활용하여 발광을 통한 엘리베이터 내 여유 중량표시 또는 포화 중량표시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층수요청감지부(135)는 외부로 부터 엘리베이터 요청 시 요청 신호를 감지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층수선택감지부(140)은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내 층수버튼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선택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층수정보제공부(145)는 층수요청감지부(135) 또는 층수선택감지부(140)에서 선택된 층수정보를 제공받아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자 및 엘리베이터 외부 탑승 대기자가 선택한 층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층수정보제공부(145)는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층수와 외부의 탑승 대기자가 요청한 건물의 층수를 엘리베이터 내부와 엘리베이터의 외부 탑승구 일측에 설치된 층수 버튼의 색상이 선택과 동시에 색상변화와 같은 방식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상기 여유공간표시부(125)는 엘리베이터의 외부탑승구 일측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여유공간표시부(125)는 중량계산부(110) 및 여유공간계산부(115)를 통한 중량측정센서(105a)에서 측정된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되는 센서의 위치 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중심점과 크기를 결정하고, 엘리베이터 면적에서 계산된 중량원들의 총면적을 차감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여유공간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외부 탑승구 일측에 설치된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를 통해 외부 대기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 외부 대기자에게 여유공간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유공간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수단을 가리지 않는 것을 명시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은 엘리베이터의 층수정보를 저장하며, 각각의 저장된 층수정보는 층수정보제공부(145)로 제공되어 엘리베이터 내부와 외부에서 선택된 층과 호출된 층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5)는 중량감지부(105), 중량계산부(110), 여유공간계산부(115), 여유중량표시부(120), 층수요청감지부(135), 층수선택감지부(140), 층수정보제공부(145), 음성제공부(160)을 제어하며 탑승자 또는 대기자의 엘리베이터 요청 시 각 모듈을 제어하여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음성제공부(160)은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 일측의 스피커(160a)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음성제공부(160)은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의 일측에 구성된 스피커(160a)을 통해 대기자에게 탑승 가능 여부를 음성을 통해 제공해 주며, 대기자는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 뿐만 아니라 스피커(160a)를 통해 자신의 탑승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를 확인하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이나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100)을 처음 접하는 일반인 또한 탑승 가능성을 스피커(160a)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60a)은 음성제공부(160)로 신호를 받아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로 탑승 여부를 알리는 것으로서,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와 함께 외부 탑승 대기자에게 엘리베이터 탑승 가능성을 알려준다.
도 2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여유중량표시와 여유공간표시 예시도이다.
도 3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층수버튼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층수버튼 또는 엘리베이터 외부의 대기창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층수, 외부 탑승대기자가 선택한 층수, 탑승자와 대기자가 동시에 선택한 층수를 각각의 색으로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내부 탑승자는 엘리베이터가 어느 층에 멈추는 지 알 수 있으며, 외부 탑승자의 경우 각 층수별로 엘리베이터가 멈추는 것을 확인하여 자신의 엘리베이터 탑승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4은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방법의 외부 엘리베이터 대기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방법은 탑승자가 엘리베이터를 요청함에 있어서 요청 버튼의 일측에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와 스피커(16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와 스피커(160a)를 통해 외부 대기자는 자신의 탑승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허용중량이 초과되거나 여유중량이 허용중량의 5% 미만으로 남았을 경우 또는 내부의 탑승 가능한 허용공간이 5% 미만으로 남았다고 계산되는 경우, 경고표시와 함께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도 5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탑승 공간 가시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중량측정센서(105a)로부터 측정된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되는 센서의 위치 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중심점과 크기를 결정하고, 엘리베이터 면적에서 계산된 중량원들의 총면적을 차감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정보를 계산하고, 외부 대기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여유 공간의 정량적 숫자 표시와 함께 여유공간을 가시화하여 외부의 탑승 대기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여유공간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탑승 공간 가시화는 중량이 발생하는 중량측정센서의 위치와 감지된 중량의 크기에 따라 중량원의 지름과 색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내부의 공간상황 및 중량 정보를 외부 대기자에게 시청각 장치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탑승 여부에 대한 신속한 결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탑승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호출 여부에 대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운행횟수 감소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중량측정센서를 활용한 엘리베이터 바닥의 중량 분석을 통한 무게의 집중과 분산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탑승 대기자가 호출한 층수를 내부 탑승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내부 탑승자가 가지는 엘리베이터 운행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및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음성으로 엘리베이터 운행 정보를 알려주어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각적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음성을 통한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 지원을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100 : 엘리베이터 시스템 105 : 중량감지부
105a : 중량측정센서 110 : 중량계산부
115 : 여유공간계산부 120 : 여유중량표시부
120a : 여유중량표시장치 125 : 여유공간표시부
125a : 여유공간표시장치 135 : 층수요청감지부
140 : 층수선택감지부 145 : 층수정보제공부
145a: 층수정보제공장치 150 : 데이터베이스
155 : 제어부 160 : 음성제공부
160a : 스피커

Claims (7)

  1. 엘리베이터 내부 발판에 형성된 중량측정센서(105a)의 신호를 감지하는 중량감지부(105);,
    상기 중량감지부(105)의 신호를 받아 탑승 대상의 중량 계산 및 여유 중량 계산하는 중량계산부(110);,
    상기 중량측정센서(105a)로부터 측정된 탑승 대상의 중량 크기와 중량이 발생하는 중량측정센서(105a)위치의 좌표값을 활용하여 중량원의 위치와 크기를 계산하고 이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을 파악하는 여유공간계산부(115);,
    상기 중량계산부(110)의 여유중량정보를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의 여유중량표시장치(120a)로 제공하는 여유중량표시부(120);,
    상기 여유공간계산부(115)의 여유공간정보를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 일측에서 설치된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로 제공하는 여유공간표시부(125);,
    외부 탑승 대기자가 건물의 어느 한 층에서 엘리베이터 선택 시 엘리베이터 선택신호를 감지하는 층수요청감지부(135);,
    내부탑승자가 엘리베이터 내부 일측에 층수버튼을 선택 시 선택된 층수 신호를 감지하는 층수선택감지부(140);,
    상기 층수요청감지부(135) 또는 층수선택감지부(140)에서 선택된 층수정보를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동시에 제공하는 층수정보제공부(145);,
    상기 엘리베이터의 층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50);,
    상기 중량감지부(105), 중량계산부(110), 여유공간계산부(115), 여유중량표시부(120), 여유공간표시부(125), 층수요청감지부(135), 층수선택감지부(140), 층수정보제공부(145), 데이터베이스(150)을 각각 제어하고 요청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하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여유중량표시장치(120a)와 여유공간표시장치(125a)는 외부의 엘리베이터 탑승구 일측에 구성되며 색상의 변화를 통한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 중량과 여유공간을 알려주는 것;,
    상기 중량측정센서는 중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
    여유 공간의 정량적 숫자 표시와 함께 여유공간을 가시화하여 외부의 탑승 대기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여유공간을 인지할 수 있으며, 탑승 공간 가시화는 중량이 발생하는 중량측정센서의 위치와 감지된 중량의 크기에 따라 중량원의 지름과 색상을 결정하며, 내부의 공간상황 및 중량 정보를 외부 대기자에게 시청각 장치를 통해 알려주는 것;,
    상기 층수정보제공부(145)는 내부 탑승자가 선택한 층수 또는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층수 또는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가 동시에 선택한 층수 정보를 내부 탑승자와 외부 대기자 모두에게 선택된 층수 버튼의 색상변화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탑승 가능성을 엘리베이터 외부탑승구 일측의 스피커(160a)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제공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허용중량이 초과되거나 여유중량이 허용중량의 5% 미만으로 남았을 경우 또는 내부의 탑승 가능한 허용공간이 5% 미만으로 남았다고 계산되는 경우, 경고표시와 함께 외부 대기자가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70422A 2015-05-20 2015-05-20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78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422A KR101782365B1 (ko) 2015-05-20 2015-05-20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422A KR101782365B1 (ko) 2015-05-20 2015-05-20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39A KR20160136639A (ko) 2016-11-30
KR101782365B1 true KR101782365B1 (ko) 2017-09-27

Family

ID=5770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422A KR101782365B1 (ko) 2015-05-20 2015-05-20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9938B1 (ja) * 2020-03-30 2021-09-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313A (ja) * 2004-01-22 200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101458169B1 (ko) * 2013-05-20 2014-11-03 한국공항공사 엘리베이터 하중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313A (ja) * 2004-01-22 200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101458169B1 (ko) * 2013-05-20 2014-11-03 한국공항공사 엘리베이터 하중 알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639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0898A1 (ja) エレベーターの車椅子運転装置
KR101528692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JP201510785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乗場呼びシステム
JP5516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モニター制御装置
JP5257451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6029617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KR101436769B1 (ko) 모니터 제어장치
CN105923480B (zh) 电梯装置
JP200716141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25842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JP2015020820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20120064802A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
JP2016102023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6532423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内アナウンス装置
JP2012218898A (ja) 群管理制御システム
JP625163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092498B2 (ja) 空間計測システム及び計測方法、並びに昇降機制御システム
WO2020230298A1 (ja) 移動体の移動制御システム
KR101782365B1 (ko) 탑승 가능성을 알려주는 능동형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50069033A (ko) 엘리베이터의 알림 시스템
CN101804931A (zh) 电梯装置
JP578105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595168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6244253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JP672961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