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568B1 -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568B1
KR101305568B1 KR1020127007039A KR20127007039A KR101305568B1 KR 101305568 B1 KR101305568 B1 KR 101305568B1 KR 1020127007039 A KR1020127007039 A KR 1020127007039A KR 20127007039 A KR20127007039 A KR 20127007039A KR 101305568 B1 KR101305568 B1 KR 10130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information
mode
platform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853A (ko
Inventor
도모노리 조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에 알림 지령을 보내, 표시시키는 점검 정보의 내용의 약칭과 표시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전환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건물의 관리자나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 등에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알림(표시·음성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재해나 고장 검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층 사이에 정지하는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감시반이나 보수 도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관리자나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 등이 보수 정보나 에러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건에 관련하는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내 상황 확인 시스템이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 내 상황 확인 시스템에서는 작업원이 휴대 전화 등으로부터 정보 센터에 공중 통신 회선을 통해서 통신함으로써, 이상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상황을 그 작업원이 확인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특개 2009-51641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감시반이나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작업원이 관리반의 설치 개소(예를 들면 건물의 관리실이나 기계실)로 이동하거나 전용 기기의 세팅 등을 실시하거나 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이상 정지했을 때에, 복구 작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승강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상 알림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인 점검 정보를 작업원에게 알리기 위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에 상기 점검 정보를 알림 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승강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점검 정보 알림 모드에서의 점검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층상 표시기의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2에 있어서, 건물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있다.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은, 엘리베이터 칸(1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하나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강장(1)을 표시한다.
건물의 각층의 승강장(1)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2)와 승강장 조작반(3)이 마련되고 있다. 승강장 조작반(3)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층상 표시기;4), 승강장 호출 버튼(5), 음성 출력 수단으로서의 아나운스 장치(스피커;6),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 및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는 예를 들면, 2자리수의 세그먼트 표시기, 또는 도트 매트릭스 표시기이며, 적어도 2자리수의 영숫자를 표시 가능하다. 승강장 호출 버튼(5)은 그 승강장 층에서 상방으로의 승강장 호출 시에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UP 승강장 호출 버튼(5A)과 그 승강장 층에서 하방으로의 승강장 호출 시에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을 포함하고 있다.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에 접속되고 있다.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및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에 접속되고 있다. 각층의 승강장(1)의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 및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에 접속되고 있다.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로부터의 알림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0)의 가장 가까운 층을 나타내는 문자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킨다. 또한,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로부터의 알림 지령에 기초한 내용을, 아나운스 장치(6)에 음성 아나운스로서 출력시킨다. 이 음성 아나운스의 일례로서는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장 층에 도착했다 등이 있다.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조작 상황을 검출 가능하다. 또한,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검출한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조작 상황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에 알린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는 운전 제어부(13) 및 알림 제어부(14)를 가지고 있다. 운전 제어부(13)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의해,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즉 군관리 제어를 실시한다). 이 운전 모드에는 통상 운전 모드, 화재 관제 운전 모드, 지진 관제 운전 모드 및 자가 발전 관제 운전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운전 제어부(13)는 통상 운전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을 제어하고 있을 때,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조작된 것에 대응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한다.
게다가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의 각종 안전 장치(예를 들면 조속기나 지진 감지기 등: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안전 장치가 작동한 것을 검출 가능하다. 또한, 운전 제어부(13)는 각종 안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 가능하다.
또한,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 칸(10)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또는 권상기에 장착된 엔코더 등(둘다 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그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로에서 도어 존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 가능하다. 게다가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 칸(10)에 탑재된 엘리베이터 칸 부하 검출 수단(11)을 통하여,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부하를 검출 가능하다. 또한,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부하를 검출한 경우에는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 상황의 정보를 받는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에 알림(표시·음성 출력)시키는 내용을 제어한다. 즉,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의 알림 내용을 결정해,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에 알림 지령을 보낸다.
여기서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의 알림 내용을 제어한다. 이 알림 모드에는 통상 알림 모드와 점검 정보 알림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통상 알림 모드란,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 상황, 즉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승강장 호출 등록 상황을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모드이다. 점검 정보 알림 모드란,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 즉 점검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점검 작업원 등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모드이다. 점검 정보의 일례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가 이상 검출 또는 재해 검출을 한 후(이상 검출 플래그 성립 후)에,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알림 모드를 전환한다. 이 모드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 길게 눌리는 조작이다.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에 알림 지령을 보내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 점검 정보의 내용의 약칭(2 문자의 영문자)과 표시 데이터(2자리수의 숫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바꾸어,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킨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소정의 정보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 길게 눌리는 조작이다. 점검 정보 전환 처리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키는 점검 정보의 내용을,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에서 다른 정보로 전환하는 처리이다.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소정의 지정호기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호기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지정호기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비교적 단시간(예를 들면, 3초 미만) 눌리는 조작이다. 호기 전환 처리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키는 점검 정보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알림 대상인 엘리베이터)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에서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환하는 처리이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의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운전 제어부(13) 및 알림 제어부(14)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 및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7은 도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6의 단계 S202~208은 도 5의 단계 S200에 있어서의 호기 전환 처리를 나타내고, 도 6의 단계 S212~218은, 도 5의 단계 S200에 있어서의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300에 있어서의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나타낸다. 도 5~7에 있어서, 우선,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에 의해서 재해 또는 고장이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1).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에 의해서 재해 또는 고장이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알림 모드를 계속한다.
다음에,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에 의해서 재해 또는 고장이 검출된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일정시간 눌렸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2).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일정시간 눌리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알림 모드를 계속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일정시간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103).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호기 번호를 "1"로 설정한다(단계 S104).
이 후에,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렸는지를 확인해(단계 S105),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호기 전환 처리 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0). 여기서, 도 6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단계 S105에서) 일정시간 길게 눌렸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1).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단계 S105에서) 일정시간 길게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단계 S105에서)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종류를 확인한다(단계 S202).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에 "1"을 가산한다(단계 S203).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에서 "1"을 감산한다(단계 S20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의 가산 또는 감산을 한 후에, 호기 번호가 전(全) 호기수의 값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5).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전 호기수의 값을 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의 값을 "1"로 설정하고(단계 S206), 호기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해서,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전 호기수의 값을 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가 "0"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7).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0"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에 전 호기수의 값을 설정하고(단계 S208), 호기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0"이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대로 호기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단계 S105에서) 비교적 단시간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2의 NO 방향).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단계 S105에서)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종류를 확인한다(단계 S212).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에 "1"을 가산한다(단계 S213).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에서 "1"을 감산한다(단계 S21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의 가산 또는 감산을 한 후에,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15).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을 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하고(단계 S216),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대해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을 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17).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 미만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에 "1"을 설정하고(단계 S218),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 미만이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대로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5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는(단계 S105에서)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리지 않았던 것을 확인한 경우, 호기 전환 처리가 종료한 경우, 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가 종료한 경우에,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00). 이 도 7에 나타내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에서는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3" 중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301~S303).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1의 YES 방향), "DR" 및 운전 모드 코드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1"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2의 YES 방향), "FL" 및 엘리베이터 칸(10)의 가장 가까운 층을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2"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3의 YES 방향), 엘리베이터 칸(10)이 도어 존 내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 제어부(13)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한다(단계 S306).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이 도어 존 내에 정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DZ" 및 "OK"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7).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이 도어 존 내에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DZ" 및 "NG"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8). 이 후(단계 S307 또는 S308의 후)에,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3의 NO방향),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 제어부(13)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한다(단계 S309).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HU" 및 "NG"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10).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HU" 및 "OK"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11). 이 후(단계 S310 또는 S311의 후)에,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 후에, 승강장 호출 버튼(5)의 미조작 상태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1분간) 계속되었는지 여부와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렸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6).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전환 처리 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해,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의 미조작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알림 모드를 통상 알림 모드로 이행해(S107),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의하면,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조작반(3)이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전환하고, 점검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알림 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10) 상태를 승강장(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승강장 조작반(3)이 소정의 정보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의 알림 내용을,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부터 다른 정보로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원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의 알림 내용의 정보를 바꿀 수 있어 작업원 등이 각종 정보를 승강장(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승강장 조작반(3)이 소정의 지정호기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의 알림 대상인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에서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원이 조작 장소를 이동하는 일 없이, 각 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제어부(12)는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전환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승강장 조작반(3)이 조작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알림 모드에서 통상 알림 모드로 알림 모드를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점검 정보 알림 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어, 작업원이 해제 조작을 생략하고 복구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아나운스 장치(6)에, 1호기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시켜도 괜찮다. 또한, 아나운스 장치(6)에 도 3에 나타내는 점검 정보 내용의 아나운스를 시켜,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대상인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 번호를 표시시켜도 괜찮다. 즉, 음성 출력으로 점검 정보를 작업원 등에 알려도 괜찮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의 누름 시간(길게 눌렸는지 여부)에 따라서, 알림 내용 전환 처리와 호기 번호 전환 처리를 구별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승강장 조작반이 정상인용의 UP 승강장 호출 버튼 및 DOWN 승강장 호출 버튼과 휠체어 이용자용의 UP 승강장 호출 버튼 및 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정상인용의 UP·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호기 번호의 값을 증감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휠체어 이용자용의 UP·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점검 정보 파라미터의 값을 증감해도 괜찮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중 어느 1개를 표시시켰다. 이에 대해서, 실시 형태 2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 내에 나열하여 표시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의 승강장 조작반(3)은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9)를 더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9)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10)이 통상 운전 모드 시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설치된 방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의 촬영 화상이나, 건물의 세입자에 대한 광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의 개요는 실시 형태 1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과 같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알림 제어부(14)의 점검 정보 전환 처리(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200의 일부)에 상당하는 동작이 생략 되고 있다(도 9의 단계 S400).
게다가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알림 제어부(14)의 점검 정보 선택 처리(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300)에 상당하는 동작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한 후에, 지정호기의 운전 모드와,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의 가장 가까운 층과,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의 도어 존 내의 판정 결과와,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이용자의 검출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킨다(단계 S401).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의하면, 알림 제어부(14)가,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했을 때에, 점검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 내에 나열하여 표시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원에게 한 번에 알리는 정보량을 증대하기 때문에,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10) 상태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지정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4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켰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알림 제어부(14)가 지정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중, 2 종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켜도 괜찮다.
또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가 복수의 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에 있어서의 임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켜도 괜찮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때에는 아나운스 장치(6)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출력시킨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다음에, 실시의 형태 3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3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의 개요는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과 같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서는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장치(9)에 점검 정보를 표시시킨 후의 동작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여, 점검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 내에 표시시킨 후(단계 S400의 후)에,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00).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아나운스 장치(6)에 출력시킨다(단계 S501).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아나운스 출력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상기와 같은 실시의 형태 3의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의하면, 알림 제어부(14)가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아나운스 장치(6)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출력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음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감금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작업원에게 우선적으로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2의 동작에,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500, S501을 더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 1의 동작에,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500, S501를 더해도 괜찮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가 지정호기 이외의 호기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도, 그 엘리베이터 칸 안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 호기 번호와 함께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 안에 존재하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출력시켜도 괜찮다.
게다가 실시 형태 1~3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가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가 단체(單體)의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이 경우, 알림 제어부(14)의 호기 선택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3에서는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일정시간 길게 눌리는 조작이 모드 전환 조작이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일정시간(5초 정도) 내에 상층측 호출 버튼을 연속해 복수 회 누르고, 하층측 호출 버튼을 연속해 복수 회 누르는 등의 조작을 모드 전환 조작이라고 해도 좋다.
게다가 실시 형태 1~3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9)를 승강장 알림 수단으로서 이용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홀 랜턴이나, 호출 버튼 등에 이용되는 발광 수단에 점멸·점등 표시를 시켜도 괜찮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점멸·점등 패턴의 종류(점멸·점등 주기)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상태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UP 승강장 호출 버튼과 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양방을 점멸·점등시켜서, UP 승강장 호출 버튼과 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점멸·점등 패턴의 조합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상태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도 있다. 게다가 홀 랜턴의 상층측과 하층측의 양방의 점멸·점등 패턴의 조합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상태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도 있다.
1 : 승강장 2 : 승강장 도어
3 : 승강장 조작반 4 :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
5 : 승강장 호출 버튼 6 : 아나운스 장치
7 :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 8 :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
9 : 디스플레이 장치 10 : 엘리베이터 칸
11 : 엘리베이터 칸 부하 검출 수단 12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3 : 운전 제어부 14 : 알림 제어부

Claims (6)

  1.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상 알림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로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인 점검 정보를 작업원에게 알리기 위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에 상기 점검 정보를 알리고,
    상기 점검 정보에는 제0번째부터 제N번째(N은 1 이상인 정수)까지의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알림 모드가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초기값으로서 제0번째의 정보를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중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이 소정의 정보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제n번째(n은 0~N인 정수)의 정보의 표시로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2. 삭제
  3.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상 알림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로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인 점검 정보를 작업원에게 알리기 위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에 상기 점검 정보를 알리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제1대째부터 제M대째(M은 2 이상인 정수)까지의 복수의 엘리베이터이며,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알림 모드가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전환될 때에는, 초기값으로서 제1대째의 정보를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대상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중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이 소정의 지정 호기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대상의 엘리베이터를 제m대째(m은 1~M인 정수)의 엘리베이터로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은 문자를 표시 가능한 문자 표시 수단과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문자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존재하는 이용자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존재하는 이용자를 검출한 취지의 음성 아나운스를 상기 음성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통상 알림 모드에서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이 조작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에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KR1020127007039A 2009-11-02 2009-11-02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KR101305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759 WO2011052090A1 (ja) 2009-11-02 2009-11-02 エレベータの報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853A KR20120060853A (ko) 2012-06-12
KR101305568B1 true KR101305568B1 (ko) 2013-09-09

Family

ID=4392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039A KR101305568B1 (ko) 2009-11-02 2009-11-02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97738B1 (ko)
JP (1) JP5558484B2 (ko)
KR (1) KR101305568B1 (ko)
CN (1) CN102574661B (ko)
WO (1) WO20110520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7897B2 (ja) * 2011-06-08 2015-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化安全対応エレベータ
JP5442679B2 (ja) * 2011-08-18 201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制御装置
JP5547244B2 (ja) * 2012-06-29 2014-07-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15168501A (ja) * 2014-03-06 2015-09-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963321B2 (ja) * 2014-06-05 2016-08-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警報システム
CN108750844B (zh) * 2018-05-21 2020-06-26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召梯类型识别方法和系统、识别设备、可读存储介质
CN115135593A (zh) * 2020-02-19 2022-09-30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操作模式的通知装置和方法
KR102394815B1 (ko) * 2020-05-19 2022-05-0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점검 운전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339A (ja) * 1998-08-05 2000-02-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管理情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55A (ja) * 2000-08-22 2002-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圧エレベータ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JP4112273B2 (ja) * 2002-05-15 2008-07-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4557524B2 (ja) * 2003-10-07 2010-10-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151576A (ja) * 2004-11-29 2006-06-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JP2006321604A (ja) * 2005-05-18 2006-11-30 Kuma Lift Gijutsu Kenkyusho:Kk 荷物用昇降機
JP2007276940A (ja) * 2006-04-05 2007-10-25 Toshiba Elevator Co Ltd 乗場位置表示器制御装置及び乗場位置表示器表示システム
JP2008273704A (ja) * 2007-05-01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9051641A (ja) 2007-08-28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異常発生時のエレベータかご内状況確認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339A (ja) * 1998-08-05 2000-02-2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管理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7738A1 (en) 2012-09-12
CN102574661B (zh) 2015-04-01
WO2011052090A1 (ja) 2011-05-05
EP2497738A4 (en) 2014-12-31
EP2497738B1 (en) 2017-03-15
KR20120060853A (ko) 2012-06-12
CN102574661A (zh) 2012-07-11
JP5558484B2 (ja) 2014-07-23
JPWO2011052090A1 (ja)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568B1 (ko)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JP5516743B2 (ja) モニター制御装置
KR10089687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JP5516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モニター制御装置
EP1975109A1 (en) Management device for evacuation, used for elevator
JPWO2007083364A1 (ja) 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装置
JP4932855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5615104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2004359405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遠隔救出方法
JP4932399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5935433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運転システム
JP6049389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利用不可報知方法
JP2017124916A (ja) 昇降機の閉じ込め救出支援システム及び昇降機の閉じ込め救出支援方法
JP2010013254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010047402A (ja) エレベータ
JP2005170583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33354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61040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報知システム
JP5287972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アナウンス装置
JP2008050113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救出運転装置
JP6650131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EP3287406A1 (en) Building occupant evacuation
JP202317091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