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344B1 - 자동차용 연료 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344B1
KR101435344B1 KR1020137001449A KR20137001449A KR101435344B1 KR 101435344 B1 KR101435344 B1 KR 101435344B1 KR 1020137001449 A KR1020137001449 A KR 1020137001449A KR 20137001449 A KR20137001449 A KR 20137001449A KR 101435344 B1 KR101435344 B1 KR 10143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iller pipe
branch line
tank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777A (ko
Inventor
이브라힘 코우칸
로타르 마이그레
Original Assignee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카우텍스 텍스트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2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료 탱크 (1) 의 충전 체적 (5) 의 외부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 파이프 (3), 재급유 분기 장치 (10) 로부터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분기 경로, 및 연료 증기 필터 (9) 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경로를 갖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1) 에 관한 것이다. 연료 탱크 (1) 는 연료 탱크 (1) 의 충전 체적 내부의 필러 파이프 (3) 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라인 (14)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 탱크{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연료 탱크에는, 재급유시 그리고 자동차 운전시에 통기 (aeratina) 및 분기 (venting) 를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자동차의 운전 동안, 자동차의 주행 역학에 의해 그리고/또는 온도 변동에 의해 생성되는 연료 증기 (가스 상의 탄화수소) 가 연료 탱크 내에 형성되고, 상기 연료 증기는 탱크로부터 적어도 일부 배출되어야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활성탄 필터로서 설계되어 있는 연료 증기 필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자동차의 재급유시, 탱크에 채워진 연료의 체적 유량에 의해 변위되는 가스의 체적이 또한 배출되어야 한다. 가스의 이 체적 유량은 활성탄 필터를 통해 깨끗해진 후, 대기에 배출되거나 분배 노즐의 노즐 영역 내로 인출된다. 연료 탱크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탱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점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최대 유체 레벨 위의 연료 탱크의 부분 체적에 작동 분기 밸브가 제공된다. 그리고, 연료 탱크 내의 유체 레벨이 상승하는 경우에 연료 증기 필터로의 재급유 배기 경로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분기 밸브가 탱크에 제공된다. 이 경우, 유체 유입 때문에, 가스가 탱크로부터 변위될 수 없고, 따라서 연료 탱크의 필러 파이프 (filler pipe) 내의 유체 레벨은, 그 유체 레벨이 필러 파이프에 삽입된 분배 노즐의 이른바 블로우홀 (blowhole) 을 폐쇄하여 분배 노즐을 스위치 오프 (switch off) 시킬 때까지 상승한다.
최대 레벨까지 채워진 연료 탱크에서, 어떤 경우에도 유체 탱크 내의 유체 레벨 위에 보상 체적 (compensation volume) 이 남아야 하고, 이로써 액체 탄화수소가 분기 라인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보장되고 온도 상승의 경우 연료가 팽창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연료 탱크의 정상 위치 (normal position) 에서 연료 탱크에 제공된 작동 분기 밸브가 하나 이상의 재급유 분기 밸브/연료 레벨 제한 밸브 위에 제공된다. 재급유 동안 보상 체적이 자유롭게 남고, 충전 레벨의 결과, 재급유 분기 밸브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작동 분기 밸브는 일반적으로, 압력 유지 기능을 구비하여야 하고, 즉 특정 탱크 내압이 초과되는 때에만 연료 탱크의 작동 분기를 허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자동차가 구르는 때에 또는 다른 이유에 의해 야기된 자동차의 뒤집힌 위치에서 재급유 분기 라인을 폐쇄하는 이른바 롤오버 (roll-over) 밸브로서 동시에 구성된 재급유 분기 밸브가 연료 탱크에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원리적으로, 밸브 및 다른 가동 부품은, 특히 상기 부품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탱크 내의 탄화수소 분위기에 영구적으로 노출되는 때, 문제의 잠재적인 근원이다. 게다가, 부품을 탱크 벽의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는 것도 복잡하다. 탱크 벽은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에 대해 단지 부분적으로만 저항성인 HDPE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밸브 및 다른 가동 부품은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의 존재시에 부풀어 오르지 않지만 탱크 벽에 용접될 수 있다는 점에서 탱크 벽과 양립될 수 없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특히 연료 탱크가 부속품을 내부에 포함한 채로 하나의 제조 공정에서 일 피이스 (one piece) 로 제조되는 때, 연료 탱크의 내부에서 탱크 벽에 재급유 분기 밸브를 고정시키는 것은 비교적 복잡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요구되는 가동 부속품에 관하여 상기한 타입의 연료 탱크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동시에, 그러한 연료 탱크는 재급유 공정을 신뢰할 수 있게 스위치 오프시킬 수 있고 과도충전 (overfilling) 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려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료 탱크의 충전 체적의 외부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 파이프, 재급유 분기 장치로부터 연료 증기 필터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분기 경로, 및 연료 증기 필터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경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라인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로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은,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 (installed position) 에 관하여, 탱크의 설계에 의해 좌우되는 상기 필러 파이프 내의 최대 가능 액체 레벨 아래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에 의해 달성된다. 설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필러 파이프 내의 최대 유체 레벨은 분배 노즐이 스위치 오프되는, 즉 정상 재급유 (normal refuelling) 동안의 유체 레벨이다. 연료 탱크가 강제로 과도충전되어 액체 연료가 연료 탱크 내에 제공된 보상 체적을 채우는 경우는 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비교적 간단한 해법은, 통상적인 관점에서 재급유 분기 밸브의 압력 유지 기능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분배 노즐이 스위치 오프되는 때, 재급유 후에 필러 파이프 내에 존재하는 유체 칼럼 (column) 의 정수압 (hydrostatic pressure) 이 이 압력 유지 기능을 맡으므로 (그렇지 않으면, 압력 유지 기능은 밸브에 의해 제공됨), 재급유에 대한 보호가 보장된다. 이 경우, 필러 파이프 내에 존재하는 유체 레벨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재급유 분기 경로가 차단되므로, 과도충전은 불가능하다.
이 해법에서, 필러 파이프는 편리하게는 작동 분기 경로의 일부이고, 비교적 큰 단면적 및 연료 탱크의 정상 위치/설치 위치에서의 필러 파이프의 정렬로 인해, 이른바 액체 캐리오버 (liquid carry-over) 를 위한 액체 트랩 (liquid trap) 으로서 역할한다. "액체 캐리오버" 는, 주행 역학으로 인해 운전 중 자동차의 분기 동안 비말동반된 (entrained) 액체 탄화수소 입자로 이해된다. 게다가, 필러 파이프의 단면적의 증가 및 분기 유동의 관련된 감속에 의해, 탱크 체적 내로 다시 전달되는 액체 캐리오버의 효과적인 배수 (drainage) 가 이루어진다.
작동 분기 라인은,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에 관하여, 연료 탱크 내의 최대 가능 액체 레벨 아래에서 연료 탱크 내의 액체 레벨 위로 약 20 ㎝ 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 필러 파이프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용어 "아래" 및 "위" 는 탱크 내의 수평적 유체 레벨에 대한 이른바 측지적 (geodetic) 높이 차를 가리킨다.
상기한 영역 내부의 적절한 부착 지점을 선택함으로써, 탱크 내에 유지될 수 있는 과압 (excess pressure) 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압력 유지 기능은 작동 분기 라인을 폐쇄하는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칼럼의 높이에 의존한다.
작동 분기 라인은, 예컨대 탱크의 외부에서, 필러 파이프에 부착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편리하고 유리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필러 파이프는 바닥 레벨 (floor level) 에서 연료 탱크에 부착된다.
작동 분기 라인은, 예컨대, 연료 탱크를 향하는 탱크 외부의 단부의 영역에서 필러 파이프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 이상의 작동 분기 라인은 연료 탱크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의 외부에서 연료 탱크의 필러 파이프에, 즉 연료 탱크의 최대 충전 레벨의 실질적으로 아래에서 연장되는 필러 파이프의 영역에서 부착될 수 있다. 필러 파이프의 연료 탱크에의 바닥 레벨 연결의 경우, 작동 분기 라인 커넥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커넥터는 연료 탱크의 바닥 레벨 위로 단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연장되는 필러 파이프의 영역에서 연료 탱크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 이상의 작동 분기 라인은 바로 필러 파이프의 연료 탱크에의 연결 영역에서 필러 파이프 내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의 대안적인 변형예에 있어서, 작동 분기 라인은 탱크 내부에서 필러 파이프에 부착된다.
연료 탱크의 편리한 변형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분기 라인은,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에서 최대 탱크 충전 레벨 위에서 충전 체적 내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연료 탱크의 정상 위치에서, 작동 분기 커넥터는 탱크의 충전 체적을 향해 비가압 상태에서 개방된다. "비가압 상태에서 개방" 은, 작동 분기 커넥터가 연료 탱크의 보상 체적에 인접하여 탱크 벽에 고정될 수 있는 단순한 개방 튜브 단부 또는 니플 (nipple) 로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고정은 실행하기 비교적 용이하고, 밸브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어떠한 고정 홀더/고정 서포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연료 탱크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분기 라인은 필러 파이프의 출구 단부에 부착된다. 작동 분기 라인은 상이한 부분 체적에서 연료 탱크에 제공된 복수의 작동 분기 커넥터와 소통하는 수집 분기 라인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는 예컨대 HDPE 플라스틱 연료 탱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커넥터가 충전 체적을 향해 개방된 라인 단부 (line end) 로서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제공될 보상 체적의 영역에서 탱크 벽에 접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라인 및 개방 라인 단부는 스냅결합 (snap-fit) 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편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의 내부의 필러 파이프에, 폐쇄 장치, 바람직하게는 역류방지 밸브가 제공되고, 작동 분기 라인은 탱크 내로 흐르는 연료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폐쇄 장치의 상류에서 필러 파이프에 부착된다.
예컨대, 공지된 방식으로, 플래시오버 (flash-over) 보호를 갖는 재급유 분기 밸브가 재급유 분기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재급유는 개방 라인 단부/침지 (immersion) 튜브/니플에 의해 또한 컷오프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필러 파이프/필러 헤드에 제공된 전환 장치에 롤오버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전환 밸브는, 필러 파이프에 분배 노즐이 삽입되는 때 연료 증기 필터로의 재급유 분기 경로를 개방하고, 필러 파이프로부터 분배 노즐이 제거되는 때 상기 재급유 분기 경로를 차단한다.
이하에서, 도면에 나타낸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연료 탱크의 재급유 분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연료 탱크의 재급유 분기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 은, 플라스틱 연료 탱크로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 (1) 를 개략적으로 그리고 매우 단순화된 방식으로 보여준다. 상기 연료 탱크는 예컨대, HDPE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압출 중공 성형에 의해 제조되었다. 연료 탱크의 탱크 벽 (2) 은, HDPE 로 이루어진 외층들, 탄화수소에 대한 장벽 층으로서 EVOH 로 이루어진 내층, 및 장벽층을 포함하는 결합제로 이루어진 적어도 2 개의 LDPE 층을 갖는 6층 공압출물 (co-extrudate)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 (1) 는, 종래 방식으로, 탱크 벽 (2) 을 관통하는 필러 파이프 (3) 를 포함하는데, 필러 파이프는 개시된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른바 바닥 레벨에서의 재급유용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즉 필러 파이프의 출구 단부 (4) 가 연료 탱크 (1) 의 충전 체적 (5) 내로 연장되어 있어서, 연료는 재급유시 바닥 레벨에서 연료 탱크 (1) 내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연히 바닥 레벨 위에서의 재급유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필러 파이프 (3) 의 출구 단부 (4) 에는, 이른바 스핏백 (spitback) 효과, 즉 재급유시 필러 파이프 (3) 내로의 역 서지 (back-surge) 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밸브 (11) 가 제공된다. 필러 파이프 (3) 의 일부는 공지된 방식으로, 충전 체적 (5) 과 연료 탱크 (1) 의 외부로 연장된다. 필러 파이프 (3) 의 입구 단부 (6) 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필러 헤드에 충전 노즐 및 무연 (lead-free) 플랩 등이 제공된다. 필러 파이프 (3) 의 입구 단부 (6) 의 영역에는, 부가적으로 전환 밸브 (7) 가 제공되고, 이 전환 밸브를 통해 재급유 분기 라인 (8) 이 연료 증기 필터 (9) 로 안내된다. 필러 파이프의 출구 단부 (4) 는 또한 충전 노즐로도 표기되고, 반드시 필러 파이프 (3) 와 일체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연료 탱크 (1) 의 외부에 연장되는 재급유 분기 라인 (8) 은 재급유 분기 장치 (10) 내로 배출한다. 도면부호 12 는 2 개의 작동 분기 커넥터를 가리키는데, 이들 작동 분기 커넥터는. 도시된 연료 탱크 (1) 의 정상 위치에서, 연료 탱크 (1) 의 충전 체적 (5) 을 향해 비가압 상태에서 개방된다. 작동 분기 커넥터 (12) 는 작동 분기 라인 (13) 을 통해 필러 파이프 (3) 에 연결되는데,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유동 방향에서 역류방지 밸브 (11) 의 바로 위의 상류의 필러 파이프 (3) 의 출구 단부 (4) 에 연결되고, 따라서 필러 파이프 (3) 는 자신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서 재급유 분기 경로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의 변형예에 따르면, 작동 분기 커넥터 (12) 및 재급유 분기 장치 (10) 는 탱크의 충전 체적 (5) 과 소통하는 개방 라인 단부로서 구성된다. 도 2 에서, 예컨대, 재급유 분기 장치 (10) 는 확대 도시되어 있고, 연료 탱크 (1) 의 충전 체적 (5) 을 향해 개방된 침지 파이프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롤오버 밸브가 전환 밸브 (7) 에 포함된다.
재급유 분기 장치 (10) 의 도 3 에 나타낸 변형예에서, 상기 재급유 분기 장치는 롤오버 기능을 갖는 재급유 분기 밸브 (14) 로서 구성된다.
연료 탱크 (1) 에 재급유할 때, 연료는, 액체 레벨이 재급유 분기 장치 (10) 에 도달하여 재급유 분기 라인 (8) 을 폐쇄할 때까지, 필러 파이프 (3) 를 통해 연료 탱크 (1) 내로 유동한다. 그러면,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이 느리게 상승한다. 그 결과, 필러 파이프 (3) 내의 액체 레벨은, 상기 액체 레벨이 필러 파이프 (3) 에 삽입된 분배 노즐의 블로우홀에 도달하여 분배 노즐을 스위치 오프시킬 때까지 상승한다. 분배 노즐이 필러 파이프 (3) 에 삽입되는 한, 상기 분배 노즐은 전환 노즐 (7) 을 작동시키고, 전환 노즐은 재급유 분기 라인 (8) 으로부터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의 경로를 개방시킨다. 연료 탱크 (1) 에서 그리고 필러 파이프 (3) 에서 최대 충전 레벨에 도달되는 때, 필러 파이프 (3) 내에 존재하는 액체 칼럼이 작동 분기 라인 (13) 용 시일 (seal) 로서 작용한다.
재급유 공정의 완료 후, 분배 노즐의 제거는 전환 밸브 (7) 의 작동을 야기하고, 그 결과, 필러 파이프 (3) 로부터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의 경로가 개방되지만, 재급유 분기 라인 (8) 으로부터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의 경로가 차단된다.
필러 파이프 (3) 내의 연료 레벨은 재급유 후에 비교적 잠시 동안 감소되고, 따라서 작동 분기 커넥터 (12) 로부터 작동 분기 라인 (13) 을 통해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의 경로가 개방된다. 이 경우, 자동차의 운전 동안, 필러 파이프 (3) 는, 자신의 큰 단면적으로 인해,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 이른바 액체 캐리오버로서 비말동반될 수 있는 탄화수소 액적을 위한 액체 트랩으로서 작용한다. 이 경우, 특히, 필러 파이프의 비교적 큰 단면적으로 인해, 필러 파이프 (3) 내의 유속의 감속이 뚜렷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 탱크 (1) 를 개략적으로 그리고 매우 단순화된 방식으로 보여준다. 본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부품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 (1) 의 도 4 에 나타낸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작동 분기 라인 (13) 이 필러 파이프 (3) 가 실질적으로 연료 탱크 (1) 내의 최대 액체 레벨 아래에 연장되는 영역에서, 연료 탱크 (1) 의 충전 체적 (5) 의 외부의 필러 파이프 (3) 에, 즉 탱크 벽 (2) 의 바로 근처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 에 나타낸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 경우, 도 1 에 나타낸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처럼, 작동 분기의 작동 모드가 보장된다.
1 연료 탱크
2 탱크 벽
3 필러 파이프
4 필러 파이프의 출구 단부
5 충전 체적
6 필러 파이프의 입구 단부
7 전환 밸브
8 재급유 분기 라인
9 연료 증기 필터
10 재급유 분기 장치
11 역류방지 밸브
12 작동 분기 커넥터
13 작동 분기 라인
14 재급유 분기 밸브

Claims (10)

  1.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료 탱크의 충전 체적 (5) 의 외부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 파이프 (3), 재급유 분기 (refuelling venting) 장치 (10) 로부터 연료 증기 필터 (9) 까지의 적어도 하나의 재급유 분기 경로, 및 연료 증기 필터 (9) 로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경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라인 (13) 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 (installed position) 에 관하여, 탱크의 설계에 의해 좌우되는 상기 필러 파이프 (3) 내의 최대 가능 액체 레벨 아래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에 관하여, 상기 최대 가능 액체 레벨 아래의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최대 가능 액체 레벨 위로 20 ㎝ 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 (3)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상기 충전 체적 (5) 의 외부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 (3)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파이프 (3) 는 바닥 레벨에서 상기 연료 탱크 (1)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상기 연료 탱크를 향하는 단부의 영역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 (3)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 (3)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상기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에서 최대 탱크 충전 레벨 위에서 상기 충전 체적 (5) 내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분기 커넥터 (12) 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 탱크 (1) 의 정상 위치 (normal position) 에서, 상기 작동 분기 커넥터 (12) 는 비가압 상태에서 상기 연료 탱크의 충전 체적 (5) 을 향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상기 필러 파이프 (3) 의 출구 단부 (4)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분기 커넥터 (12) 는 상기 충전 체적 (5) 을 향해 개방된 라인 단부 (line end) 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의 필러 파이프 (3) 에, 폐쇄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작동 분기 라인 (13) 은 상기 연료 탱크 내로 흐르는 연료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폐쇄 장치의 상류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 (3)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 탱크.
KR1020137001449A 2010-07-19 2011-06-24 자동차용 연료 탱크 KR101435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7653.7 2010-07-19
DE102010027653 2010-07-19
DE102010053994A DE102010053994A1 (de) 2010-07-19 2010-12-09 Kraftsoffbehälter für ein Kfz
DE102010053994.5 2010-12-09
PCT/EP2011/003139 WO2012010247A2 (en) 2010-07-19 2011-06-24 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77A KR20130028777A (ko) 2013-03-19
KR101435344B1 true KR101435344B1 (ko) 2014-08-27

Family

ID=4458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449A KR101435344B1 (ko) 2010-07-19 2011-06-24 자동차용 연료 탱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34247B2 (ko)
EP (1) EP2595832B1 (ko)
JP (1) JP5613327B2 (ko)
KR (1) KR101435344B1 (ko)
CN (1) CN102958732B (ko)
CA (1) CA2798875C (ko)
DE (1) DE102010053994A1 (ko)
ES (1) ES2466019T3 (ko)
WO (1) WO20120102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4866B2 (ja) * 2015-06-17 2019-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流体貯留装置
DE102015221227A1 (de) 2015-10-29 2017-05-04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Kraftstoffbehälter mit Einlassrückschlagventil
DE102017114270A1 (de) 2017-06-27 2018-12-27 Kautex Textron Gmbh & Co. Kg Detektieren des Abschaltens einer Befülleinrichtung
DE102017221596A1 (de) * 2017-11-30 2019-06-06 Aft Automotive Gmbh Füllstandsventil für eine Druckausgleichsleitung einer Fluidtankanordnung sowie entsprechende Fluidtankanordnung
US11059369B2 (en) * 2018-11-15 2021-07-13 Stant Usa Corp. Diesel exhaust fluid tank vent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18A (ja) * 1983-06-20 1985-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油浸コンデンサ
JPS6473029A (en) * 1987-04-02 1989-03-17 Chiyoda Chem Eng Construct Co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 recovery of gallium from gallium-containing material
JPH0196336A (ja) * 1987-10-08 1989-04-1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自溶炉の操業におけるシヤフト部供給燃料量の調節法
US6006799A (en) 1997-02-20 1999-12-28 Volkswagen Ag Motor vehicle tank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64969A5 (ko) * 1971-12-13 1973-08-03 Peugeot & Renault
DE2223205C3 (de) 1972-05-12 1981-07-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Kraftstoffbehälter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IT1016282B (it) * 1973-07-17 1977-05-30 Daimler Benz Ag Perfezionamento nei serbatoi del carburante per autoveicoli
US3968896A (en) * 1975-06-20 1976-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tank
US4142647A (en) * 1977-12-15 1979-03-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tank venting system
US4152639A (en) 1978-01-27 1979-05-01 Mono-Probe Corporation Electrical circuit voltage and continuity testing device
DE3121621C2 (de) * 1981-05-30 1984-01-05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ntlüftungseinrichtung für Kraftstofftanks von Fahrzeug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JPS603118U (ja) 1983-06-21 1985-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における燃料吹返し防止装置
JPS6060032A (ja) * 1983-09-12 1985-04-06 Honda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ベンチレ−シヨン装置
JPH039466Y2 (ko) * 1985-02-23 1991-03-08
FR2581597B1 (fr) 1985-05-07 1990-03-09 Renault Dispositif de limitation de remplissage d'un reservoir a carbur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83353B1 (fr) * 1985-06-14 1987-07-24 Renault Reservoir a carburant en matiere synth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S6253224A (ja) * 1985-09-02 1987-03-07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燃料タンクの蒸発燃料流出防止装置
JPH0620823B2 (ja) * 1985-09-20 1994-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ユ−エルベントチユ−ブの配管構造
JPS62165397U (ko) 1986-04-08 1987-10-20
JPH037691Y2 (ko) 1986-05-26 1991-02-26
DE3719834C2 (de) * 1986-09-18 1988-07-07 Daimler Benz Ag Entlueftungseinrichtung fuer kraftstofftanks von kraftfahrzeugen
US4934417A (en) * 1987-03-26 1990-06-19 Whitehead Engineered Products,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fuel vapors from a vehicle fuel tank
US5131439A (en) * 1987-03-26 1992-07-21 Whitehead Engineered Products,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fuel vapors from a vehicle fuel tank
DE3734414C1 (de) * 1987-10-12 1989-05-18 Audi Ag Entlueftungseinrichtung fuer den Kraftstofftank eines Kraftfahrzeuges
JPH0541047Y2 (ko) * 1987-10-30 1993-10-18
JPH0528088Y2 (ko) * 1987-12-19 1993-07-19
US5215132A (en) * 1991-05-31 1993-06-01 Nissan Motor Co., Ltd. Valve device for fuel tank
JPH0664454A (ja) 1992-08-24 1994-03-08 Toyota Motor Corp フューエルタンクの燃料漏洩防止装置
US5343902A (en) * 1992-09-18 1994-09-06 Solvay Automotive, Inc. Internal gas removal system for fuel tank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5282497A (en) * 1992-10-23 1994-02-01 Allen Allison Fuel delivery and vapor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fuel vapors from a vehicle fuel tank
US5404906A (en) * 1992-12-21 1995-04-11 Nissan Motor Co., Ltd. Fuel tank
US5343905A (en) * 1993-06-07 1994-09-06 Ford Motor Company Vehicular fuel tank vent
DE19642308A1 (de) * 1995-10-24 1997-04-30 Volkswagen Ag Kraftfahrzeugtank mit Betriebsentlüftung
EP1068980B1 (en) 1999-07-16 2005-05-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tank
US6260544B1 (en) * 2000-05-01 2001-07-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fuel vapor emissions fuel system
FR2819221B1 (fr) * 2001-01-08 2003-06-06 Itw De France Dispositif de mise a l'air libre destine a un reservoir de vehicule automobile
US6978802B2 (en) * 2001-03-08 2005-12-27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120542B4 (de) * 2001-04-26 2004-07-15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JP2002371933A (ja) * 2001-06-14 2002-12-26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燃料タンク
US20030015536A1 (en) * 2001-07-20 2003-01-23 Tekulve Daniel R. Fuel tank
DE10238234A1 (de) * 2002-08-21 2004-03-18 Daimlerchrysler Ag Lüftungseinrichtung für Kraftstofftanks
US7083065B2 (en) * 2003-06-04 2006-08-01 Millennium Industries Corporation Tank assembly
JP2006029187A (ja) * 2004-07-15 2006-02-02 Hitachi Ltd 燃料タンク用蓋体
US20080142111A1 (en) * 2006-12-19 2008-06-19 Mark Osterbrink Fuel tank venting system and method
JP5027568B2 (ja) * 2007-06-05 2012-09-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燃料貯留構造
WO2009000362A1 (de) * 2007-06-22 2008-12-31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US7448367B1 (en) 2007-07-13 2008-11-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in battery powered vehicle with gasoline engine powered generator
DE102009057860B4 (de) * 2009-12-11 2016-09-29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118A (ja) * 1983-06-20 1985-01-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油浸コンデンサ
JPS6473029A (en) * 1987-04-02 1989-03-17 Chiyoda Chem Eng Construct Co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 recovery of gallium from gallium-containing material
JPH0196336A (ja) * 1987-10-08 1989-04-14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自溶炉の操業におけるシヤフト部供給燃料量の調節法
US6006799A (en) 1997-02-20 1999-12-28 Volkswagen Ag Motor vehicle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98875A1 (en) 2012-01-26
EP2595832A2 (en) 2013-05-29
WO2012010247A2 (en) 2012-01-26
JP5613327B2 (ja) 2014-10-22
CN102958732B (zh) 2016-02-17
US20130277371A1 (en) 2013-10-24
DE102010053994A1 (de) 2012-01-19
ES2466019T3 (es) 2014-06-09
EP2595832B1 (en) 2014-04-23
CN102958732A (zh) 2013-03-06
CA2798875C (en) 2014-01-28
JP2013536111A (ja) 2013-09-19
KR20130028777A (ko) 2013-03-19
US9434247B2 (en) 2016-09-06
WO2012010247A3 (en)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344B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
US8960473B2 (en) Fuel tank
US8485386B2 (en) Fuel tank
JP4494572B2 (ja) 液体タンクの通気システム
KR101486684B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
RU2581789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для автомобиля
JP2009545479A (ja) タンクに給油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9132729B2 (en) Pressure equalizing valve for a fuel tank or secondary fluid tank on a motor vehicle
US20090014090A1 (en) Fuel Tank for Vehicles
US6990961B2 (en) Ventilation and areation device for a fuel tank
EP2920016B1 (en) Liquid/vapor separator
JP2008221913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