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209B1 - 단자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자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209B1
KR101435209B1 KR1020080076598A KR20080076598A KR101435209B1 KR 101435209 B1 KR101435209 B1 KR 101435209B1 KR 1020080076598 A KR1020080076598 A KR 1020080076598A KR 20080076598 A KR20080076598 A KR 20080076598A KR 101435209 B1 KR101435209 B1 KR 101435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bration
vibration absorbing
absorbing connection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939A (ko
Inventor
박민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2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7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penetrating the insulation being actuated by spring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전도체로 제작되며, 양단이 서로 다른 두 단자에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고, 중단이 탄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는 진동흡수 연결부; 및 연질의 부도체로 제작되어 내부에 전도성 그리스가 충진되며, 진동흡수 연결부의 중단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서로 다른 두 단자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진동이 어느 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인가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킬 수 있고, 굽힘응력이나 진동이 어느 한 방향으로 반복되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두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절손되더라도 두 단자를 통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자, 진동, 탄성, 스프링, 감쇠, 파손, 전도성 그리스

Description

단자연결 조립체{Terminal fusing assembly}
본 발명은 두 개의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자로 인가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원 저장장치로서 배터리가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은 배터리케이블을 통해 각종 전장장치로 인가된다. 상기 배터리에는 외부로 전원 출력을 위한 배터리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케이블의 끝단에는 케이블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단자와 케이블단자는 별도의 단자연결 조립체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자동차의 엔진이나 변속기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전원 인가를 위한 배터리케이블을 통해 케이블단자로 전달되고, 차체의 진동은 차체에 고정 장착되는 배터리를 통해 배터리단자로 전달되는데, 엔진이나 변속기 등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차체의 진동은 상이한 특성을 갖는 바, 상기 케이블단자와 배터리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연결 조립체는 양 측의 다른 진동에 의해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자연결 조립체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자연결 조립체는 전기기기의 연결에 사용되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단자의 연결에 유용한 것으로서, 주름(13)이 형성되며 양단에 볼트 체결공(11)이 형성되는 도전 재질의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의 외측면에 결합된 절연체(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름(13)은 충격완화 작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단자(100)가 배터리와 같은 전기기기에 결합된 상태로 진동이 발생될 때 스프링 효과를 발생하여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단선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단자연결 조립체는, 길이방향으로의 진동만을 흡수할 수 있을 뿐, 폭방향의 진동이나 비틀림 진동 등은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와이어 구조의 단자연결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굽힘응력이나 진동이 한쪽 방향으로만 반복되면 쉽게 절손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진동이 어느 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인가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굽힘응력이나 진동이 어느 한 방향으로 반복되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없는 단자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전도체로 제작되며, 양단이 서로 다른 두 단자에 결합되고, 중단이 탄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는 진동흡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중단 일부 또는 전체가 코일스프링 구조로 제작된다.
연질의 부도체로 제작되어 서로 다른 두 단자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중단이 상기 절연부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절연부는 내부에 전도성 그리스가 충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중단이 상기 전도성 그리스와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양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위가 서로 다른 단자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의 양단을 서로 다른 단자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너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이고, 타측에 형성된 나사는 왼나사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진동이 어느 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인가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시킬 수 있고, 굽힘응력이나 진동이 어느 한 방향으로 반복되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없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두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절손되더라도 두 단자를 통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1 단자(110)와 배터리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단자연결 조립체로서, 양단(본 실시예에서는 상단과 하단)이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단자(110)나 제2 단자(120)를 통해 인가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진동흡수 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전도체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중단 즉,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가 코일스프링(210)으로 제작되고, 양단은 상기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은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중단에 형성된 코일스프링(210)에 의해 감쇠되므로, 진동에 의한 파손 우려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중단이 코일스프링(210) 구조로 구성된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양단을 통해 인가되는 진동을 중단에서 감쇠시킬 수만 있다면 판스프링이나 핀스프링 등 여러 가지 현상의 스프링으로 변경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합성수지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가 코일스프링(210)으로 제작되면, 상하 방향의 진동, 굽힘 진동, 비틀림 진동 등을 모두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중단이 코일스프링(210)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가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1 단자(110)와 배터리케이블에 연결되는 제2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 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다양한 종류의 단자 연결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양단이 상기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가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에 고정 결합되면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교체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양단이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상기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를 관통하는 양측 외주면에 나사산(22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220)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400)에 의해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에 고정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산(220)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면(즉, 한 쌍의 나사산(220)이 모두 오른나사로 형성되거나 왼나사로 형성되면),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가 종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비틀림 응력을 받는 경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너트(400)와의 나사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양측에 형성된 나사산(220) 중 어느 하 나의 나사산(220)은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나사산(220)은 왼나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면, 오염 및 손상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연질의 부도체로 제작되어 서로 다른 두 단자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중단이 상기 절연부(300)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연부(3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이 상기 절연부(300)에 의해 감싸지게 되므로, 오염, 손상 및 쇼트가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300) 내부에 위치하는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중단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부(300)는 내부에 전도성 그리스(310)가 충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중단이 상기 전도성 그리스(310)와 접촉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연부(300) 내부에 전도성 그리스(310)가 충진되면,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중단 즉, 코일스프링(210)의 어느 한 부위가 단선되더라도 상기 제1 단자(110) 및 제2 단자(120)는 전도성 그리스(3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 단자(1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외부로부터 굽힘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도 4 참조),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는 중단 즉, 코일스프링(210) 부위가 일측으로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굽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 단자(110)가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로부터 수평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도 5 참조),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코일스프링(210)은 양단이 어긋나는 방향으로도 탄성을 가지는 바, 상기 수평 진동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외부로부터 수직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도 6 참조),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코일수프링은 압축 및 인장 방향으로도 탄성을 가지는 바, 상기 수직 진동까지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의 코일스프링(210)은, 제1 단자(110)와 제2 단자(120) 중 어느 하나의 단자가 코일스프링(2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되도록 비틀림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비틀림응력까지도 감쇠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는, 굽힘 진동, 수평 진동, 수직 진동, 비틀림 진동 등 어느 방향으로 어떠한 종류의 진동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200)가 이들을 모두 감쇠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에 의한 파손 우려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자연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연결 조립체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 단자 120 : 제2 단자
200 : 진동흡수 연결부 210 : 코일스프링
220 : 나사산 300 : 절연부
310 : 전도성 그리스 400 : 너트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도체로 제작되며, 양단이 서로 다른 두 단자에 결합되고, 중단이 탄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는 진동흡수 연결부와;
    연질의 부도체로 제작되어 서로 다른 두 단자 사이에 위치되는 주름관 형상을 갖는 절연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중단 일부 또는 전체가 코일스프링 구조로 제작되고, 중단이 상기 절연부 내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절연부의 내부에 전도성 그리스가 충진되고,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중단이 상기 전도성 그리스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는, 양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위가 서로 다른 단자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의 양단을 서로 다른 단자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산은 오른나사이고, 타측에 형성된 나사는 왼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 조립체.
KR1020080076598A 2008-08-05 2008-08-05 단자연결 조립체 KR101435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598A KR101435209B1 (ko) 2008-08-05 2008-08-05 단자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598A KR101435209B1 (ko) 2008-08-05 2008-08-05 단자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939A KR20100016939A (ko) 2010-02-16
KR101435209B1 true KR101435209B1 (ko) 2014-08-28

Family

ID=4208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598A KR101435209B1 (ko) 2008-08-05 2008-08-05 단자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1332B2 (ja) 2010-03-05 2015-05-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モータケースに設置されたインバータ端子台
KR200483795Y1 (ko) * 2015-09-16 2017-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전기 방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886A (ja) * 1994-04-22 1995-11-10 Whitaker Corp:The リセプタクル端子
JPH09293545A (ja) * 1996-04-25 1997-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端子接続方法
JP2006172732A (ja) * 2004-12-13 2006-06-29 Yazaki Corp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20070031697A (ko) * 2005-09-15 2007-03-20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동축케이블 콘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886A (ja) * 1994-04-22 1995-11-10 Whitaker Corp:The リセプタクル端子
JPH09293545A (ja) * 1996-04-25 1997-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端子接続方法
JP2006172732A (ja) * 2004-12-13 2006-06-29 Yazaki Corp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20070031697A (ko) * 2005-09-15 2007-03-20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동축케이블 콘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939A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1025C (en) Bracket structure i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610901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KR101435209B1 (ko) 단자연결 조립체
CN110461089B (zh) 电子装置
US6320756B1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structure using electronic device mounting member and cushioning
US8786994B2 (en) Arrangement comprising a surge arrester
JP6129716B2 (ja)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KR101119672B1 (ko) 6도체 볼트리스 스페이서댐퍼
US10587239B2 (en) Electrical power conditioning device
KR200303201Y1 (ko)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용 브라켓트 구조
KR20220138459A (ko) 수변전 설비용 내진 프레임
CN107110732B (zh) 用于接收引起振动的构件的振动的振动接收装置
KR20150057867A (ko) 접속 단자
JP2006318861A (ja) コネクタ
RU200312537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проводящего контактирования лишенного изоляции на отдельных участках внешнего проводника коаксиального кабеля
KR20200121849A (ko) 전력 전자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감쇠 장치
KR10200551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2034956B1 (ko) 철도차량용 점퍼케이블 연결구조체
CN220209351U (zh) 接线器
JP7118325B2 (ja) コネクタ
JPH11205980A (ja) 架空送電線用連結金具
KR101163809B1 (ko) 대전류 공급용 파워터미널 장치
KR200482394Y1 (ko) 배터리 차단 유닛을 위한 완충장치
CN210516316U (zh) 一种金属屏蔽中压电力电缆
KR102064426B1 (ko) 커넥터용 고정클립 지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