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203B1 - 정션박스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203B1
KR101435203B1 KR1020080044388A KR20080044388A KR101435203B1 KR 101435203 B1 KR101435203 B1 KR 101435203B1 KR 1020080044388 A KR1020080044388 A KR 1020080044388A KR 20080044388 A KR20080044388 A KR 20080044388A KR 101435203 B1 KR101435203 B1 KR 10143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apter
junction box
terminal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539A (ko
Inventor
이종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2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는, 퓨즈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양단이 상기 삽입공의 내측 및 하우징의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마이크로 릴레이 타입의 제 1 어댑터와 미니 릴레이 타입의 제 2 어댑터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상기 제 1 어댑터는 하우징에 4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단자는 삽입공마다 배치되는 4개로 구성되며, 각 단자는 서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되는 반면, 상기 제 2 어댑터는 하우징에 6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단자는 하우징의 일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마다 배치되는 3개의 단자와, 일단이 세 갈래로 분기되어 하우징의 타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에 각각 배치되는 1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퓨즈나 릴레이의 적용 수량 변경 시 정션박스의 커넥터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릴레이 커넥터의 수량은 넉넉하되 퓨즈 커넥터의 수량이 부족한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정션박스, 릴레이, 퓨즈, 어댑터

Description

정션박스용 어댑터{Junction Box Adapter}
본 발명은 정션박스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퓨즈나 릴레이의 적용 수량 변경 시 정션박스의 커넥터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정션박스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크게 엔진 측 전기장치와 차체 측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엔진 측 전기장치는 점화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점화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 및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차체 측 전기장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조명용, 표지용,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경고 표시장치 및 냉/난방장치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와이어를 통해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 정션박스(Junction Box)가 사용된다.
도 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버스바 타입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정션박스(1)는 미니퓨즈, 미디퓨즈 및 S/B 퓨즈 등의 각종 퓨즈(6) 및 릴레이(7)가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2)와, 입출력 커넥터(5)가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3)와, 상기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의 사이에 적층되는 여러 층의 회로기판(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정션박스(1)는 미니퓨즈, 미디퓨즈 및 S/B 퓨즈 등의 각종 퓨즈(6) 및 릴레이(7)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2)의 커넥터 구조가 서로 상이하므로,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이 변경되는 경우, 차량에 적용되는 옵션에 따라 혹은 판매 지역에 따라 시스템의 회로가 상이한 경우, 타 차종 정션박스의 이월 적용시 차종 사이의 전기 시스템이 차이가 있는 경우, 신규로 개발하여 장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퓨즈나 릴레이의 적용 수량 변경 시 정션박스의 커넥터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정션박스용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릴레이 커넥터의 수량은 넉넉하되 퓨즈 커넥터의 수량이 부족한 경우 적용이 가능한 정션박스용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는, 퓨즈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양단이 상기 삽입공의 내측 및 하우징의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정션박스용 어댑터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데, 그 하나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가 한 쌍씩 마련된 마이크로 릴레이 타입의 어댑터이며, 다른 하나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가 한 쌍씩 마련된 미니 릴레이 타입의 어댑터이다.
이 중에서 마이크로 릴레이 타입의 어댑터의 하우징에는 4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단자는 삽입공마다 배치되는 4개로 구성되며, 각 단자는 서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된 4개의 단자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가 하나씩 마련된 마이크로 릴레이의 단자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반면, 미니 릴레이 타입의 어댑터의 하우징에는 6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단자는 하우징의 일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마다 배치되는 3개의 단자와, 일단이 세 갈래로 분기되어 하우징의 타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에 각각 배치되는 1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된 4개의 단자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가 하나씩 마련된 미니 릴레이의 단자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가 한 쌍씩 마련된 마이크로 릴레이 또는 미니 릴레이용 커넥터에 설치되어 퓨즈나 릴레이의 적용 수량 변경 시 해당 커넥터 구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 릴레이 또는 미니 릴레이 커넥터의 수량은 넉넉하되 퓨즈 커넥터의 수량이 부족한 경우 매우 적합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 중 단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의 제 1 실시예(이하, 제 1 어댑터(100)라 함)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를 하나씩 포함하는 마이크로 릴레이용 커넥터에 설치되는 어댑터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단자(1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마이크로 릴레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며, 그 높이는 미니 퓨즈(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마이크로 릴레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2개의 미니 퓨즈(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4개의 삽입공(112~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120)는 삽입공마다 배치되는 4개(122~128)로 구성되며, 각 단자는 서로 절연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단자(122~128)의 일단, 즉 상기 삽입공(112~118)에 위치되는 일단은 미니 퓨즈(300)의 단자(3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 어댑터(100)를 정션박스(미도시)의 마이크로 릴레이용 커넥터에 설치하면 2개의 미니 퓨즈(300)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이 변경되거나 차량에 적용되는 옵션에 따라 혹은 판매 지역에 따라 시스템의 회로가 상이하거나 타 차종 정션박스의 이월 적용시 차종 사이의 전기 시스템이 차이가 발생하여, 마이크로 릴레이용 커넥터의 수량은 넉넉하지만 미니 퓨즈용 커넥터의 수량이 부족한 경우 미니 퓨즈(300)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제 2 실시예 중 단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의 제 2 실시예(이하, 제 2 어댑터(200)라 함)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를 하나씩 포함하는 미니 릴레이용 커넥터에 설치되는 어댑터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단자(2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미니 릴레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며, 그 높이는 미니 퓨즈(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미니 릴레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3개의 미니 퓨즈(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6개의 삽입공(211~2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220)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211,213,215)마다 배치되는 3개의 단자(222,224,226)와, 일단이 세 갈래로 분기되어 하우징(210)의 타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212,214,216)에 각각 배치되는 1개의 단자(22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222~228)의 일단, 즉 상기 삽입공(211~216)에 위치되는 일단은 미니 퓨즈(300)의 단자(31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Y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어댑터(200)를 정션박스(미도시)의 미니 릴레이용 커넥터에 설치하면 3개의 미니 퓨즈를 추가할 수 있다. 단, 상기 하우징(210)의 타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212,214,216)에 삽입되는 단자(228)는 하나의 단자이므로, 상기 제 2 어댑터(200)는 인가된 전원을 세 갈래로 분기하여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어댑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 중 단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용 어댑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상기 제 2 실시예 중 단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버스바 타입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제 1 및 제 2 어댑터 110, 210: 하우징
120, 220: 단자 300: 미니 퓨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퓨즈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양단이 상기 삽입공의 내측 및 하우징의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에는 6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하우징의 일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마다 배치되는 3개의 단자와, 일단이 세 갈래로 분기되어 하우징의 타측에 배열된 3개의 삽입공에 각각 배치되는 1개의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어댑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돌출된 4개의 단자는 스위칭단자 및 작동단자가 하나씩 마련된 미니 릴레이의 단자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어댑터.
KR1020080044388A 2008-05-14 2008-05-14 정션박스용 어댑터 KR10143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388A KR101435203B1 (ko) 2008-05-14 2008-05-14 정션박스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388A KR101435203B1 (ko) 2008-05-14 2008-05-14 정션박스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39A KR20090118539A (ko) 2009-11-18
KR101435203B1 true KR101435203B1 (ko) 2014-08-28

Family

ID=4160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388A KR101435203B1 (ko) 2008-05-14 2008-05-14 정션박스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2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48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차량의 휴즈박스용 보조휴즈관
KR200403366Y1 (ko) 2005-09-05 2005-12-09 한태규 차량용 퓨즈 전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48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차량의 휴즈박스용 보조휴즈관
KR200403366Y1 (ko) 2005-09-05 2005-12-09 한태규 차량용 퓨즈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39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862B2 (en) Battery state notifying unit, bus bar module, battery pack, and battery state monitoring system
JP7039995B2 (ja) 監視装置
KR100993726B1 (ko) 블록 구조의 정션박스
JP3785276B2 (ja) 電気接続箱
US10272856B2 (en) Power distributor with plug-in electronics
US8142235B2 (en) Arrangement for current distribution and contact arrangement and fuse protection thereof of the outgoing cables
CN105612670A (zh) 具有电阻编码的插拔连接器部件
US20140211379A1 (en) Two sided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CN103444032A (zh) 高电压用电接线箱
CN101505041A (zh) 电接线盒
CN203761683U (zh) 可插拔继电器电路模块
US6344613B1 (en) Automobile electrical circuit assembly with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JP6836380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435203B1 (ko) 정션박스용 어댑터
US7338296B2 (en) Electric apparatus having plural electric parts
US20070026738A1 (en) Accessory fuse harness
RU2194634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с блоком управлени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JPS5947929B2 (ja) 配線基板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TWM608855U (zh) 取電器
US10381184B1 (en) Multiple-use interlocking fused power and grounding distribution block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CN105529662A (zh) 接线盒组件结构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CN219717155U (zh) 一种预充回路线束安装盒和电池包高压配电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