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786B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786B1
KR100812786B1 KR1020060126787A KR20060126787A KR100812786B1 KR 100812786 B1 KR100812786 B1 KR 100812786B1 KR 1020060126787 A KR1020060126787 A KR 1020060126787A KR 20060126787 A KR20060126787 A KR 20060126787A KR 100812786 B1 KR100812786 B1 KR 10081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nector
junction box
fixing block
predetermined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결집되고, 전원의 안전을 공급을 위한 릴레이 및 퓨즈 등이 배치되는 정션박스가 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는 다수의 인서트 패널이 일 측면부에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터미널 브라켓과, 터미널 브라켓의 인서트 패널이 횡 방향으로 삽입되는 직선의 통로가 형성되고, 릴레이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꽂혀져 고정되는 릴레이 커넥터 및 릴레이 커넥터가 일렬로 다수개가 삽입되어 배치되고, 터미널 브라켓의 인서트 패널이 일 측에서 횡 방향으로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터미널 브라켓의 인서트 패널을 커넥터의 통로로 안내하는 커넥터 고정블록을 포함하는데, 다수의 릴레이 커넥터가 단일의 터미널 브라켓에 의해 릴레이 고정블럭에 조립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릴레이, 인서트 패널, 터미널 브라켓, 커넥터, 고정블럭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
도 1은 종래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정션박스의 상부커버를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정션박스의 하부커버를 바디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의 릴레이 고정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릴레이 고정블럭으로 터미널 브라켓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릴레이 고정블럭으로 터미널 브라켓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터미널 브라켓 110: 인서트 패널
115: 돌출판 120: 릴레이 커넥터
122: 통로 130: 커넥터 고정블럭
135: 통공 136: 고정홈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종 전기부품이 배치된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에 조립되면서 전기부품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 측 전기장치와 차체 측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기관 측 전기장치는 점화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점화 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 및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로 되어 있고, 차체 측 전기장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조명용, 표지용,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경고 표시장치 및 냉/난방장치 등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박스(Junction Box)가 사용된다.
등록특허 10-057674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션박스는 여러 장의 절연판들이 적층되고 그 사이에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되도록 접속용 단자들이 형성된 메탈버스 레이어가 배치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의 상측에 결합되면서 외부로 돌출된 접속단자들에 퓨즈 및 릴레이 등이 꽂혀지는 상부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외부로 돌출된 접속단자들에 자동차의 각부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입출력 커넥터가 꽂혀지는 하부 케이스와, 회로기판의 일측 모서리부에서 적층된 다수의 절연판들의 중간층까지 내려앉으면서 장착되어 그 하부의 절연판들을 묶어줌과 동시에 그 자체(自體)가 고정되고 상기 메탈버스 레이어들에 전원이 통전되도록 서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용 단자 및 퓨즈연결용 단자가 형성된 별도의 전원공급용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은 종래의 정션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정션박스의 상부커버를 바디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정션박스의 하부커버를 바디의 배면도이다.
여기서, 종래의 정션박스(10)는 릴레이(15)나 퓨즈 등의 전장부품과 회로기판이 포함된 바디(20)와, 바디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30) 및 바디(20)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40)를 포함한다.
또한, 바디(20)는 상기에 기재된 같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될 수 있는데, 상부 케이스에는 릴레이(15)와 퓨즈 등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장부품이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에는 릴레이와 퓨즈의 전기적인 입출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릴레이 커넥터(45)가 배치된다.
이때, 바디(20)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 케이스의 저면부에는 릴레이 커넥 터(45)를 고정하기 위한 리테이너(50)가 구비되는데, 하나의 릴레이 커넥터(45)는 하나의 리테이너(50)에 의해 고정되어 바디(20)에 장착된다.
즉, 작업자는 정션박스(10)의 조립에서 바디(2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릴레이 커넥터(45)를 삽입하여 배치하고, 릴레이 커넥터(45)를 손으로 고정하고 나서 하부 케이스를 뒤집고 난 후, 하부 케이스의 저면으로 돌출된 릴레이 커넥터(45)의 하부에 리테이너(50)를 끼워 바디(20)에 릴레이 커넥터(45)를 고정했는데, 릴레이 커넥터(45)의 조립수공에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션박스(10)의 전반적인 조립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정션박스의 바디에 릴레이 커넥터의 조립을 간단하게 만들어 정션박스의 전반적인 조립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정션박스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는, 차량의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개로 구비되는 릴레이가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차량용 정션박스로서,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각각 삽입 설치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된 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릴레이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커넥터를 상면에 일렬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 배치됨에 따른 전면에는 상기 통로와 일치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3개의 통공이 하나의 단위로 일정간격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3개의 통공이 하나의 단위로 형성된 통공의 하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커넥터 고정블록과,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릴레이 커넥터의 통로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릴레이 커넥터에 삽입되는 릴레이를 각각 고정시키도록 일면에는 상기 3개가 하나의 단위로 형성된 통공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인서트 패널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고, 저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에 삽입됨에 따른 측방으로의 유동됨을 방지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돌출판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의 릴레이 고정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릴레이 고정블럭으로 터미널 브라켓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릴레이 고정블럭으로 터미널 브라켓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는 차량의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릴레이가 내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정션박스로서, 다수의 릴레이 커넥터(120)를 커넥터 고정블럭(130)에 고 정시키는 터미널 브라켓(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릴레이 커넥터(120)는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각각 삽입 설치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삽입구(도면 부호생략)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된 통로(122)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130)은, 상기 릴레이 커넥터(120)를 상면에 일렬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 배치됨에 따른 전면에는 상기 통로(122)와 일치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3개의 통공(135)이 하나의 단위로 일정간격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3개의 통공(135)이 하나의 단위로 형성된 통공(135)의 하부에는 고정홈(136)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 브라켓(100)은,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130)에 형성된 통공(135)과 상기 릴레이 커넥터(120)의 통로(122)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릴레이 커넥터(120)에 삽입되는 릴레이를 각각 고정시키도록 일면에는 상기 3개가 하나의 단위로 형성된 통공(135)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인서트 패널(110)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고, 저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130)에 삽입됨에 따른 측방으로의 유동됨을 방지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136)에 대응되는 돌출판(1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한 터미널 브라켓(100)은,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측방에서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다수의 인서트 패널(110)을 구비하고 있는데, 다수의 인서트 패널(110)은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상면부에 끼워져 배치된 다수의 릴레이 커넥터(120)의 하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하나의 릴레이 커넥터(120)의 하부에는 터미널 브라켓(100)의 세 개의 인서트 패널(110)이 횡 방향으로 끼워져 삽입되기 위한 세 개의 직선의 통로(122)가 형성되어 있는데, 통로(122)가 형성된 부분은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내부로 끼워져 인서트 패널(110)이 끼워질 수 있게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 고정블럭(130)에는 릴레이 커넥터(120)가 일렬로 다수개가 삽입되어 배치되는데, 터미널 브라켓(100)의 인서트 패널(110)이 일 측에서 횡 방향으로 통과되는 통공(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135)은 터미널 브라켓(100)의 인서트 패널(110)을 릴레이 커넥터(120)의 통로(122)로 안내하게 되며, 통공(135)이 형성된 부분에는 터미널 브라켓(100)의 인서트 패널(110)이 결합된 부분이 안치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에 의한 정션박스에서 커넥터 고정블럭(130)에 릴레이 커넥터(120)가 조립되는 과정을 기술한다.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상면부에 릴레이 커넥터(120)가 일렬로 삽입되어 배치되고,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측면에서 횡방으로 터미널 브라켓(100)의 인서트 패널(110)이 삽입된다.
이때, 터미널 브라켓(100)의 인서트 패널(110)은 커넥터 고정블럭(130)의 통공(135)을 통과하여 하나의 릴레이 커넥터(120)의 하부에 형성된 각 통로(122)로 삽입되는데, 릴레이 커넥터(120)가 일렬로 있는 배치에서 릴레이 커넥터(120)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122)로 인서트 패널(110)이 일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릴레이 커넥터(120)는 인서트 패널(110)에 의해 커넥터 고정블럭(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는 다수의 릴레이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블럭의 일면에서 삽입되는 터미널 브라켓의 인서트 패널에 고정됨으로써, 정션박스의 바디에 릴레이 커넥터의 조립을 간단하게 만들어져 정션박스의 전반적인 조립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개로 구비되는 릴레이가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차량용 정션박스로서,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각각 삽입 설치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의 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삽입구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와 연통된 통로(122)가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릴레이 커넥터(120)와;
    상기 릴레이 커넥터(120)를 상면에 일렬로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 배치됨에 따른 전면에는 상기 통로(122)와 일치되는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3개의 통공(135)이 하나의 단위로 일정간격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3개의 통공(135)이 하나의 단위로 형성된 통공(135)의 하부에는 고정홈(136)이 형성된 커넥터 고정블록(130)과;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130)에 형성된 통공(135)과 상기 릴레이 커넥터(120)의 통로(122)를 관통 삽입하여 상기 릴레이 커넥터(120)에 삽입되는 릴레이를 각각 고정시키도록 일면에는 상기 3개가 하나의 단위로 형성된 통공(135)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인서트 패널(110)이 일정간격 복수개 형성되고, 저면 하단부에는 상기 커넥터 고정블록(130)에 삽입됨에 따른 측방으로의 유동됨을 방지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홈(136)에 대응되는 돌출판(115)이 일체로 형성된 터미널 브라켓(1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삭제
KR1020060126787A 2006-12-13 2006-12-13 정션박스 KR10081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787A KR100812786B1 (ko) 2006-12-13 2006-12-13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787A KR100812786B1 (ko) 2006-12-13 2006-12-13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786B1 true KR100812786B1 (ko) 2008-03-12

Family

ID=3939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787A KR100812786B1 (ko) 2006-12-13 2006-12-13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7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80Y1 (ko) 2008-03-27 2010-06-28 화남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소켓 지지구
CN108990346A (zh) * 2018-08-27 2018-12-11 厦门市佶尔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盒的接线结构
CN108990346B (zh) * 2018-08-27 2024-06-04 厦门市佶尔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盒的接线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04Y1 (ko) 2000-12-19 2001-06-15 경신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구조
JP2004187427A (ja) * 2002-12-04 2004-07-02 Yazaki Corp コネクタブロック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388110Y1 (ko) 2005-04-07 2005-06-29 주식회사 아시아 정션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904Y1 (ko) 2000-12-19 2001-06-15 경신공업주식회사 자동차용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구조
JP2004187427A (ja) * 2002-12-04 2004-07-02 Yazaki Corp コネクタブロック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388110Y1 (ko) 2005-04-07 2005-06-29 주식회사 아시아 정션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280Y1 (ko) 2008-03-27 2010-06-28 화남전자 주식회사 릴레이 소켓 지지구
CN108990346A (zh) * 2018-08-27 2018-12-11 厦门市佶尔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盒的接线结构
CN108990346B (zh) * 2018-08-27 2024-06-04 厦门市佶尔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盒的接线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886B2 (en) Junction box having block type structure
JP3785276B2 (ja) 電気接続箱
JP2752010B2 (ja) 電気接続箱
US6547572B1 (en) Integrated and flexible power distribution assembly
JPS63931A (ja) 自動車のヒュ−ズ・配電器箱
US20080081517A1 (en) Electronic Device
CN107953839B (zh) 电子部件单元、电接线箱和线束
CN110994287A (zh) 线束
JP3477082B2 (ja) 電気接続箱
KR100812786B1 (ko) 정션박스
JP2004120896A (ja) 電気接続ブロック及び電気接続ブロックへのバスバー組付方法
JP6836380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8052229A (ja) 電気接続箱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JP4588655B2 (ja) 電気接続箱
CN105529662B (zh) 接线盒组件结构
CN212046774U (zh) 电加热装置、供暖、通风和/或空调装置和机动车辆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JP6811098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203674140U (zh) 汽车线束保险盒
JP2011097757A (ja) 電気接続箱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KR100757576B1 (ko) 2중 전원 체계의 퓨즈 구조를 갖는 차량용 정션박스
KR100576742B1 (ko) 정션박스의 전원공급 구조
KR200197977Y1 (ko)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전원 및 신호회로 분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