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058B1 - 은 함유 발포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은 함유 발포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058B1
KR101433058B1 KR1020097018276A KR20097018276A KR101433058B1 KR 101433058 B1 KR101433058 B1 KR 101433058B1 KR 1020097018276 A KR1020097018276 A KR 1020097018276A KR 20097018276 A KR20097018276 A KR 20097018276A KR 101433058 B1 KR101433058 B1 KR 10143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foam structure
gel
foam
silver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772A (ko
Inventor
스테판 아레스코그
울프 조한니슨
말린 프리즈
Original Assignee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filed Critical 묄른뤼케 헬스 케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9011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1Plasters containing means with disinfecting or anaesthetics means, e.g. anti-my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은, 시트르산은, 아세트산은, 탄산은, 락트산은 및 인산은, 또는 이들 염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은염을 함유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a) 계면활성제 및 적어도 하나의 은염을 함유하는 수상을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은염은 수상에 분산되어 있으며; (b) 2 이상의 작용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수상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혼합하고, 결과된 혼합물을 바로 몰드에 옮겨서, 이로써 발포체 구조물을 얻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발포체 구조물을 기껏해야 10 % (wt)의 수분 함량을 가질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 및 발포체 구조물을 함유하는 상처 드레싱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53754333-pct00004
상처 드레싱, 폴리우레탄, 항균성, 친수성, 몰드, 발포체, 은염.

Description

은 함유 발포체 구조물{SILVER-CONTAINING FOAM STRUCTURE}
본 발명은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항균성 및 친수성 발포체 구조물은 폴리머 매트릭스에서 및 발포체 셀의 내부에서 모두 증가된 양의 은을 함유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성 및 친수성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WO 97/42985는 구멍들의 패턴을 포함하는 흡수성 발포체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을 개시한다. 구멍들은 드레싱을 착용할 때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해 놓이는 발포체 재료의 쪽에서 열려 있고 발포체 재료의 층은 피부에 부착하는 소수성 겔의 층으로 코팅되어 있으며, 여기서 드레싱을 착용할 때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해 놓이는 발포체 재료에서의 구멍들의 벽의 이들 끝 부분은 겔 코팅되어 있다. 드레싱에 특정한 항미생물성 또는 항균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US 5,662,913은 아크릴 폴리에테르 폴리머와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안정화되는 은염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한다. 더 나아가서, 은염의 음이온은 은 이온에 비하여 과량으로 존재한다. US 5,662,913의 안정화된 은염 착체는 발포체 구조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발명의 목적은 감염에 대한 보호를 위한 광안정 한, 방오성(non-staining) 항미생물성 금속 조성물을 제공하고, 폴리우레탄계 발포체 물건이 항미생물성이 되게하기 위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구조물로부터 은의 방출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WO 2004/007595는 제어된 방출 은 성분의 존재하에 제조된 가요성 셀구조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품을 개시한다. 구조물로부터 은의 방출은 일반적으로 느리며, 이것은 어떤 용도에서는 유리하나 다른 용도에서는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EP-A1-1 486 523 및 US 4,937,273은 둘 다 제올라이트 입자에 결합된 항균 은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련된다. 구조물로부터 은의 방출은 일반적으로 느리며, 이것은 어떤 용도에서는 유리하나 다른 용도에서는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WO 2002/062403은 원소의 주기율표의 IV족의 금속과 형성된 방출성 은 착체, 특히 은 지르코늄 염을 갖는 상처 드레싱의 제조를 개시한다. 본 출원의 청구항 1에서의 은염에 관한 것은 아무 것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EP-A-0 059 049는 은 술파디아진을 함유하는 상처 드레싱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청구항 1에서의 은염에 관한 것은 아무 것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다른 상처들은 은과 같은 항미생물제에 대해 다른 방출 패턴을 요한다. 그러나, 감염된 상처 및 쉽게 감염될 수 있는 상처에 대해서는, 다량의 항미생물성 은을 초기에 방출할 수 있고 장기간 동안 이러한 방출을 유지할 수 있는 드레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처 드레싱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a)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water phase)을 제공하는 단계;
b) 2 이상의 작용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수상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혼합하고, 결과된 혼합물을 바로 몰드 또는 연속 웹에 옮겨서, 이로써 발포체 구조물을 얻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발포체 구조물을, 10 %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8 % (wt) 이하, 그리고 여전히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wt)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가질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의 필수 특징은 단계 a)에서의 수상이 또한 은염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은염의 일부는 상기 수상에 분산되어 있다. 이 방법의 이점은 항미생물성 은 이온이 장기간 동안 유리한 방식으로 발포체로부터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은염은 황산은, 시트르산은, 아세트산은, 탄산은, 락트산은, 인산은, 또는 이들 염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나아가서, 혼합물을 단계 c)에 첨가하기 전에 상기 몰드 또는 연속 웹을 캐스팅지(casting paper)로 라이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스팅지는 건조 단계 d) 전에 제거한다.
촉매의 존재하에, 단계 d) 후에 얻어진 발포체 구조물의 한 표면에, 경화에 의해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을 형성하는 한가지 이상의 겔 형성 실리콘 성분을 첨가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백금 착체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30 내지 1000 ㎛의 기공 크기를 갖는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을 제공하며, 상기 구조물은 상기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 후의 발포체 구조물의 ㎠당 누적된 은 방출은 0.2 m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25 mg/㎠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 mg/㎠ 이상에 이른다. 더 나아가서, 72시간 후의 발포체 구조물의 ㎠당 누적된 은 방출은 바람직하게는 0.3 m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35 mg/㎠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40 mg/㎠ 이상에 이른다. 바람직하게는, 누적된 은 방출은 48시간 후에, 더 바람직하게는 96시간 후에,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시간 후에 0.80 mg/㎠ 이하에 이른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구조물의 항균성 특성은 직경 20 mm와 두께 5 mm인 상기 발포체의 원형 샘플이, 표준 방법 ASTM E 2149에 따라 35℃±2℃의 온도에서 10ml 세균 함유 자극된 상처 액[우태아 혈청과 펩톤 수(0.9%(wt) NaCl 및 0.5%(wt) 펩톤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1:1 용액]에 노출될 때, 생육성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세포의 양을 72 시간에 106에서부터 102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생육성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세포의 양을 120 시간에 106에서부터 102 미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은 방출 발포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을 제공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에 걸쳐 항균성 은 이온의 개선된 방출을 나타내는 항균성 및 친수성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 발포체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이다. 적합한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Hypol (등록상표) 발포체로 알려진 것들을 포함한다. Hypol 발포체는 Dow Chemicals가 시판하는 Hypol 친수성 프레폴리머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순응성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2 이상의 작용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계면활성제 및 물과 혼합하고 혼합물을 표면에 주조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에테르는 Dow Chemicals가 시판하는 Hypol FHP 2000, 2001, 3000, 3001, 2002 및 2000HD를 포함한다. Hypol은 W. R. Grace and Co.에 의해 발행된 소책자 "Hypol: 발포성 친수성 폴리머-실험실 과정 및 발포체 조제물"에 기술되어 있다. 그 제법 및 용도는 영국 특허 명세서 Nos. 1429711 및 1507232에 개시되어 있다.
순응성 친수성 폴리머 발포체를 형성하는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유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BASF Wyandotte가 시판하는 Pluronic (등록상표)으로 알려진 옥시프로필렌-옥시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Pluronic 계면활성제는 L65, F87, P38, P75 및 L62를 포함한다.
적합한 은의 공급원은 물에의 알맞은 용해도를 갖는 은염이다. 은염은 멸균 상태에서 안정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이 또한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물에의 알맞은 용해도를 갖는 은염은 낮은 수용해도를 갖는 은염과 혼합된다. 은염의 일부는 제조 공정의 동안에 수성 반응 혼합물에 분산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은염의 예들은 황산은, 시트르산은, 아세트산은, 탄산은, 락트산은, 인산은, 또는 이들 염의 혼합물의 군 내에서 발견된다.
전형적인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 100 중량부의 Hypol FHP 2000, 2001, 3000, 3001, 2002 또는 2000HD를 0.3 내지 7 중량부의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2 내지 9 중량부의 황산은과 같은 은염, 그리고 30 내지 300 중량부의 물과 혼합하고 발포 혼합물을 표면에 주조한다. 전형적인 발포 혼합물은 약 20-30 초의 크림 타임, 약 60-250 초의 부풀어오르는 시간, 그리고 약 400-800초의 경화 시간을 갖는다. 더욱이, 적합한 발포체 기공 크기는 30 내지 1000 ㎛로 다양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은 한 면에서 한가지 이상의 겔 형성 실리콘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실리콘 겔로 코팅하고 첨가된 실리콘이 경화에 의해 가교결합된 겔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성,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코팅으로서 사용된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은 그것의 인장강도, 침투성 및 박리강도에 의해 편리하게 특징지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인장강도"는 5 cm 폭, 3 mm 두께 스트립의 해당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에 (표준 Instron 테스터에 의해) 적용될 수 있는 최대 인장 하중을 의미한다.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은 여러가지 겔 형성 실리콘 성분들 및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서 반응성 기들을 갖는 선형 실리콘과 같은 본 분야에 공지된 것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겔은 백금 촉매와 같은 적합한 촉매의 존재하에 비닐 치환된 실리콘 성분과 하이드라이드-함유 실리콘 성분 간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사용된 겔 형성 실리콘 성분은 100 - 10000 mPas 범위 내의 점도, 350 내지 40,000 범위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예를 들어서 0.004 내지 0.4 mmoles 반응성 기/g를 가질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실리콘 성분들의 혼합물을 가교결합함으로써 실리콘 겔을 형성할 때, 여러가지 성분들의 분자량 및/또는 반응성 기에 의한 그것들의 치환 정도가 다를 수도 있다. 이것은 겔들이 단순히 성분들의 비율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형성될 다른 물리적 성질들을 갖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항균성,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가교결합된 실리콘을 형성하기 위한 성분들은 예를 들면 Wacker로부터 Wacker Silgel 612라는 이름 하에 입수가능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물은 발포된 재료의 시트를 한가지 이상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실리콘 성분들로 코팅한 다음 가교결합을 일으킴으로써 형성된다. 한 성분의 비닐기들을 다른 성분의 하이드라이드 기들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 겔들의 경우에, 이러한 경화는 일반적으로 5 내지 15 ppm의 농도의 백금 착체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겔은 실온에서 여러 날의 기간에 걸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고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실리콘 겔은 40℃ 내지 120℃의 온도 및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80℃의 온도에서, 경화는 일반적으로 10초 내지 10분, 예를 들면 1 내지 5분이 걸릴 것이다. 50℃의 온도에서, 경화는 일반적으로 10분 내지 2시간, 예를 들면 15분 내지 1시간이 걸릴 것이다.
화학적으로 적합한 겔(폴리디메틸 실록산 겔)-형성 실리콘 성분의 한가지 예는 백금 촉매된 2-성분 부가 경화 RTV 실리콘, 예를 들면 SilGel 612 (Wacker-Chemie GmbH, Burghausen, Germany), 및 MED-6340 (NuSil Technology, Carpinteria, USA)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해 놓이는 발포체 재료의 쪽으로 열려 있는 구멍들의 패턴를 포함하는 흡수성, 항균성 및 친수성 은 이온 함유 폴리우레탄 발포체 재료의 층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재료는 피부에 부착하는 소수성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 층의 코팅을 가지며, 발포체 재료에서 구멍들의 벽들은 드레싱을 사용할 때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해 놓이는 상기 벽들의 끝 부분들에서 겔로 피복된다.
액이 단지 약간 또는 보통의 양으로 삼출되는 상처를 위해서 의도한 제 1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발포체 구조물은 항균성 발포체 재료에서의 기공들로 이루어진 구멍 패턴을 갖는다.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이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겔은 또한 모든 기공들을 폐쇄하지 않고 겔 층에 접해 있는 발포체 재료의 개방 기공들 쪽으로 약간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재료는 사용시 착용자의 피부에서 먼 쪽에 놓이는 발포체 재료의 쪽에서 액체 불침투성 재료로 코팅된다.
착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의도된 쪽에 실리콘 겔 코팅을 갖는, 항균성 발포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드레싱은 피부 부착력 F1이 0.1- 2.0 N이고, 알맞게는 0.2-1.3 N이며, 바람직하게는 0.2-0.7 N이다.
제 1 구체예에서 실리콘 겔 층은 0.05-1.0 mm의 두께를 갖는다.
제 2 구체예에서 구멍들의 패턴은 겔 형성 실리콘 성분들의 혼합물 층에 발포체 재료를 놓기 전에 발포체 재료에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을 이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한 구체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드레싱 조각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 예시의 한가지 특징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실리콘 겔 코팅을 얻기 위해 발포체 구조물에 한가지 이상의 겔 형성 실리콘 성분을 도포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3은 은 함유 구조물로부터의 은 방출이 어떻게 측정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여기에 제공된 재료(샘플 A)를 두가지 시중 구입되는 은 발포체(WO 2002/062403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B와 US 5,681,575 및 US 5,837,275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C)와 비교하는 은 방출의 도표이다. 도 4A는 특정 시간 시점에서 방출된 은의 양을 나타내는 한편, 도 4B는 누적된 은 방출을 나타낸다.
도 5는 두가지의 다른 시중 구입되는 은 발포체 제품(WO 2002/062403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B와 US 5,681,575 및 US 5,837,275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C)과 비교한 여기 제공된 본 발명(샘플 A)의 지속된 항미생물 효과의 도표를 나타낸다. 도 5A는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며 도 5B는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두 세균 유형 모두에 대해, 여기 제공된 본 발명에 의해 얻은 항균 발포체는 참고용 샘플들보다 더 높은 항미생물, 즉 항균 효율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물을 함유하는 드레싱의 제조를 도시한다. 은 발포체의 제조를 나타내었다. 수상은 물, 황산은과 같은 은염,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도 6은 제조 공정을 기술한다.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를 조제 및 혼합 장치에서 계면활성제, 분산 및 용해된 은염을 함유하는 수상과 혼합한다. 반응 혼합물을 이어서 캐스팅지로 라이닝된 몰드 또는 연속 웹에 옮긴다. 중합 반응의 종결 후에, 주물로부터 캐스팅지를 제거하고 얻어진 발포체를 10 %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8 % (wt)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 % (wt) 이하의 수분함량으로 건조시킨다. 다음에 발포체를 층들 사이에 종이를 갖는 플라스틱 코어 위에서 밀어 펴고 포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는 드레싱 조각을 예시한다. 드레싱은 흡수성 발포체 재료(2)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드레싱을 사용할 때 착용자의 상처 또 는 피부에 인접하여 놓이는 쪽에서 겔 층(3)으로 코팅되어 있다. 도 1A에서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겔 층(3)은 겔 코팅된 쪽으로 열려 있는 발포체 재료에서의 개방 셀 또는 기공(4)의 벽의 일부라도 겔 코팅되어 있도록 배치된다. 겔 층(3)은 폐쇄되어 있지 않고, 상처에 면하는 발포체 재료의 기공들의 끝 부분에서 벽의 일부를 단지 덮고 있기 때문에, 과량의 상처 액이 발포체 재료(2)로 이끌려져서 흡수될 수 있다. 겔 층은 또한 발포체 재료가 착용자의 상처 또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 층을 형성한다. 전체 겔 층의 두께는 즉, 발포체 재료의 기공으로의 침투 깊이를 포함하는 두께는 0.1-2.0 mm이다. 상처에 면하는 발포체 재료에서의 기공들의 일부는 겔 층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건조한 외부 표면을 갖는 드레싱을 제공할 목적으로, 드레싱은 겔 층(3)의 반대쪽에 액체 불침투성 층(5)을 구비한다. 이 액체 불침투성 층(5)은 편리하게는 얇은 액체 불침투성인, 그러나 증기 투과성인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드레싱은 약간 내지 보통의 범위에 이르는 양으로 액을 삼출하는 상처에 사용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발포체 층은 1-10 mm, 바람직하게는 2-6 m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포체 재료는 흡수제로서 및 겔 캐리어로서 기능하며, 따라서 드레싱은 전체로서 매우 유연하고 나긋나긋할 것이다. 겔은 상처를 둘러싸서 피부에 부착하기 때문에, 드레싱은 제자리에 유지되면서 겔이 밀폐 기능을 수행하고 풀어짐(maceration)을 방지, 즉 상처 액이 건강한 피부에 흘러나오고 상피를 연화시켜 궁극적으로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겔 층 및 발 포체 재료의 개방 구조는 또한 피부에 호흡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점착성 겔의 성질은 드레싱을 고정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착제(glues), 예를 들어서 오늘날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또는 핫멜트 접착제의 성질과는 전적으로 다르다. 이들 접착제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겔 간의 상당한 차이는 겔이 상기 접착제 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더 양호한 "젖음성(wetting ability)"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겔이, 겔에 의해 제공된 것과 동등하게 효과적인 전체 접착을 달성하기 위해 더 단단한 접착제에 주어져야 하는 특이적 접착성 보다 훨씬 더 낮은 특이적 접착성, 즉 접촉 표면적 단위당 더 낮은 접착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물에 한가지 이상의 겔 형성 실리콘 성분들의 층을 적용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의 고도의 개략적 예시도이다. 예시된 장치는 도 2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플라스틱 필름(8)을 운반하는 콘베이어(도시않음)를 포함한다. 미경화된 겔 혼합물 층(9)은 필름(8) 위에 놓인다. 겔 혼합물은 서로 반응하여 가교결합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화 후에 겔을 형성하는 이들 성분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흡수성 발포체 재료의 층(10)은 롤러(11)의 도움으로 미경화된 겔 혼합물 층(9)에 도포되며, 층들(9 및 10)은 그 다음 오븐(12)으로 운반된다. 겔 혼합물은 오븐(12)을 통해 이동 중에 경화되며 발포체 재료의 아래쪽에서 겔 층을 형성한다.
한 가지 이상의 겔 형성 성분들과 그것들의 혼합 및 비율, 압력(F), 겔 혼합물의 양, 발포체 재료를 도포하는 것과 층들의 가열 사이의 시간, 경화 온도 등의 알맞은 선택으로, 발포체 재료 상에 불연속 겔 코팅을 형성하게 됨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겔 혼합물이 모세관 작용에 의해 겔 혼합물과 인접하여 놓이는 발포체 재료의 쪽에서 열려 있는 발포체 재료에서의 이들 기공 또는 구멍들로 이끌려지기 때문이다. 기공 이외의 구멍을 결핍하는 발포체 재료에 겔 형성 코팅을 적용할 때, 겔 혼합물은 발포체 재료의 아래쪽으로 열려있는 과도하게 많은 수의 기공들이 겔 코팅에 의해 막히거나 차단되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하도록 이러한 얇은 층에 도포되어야 한다. 겔 혼합물의 점도 및 발포체 재료에서의 기공들의 크기는 또한 혼합물이 기공들에 침투하는 경향에 영향을 준다. 겔 혼합물 층은 바람직하게는 0.05-1.00 mm의 두께로 도포되어야 함이 발견되었다. 더 큰 부분의 겔 혼합물 층이 발포체에 흡인되고, 이때 공기와 발포체를 포함하는 전체 겔 층은 0.10-2.00 mm의 두께를 가질 것이다.
항균 폴리우레탄 발포체 시트의 아래쪽을 코팅하는 상기 방법의 제 1 적용예에서, 80-150 kg/m3의 밀도 및 5 mm의 두께를 갖는 개방 셀의 유연한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시트가 사용되었다.
실리콘 혼합물은 1.0:0.9의 A-성분 및 B-성분 혼합비로 Wacker로부터 얻어진 SilGel 612로부터 제조되었다. 미경화된 혼합물은 약 1000 mPa의 점도를 가졌다.
폴리우레탄 시트는 롤러(11)로부터 압력(F)를 가하지 않고 0.2 mm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혼합물 위에 놓았다. 다시 말하면, 실리콘 혼합물은 발포체 시트의 중량에만 종속되었다. 발포체 재료(10) 및 아래쪽 실리콘 혼합물(9)을 롤러(11)로부 터 오븐(12)으로 운반하는데 걸린 시간은 1분이었고 경화 온도는 130 ℃이었다. 실리콘은 몇 분의 오븐 체류 시간 중에 경화하였다. 다음에 높은 증기 투과성 및 두께 0.025 mm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겔 코팅의 반대쪽 면에서 발포체에 견고히 접착 고정되었다. 이 혼합비로, 실리콘 겔은 16 mm의 침투 수치를 가졌고, 드레싱의 피부 부착력은 0.42 N으로 측정되었다. 이들 조건 하에서, 겔 혼합물 층은 발포체 재료 상에 적합한 불연속 겔 코팅을 얻도록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 mm의 두께를 갖게 됨이 발견되었다.
겔 혼합물 층의 두께가 0.4 mm보다 클 때, 발포체 재료에서의 과도하게 큰 백분률의 기공들이 차단되었고, 겔 코팅의 불충분한 투과력을 가져왔다.
전술한 바로부터, 도 2를 참고하여 기술된 방법을 수행할 때 목적 생성물의 품질은 많은 요인들에 의존하게 됨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 요인에 일반적인 제한 값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며, 이러한 제한 값들은 사용된 겔 혼합물 및 발포체 재료에 관하여 경험적으로 확립되어야 한다.
상기한 방법은 따라서 도 1을 참고하여 기술된 종류의 드레싱을 매우 쉽게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은 또한 매우 융통성이 있고, 원칙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및 같은 장치의 도움으로 서로 다른 흡수성의 드레싱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드레싱은 물론, 예를 들어서 산화에틸렌 멸균 또는 수증기 멸균에 의해 멸균될 수 있고, 멸균 포장 및 비멸균 포장 둘 다로 다른 유형의 상처들에 대해 다른 크기들로 제품생산이 의도된다. 그것들은 유연성 때문에 압박 붕대와 함께 사 용하기에 적합하며 물집, 다리 궤양 및 유사 상처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높은 가요성의 정도도 또한 그것들이 아픈 데 치유 과정의 나중 단계들에서도 무릎 아픔 및 팔꿈치 아픔과 같은 관절 아픔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드레싱은 또한 해당 아픈 데 또는 상처의 크기에 적합한 크기로 절단될 수도 있다.
상기한 예로든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특히 기술된 재료 및 적용된 공정 변수들에 관해서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제 첨부 실시예들에서 더 기술할 것이다.
실시예 1 :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
발포체-제조 공정을 위한 수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luronic F87, 황산은 및 활성탄을 용해/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수상 내의 이들 구성성분들의 최종 농도는 0.5 % (wt)의 Pluronic F87, 및 2.2 % (wt)의 황산은에 이르렀다. 용해된 황산은의 농도는 0.8 % (wt)에 이르렀고 황산은의 나머지는 수상에 분산되었다.
동시에, 캐스팅지로 라이닝된 몰드를 제조하였다. 몰드는 5 mm 두께의 시트로 형성된 발포체 주조물이 제조될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를 가졌다.
프레폴리머 Hypol 2001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을 실온에서 40 % (wt)의 양으로 조제 및 혼합 장치에서 수상에 첨가하였다. 결과된 혼합물을 주조 몰드에 바로 옮겼다. 발포는 30 초에 되었고, 그 다음 발포체를 10 분간 경화하였다. 경화 후에, 캐스팅지를 제거하고 발포체를 120℃의 온도에서 10 % (wt) 이하의 수분 함량으로 건조시켰다.(도 1 및 도 2 참조).
실시예 2: 발포체 재료의 흡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포체 제품의 샘플인, 샘플 A, 그리고 두가지 시중 구입되는 제품들, WO 2002/062403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B와 US 5681575(A) 및 US 5837275(A)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C를 6 × 6 cm 시험편으로 절단하고 칭량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을 과량의 수돗물에 침지하였다. 3시간 후에, 시험편들을 재칭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건조 중량(g) 습윤 중량(g) 흡수
(g/36㎠)
흡수
(g/㎠)
샘플 A 2.82 35.5 32.7 0.91
샘플 B 3.52 28.5 25.0 0.69
샘플 C 3.31 33.0 29.7 0.82
결과는 실시예 1의 제품(샘플 A)이 시중 구입되는 제품들 만큼 양호하거나 또는 약간 더 양호한 흡수 용량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은 방출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여기서 샘플 A로 언급한 재료, 그리고 두가지 시중 구입되는 제품들, WO 2002/062403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B와 US 5681575(A) 및 US 5837275(A)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C로부터 20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샘플들을 펀칭해 내었다. 도 3은 일부의 은 방출을 측정하는 장치, 즉 Falcon™ 6 웰 멀티웰(Multiwell) 장치(2) 그리고 대응하는 세포 배양물 인서트(4)(이들은 둘다 Becton Dickinson Labware 제)를 개시한다. 세포 배양물 인서트(4)의 바닥에서 확산 멤브레인을 제거하고 방수 폴리아미드 필름으로 대치하였다. 12 mm의 직경을 갖는 개구(6)를 바닥 필름으로부터 펀칭해 내었다. 건조한 샘플(10)을 개구(6)의 정상에서 세포 배양물 인서트(4)에 놓았다. 20 mm의 직경을 갖는 15g 무게의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든 추(12)를 샘플(10)의 정상에 배치하여 상기 샘플을 바닥 필름에 압착 고정시켰다.
정해진 양의 0.15 M NaNO3 수용액(이제부터 시험 용액(8)이라 함)을 다음의 계획안에 따라 Multiwell™ 장치(2)에 가하였다(표 2).
0시간 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20시간 144시간 168시간
3.5ml 1.5ml 1.5ml 1.5ml 1.5ml 1.5ml 1.5ml 1.5ml 0ml
세포 배양물 인서트(4)를 Multiwell™ 장치(2)에 놓고, 이로써 시험 용액(8)과 샘플(10) 간에 접촉할 수 있게 하였다. 2-구획 모델의 뚜껑을 덮었다. 각 샘플 채취 시간에, 샘플(10)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시험 용액을 수집하였다. 각 샘플 채취 시간에, 새로운 신선한 시험 용액을 깨끗한 Multiwell™ 장치에 가하였고, 여기에는 여전히 같은 견본(10)을 지니는 세포 배양물 인서트(4)가 놓였다. 모든 6개의 샘플을 전체 시험 동안에 3벌로 시험하였다. 각 샘플 채취 시간에 은의 방출된 양을 은 이온 전극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9053754333-pct00001
얻어진 결과를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제품은 1주일의 시험 기간 동안에 그것의 은 함량의 약 70%를 방출하였다. 가장 높은 방출 속도는 약 48시간 후에 얻어졌다.
실시예 4 항균 활성
항균 활성을 표준 방법 ASTM E 2149에 기초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유도된 것과 같은 은 발포체의 샘플들(직경 20mm)과 참고용 재료(WO 2002/062403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B와 US 5681575(A) 및 US 5837275(A)에 기술된 것과 같은 샘플 C 그리고 대조군 샘플, 즉 실시예 1에 기술된 것과 같으나 어떤 은 함량도 갖지 않는 발포체)를 세균(Staphylococcus aureus 또는 Pseudomonas aeruginosa)과 10ml의 자극된 상처 액(SWF), 즉 우태아 혈청과 펩톤 수(0.5% 펩톤을 갖는 0.9% NaCl)의 1:1 용액을 갖는 플라스크에 놓았다. 플라스크를 약 10초간 진탕한 후 플라스크를 35±2℃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제품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매 24 시간 후 마다 샘플들을 꺼내기를 8일까지 하였다. 샘플들에서 생육성 세포들의 수를 표준 플레이트 계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실험으로부터의 결과는 시험한 다른 제품보다 여기 제공된 은 발포체에 의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생육성 세포 수의 더 큰 감소를 나타낸다(도 5A 참조). Mepilex Ag에 의한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육성 세포 수의 감소도 또한 다른 제품들에 대한 것보다 더 컸다(도 5B 참조). 결과들을 또한 표 4A 및 표 4B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3754333-pct00002
Figure 112009053754333-pct00003
검출한계는 2.00 log CFU/ml이다.

Claims (10)

  1. a)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상(water phase)을 제공하는 단계;
    b) 2 이상의 작용성을 갖는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수상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말단 폴리에테르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바로 몰드에 옮겨서, 이로써 발포체 구조물을 얻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발포체 구조물을, 10 % (wt)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가질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a)에서의 수상이 또한 황산은, 시트르산은, 아세트산은, 탄산은, 락트산은, 인산은, 또는 이들 염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은염을 함유하며, 상기 은염의 일부는 상기 수상에 용해되어 있고, 상기 은염의 또 다른 부분은 상기 수상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d)는 상기 발포체 구조물을 8 % (wt)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가질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d)는 상기 발포체 구조물을 5 % (wt)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가질 때까지 건조시키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물을 단계 c)에 첨가하기 전에 상기 몰드를 캐스팅지로 라이닝하고, 상기 캐스팅지를 건조 단계 d) 전에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결합된 실리콘 겔을 단계 d) 후에 얻어진 발포체 구조물의 한 표면에 첨가하고, 그 후, 상기 겔을 촉매의 존재하에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백금 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0 내지 1000 ㎛의 기공 크기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은염을 함유하는 항균성 및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구조물.
  8. 제 7 항에 따르는 발포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
  9. 삭제
  10. 삭제
KR1020097018276A 2007-03-01 2008-02-13 은 함유 발포체 구조물 KR101433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04275A EP1964580B1 (en) 2007-03-01 2007-03-01 Silver-containing foam structure
EP07004275.9 2007-03-01
PCT/EP2008/001098 WO2008104276A1 (en) 2007-03-01 2008-02-13 Silver-containing foam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772A KR20090117772A (ko) 2009-11-12
KR101433058B1 true KR101433058B1 (ko) 2014-08-22

Family

ID=3851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276A KR101433058B1 (ko) 2007-03-01 2008-02-13 은 함유 발포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263100B2 (ko)
EP (1) EP1964580B1 (ko)
JP (1) JP5283636B2 (ko)
KR (1) KR101433058B1 (ko)
CN (1) CN101631572B (ko)
AT (1) ATE493156T1 (ko)
AU (1) AU2008221041B2 (ko)
BR (1) BRPI0808549B8 (ko)
CA (1) CA2678034C (ko)
DE (1) DE602007011564D1 (ko)
ES (1) ES2358684T3 (ko)
MX (1) MX2009008893A (ko)
PL (1) PL1964580T3 (ko)
WO (1) WO2008104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4867B1 (en) * 2007-02-23 2010-06-02 Mölnlycke Health Care AB Particle containing foam structure
US8597253B2 (en) 2007-04-20 2013-12-03 Bard Access Systems Huber needle with safety sheath
US8986270B2 (en) 2008-04-09 2015-03-24 Mölnlycke Health Care Ab Device for treatment of wound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wound pads
SE533167C2 (sv) * 2008-04-09 2010-07-13 Moelnlycke Health Care Ab Anordning för att behandla sår och sätt för att tillverka sårdynor
ITMI20090813A1 (it) * 2009-05-12 2010-11-13 Orsa Foam S P A Poliuretano espanso flessibile con sali d'argent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EP2253651A1 (en) * 2009-05-12 2010-11-24 Orsa Foam S.p.A. Flexible foamed polyurethane with micro-balls containing silver ions or activated carbon and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US8852639B2 (en) 2010-02-18 2014-10-07 Crest Foam Industries Antimicrobial foam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558132B1 (en) 2010-04-14 2020-10-14 Mölnlycke Health Care AB Antimicrobial gels
US20140066894A1 (en) 2010-09-10 2014-03-06 C. R. Bard, Inc. Self-Sealing Pad for a Needle-Based Infusion Set
US10525234B2 (en) 2010-09-10 2020-01-07 C. R. Bard, Inc. Antimicrobial/haemostatic interface pad for placement between percutaneously placed medical device and patient skin
CA2806393A1 (en) 2010-09-10 2012-03-15 C.R. Bard, Inc. Systems for isolation of a needle-based infusion set
GB201117458D0 (en) * 2011-10-10 2011-11-23 Univ London Queen Mary Antimicrobial polymer
ES2472116B1 (es) * 2012-12-27 2015-04-16 Asociación Empresarial De Investigación Centro Tecnológico Del Mueble Y La Madera De La Región De Murcia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espuma de poliuretano con propiedades antimicrobianas y espuma de poliuretano así obtenida
FI128215B (en) 2013-05-28 2019-12-31 Argenlab Global Ltd Low alcohol disinfection foam
KR101466589B1 (ko) * 2014-01-24 2014-12-01 조인셋 주식회사 전도성 탄성부재
CN104188759A (zh) * 2014-08-14 2014-12-10 浙江大学 异形泡沫敷贴
EP2995287A1 (en) * 2014-09-11 2016-03-16 Mölnlycke Health Care AB Medical dressing
EP2995324A1 (en) 2014-09-11 2016-03-16 Mölnlycke Health Care AB Medical dressing
CN104667334B (zh) * 2015-03-24 2016-10-05 深圳市源兴纳米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含复合银锌抗菌材料的泡沫敷料及其制备方法
JP6534273B2 (ja) * 2015-03-25 2019-06-26 株式会社J−ケミカル 抗菌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160126201A (ko) *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대웅제약 소염진통제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의 제조방법
GB201610184D0 (en) 2016-06-10 2016-07-27 Eumar Tech Ltd Product
DE102016008257A1 (de) 2016-07-08 2018-01-11 Carl Freudenberg Kg Hautauflage
GB201711183D0 (en) 2017-07-12 2017-08-23 Smith & Nephew Antimicrobial or wound care materials, devices and uses
GB201711179D0 (en) * 2017-07-12 2017-08-23 Smith & Nephew Wound care materials, devices and uses
GB201711181D0 (en) * 2017-07-12 2017-08-23 Smith & Nephew Polymer foam material, device and use
CN108355162B (zh) * 2018-05-14 2021-07-23 江西省科学院应用化学研究所 一种抗菌亲水性聚氨酯泡沫医用敷料
GB2579800B (en) * 2018-12-13 2021-11-03 Adv Med Solutions Ltd Resilient wound dressing
CN111001029B (zh) * 2019-12-31 2022-01-04 泰州市榕兴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泡沫敷料及其制备方法
CN111349918A (zh) * 2020-03-09 2020-06-30 广东四维新材料有限公司 一种泡沫银的制造方法及工艺应用
WO2021201792A1 (en) * 2020-04-02 2021-10-07 Safaş Saf Plasti̇k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composite material formed by using boron during production of a polyurethane base material
EP4201436B1 (en) 2021-12-22 2024-05-01 Mölnlycke Health Care AB A polyurethane foam for use in a wound p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9049A1 (en) * 1981-02-13 1982-09-01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US5662913A (en) * 1991-04-10 1997-09-02 Capelli; Christopher C.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eful for medical applications
WO1997042985A1 (en) 1996-05-14 1997-11-20 SCA Mölnlycke AB Wound dres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2062403A1 (en) 2001-02-08 2002-08-15 Coloplast A/S A medical dressing comprising an antimicrobial silver compoun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6638A (en) * 1968-11-08 1970-10-27 Uniroyal Inc Breathable films of organic plastic material containing incompatible thermoplastic resin particles incorporated therein
CA1042600A (en) 1972-05-03 1978-11-14 Louis L. Wood Crosslinked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s
US4137200A (en) * 1973-10-09 1979-01-30 W. R. Grace & Co. Crosslinked hydrophilic foams and method
JPS51139900A (en) 1975-05-15 1976-12-02 Grace W R & Co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 like natural sponge
US4242466A (en) * 1979-01-16 1980-12-30 Union Carbide Corporation Polyurethanes and their preparation
JP2813693B2 (ja) * 1987-12-16 1998-10-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抗菌性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GB9102089D0 (en) 1991-01-31 1991-03-13 Johnson & Johnson Medical Net wound dressings
US5681575A (en) 1992-05-19 1997-10-28 Westaim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coating for medical devices
GEP20002074B (en) 1992-05-19 2000-05-10 Westaim Tech Inc Ca Modified Material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GB9713023D0 (en) * 1997-06-20 1997-08-27 Reckitt & Colmann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leansing of surfaces
US6605751B1 (en) * 1997-11-14 2003-08-12 Acrymed Silver-containing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CA2486057A1 (en) * 2002-05-16 2003-11-27 Ferris Pharmaceuticals, Inc. Hydrophilic foam composition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WO2004007595A1 (en) * 2002-07-11 2004-01-22 Lendell Manufacturing, Inc. Antimicrobial polyurethane foam
US20060234899A1 (en) * 2003-03-05 2006-10-19 H.H. Brown Shoe Technologies Inc. D/B/A Dicon Technologies Hydrophilic polyurethane foam articles comprising an antimicrobial compound
EP1486523A1 (en) * 2003-06-03 2004-12-15 Luisi & Clement GmbH Antimicrobial polyurethane flexible foam
US7118761B2 (en) * 2003-08-14 2006-10-10 Canada T Andrew Method for producing a silver-containing wound care device
US20050123621A1 (en) * 2003-12-05 2005-06-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ver coa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1018533B (zh) * 2004-07-26 2010-04-14 凯希特许有限公司 以抗菌剂涂覆基质的方法及由其形成的产品
DE102004061406A1 (de) * 2004-12-21 2006-07-06 Bayer Innovation Gmbh Infektionsresistente Polyurethanschäum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in antiseptisch ausgestatteten Wundauflagen
EP1964867B1 (en) 2007-02-23 2010-06-02 Mölnlycke Health Care AB Particle containing foam structure
SE533167C2 (sv) 2008-04-09 2010-07-13 Moelnlycke Health Care Ab Anordning för att behandla sår och sätt för att tillverka sårdyn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9049A1 (en) * 1981-02-13 1982-09-01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US5662913A (en) * 1991-04-10 1997-09-02 Capelli; Christopher C.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eful for medical applications
WO1997042985A1 (en) 1996-05-14 1997-11-20 SCA Mölnlycke AB Wound dres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2062403A1 (en) 2001-02-08 2002-08-15 Coloplast A/S A medical dressing comprising an antimicrobial silver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964580T3 (pl) 2011-05-31
CN101631572A (zh) 2010-01-20
WO2008104276A8 (en) 2009-03-26
MX2009008893A (es) 2009-08-28
ATE493156T1 (de) 2011-01-15
BRPI0808549B8 (pt) 2021-06-22
BRPI0808549B1 (pt) 2018-06-05
BRPI0808549A2 (pt) 2014-08-19
AU2008221041B2 (en) 2012-12-20
WO2008104276A1 (en) 2008-09-04
EP1964580B1 (en) 2010-12-29
DE602007011564D1 (de) 2011-02-10
CA2678034A1 (en) 2008-09-04
AU2008221041A1 (en) 2008-09-04
ES2358684T3 (es) 2011-05-12
US8263100B2 (en) 2012-09-11
JP5283636B2 (ja) 2013-09-04
CN101631572B (zh) 2013-03-20
KR20090117772A (ko) 2009-11-12
JP2010520313A (ja) 2010-06-10
US20100196501A1 (en) 2010-08-05
EP1964580A1 (en) 2008-09-03
CA2678034C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58B1 (ko) 은 함유 발포체 구조물
KR101460065B1 (ko) 입자 함유 발포체 구조물
EP2393524B1 (en)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JP2010518949A5 (ko)
EP2995324A1 (en) Medical dressing
JP2020522294A (ja) 創傷治療におけるフォーム
WO2016038111A1 (en) Medical dressing
JP2011526176A (ja) 創傷被覆材
EP0335669A2 (en) Hydrophilic foam compositions
Cho et al. Hyaluronic acid and silver sulfadiazine-impregnated polyurethane foams for wound dressing application
CN116672488A (zh) 一种含铋烧伤敷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