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785B1 - 차량 시트용 피팅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피팅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785B1
KR101432785B1 KR1020137013426A KR20137013426A KR101432785B1 KR 101432785 B1 KR101432785 B1 KR 101432785B1 KR 1020137013426 A KR1020137013426 A KR 1020137013426A KR 20137013426 A KR20137013426 A KR 20137013426A KR 101432785 B1 KR101432785 B1 KR 10143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fitting
support surface
fittings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158A (ko
Inventor
마르틴 슈틸레케
조니 무시안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9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특히 자동차 시트용 피팅(10)에 관한 것이며, 이는 제 1 피팅 부분(11) 및 제 2 피팅 부분(12)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링 기어(17) 및 상기 링 기어(17)와 맞물리는 기어 휠(16)에 의해 서로 기어 연결되고, 구동부(21)에 의해 구동되고 기어 휠(16) 및 링 기어(17)의 상대 구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27, 27)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1)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상의 캠 및/또는 상기 캠(27, 27) 내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되고, 상기 칼라(19)는 그의 자유 단부 상에 플랜지(19b)를 갖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 면은 구동부(21)를 위한 축방향 지지 표면(19f)을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9b)는 지지 표면(19f) 내에 그루브(19g)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피팅 및 그의 제조 방법 {FITTING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차량 시트용 피팅(fitting) 및 청구항 제 13 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피팅이 DE 20 2010 012 621 U1 으로부터 공지된다. 2 개의 웨지 조각들을 갖는 편심부가 제 2 피팅 부분의 칼라 상에 지지된다. 편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허브에 의해 칼라 내에 장착되며 칼라의 단부 표면 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지지 표면의 형태인 칼라 단부 표면은 DE 20 2010 012 621 U1 의 도 4 에 있는 칼라의 벽 두께보다 더 크게 나타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칼라 드로잉에 대하여 공지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충분히 큰 지지 표면이 만족스러운 품질로 제조될 수 없는 것이 나타나 있다. 지지 표면은 주름지게 되고 재료 테이퍼링(tapering)이 지지 표면의 에지 구역에서 발생되고, 따라서 구동부는 적절하게 지지될 수 없으며 지지 표면 상에 평탄한 방식으로 받쳐지지 않는다.
DE 101 070 109 A1 은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플랜지를 갖는 롤링된 베어링 부싱들 내의 충격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방법을 기재한다. 반경 방향으로 상기 베어링 부싱들의 플랜지 안으로 놓이는 오목부들의 도입은 충격 개구가 폐쇄되도록 둘레 방향으로 재료를 변위시킨다. 베어링 부싱을 롤링하기 위한 방법은 제조에 관하여 칼라 드로잉과 관련되지 않고 칼라 드로잉으로 이전 가능하지도 않다. 게다가, 플랜지의 둘레 방향으로의 재료의 변위는 칼라 형성들의 경우에 단부 표면 내의 다른 주름을 유도할 것이다.
DE 10 2004 015 977 A1 으로부터 롤링된 평면 베어링 부싱들의 플랜지 표면들의 외부 및/또는 내부 에지 상에 베벨(bevel)을 스탬핑하는 것이 공지된다. 플랜지 표면의 베벨들 때문에, 재료가 반경 방향으로 외부 구역으로부터 변위되고 결과로 지지 표면이 감소되는 것은 불리하다.
본 발명은 최초에 언급된 타입의 피팅을 개선하는 목적, 특히 지지 표면의 내경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지지 표면의 품질의 최적화하는 목적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갖는 피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개량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요지이다.
대형 지지 표면에 대하여, 칼라는, 칼라의 드로잉 이후에, 재료의 반경 방향 변위에 의한, 선택적으로는 추가적으로는 축방향 압축에 의한 칼라의 자유 단부의 변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다. 재료의 반경 방향 변위를 개선하기 위해, 그루브(groove)가 지지 표면 내에 형성된다. 그루브의 형성에 의해 변위되는 재료는 플랜지, 즉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구역을 강화하고, 칼라의 "코너", 즉 단부 측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 에지에서의 재료의 다시 채움(back filling)을 개선한다.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해, 대응 공구가 비드(bead)를 갖는다. 비드의 적어도 몇몇 부분들이 둘레 방향으로 뻗어있고, 따라서 그루브는 지지 표면 내의, 즉 플랜지의 구역 내의 칼라의 재료 내의 비드의 자국(impression)의 형태이다. 칼라의 조정(calibrating) 동안 재료의 잠재적인 겹침이 비드의 사용에 의해 회피된다.
그루브는 바람직하게는 0.5 ㎜ +/- 0.2 ㎜ 의 깊이를 갖는다. 이러한 깊이는 지지 표면에 과도한 응력들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구역들 안으로 재료를 충분히 변위시키기 위하여 피팅들의 칼라 형성들에 대하여 충분히 입증되었다.
그루브가 지지 표면의 외부 에지보다 내부 에지에 더 근접하여 지지 표면 내에 놓인다면 피팅들의 편평한 지지 표면들의 제조를 위하여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들의 차량 시트들의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지만, 다른 목적들을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수정될 수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피팅을 통하는 축방향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구동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차량 시트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피팅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칼라의 드로잉 이후 및 플랜지의 형성 이전의 도 4 의 확대된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은 플랜지의 형성 동안 도 4 의 확대된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및
도 7 은 플랜지의 형성 이후 도 4 의 확대된 상세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동차용 차량 시트(1)는 시트 부분(3) 및 등받이(4)를 갖고, 등받이(4)의 경사는 시트 부분(3)에 대하여 조정 가능하다. 등받이(4)의 경사 조정을 위하여, 시트 부분(3)과 등받이(4) 사이의 천이 구역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구동 샤프트(7)가 수동으로, 예컨대 손잡이 휠(5)에 의해, 또는 모터에 의해,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차량 시트(1)의 양측들 상에, 구동 샤프트(7)는 공동(conjoint) 회전을 위해 각각의 피팅(10)들에 맞물린다. 구동 샤프트(7)는 축선(A) 및 이하에서 사용되는 원통형 좌표계의 방향 세부사항들을 규정한다. 원통형 좌표계들의 경우에, 반경 방향이 축선(A)에 수직인 것이 관례적이다.
피팅(10)은 제 1 피팅 부분(11) 및 제 2 피팅 부분(12)을 가지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은 각각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대략 내접될 수 있다.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은 금속, 특히 강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몇몇 구역들에서 경화될 수 있다.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들을 흡수하기 위해, 즉 피팅 부분(11 및 12)들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잠금 링(clasping ring, 13)이 제공된다. 이러한 잠금 링에 의한 함께 유지하는(holding-together) 작용의 원리는, 예컨대 US 6,799,806 B2 에 설명된다. 잠금 링(13)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경화되지 않는, 특히 강으로 이루어진다. 잠금 링(13)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링 형상을 갖는다.
잠금 링(13)은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 중 하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본 경우에는, 예컨대 제 1 피팅 부분(11)의 외부 에지 부분 내에 용접되거나, 또는 크림프된다(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둘레 방향으로). 잠금 링(13)은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하는 에지에 의해, 선택적으로는 잠금 링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분리 슬라이딩 링의 개입에 의해,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의 상대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즉, 피팅 부분의 반경 방향 외부 에지에서)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 중 다른 하나를 통해서 맞물린다. 게다가,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의 상호적으로 향하는 내부 표면들은 이물질들의 침투에 대하여 그리고 오염(soiling)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잠금 링(13) 및 이 잠금 링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피팅 부분(11 또는 12)은 따라서 이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 중 다른 하나를 잠금한다. 구조에 대하여,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은 따라서 함께 디스크 형상 유닛을 형성한다(잠금 링(13)과 함께).
피팅(10)의 설치에 의해, 제 1 피팅 부분(11)은, 예컨대 등받이(4)의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즉 등받이 상에 장착된다. 제 2 피팅 부분(12)은 그 후 시트 부분(3)의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즉 시트 부분 상에 장착된다. 피팅 부분(11 및 12)들의 상기 배정들은 피팅(10)과 등받이 측 지주로서 비교적 얇은 등받이 플레이트 사이의 체결 지점들의 반경 방향 거리들이 가능한 한 크도록 의도된다면 바람직하다. 하지만, 피팅 부분(11 및 12)들의 배정들은 또한 교환될 수 있다. 즉 제 1 피팅 부분(11)은 그 후 시트 부분 상에 장착되고 제 2 피팅 부분(12)은 등받이 상에 장착될 것이다. 피팅(10)은 따라서 등받이(4)와 시트 부분(3) 사이의 힘 흐름에 놓인다.
피팅(10)은, 제 1 피팅 부분(11)과 제 2 피팅 부분(12)이 조정 및 고정을 위한 기어 장치에 의해, 더 정밀하게는, 예컨대, DE 44 36 101 A1 에 설명된 것과 같은, - 본 경우 자가 차단 - 편심 유성 기어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기어형 피팅으로서 디자인된다.
기어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적 치형 기어 휠(16)이 제 2 피팅 부분(12) 상에 형성되고 내부 치형 링(17)이 제 1 피팅 부분(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 휠 및 치형 링은 서로 맞물린다. 기어 휠(16)의 외부 치형의 이끝원(addendum circle)의 직경은 치형 링(17)의 내부 치형의 이뿌리원(dedendum circle)의 직경보다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 높이만큼 더 작다. 하나 이상의 치형부의 치형 링(17)과 기어 휠(16)의 치형부들의 개수의 대응하는 차이가 기어 휠(16) 상의 치형 링(17)의 구름 운동을 허락한다. 기어 휠(16) 및 치형 링(17)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스탬핑 및 펀칭 작업에 의해 형성되고, 이 작업은 동시에 그의 시작 재료에서 피팅 부분(11 및 12)들을 펀칭한다. 대안으로서, 피팅 부분(11 및 12)들은 고체 변형(바람직하게는 냉간 압출 또는 열간 압출)에 의해 - 유사한 기하학적 형상들 및 동일한 기능들을 가지고 - 제조될 수 있다. 본 경우에, 기어 휠(16)은 제 2 피팅 부분(12)의 반경 방향 외부 에지를 형성한다. 즉 제 2 피팅 부분(12)은 기어 휠(16)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외측 상에서 끝난다.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 중 하나, 본 경우에 제 2 피팅 부분(12)은 기어 휠(16)에 대하여 동심으로 칼라(19)를 갖는다. 칼라(19)는 상기 피팅 부분 상의 칼라 형성부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즉 단일 부품으로 형성됨) 또는 별개의 슬리브로서 상기 피팅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구동부(21)가 허브(22)에 의해 칼라(1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부(21)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구동부(21)의 허브(22)에는 구동 샤프트(7)를 수용하기 위해 보어(23)가 중앙적으로 제공된다. 보어(23)의 프로파일은 구동 샤프트(7)의 프로파일에 매치하도록 형성되며, 본 경우에 스플라인을 형성한다. 그의 허브(22)에 이어서, 구동부(21)는 허브(22)를 갖는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허브(2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커버링 디스크(25)를 갖는다.
2 개의 웨지 조각(27)들이 칼라(19) 상에 - 웨지 조각의 곡선 내부 표면들에 의해 - 지지되고, 상기 웨지 조각들은 - 웨지 조각의 곡선 외부 표면들에 의해 -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 중 다른 하나, 본 경우에 제 1 피팅 부분(11)을 수반한다. 이를 위해, 마지막에 언급된 피팅 부분 내의 용기가, 바람직하게는 비회전식으로 프레스되고 이에 대하여 웨지 조각(27)들의 외부 표면들이 받쳐지는 평탄한 베어링 부싱(28)에 의해 정렬된다. 용어들 "지지" 및 "수반" 은 피팅(10)을 통한 힘 흐름의 특정한 방향을 제한하려는 의도를 갖지 않는데, 상기 방향은 피팅(10)의 설치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구동부(21)는 - 허브(2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 구동부 조각(29)을 갖고 이 구동부 조각은 웨지 조각(27)들의 좁은 측면들 사이에 여유를 가지고 유지되고 커버링 디스크(25) 및 허브(22)를 갖는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넓은 측면들이 서로를 향하는, 웨지 조각(27)들 각각은 오메가 형상 스프링(35)의 각이진 단부 핑거부(35a)를, 예컨대 각각의 개구 또는 재료의 돌출 부분들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에 의해 각각 수용한다. 스프링(35)은 특히 상기 웨지 조각들을 떨어지게 밀기 위해 웨지 조각(27)들 상에서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고, 작업 동안, 웨지 조각(27)들의 넓은 측면들은 서로 터치하고 서로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구동부(21)는 칼라(19)를 갖는 피팅 부분의 외부 측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클립 결합되는 고착 링(43)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착된다. 고착 링(43)은 허브(22)가 칼라(19)의 내부 측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받쳐지지 않고 오히려 고착 링(43)의 개입에 의해 칼라(19)에 장착되도록(그리고, 그 결과, 구동부(21)가 제 2 피팅 부분(12) 상에 장착되도록) 허브(22)의 부분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평탄한 베어링 부싱(28)을 갖는 피팅 부분의 외부 측면 상에(본 경우 제 1 피팅 부분(11)), 예컨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시일링 링(44)이 커버링 디스크(25)와 상기 피팅 부분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 에지 사이에 제공되고 커버링 디스크(25)에 연결, 특히 클립 결합된다. 시일링 링(44)은 또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피팅 부분(11)에 고정적으로 연결, 예컨대 용접될 수 있고, 커버링 디스크(25)는 그 후 시일링 링(4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분리 링(45)이 내부 시일로서 2 개의 피팅 부분(11 및 12)들 사이의 구조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분리 링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웨지 조각(27)들(및 스프링(35))은, 편심 방향의 연장부로서, 기어 휠(16)을 치형 링(17)으로 맞물림 지점에서 프레스하는 편심부를 형성한다. (여러 배의)회전 구동 샤프트(7)에 의한 구동 동안, 토크가 먼저 구동부(21)에 전달되고, 구동부 조각(29)에 의해 그 후 편심부에 전달되며, 이 편심부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편심 방향으로 변위하고 따라서 치형 링(17) 내의 기어 휠(16)의 맞물림 지점을 변위시키는 평탄한 베어링 부싱(28)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이는 요동하는 구름 운동의 형태로, 즉 중첩되는 요동 운동에 의한 상대 회전으로서 나타내어진다. 그 결과, 등받이(4)의 경사는 복수의 사용 위치들 사이에서 무단차식으로(steplessly) 조정 가능하다.
동역학적 작업 거동을 개선하기 위해, 예컨대, DE 195 48 809 C1 에 기재된 것과 같은 차단 스프링(51)이 바람직하게는 차단 요소로서 또한 제공된다. 본 경우에, 차단 스프링(51)은 제 1 피팅 부분(11) 상에 다른 치형 링으로서 형성되는 치형부(55)와 상호 작용한다. 차단 스프링(51) -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베어링 부싱(28)의 축방향 초과 길이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 은 각각의 경우에 비구동 상태의 웨지 조각(27)들을 차단하고(단부 핑거부(35a)들에 대하여 받쳐짐으로써 스프링(35)을 차단하는 차단 스프링(51)에 의해) 구동된 구동부(21)에 의해 릴리즈된다.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상의 구동부(21)(및 고착 링(43)의 반경 방향 수반과 별개로, 칼라(19)의 지지 표면(19f) 상의 구동부(21)의 축방향 지지부가 또한 제공된다. 칼라(19)는 중공 실린더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데, 특히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하는)플랜지(19b) 때문이며, 축방향으로 향하는 플랜지의 단부 표면은 칼라(19)의 축방향 지지 표면(19f)을 형성한다. 그 결과, 칼라(19)의 기본 실린더의 내부 표면(19i)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 표면(19f)은 칼라(19)의 중앙 횡단면 영역보다 더 크다. 구동부(21)는 지지 표면(19f)에 매치되고, 본 경우에 허브(22) 주위에 뻗어있는 단차부의 축방향으로 향하는 단부 측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접촉 표면을 갖는다. 구동부 조각(29)의 구역에서, 상기 접촉 표면은 구동부 조각(29)의 반경 방향으로 내부 플랭크까지 도달한다.
제 2 피팅 부분(12)의 제조 동안, 칼라(19)에서 지지 표면(19f)을 칼라(19)의 중앙 횡단면 영역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 플랜지(19b)와 그의 지지 표면(19f)을 칼라(19)의 원통형 내부 표면(19i)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제 1 단계에서, 칼라(19)는 드로잉되고, 그 이후 칼라(19)의 자유 단부(19e)는 감소하는 재료 두께를 가지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향하는)깔때기 형상으로 존재한다(도 5). 제 2 단계에서, 칼라(19)의 자유 단부(19e)는 그 후 복수의 공구(W1, W2, W3, W4)들에 의해 변형되고(도 6), 본 경우에, 재료는 플랜지(19b)가 형성될 때까지 변위된다(도 7). 프로세스 내에서, 제 1 공구(W1)는 자유 단부(19e)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공구(W2)는 칼라(19)의 다른 단부를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부터 이동되고, 제 3 공구(W3)는 미세하게 제 2 피팅 부분(12)을 향하여, 또한 미세하게 제 2 피팅 부분을 칼라(19)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이동되고, 제 4 공구(W4)는 제 3 공구(W3)에 대한 대응 부분 및 고정적 홀더의 역할을 한다.
재료를 더 양호하게 변위시키기 위해, 제 1 공구(W1)의 단부 측은 환형 비드(w)를 갖고 이 환형 비드는 연속적으로 또는 끊어져서, 즉 적어도 몇몇 부분들에서,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다. 비드(w)는 드로잉된 칼라(19)의 반경 방향 내부 벽(도 5 의 정상부에 놓인 벽)과 대략 정렬되고 공구(W)의 이동 방향으로 유도한다. 제 2 단계에서, 비드(w)는 따라서, 상기 비드의 측면들에 대하여 위치되는 제 1 공구(W1)의 다른 구역들 직전에, 칼라(19)의 자유 단부(19e)의 재료와 접촉하게 된다. 제 1 공구(W1)의 추가의 이동 시에, 칼라(19)의 자유 단부(19e)의 재료가 제 2 공구(W2)와의 상호 작용으로 제 1 공구(W1)에 의해 (축방향으로)압축될 때, 비드(w)는 제 1 공구(W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횡으로(즉 축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즉 반경 방향으로 내측 및 외측으로(예컨대, 각각의 경우 대략 절반 만큼), 비드와 접촉하는, 칼라(19)의 자유 단부(19e)의 재료를 변위시킨다. 이러한 경우, 그루브(19g)가 지지 표면(19f) 내에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19g)는 비드(w)의 자국으로서 발생되고 그루브의 적어도 몇몇 부분들은 비드(w)에 대응하는 둘레 방향으로 뻗어있다. 비드(w)에 의한 재료의 변위는, 특히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플랜지(19b)의 형성을 개선하고, 플랜지(19b)는 그 후, 비드(w)의 측면들에 대하여 놓이는 제 1 공구(W1)의 이러한 구역들에 의해 또한 명확하게 형성된다.
연속적으로 에워싸는 그루브(19g)는 지지 표면(19f)의 내부 에지로부터 등거리로 뻗어있고, 본 경우에, 0.5 ㎜ +/- 0.2 ㎜ 의 깊이를 갖는다. 하지만, 원리적으로 다른 그루브 깊이들이 또한 가능하고; 더 큰 깊이가 본 발명을 도시하기 위해 도면들에 도시된다.
본 경우에, 지지 표면(19f)은 21 ㎜ +/- 1 ㎜ 의 외경 및 13 ㎜ +/- 1 ㎜ 의 내경을 갖고, 그루브(19g)는 16 ㎜ +/- 1 ㎜ 의 직경을 갖는 원 상에 놓인다. 플랜지(19b) 때문에, 칼라(19)의 벽 두께는 그의 축방향 크기에 걸쳐 변한다. 칼라(19)의 최소 벽 두께는 2.7 ㎜ +/- 0.5 ㎜ 이다.
1 차량 시트
3 시트 부분
4 등받이
5 손잡이 휠
7 구동 샤프트
10 피팅
11 제 1 피팅 부분
12 제 2 피팅 부분
13 잠금 링
16 기어 휠
17 치형 링
19 칼라
19b 플랜지
19e 자유 단부
19f 지지 표면
19g 그루브
19i 내부 표면
21 구동부
22 허브
23 보어
25 커버링 디스크
27 웨지 조각
28 평탄한 베어링 부싱
29 구동부 조각
35 스프링
35a 단부 핑거부
43 고착 링
44 시일링 링
45 분리 링
51 차단 링
55 치형부
A 축선
w 비드
W1 제 1 공구
W2 제 2 공구
W3 제 3 공구
W4 제 4 공구

Claims (15)

  1. a)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치형 링(17) 및 상기 치형 링(17)과 맞물리는 기어 휠(16)에 의해 서로 기어 연결되는 제 1 피팅 부분(11) 및 제 2 피팅 부분(12)을 포함하며,
    b) 구동부(21)에 의해 구동되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 휠(16) 및 치형 링(17)의 상대 구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해 의도되는 편심부(2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1)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내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되거나, 상기 편심부(27)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21)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내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되고 상기 편심부(27)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상에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칼라(19)의 자유 단부는 플랜지(19b)를 갖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 측은 구동부(21)를 위한 축방향 지지 표면(19f)을 형성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에 있어서,
    c) 상기 플랜지(19b)는 지지 표면(19f) 내에 그루브(19g)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9b)는 공구(W1, W2, W3, W4)에 의해 칼라(19)의 자유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9b)는 공구(W1, W2, W3, W4)의 비드(w)에 의한 재료의 반경 방향 변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9g)의 적어도 몇몇 부분들은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9g)는 연속적으로 에워싸는 방식으로 그리고 지지 표면(19f)의 내부 에지로부터 등거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9g)는 지지 표면(19f)의 외부 에지보다 내부 에지에 더 근접한 지지 표면(19f)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9g)는 0.5 ㎜ +/- 0.2 ㎜ 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19f)은 21 ㎜ +/- 1 ㎜ 의 외경 및 13 ㎜ +/- 1 ㎜ 의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9g)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그루브의 형태로 16 ㎜ +/- 1 ㎜ 의 직경을 갖는 원 상에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의 지지 표면(19f)은 칼라(19)의 원통형 내부 표면(19i)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19g)는 비드(w)의 자국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2. 제 1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피팅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로서,
    시트 부분(3)은 2 개의 피팅 부분(11, 12)들 중 하나에 연결되고, 등받이(4)는 2 개의 피팅 부분(11, 12)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는,
    차량 시트.
  13.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치형 링(17) 및 상기 치형 링(17)과 맞물리는 기어 휠(16)에 의해 서로 기어 연결되는 제 1 피팅 부분(11) 및 제 2 피팅 부분(12)을 포함하며,
    구동부(21)에 의해 구동되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며 기어 휠(16) 및 치형 링(17)의 상대 구름 운동을 구동시키기 위해 의도되는 편심부(27)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1)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내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되거나, 상기 편심부(27)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구동부(21)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내에 여유를 가지고 장착되고 상기 편심부(27)는 제 2 피팅 부분(12)의 칼라(19) 상에 장착되며, 그리고
    상기 칼라(19)의 자유 단부는 플랜지(19b)를 갖고, 상기 플랜지의 단부 측은 구동부(21)를 위한 축방향 지지 표면(19f)을 형성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9b)를 갖는 칼라의 형성 동안, 먼저 칼라(19)가 드로잉되고, 그 후 칼라(19)의 자유 단부의 재료가 지지 표면(19f)을 갖는 플랜지(19b)를 형성하기 위해 공구(W1, W2, W3, W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W1, W2, W3, W4)는 칼라(19)의 자유 단부의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비드(w)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w)는 지지 표면(19f) 내에 그루브(19g)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의 제조 방법.
KR1020137013426A 2011-02-14 2012-02-09 차량 시트용 피팅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32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12076 DE102011012076B4 (de) 2011-02-14 2011-02-14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schlags
DE102011012076.9 2011-02-14
PCT/EP2012/000583 WO2012110213A2 (de) 2011-02-14 2012-02-09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158A KR20130099158A (ko) 2013-09-05
KR101432785B1 true KR101432785B1 (ko) 2014-08-21

Family

ID=4560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426A KR101432785B1 (ko) 2011-02-14 2012-02-09 차량 시트용 피팅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14737B2 (ko)
EP (1) EP2675656B1 (ko)
JP (1) JP5945547B2 (ko)
KR (1) KR101432785B1 (ko)
CN (1) CN103237681B (ko)
DE (1) DE102011012076B4 (ko)
WO (1) WO20121102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2912B1 (fr) * 2012-07-03 2014-07-11 Renault Sa Dispositif d'inclinaison de dossier de siege
FR3006637B1 (fr) * 2013-06-10 2015-07-17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DE102013220659B4 (de) 2013-10-14 2024-03-07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14208852C5 (de) 2014-03-07 2023-03-09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Doppel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7216521B4 (de) 2016-09-28 2021-07-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Anschlag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DE102017223537A1 (de) 2017-12-21 2019-06-27 Adient Aerospace Llc Sitzeinheit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luftfahrzeug
DE102019111595A1 (de) 2019-05-06 2020-11-12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Doppel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22119563B3 (de) 2022-03-22 2023-07-06 Adient Us Llc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7109A1 (de) * 2001-02-14 2002-10-10 Federal Mogul Wiesbaden Gmbh Bundbuch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Biegewerkzeug zur Herstellung von Bunden an einer Buchse
US20050231015A1 (en) * 2004-03-26 2005-10-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Inclination adjustment device with freely pivoting device for the back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DE202010012621U1 (de) * 2010-03-22 2011-01-1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719A (ja) * 1984-07-26 1986-02-17 Daido Metal Kogyo Kk つば付ブシユ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33728A (ja) 1990-05-25 1992-02-05 Toshiba Corp バーリング加工方法
DE4436101C5 (de) * 1993-11-30 2008-12-11 Keiper Gmbh & Co.Kg Lehneneinstellbeschlag für Sitze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19548809C1 (de) * 1995-12-27 1997-05-22 Keiper Recaro Gmbh Co Ver- und Feststelleinrichtung für Sitze, wie Kraftfahrzeugsitze, zur Verstellung der Rückenlehne
DE19938666C5 (de) * 1999-08-14 2008-01-03 Keiper Gmbh & Co.Kg Verstellbeschlag für Sitze mit neigungseinstellbarer Lehne, insbesondere für Kraftfahzeugsitze
DE10105282B4 (de) * 2001-02-06 2005-03-2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15977A1 (de) * 2004-04-01 2005-10-20 Ks Gleitlager Gmbh Gerollte Gleitlagerbundbuchse
DE102008028096A1 (de) * 2008-06-13 2009-12-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beschla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7109A1 (de) * 2001-02-14 2002-10-10 Federal Mogul Wiesbaden Gmbh Bundbuch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Biegewerkzeug zur Herstellung von Bunden an einer Buchse
US20050231015A1 (en) * 2004-03-26 2005-10-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Inclination adjustment device with freely pivoting device for the back part of a motor vehicle seat
DE202010012621U1 (de) * 2010-03-22 2011-01-1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45547B2 (ja) 2016-07-05
CN103237681A (zh) 2013-08-07
JP2013542133A (ja) 2013-11-21
EP2675656B1 (de) 2019-01-16
US20140145491A1 (en) 2014-05-29
US9114737B2 (en) 2015-08-25
DE102011012076A1 (de) 2012-08-16
WO2012110213A3 (de) 2012-12-27
CN103237681B (zh) 2016-05-18
KR20130099158A (ko) 2013-09-05
EP2675656A2 (de) 2013-12-25
DE102011012076B4 (de) 2013-10-10
WO2012110213A2 (de)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785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16330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KR101394942B1 (ko) 차량 좌석용 피팅장치
KR101354596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EP2464537B1 (en)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freeplay system and fine-blanked gear hub
US8893540B2 (en) Method and tool for producing a component and a component produced by forming
JP5537661B2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KR101351969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US10247289B2 (en) Component with internal and external tee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nent
US908524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seat fitting
JP2013504465A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KR20130038887A (ko) 차량 시트용 피팅
KR20120058569A (ko) 차량 좌석용 구동 유닛
KR101416326B1 (ko) 차량용 시트, 특히, 자동차용 시트
KR101617672B1 (ko) 차량 시트 피팅의 제조 방법
WO2021163792A1 (en) Method of forming a splined component
MX2007010981A (es) Metodo para reforzar una region de pared de un accesorio tridimensio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