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1969B1 - 차량 시트용 피팅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1969B1
KR101351969B1 KR1020127031372A KR20127031372A KR101351969B1 KR 101351969 B1 KR101351969 B1 KR 101351969B1 KR 1020127031372 A KR1020127031372 A KR 1020127031372A KR 20127031372 A KR20127031372 A KR 20127031372A KR 101351969 B1 KR101351969 B1 KR 10135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wedge
fittings
fitting portion
vehicle se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035A (ko
Inventor
마르틴 슈틸레케
크리스티안 요키엘
디터 핸켈
위르겐 슈템머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0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시트용 피팅에 대한 것으로, 그 위에 링 기어가 형성되는 제 1 피팅 부분, 상기 링 기어와 맞물리고 그 위에 스퍼 기어가 형성되는 제 2 피팅 부분, 및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캐리어에 의해 구동되고 스퍼 기어 및 링 기어의 상대적 롤링 운동을 구동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편심부(27, 27)를 포함하며, 상기 편심부(27, 27)는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27)를 가지며,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는 각각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하게 만곡된 외부면(27a),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오목하게 만곡된 내부면(27i), 및 두 개의 측면(27s)을 포함하며, 축방향으로, 측면(27s)은 서로로부터 간격(a)을 가지며 내부면(27i) 및/또는 외부면(27a)은 크기로서 폭(b)을 가지며, 상기 폭(b)은 간격(a)보다 작으며, 특히 웨지 세그먼트(27)의 국부적인 축방향 크기를 간격(a)으로부터 폭(b)으로 감소하는 변이 영역(27f, 27d)은 두 개의 측면(27s) 중 하나 이상과 내부면(27i) 또는 외부면(27a) 사이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피팅 {FITTING FOR A VEHICLE SEAT}
본 발명은 청구범위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차량 시트용 피팅(fitting)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피팅은 독일특허공개 제 44 36 101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롤링 운동(rolling movement)은 원통형 좌표계를 형성한다. 쐐기형 세그먼트(wedge segment)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마주하는 넓은 측면, 및 둘레 방향으로 서로 외면하는(face away) 좁은 측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하게 만곡된 외부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오목하게 만곡된 내부면, 및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면을 구비한다. 내부면은 제1 피팅 부분의 칼라(collar)에 인접하는 한편, 외부면은 제2 피팅 부분의 슬라이드 베어링 부쉬(slide bearing bush)에 인접하다. 측면은 외부면과 내부면 각각에 하나의 에지(edge)로서 인접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설명한 유형의 대안의 피팅을 창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피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구성들은 종속항의 주요 요지이다.
측면들이 에지에 의해 내부면 및/또는 외부면에 인접하는(원호의 형상으로 만곡된) 쐐기형 세그먼트와 비교해서, 본 발명에 다른 변이 영역(transition area)을 제공함으로써 측면의 간격에 대해, 즉 쐐기형 세그먼트의 우세한 축방향 크기에 대해 외부면의 또는 내부분의 폭을 감소시킨다. 당업자는 피팅의 정적 강도(static strength)가 이때 쐐기형 세그먼트가 지지되는 감소된 표면으로 인해 감소된다고 추측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실험은 지금까지 존재하였던 이러한 예측이 적용되지 않고 오히려 정적 강도의 상승이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변이 영역으로 획득된다는 사실을 초래하였다. 변이 영역은 예컨대 베벨(bevel)로서, 반경으로서, 스텝으로서,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테라스 형상의 쐐기형 세그먼트가 형성된다. 쐐기형 세그먼트의 변이 영역은 예컨대 쐐기형 세그먼트의 방사상 크기, 측면의 간격으로부터 내부면 및/또는 외부면의 폭으로 대략 1/3까지 쐐기형 세그먼트의 국부적인 축방향 크기의 대략 1/3까지의 범위에 걸쳐 감소된다.
베벨의 경우에, 이러한 베벨은 그 형상에 대해, 바람직하게 평면 구조물(2차원 매니폴드)로서 (외부면 또는 내부면의 곡률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실린더의 외피면(shell surface)의 일부일 수 있어서, 이 베벨은 낫 형상(sickle shape)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즉 반경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보다 중심에서 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이론적으로, 그러나 이것은 베벨이 원뿔의 외피면의 일부임을 또한 고려할 수 있는데, 즉 반경 방향으로 연속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낫 형상에 의하면, 베벨과 내부면 또는 외부면 사이에 스텝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베벨의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내부면 또는 외부면을 상당히 많이 감소시키지 않도록, 이러한 스텝은 축 방향으로 베벨의 크기를 한정한다.
제1 피팅 부분과 제2 피팅 부분 사이에 편심 주전원 기어 시스템(eccentric gear system)을 사용함으로써, 등받이의 기울기가 연속해서 조절될 수 있다. 유성 기어 시스템(planetary gear system)과 비교하여 중앙 피니언의 절감으로 피팅 부분들의 상대 회전에 겹치게 되는 흔들거리는(wobbling) 운동의 발생을 초래한다. 편심 주전원 기어 시스템은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편심 주전원 기어의 록킹의 기본 부분은 편심부(eccentric)와 2개의 피팅 부분 중 하나, 바람직하게 편심부를 지지하기 위한 칼라를 바람직하게 가지는 제2 피팅 부분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제공된다. 편심부를 형성하는 쐐기형 세그먼트는 치형 휠(toothed wheel)과 치형 링(toothed ring)의 롤링 운동을 록킹 및 구동 모두를 위해 기능한다. 바람직하게 추가로 제공되는 록킹 요소는 동적 부하 하에서 피팅을 록킹하는 기능을 한다.
편심부를 수용하는 제1 피팅 부분 상의 치형 링의 형상물과 편심부를 지지하는 제2 피팅 부분 상의 치형 휠의 형상물은 재료와 설치 공간을 절약시켜 주는데, 그 이유는 치형 휠이 (그 위에서 엔클로징 링(enclosing ring)이 제1 피팅 부분에 고정되고 그 다음 맞물리는) 제2 피팅 부분의 방사상 외부 에지 상에 구성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팅을 장착하기 위해 제2 피팅 부분 상에 충분히 큰 연결 영역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자동차 내의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분야에 대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 도면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쐐기형 세그먼트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선 Ⅰ-Ⅰ을 따라 절취한 절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 절취한 절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1의 화살표 Ⅳ의 방향으로 바라 본 쐐기형 세그먼트의 다른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드라이버와 스프링이 없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영역 내의 피팅의 부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차량 시트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쐐기형 세그먼트의 개략도로서 피팅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자동차용 차량 시트(1)는 시트 부분(3) 및 등받이(4)를 가지며, 등받이(4)의 경사는 시트 부분(3)에 대해 조절가능하다. 등받이(4)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 부분(3)과 등받이(4) 사이의 변이 영역에 수평으로 구동 샤프트(7)가 배치되며, 이 구동 샤프트(7)는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모터 구동식으로 또는 예컨대 핸드 휠(5)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차량 시트(1)의 양 측면 상에는 구동 샤프트(7)가 피팅(10) 내에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구동 샤프트(7)는 채택된 원통형 좌표계의 방향 데이터를 형성한다.
피팅(10)은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한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을 가진다. 이들 2개의 피팅 부분(11 및 12) 각각은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대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축방향 작용 힘을 흡수하기 위해, 즉 제1 피팅 부분(11)과 제2 피팅 부분(12)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엔클로징 링(enclosing ring; 13)이 제공된다. 엔클로징 링에 의해 상기 부분들을 함께 지지하는 방법은 예컨대 미국특허공보 제6,799,806 B2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엔클로징 링(13)은 외부 에지 섹션(outer edge section)에서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 중 하나에,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제1 피팅 부분(11)에 밀착되게 연결되는데, 예컨대 용접 또는 비드(bead)된다(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단부 섹션에 의해, 엔클로징 링(13)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 중 다른 하나 위로 맞물리며, 선택적으로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의 상대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별도의 슬라이딩 링의 개재(interposition)에 의해 맞물린다. 구조적 관점으로부터, (엔클로징 링(13)을 구비한)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은 함께 결과적으로 디스크형 유닛을 형성한다.
피팅(10)의 장착에 의해, 제1 피팅 부분(11)은 예컨대 등받이(4)의 구조물에 단단히 연결되는데, 즉 제1 피팅 부분(11)은 등받이 부분에 대해 고정된다. 이때, 제2 피팅 부분(12)은 시트 부분(3)의 구조물에 단단히 연결되는데, 즉 시트 부분에 대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1 피팅 부분(11)과 제2 피팅 부분(12)의 배치는 또한 변결될 수 있는데, 즉 제1 피팅 부분(11)이 시트 부분에 대해 고정되면 제2 피팅 부분(12)이 등받이에 대해 고정될 것이다. 피팅(10)은 결국 등받이(4)와 시트 부분(3) 사이의 포스 플로우(force flow) 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이들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이 금속, 바람직하게 강(steel)으로 이루어지는 이유이다.
피팅(10)은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이 제 위치에 배치 및 고정하기 위해 기어 유닛에 의해, 보다 정밀하게, 본 실시예의 경우 예컨대 독일특허공개 제 44 36 101 A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체 록킹식인 편심 주전원 기어 시스템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기어 피팅(gear fitting)의 형태이다.
이 기어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로 형성된 치형 휠(16)이 제2 피팅 부분(12) 상에 형성되고, 내부로 형성된 치형 링(17)이 제1 피팅 부분(11) 상에 형성되며, 이 치형 휠과 치형 링이 서로 맞물린다. 치형 휠(16)의 외부 치형부의 팁 원형부의 직경은 치형 링(17)의 내부 치형부의 뿌리 원형부(root circle)의 직경 보다 적어도 하나의 이(tooth)의 깊이만큼 작다.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의 치형 링(17)과 치형 휠(16)의 이의 개수에서의 대응하는 차이는 치형 휠(16) 상의 치형 링(17)의 롤링 이동을 허용한다. 치형 휠(16) 및 치형 링(17)은 초기 재료로부터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을 동시에 펀칭(punching)하는 하나의 단일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대안으로,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은 대량 성형(massive forming)(바람직하게 콜드-플로우(cold-flow) 성형 또는 핫-플로우(hot-flow)성형)에 의해 - 유사한 기하학적 형상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여 -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치형 휠(16)은 제2 피팅 부분(12)의 방사상 외부 에지를 형성하는데 즉,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제2 피팅 부분(12)이 치형 휠(16)과 동일 평면이다.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 중 하나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제2 피팅 부분(12)은 치형 휠(16)에 대해 동심인 칼라(collar; 19)를 가진다. 이 칼라(19)는 칼라 형상물로서 상기 피팅 부분 상에 일체로(즉, 상기 피팅 부분과 하나의 피스로 형성된) 형성될 수 있거나, 별도의 슬리브 형태로 상기 피팅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허브(22)에 의해 칼라(19) 내에 회전가능하게 드라이버(21)가 지지된다. 드라이버(21)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버(21)의 허브(22)에는 그 중심에 구동 샤프트(7)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23)가 제공된다. 보어(23)의 프로파일은 구동 샤프트(7)의 프로파일, 본 실시예의 경우 스플라인형(splined) 샤프트 프로파일에 맞도록 구성된다. 이 허브(22)와 인접해서, 드라이버(21)는 허브(22)와 하나의 피스로 형성되며 허브(22)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덮개 디스크(covering disk; 25)를 구비한다.
칼라(19) 상에는 - 곡선형 내부면에 의해 -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wedge segment; 27)가 지지되는데, 이 쐐기형 세그먼트는 제1 피팅 부분(11) 및 제2 피팅 부분(12) 두 부분 중 다른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피팅 부분(11)을 - 그 곡선형 외부면에 의해 - 견딘다. 이를 위해, 후자의 피팅 부분의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안으로 압축되는 슬라이드 베어링 부쉬(slide bearing bush; 28)로 코팅되며, 이를 쐐기형 세그먼트(27)의 외부면이 견딘다. 개념들 "지지하다(support)" 및 "지탱하다(bear)"는 피팅(10)에 의한 힘의 흐름의 정의된 방향에 제한되어선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방향이 피팅(10)의 장착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드라이버(21)는 쐐기형 세그먼트(27)의 협소한 측면들 사이의 간극(clearance)과 맞물리며 덮개 디스크(25) 및 허브(22)와 하나의 피스로 형성되는 드라이버 세그먼트(29)를 - 허브(22)로부터 방사상 간격을 두고 - 가진다. 그의 넓은 측면들이 상호 마주하는 쐐기형 세그먼트(27)는 각각 재료의 섹션들을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오목부(recess)에 의해 오메가 스프링(35)의 각각의 각진 엔드 핑거(angled end finger; 35a)를 수용한다. 스프링(35)은 특히 멀리 쐐기형 세그먼트(27)를 가압하기 위해 둘레 방향으로 쐐기형 세그먼트(27)에 작용하며, 쐐기형 세그먼트(27)의 넓은 측면들에 대해 작동하는 동안 서로 접촉 및 작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21)는 바람직하게 클립 고정되는 고정 링(43)에 의해 칼라(19)가 제공되는 피팅 부분의 외부 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고정 링(43)은 허브(22)의 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허브(22)가 칼라(19)의 내부에 대해 바로 지탱하지 않지만, 고정 링(43)의 개재에 의해 칼라(19) 내에 지지된다(그리고 결국 드라이버(21)가 제2 피팅 부분(12) 상에 지지된다). 슬라이드 베어링 부쉬(28)(제 1 피팅 부분(11)의 본 실시예의 경우)가 제공되는 피팅 부분의 외부 상에는, 방사상 최외각 에지와 덮개 디스크(25) 사이에 밀봉 링(44)이 제공되며, 이러한 밀봉 링은 예컨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며 덮개 디스크(25)와 연결, 특히 클립연결된다.
쐐기형 세그먼트(27)(및 스프링(35))는 맞물림 사이트에서 치형 링(17) 안으로 치형 휠(16)을 편심의 방향의 연장선으로 가압하는 편심부(eccentirc)를 형성한다. (수 회) 회전하는 회전 구동 샤프트(7)에 의해 드라이브가 작동되면, 먼저 드라이버(21) 상에 토크가 전달된 후, 드라이버 세그먼트(29)에 의해, 상기와 같이 형성되며 슬라이드 베어링 부쉬(28)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편심부 상에, 편심의 방향으로 위치변경시켜서 치형 링(17) 내에 치형 휠(16)의 맞물림의 사이트를 위치변경하며, 이것은 흔들거리는 롤링 이동으로서 즉, 겹쳐 놓인 흔들거리는 이동으로 상대 회전으로서, 그 자체를 나타낸다. 이 결과, 등받이(4)의 기울기는 여러 번의 사용 위치들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조절가능하다.
동적 작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컨대 여기에 그 개시가 명확하게 병합된 독일특허공보 제 195 48 809 C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고정 스프링(retaining spring; 51)가 록킹 요소로서 여전히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고정 스프링(51)은 제1 피팅 부분(11)에서 추가의 치형 링으로서 구성되는 치형부(toothing; 55)와 연동한다. 이 고정 스프링(51)은 (이 고정 스프링(51)이 엔드 핑거(35a)에 대해 지탱함으로써 스프링(35)을 록킹함으로써) 비구동 상태에서 쐐기형 세그먼트(27)를 매번 잠그고(locking) 구동된 드라이버(21)에 의해 해제된다.
변경된 구성의 드라이버(21)에는 모터 구동식 버전에서, 예컨대 아연 또는 알루미늄 압력-다이 케이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피스의 드라이버에 대해 미국특허공보 제 7,314,250 B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드라이버 세그먼트(29)와 이 드라이버 세그먼트(29)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플라스틱 부품을 갖는 금속 링(바람직하게는 소결 재료)으로 이루어진 2-피스 드라이버에 대해 미국특허공개 제 2009/0127910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허브(22) 및 덮개 디스크(25)가 제공된다. 변경된 2-피스 드라이버가 미국특허공보 제 6,619,743 B1호에 개시되는데, 이에 따르면 쐐기형 세그먼트가 그 링 상에 지지된다. 상기한 3건의 공보의 관련 개시물이 여기에 명확히 병합된다.
넓은 측면과 협소한 측면에 추가로, 이들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그리고 볼록하게 만곡된 외부면(27a)과 오목하게 만곡된 내부면(27i)으로 향하며, 이들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향하고, 쐐기형 세그먼트(27) 각각은 만곡된 쐐기 형상을 갖는 축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향하는 2개의 측면(27s)을 가진다. 쐐기형 세그먼트(27)는 엔드 핑거(35a)를 수용하기 위한 홀(27h)을 가진다. 2개의 측면(27s)은 홀(27h)의 벽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서로로부터 2 측면(27s)의 (최대) 축 간격을 간격(a)로 나타낼 것이다. 내부면(27i)의 (최소) 축방향 크기를 폭(b)으로 나타낼 것이다. 쐐기형 세그먼트(27) 각각의 2개의 측면(27s)은 바람직하게 거울 대칭형이어서, 계속해서 2개의 측면(27s) 중 단지 하나와 그 주변이 기술된다.
측면(27s)은 섬 형상 압입부(island-shaped indentation; 27e)를 가지며, 이 압입부(27e)는 소결(sintering)에 의해 제조된 쐐기형 세그먼트(27)의 최적 압축에 필요하다. 이 압입부(27e)는 예컨대 축방향으로 6.0 mm ± 20%의 쐐기형 세그먼트(27)의 크기로서 예컨대 0.35 mm ± 2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측면(27s)과 압입부(27e) 사이의 변이 영역은 예컨대 30°± 20%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연장할 수 있다.
한편으론 측면(27s)과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면(27i) 사이의 변이 영역과 같이, 에지 대신에 - 쐐기형 세그먼트(27) 상에 베벨부(27f)가 제공된다. 이 베벨부(27f)는 바람직하게 약 5% 내지 20% 만큼 간격(a)으로부터 폭(b)으로 쐐기형 세그먼트(27)의 국부적인 축방향 크기(즉,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좌표계에 의해 축방향으로 측정된, 물질의 2개의 최외각 단부 섹션의 간격)를 감소시킨다. 반경 방향에서, 베벨부(27f)는 쐐기형 세그먼트(27)의 방사상 크기의 바람직하게 1/3까지 위로 연장한다. 베벨부(27f)의 형상은 바람직하게 칼라(19)에 대해 경사진 실린더의 외피면의 일부분이다. 베벨부(27f)는 예컨대 측면(27s)에 대해 20°± 20%의 각도로 연장한다. 둘레 방향에서, 베벨부(27f)는 연속적으로 일정하게 구성되지 않지만, 이것은 낫 형상(sickle-shaped), 즉 둘레 방향을 따라 보이는 형상이며, 베벨부(27f)는 2개의 단부에서 보다 그 중심에서 보다 넓고(즉, 반경 방향에서 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그 중심에서, 결국 협소한 측면을 향해 그리고 넓은 측면을 향해 변이 영역에서 그 단부에서보다 측면(27s)으로 그리고 내부면(27i)으로 추가로 돌출하며, 여기서 베벨부(27f)는 거의 사라진다. 베벨부(27f)는 따라서 측면(27s) 상에서 거의 압입부(27e)까지 연장한다. 기하학적인 이유에 대해(그렇지 않다면 내부면(27i)의 폭(b)이 지나치게 많이 축소되므로), 베벨부(27f)는 바람직하게 작은 (낫-형상) 스텝부(27d)에 의해 내부면(27i)과 인접한다. 이러한 스텝부(27d)는 그 중심에서 예컨대 0.4 mm ± 20%인 베벨부(27f) 보다 상당히 작은 크기를 갖는다. 축 방향에서, 스텝부(27d)는 예컨대 측면(27s) 보다 0.4 mm ± 20% 더 깊이 측면(27s)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된다.
변경된 구성에서, 베벨부(27f)는 대안으로 또는 점증적으로 한편으론 측면(27s)과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면(27a) 사이에 제공된다. 다른 변경예에서, 베벨부(27f)는 (쐐기형 세그먼트의 대칭을 깨면서) 2개의 측면(27s) 중 단지 하나에 제공된다. 다른 변경예에서, 베벨부(27f)없이 단지 스텝부(27d)만이 제공된다.
1: 차량 시트
3: 시트 부분
4: 등받이
5: 핸드휠
7: 구동 샤프트
10: 피팅
11: 제1 피팅 부분
12: 제2 피팅 부분
13: 엔클로징 링(enclosing ring)
16: 치형 휠
17: 치형 링
19: 칼라
21: 드라이버
22: 허브
23: 보어
25: 덮개 디스크
27: 쐐기형 세그먼트
27a: 외부면
27d: 스텝부
27e: 압입부
27f: 베벨부
27h: 홀
27i: 내부면
27s: 측면
28: 슬라이드 베어링 부쉬
29: 드라이버 세그먼트
35: 스프링
35a: 엔드 핑거
43: 고정 링
44: 밀봉 링
51: 록킹 스프링
55: 치형부
a: (측면들의) 간격
b: (내부면/외부면의) 폭

Claims (13)

  1. 차량 시트용 피팅으로서,
    위에 치형 링(17)이 형성되는 제1 피팅 부분(11), 상기 치형 링(17)과 맞물리는 치형 휠(16)이 위에 형성되는 제2 피팅 부분(12)을 가지며, 상기 치형 휠(16) 및 상기 치형 링(17)의 상대 롤링 이동을 구동시키기 위해 드라이버(21)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둘레 편심부(27)를 구비하며, 상기 치형 휠과 상기 치형 링이 맞물리는 결과로서, 상기 제1 피팅 부분(11) 및 상기 제2 피팅 부분(12)이 서로 기어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편심부(27, 27)는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27)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쐐기형 세그먼트(27) 각각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볼록하게 만곡된 외부면(27a),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오목하게 만곡된 내부면(27i), 및 2개의 측면(27s)을 구비하며, 축방향에서, 상기 측면(27s)은 서로로부터의 간격(a)을 가지며, 상기 내부면(27i) 및 상기 외부면(27a) 중 하나 이상은 크기로서 폭(b)을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에 있어서,
    상기 폭(b)은 상기 간격(a) 보다 작으며, 한편으로는 상기 2개의 측면(27s) 중 하나 이상과 상기 내부면(27i) 또는 상기 외부면(27a) 사이에 변이 영역(27f, 27d)이 제공되고, 상기 변이 영역이 상기 간격(a)으로부터 상기 폭(b)으로의 상기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27)의 국부적인 축방향 크기를 감소시키며, 상기 변이 영역(27f, 27d)은 베벨부(27f)로서 구성되며, 상기 베벨부(27f)는 상기 둘레 방향을 따라 비정형적으로(non-uniformly)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면(27s)의 상기 간격(a)은 상기 축방향으로 6.0 mm ± 20%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27i) 또는 상기 외부면(27a)의 상기 폭(b)은 상기 축방향으로 5.2 mm ± 20%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영역(27f, 27d)은 상기 간격(a)으로부터 상기 폭(b)으로 5% - 20% 만큼 국부적으로 상기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27)의 축방향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영역(27f, 27d)은 스텝부(27d)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부(27f)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2개의 단부에서 보다 중심에서 더 큰 크기를 갖는 낫-형상(sickle-shap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부(27f)는 상기 측면(27s)에 대해 20°± 20%의 각도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부(27f)는 상기 내부면(27i)으로 작은 스텝부(27d)에 의해 건너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9. 제 1 항에 있어서,
    i)상기 둘레 방향으로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7) 상에 스프링(35)이 작용하는 것,
    ii) 상기 스프링(35)은 2개의 엔드 핑거(end finger; 35a)에 의해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7) 안으로 맞물리는 것,
    iii) 상기 쐐기형 세그먼트(27)는 상기 엔드 핑거(35a)를 수용하기 위한 각각의 하나의 홀(27h)을 구비하는 것, 및
    iv) 각각의 쐐기형 세그먼트(27)는 상기 다른 쐐기형 세그먼트(27)와 마주하는 넓은 측면과 상기 넓은 측면을 외면하는(face away) 좁은 측면을 구비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0. 제 1 항에 있어서,
    i) 엔클로징 링(enclosing ring; 13)은 디스크형 유닛을 형성하는 상기 제1 피팅 부분(11) 및 상기 제2 피팅 부분(12)을 함께 축방향으로 유지시키고, 이러한 엔클로징 링이 상기 제1 피팅 부분(11)에 고정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제2 피팅 부분(12) 위로 맞물리는 것,
    ii) 상기 제1 피팅 부분(11)이 상기 편심부(27, 27)를 수용하는 것,
    iii)상기 제2 피팅 부분(12)이 상기 편심부(27, 27)를 지지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부(27d)는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0.4 mm ± 20% 까지의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상기 측면(27s)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되거나,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0.4 mm ± 20% 까지의 크기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상기 측면(27s)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팅 부분(11)은 상기 치형 링(17)과 동심인 슬라이드 베어링 부쉬(29)에 의해 상기 편심부(27, 27)를 수용하고, 상기 제2 피팅 부분(12)은 상기 치형 링(16)에 동심인 칼라(collar; 19)에 의해 상기 편심부(27, 27)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피팅.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피팅을 갖춘 차량 시트로서,
    상기 2개의 피팅 부분(11, 12) 중 하나와 연결되는 시트 부분(3), 및 상기 2개의 피팅 부분(11, 12)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등받이(4)를 가지는,
    차량 시트.
KR1020127031372A 2010-04-29 2011-02-05 차량 시트용 피팅 KR101351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9361.5 2010-04-29
DE102010019361A DE102010019361B3 (de) 2010-04-29 2010-04-29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Fahrzeugsitz
PCT/EP2011/000543 WO2011134558A1 (de) 2010-04-29 2011-02-05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035A KR20130003035A (ko) 2013-01-08
KR101351969B1 true KR101351969B1 (ko) 2014-01-15

Family

ID=4377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372A KR101351969B1 (ko) 2010-04-29 2011-02-05 차량 시트용 피팅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05480B2 (ko)
EP (1) EP2563617B1 (ko)
JP (1) JP5521058B2 (ko)
KR (1) KR101351969B1 (ko)
CN (1) CN102781717B (ko)
DE (1) DE102010019361B3 (ko)
PL (1) PL2563617T3 (ko)
WO (1) WO2011134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3966A1 (de) * 2010-06-09 2011-12-15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EP2734406B1 (de) * 2011-07-20 2015-10-21 Johnson Controls Metals and Mechanisms GmbH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mit mindestens einem anschlag
DE102012006227A1 (de) 2011-12-21 2013-01-31 Keiper Gmbh & Co. K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 Beschla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WO2014209047A1 (ko) * 2013-06-27 2014-12-31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20150321585A1 (en) * 2014-05-12 2015-11-12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US9731633B2 (en) 2015-07-21 2017-08-15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KR101793440B1 (ko) * 2016-05-16 2017-11-06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9873357B1 (en) 2017-01-03 2018-01-23 Lear Corporation Recliner mechanism
CN108215949A (zh) * 2018-01-22 2018-06-29 肖琼 一种角度调节装置
WO2020229354A1 (de) * 2019-05-10 2020-11-19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S11091067B2 (en) * 2020-01-06 2021-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fold flat seatback
KR20220010176A (ko) * 2020-07-17 2022-01-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 리클라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743B1 (en) * 1999-08-14 2003-09-16 Keiper Gmbh & Co. Adjustment armature for seats, especially motor vehicle seats, with an adjustable inclinable backrest
US6799806B2 (en) * 2001-02-06 2004-10-05 Keiper Gmbh & Co. Kg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7314250B1 (en) * 2006-09-27 2008-01-01 Keiper Gmbh & Co. Kg Fit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US20090127910A1 (en) 2007-11-20 2009-05-21 Keiper Gmbh & Co. Kg Fitting for a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8088B2 (en) * 1988-01-13 1990-06-14 Shirok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Reclining angle adjustment device
DE4436101C5 (de) * 1993-11-30 2008-12-11 Keiper Gmbh & Co.Kg Lehneneinstellbeschlag für Sitze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19548809C1 (de) * 1995-12-27 1997-05-22 Keiper Recaro Gmbh Co Ver- und Feststelleinrichtung für Sitze, wie Kraftfahrzeugsitze, zur Verstellung der Rückenlehne
TW482135U (en) 2001-01-08 2002-04-01 Hornling Ind Inc Improvement for backlash eliminating device
US7086699B1 (en) * 2004-12-21 2006-08-0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Recliner assembly for vehicle seats
JP4778733B2 (ja) * 2005-06-09 2011-09-21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1731353B1 (en) 2005-06-09 2011-08-17 FUJI KIKO Co., Ltd. Seat reclining apparatus
JP5414299B2 (ja) * 2008-03-04 2014-02-12 ツェー ロブ ハメルステイ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 自動車シート調節装置用、特に背もたれヒンジ部品用の揺動継手部品
JP5338165B2 (ja) * 2008-07-15 2013-11-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歯車及びこの歯車を用いた連結装置
DE102009011462B4 (de) * 2009-02-27 2022-08-25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JP5532690B2 (ja) * 2009-06-09 2014-06-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743B1 (en) * 1999-08-14 2003-09-16 Keiper Gmbh & Co. Adjustment armature for seats, especially motor vehicle seats, with an adjustable inclinable backrest
US6799806B2 (en) * 2001-02-06 2004-10-05 Keiper Gmbh & Co. Kg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7314250B1 (en) * 2006-09-27 2008-01-01 Keiper Gmbh & Co. Kg Fit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US20090127910A1 (en) 2007-11-20 2009-05-21 Keiper Gmbh & Co. Kg Fitting for a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21058B2 (ja) 2014-06-11
EP2563617A1 (de) 2013-03-06
WO2011134558A1 (de) 2011-11-03
US20130214578A1 (en) 2013-08-22
JP2013522099A (ja) 2013-06-13
US8905480B2 (en) 2014-12-09
DE102010019361B3 (de) 2011-10-27
EP2563617B1 (de) 2014-04-16
CN102781717B (zh) 2014-12-17
KR20130003035A (ko) 2013-01-08
CN102781717A (zh) 2012-11-14
PL2563617T3 (pl)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969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EP2212153B1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KR101685336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US7726743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8931843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KR101313765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US8998328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8783774B2 (en) Drive unit for a vehicle seat
US8915548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KR101279444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US9016153B2 (en)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having a self-adjusting brake
US9114737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9085249B2 (e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seat fitting
US8720998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20130207433A1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9242582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8905481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