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798B1 -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798B1
KR101431798B1 KR1020130043632A KR20130043632A KR101431798B1 KR 101431798 B1 KR101431798 B1 KR 101431798B1 KR 1020130043632 A KR1020130043632 A KR 1020130043632A KR 20130043632 A KR20130043632 A KR 20130043632A KR 101431798 B1 KR101431798 B1 KR 101431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bean
fraction
anthocyanin
blac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호진
정지희
조유나
김현주
진동은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및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hE) 억제, 뇌신경 스트레스 저해 및 뇌신경세포 보호 등의 효과를 지님으로써, 상기 분획물은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learning and memory function comprising non-anthocyanin fraction of black bean husk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및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hE) 억제, 뇌신경 스트레스 저해 및 뇌신경세포 보호 등의 효과를 지님으로써, 상기 분획물은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령 인구가 증가하여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조직사회의 치열한 경쟁화에 따른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성인병의 발병률 또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망원인의 경우 과거 주원인이었던 감염형 질환에서 대표적인 성인병인 순환기계 질환, 암 등에 의한 사망이 전체의 절반을 넘기기에 이르렀다. 이에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웰빙(wellbeing)’이 하나의 큰 관심사로 대두하게 되고 장수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일상생활을 통한 성인병 및 노인성 질환에 대한 예방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식품성분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식품기원의 특정 성분들이 인체의 신경계, 생체방어계, 세포분화 등 각종 생리기능 조절계 등에 작용하여 직·간접적으로 생체조절기능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들 특정성분들에 의한 생체 조절계 및 생체 방어계에 대한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면 그것은 가장 자연스러운 건강유지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식품에 도입되고 있는 생체 조절성 3차 기능은‘질병 발병의 전 단계에서 식품을 통하여 예방한다’는 적극적인 식품의 개념으로, 향후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의약품의 수요가 합성의약품을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도 하다. 또한 2011년도 교육과학기술부의‘기초연구 100대 미래유망분야’에 의하면‘뇌신경기능과 질환’,‘신경계 질환’, 그리고‘의약품 소재 추출 및 합성’분야 등이 선정되었다.
Alzheimer's disease(AD) 연구는 amyloid β protein(Aβ)에 의한 뇌세포 파괴, 그리고 이들 단백질의 구조, 생리작용, 뇌신경세포 내에서의 축적에 의한 아세틸콜린(ACh)의 수준 감소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AD의 치료는 주로 환자의 증세를 가볍게 하고, 병의 진행속도를 지연시키는데 주안을 두고 있다. AD 환자에서 보이는 주증세는 기억력, 인지능력, 학습능력의 감퇴에 있고, 이어서 감정 장애와 이상행동을 가져온다. 이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증세인 기억력과 인지능력 장애에 대한 증세를 가볍게 해주는 간접 치료가 유일한 치료법이 되었다. AD 환자의 뇌에서는 전뇌기저부(basal forebrain)에 있는 마이네르트 핵(meynert nucleus) 신경세포가 대부분 죽어 있어서 시냅스(synaps)와 대뇌피질과의 연결이 퇴화되어 있다. 이들 신경세포는 신경전달 물질을 생산하는 콜린성 신경 세포(cholinergic nerve cell)인데, 그 사멸로 인해서 AD 환자 뇌에서는 ACh 생산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뇌에서의 ACh 농도를 높게 유지시키면 환자의 기억력, 인지능력이 크게 회복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실제로 현재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AD 치료제는 이러한 ACh 분해효소 억제제(AChEis)가 대부분이며, 타크린(tacrine)과 도네페질(donepezil) 등이 이에 속한다. 이 밖에도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 갈라타민(galatam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항 AD 활성화 성분은 주로 식물 기원성 저분자로 특히 AD 환자들에게 인지적 증상을 호전시키는 약물로서 AChEIs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서의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저하 현상 개선을 위한 더욱 효과적인 제제(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포함)의 개발 수요가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이다. 결국 치매 발병에 대한 뇌신경 세포의 기작을 대상으로 새로운 다중 기능성 효과(multi-functional effect)를 갖는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검정콩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로 꼬투리 속에 2~3알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특정한 한 종류의 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한다. 흑태·서리태·서목태 등이 검은콩에 속한다. 흑태는 검은콩 가운데서도 가장 크며, 서리태는 겉은 검은빛을 띠지만 속이 파랗다고 하여 속청이라고도 부른다. 서목태는 다른 검은콩보다 크기가 작아 마치 쥐눈처럼 보인다고 하여 쥐눈이콩, 한방에서 약재로 쓰인다고 하여 약콩이라고도 부른다. 콩은 흔히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고 부를 정도로 영양가가 뛰어나다. 검은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여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고, 성인병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본초강목>에는 검은콩의 효능에 대하여‘신장을 다스리고 부종을 없애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모든 약의 독을 풀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모발 성장에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방지하는 데도 효과가 있으며, 검은콩 껍질의 항산화 작용을 하는 물질이나 여성호르몬을 돕는 이소플라본 성분은 볶으면 그 효능이 더 높아진다고 한다. 검정콩 껍질에 포함된 안토시아닌의 기억력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있으나 비안토시아닌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40015호에는 용안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hE) 억제효과, 뇌신경 스트레스 저해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능력이 우수하여,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 등에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hE)의 억제효과, 뇌신경 스트레스 저해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지님으로써, 상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및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검정콩 껍질로부터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을 분리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kinetic analysis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PC12 신경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뇌 신경 세포막 보호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활용하여 생체 내(In vivo) 인지·학습 회복 능력 실험을 위한 실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Y-maze test를 통한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단기 공간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을 통한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학습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농도별 처리에 따른 마우스 뇌조직에서의 생체 외(ex vivo) AChE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농도별 처리에 따른 마우스의 뇌조직에 존재하는 지질과산화 중간생성물인 MDA (malondialdehyde)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활성 물질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에서, 상기 검은콩 껍질 추출물은 냉침 추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냉각 추출 등의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방법은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검은콩 껍질 추출물로부터 활성이 높은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에서, 상기 검은콩 껍질 추출물은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에서, 상기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a) 검은콩 껍질 40~60 g에 60~80%(v/v) 아세톤을 800~1200 mL를 첨가하여 15~25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한 검은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얻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검은콩 껍질 50 g에 70%(v/v) 아세톤을 1000 mL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한 검은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얻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에서,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의 퇴화로 인해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에 퇴행성 변화가 유발하는 질환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대표적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strophy), 감람핵-뇌교-소뇌 위축증(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샤이-드래거 증후군(Shy-Drager syndrome), 선조체-흑질 퇴행증(Striatonigral degeneration),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본태성 진전증(Essential tremor),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basal ganlionic degeneration), 미만성 루이 소체 질환(Diffuse Lewy body disease), 파킨스-ALS-치매 복합증(Parkinson-ALS-dementia complex of Guam) 또는 픽병(Pick's disease)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은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분획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분획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분획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분획물을 0.02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분획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획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검은콩 껍질 40~60 g에 60~80%(v/v) 아세톤을 800~1200 mL를 첨가하여 15~25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한 검은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 활성이 증진된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검은콩 껍질 50 g에 70%(v/v) 아세톤을 1000 mL를 첨가하여 20분 동안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 및
(b) 상기 추출한 검은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 제조
본 발명에 이용된 검정콩은 진주시 내에 위치한 마트에서 판매하는 서리태 품종을 구입하여 껍질만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원물 검정콩 50 g에 70% 아세톤을 1 L 첨가하여 2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한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그 후 상기 농축한 추출물을 C18 column sep-pak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용매를 첨가하여 단계적으로 분획하였다. C18 column sep-pak cartridge 두 개를 연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0.01N-염산으로 활성을 시켜준 후, 0.45 ㎛ 필터로 농축한 검정콩 아세톤 추출물을 통과시켰다. 그 후 0.01N-염산, 에틸아세테이트, 산성 메탄올을 순차적으로 C18 column sep-pak cartridge에 통과시켜서 순수한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얻었다. 상기 분획물을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로 동결건조하여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hE)의 억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이후 가장 뛰어난 AChE 저해활성을 나타낸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뇌신경 보호 소재 개발 원료로 사용하였고, 도 1에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얻는 과정을 도식화하였다(도 1).
실시예 1: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의 AChE 저해활성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 측정은 아세틸콜린 요오드화물(acetylcholine iodide)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는 PC12 세포배양액 1 mL에 균질화를 위한 버퍼(1 M NaCl, 50 mM MgCl2, 1% Triton X-100 혼합액에 10 mM Tris-HCl로 pH 7.2로 조정) 5 mL를 첨가하여 Glass-Col homogenizer로 균질화한 후 균질화된 세포배양액을 10,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으며, 그 상징액을 효소실험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추출공정은 4℃에서 수행하였으며, 추출한 효소액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Quant-iTTM Protein Assay kit(Invitrogen, St.Oregon, Eugene,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제효소 10 ㎕에 추출물 10 ㎕를 넣어 37℃에서 15분간 프리인큐베이션(pre-incubation) 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50 mM 인산나트륨 버퍼(pH 8.0)에 용해시킨 Ellman's reaction mixture[0.5 mM acetylthiocholine, 1 mM 5,5'dithiobis(2-nitro benzoic acid)] 70 ㎕를 첨가한 후 405 nm에서 10분 동안 2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로부터 유발되는 기억력 상실 및 학습력 저하 등 각종 인지장애는 주로 대뇌기저부의 아세틸콜린(Ach) 신경세포의 손상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는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의 AChE(Acetylcholinesterase) 저해활성을 살펴보았으며,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과 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이용한 AChE 저해활성의 결과는 도 2와 같다. 비안토시아닌(non-anthocyanins) 분획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농도 250 ㎍/mL에서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타크린(tacrine) 1 μM과 유사한 저해 효과를 보여 주었다.
실시예 2: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kinetic analysis
Kinetic 분석은 균질화된 PC12 세포배양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효소에 추출물 저해제를 넣고 25℃에서 5분간 프리인큐베이션(pre-incubation) 시킨 후 50 mM 인산나트륨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에 용해시킨 Ellma's reaction mixture[0.5 mM acetylthiocholine, 1 mM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를 첨가한 후 10초간 섞은 다음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ChE의 kinetic은 Lineweaver-Burk plot을 이용하였으며, Micahelis-Menten의 효소반응 속도식을 적용할 수 있는 효소반응계이고, 그래프의 경우 X축이 1/S, Y축은 1/V이며, Y축 절편은 1/Vmax, X축 절편은 -1/Km, 그리고 기울기는 Km/Vmax로 나타낸다. IC50 값은 효소 저해 용량-반응(dose-response) 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Lineweaver-Burk 직선의 기울기는 점점 커지며, 각 직선은 Y축에서 교차하지 않는 비경쟁적 저해를 나타내었다. 이 저해양식은 기질농도 [S]를 높여도 저해가 없어지지 않으며, 저해제는 기질이 결합하는 부위와는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Km은 변화하지 않는다. 1세대 AChE 저해제인 타크린(tacrine)의 저해 패턴을 분석한 결과 Y축 절편이 증가는 비경쟁적 저해로 나타났다. IC50 값은 효소의 50%를 저해하는데 필요한 저해제의 농도를 말하며,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의 분획물의 PC12 세포 AChE 저해활성에 대한 IC50 값은 약 233 ㎍로 나타났다(도 3).
실시예 3: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이 과산화수소에 의한 PC12 신경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DCF-DA 방법을 실시하였다. 먼저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2.5×105 세포/웰로 분주하고,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phosphate buffered saline(PBS) 버퍼로 세척한 후 200 μM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50 μM DCFH-DA를 가하고,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Infinite 200, Tecan Co.,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여기(excitation) 파장 485 nm와 방출(emission) 파장 535 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유도하여 DCF 형광강도를 관찰한 결과는 도 4와 같다. 그 결과 과산화수소를 단독 처리한 군에서는 132.29%로 대조구 100% 대비 약 32%의 형광강도 증가를 보인 반면,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처리한 구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산화적 손상 보호 효과를 보였다. 특히 농도 250 ㎍/mL에서는 103.25%로 과산화수소 대비 약 30% 정도의 ROS(reactive oxygen species) 감소율을 보여주어 뛰어난 뇌손상 보호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MTT 분석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PC12 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는 MTT reduction assay로 측정하였다.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PC12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프리인큐베이션(pre-incubation)하였고, 그 후 과산화수소는 200 μM의 농도로 증류수에 녹여 첨가한 후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상태의 PC12 세포에 MTT 스톡 용액(10 ㎕/웰)을 처리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solubilization solution(10% Triton X-100 in acidic isopropanol) 1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마지막으로 흡광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680, Bio-rad, Japan)에서 570 nm(determination wave)와 630 nm(reference wave)에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는 비타민 C(200 μM)를 사용하였고,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은 대조구 그룹(control group)에 대한 % 농도로 나타냈다.
검정콩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이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도 5와 같다.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은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 100% 대비 31.45%의 생존율을 나타냈고 과산화수소와 비타민 C를 동시에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62.91%의 생존율로 과산화수소 처리구 대비 약 31% 정도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였다.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처리한 시료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125 ㎍/mL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비타민 C 200 μM 보다 생존율이 높았으며, 과산화수소 대비 약 38%의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세포막 손상 억제효과
농도별 추출물을 48시간 동안 프리인큐베이션(pre-incubation)시킨 후, 200 μM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5분간 원심분리(250 × g)하여 침전시키고, 100 ㎕의 상등액을 새로운 웰(well)로 옮긴 후 세포막 손상효과 측정은 LDH 분석 키트(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로 측정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신경세포막 손상에 대한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신경세포 중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질 성분의 LDH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6과 같다. 대조구의 방출량은 14.67% 정도인데 반해 과산화수소 처리한 시료에서는 75.19%의 방출량을 보여 과산화수소에 의해 LDH 방출량이 약 61% 정도 증가하였다. 양성 대조구(positive control)로 쓰인 비타민 C 200 μM 처리군은 35.41%의 LDH 방출량을 보였고,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경우 15~125 ㎍/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모든 농도에서 양성 대조구(positve control)로 사용된 비타민 C 200 μM 보다 높은 보호효과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6: TMT 로 인한 단기 기억력 상실 마우스에 대한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회복 능력 평가
본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4주령의 ICR-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5일간의 환경 적응기간을 거치게 하였고, 2마리씩 한 개의 사육케이스에 넣고 항온(22±2℃), 항습(50~55%)이 유지되며, 12시간 간격으로 낮과 밤을 교대시키는 동일한 실험실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이들 흰쥐들은 정상 대조군 그룹(Control), TMT 주입 그룹, 샘플을 5, 10, 및 20 mg/kg body weight(B5, B10 및 B20)로 처리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진행 과정을 도 7에 나타내었다.
TMT 주입 2일 후 Y-maze 실험을 실시하였고, 실험에 사용되는 Y-maze는 검은색 플라스틱 재질로 3개의 ar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arm의 길이, 높이, 너비는 33 cm, 15 cm, 10 cm이다. 각 arm을 A, B, C로 정한 후 한쪽 arm에 마우스를 조심스럽게 놓고 8분 동안 마우스가 들어간 arm의 이동경로를 기록하였다. 3개의 서로 다른 arm에 차례로 들어간 경우 1점(실제 변경, actual alternation)씩 부여하고, 변경 행동력(alternation behavior)은 총 통과횟수(total arm entry)와 점수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Alternation behavior(%) = (Actual alternation/Maximum alternation)×100
본 발명에서는 뇌의 해마부위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킴으로써 AD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TMT를 이용하여 기억력과 학습능력이 감퇴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Y-maze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과 같다. 8분 동안 Y-maze에서의 마우스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TMT 그룹은 대조구 그룹(100.00%) 대비 79.69%로 현저한 기억력 저하(20.31% 감소)를 보였다. 이에 반해 B5, B10, 그리고 B20 그룹은 각각 97.36%, 103.21%, 106.24%로 TMT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기억력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대조구 그룹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TMT 로 인한 장기 기억력 상실 마우스에 대한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회복 능력 평가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인지 기능 및 장기 기억력 회복능을 확인하기 위해 수동회피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 실험기구는 조명이 있는 밝은 챔버와 어두운 챔버, 2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바닥은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TMT 주입 3일 후 수동회피 학습 시험(passive avoidance training trial)을 실시하였다. 각 마우스는 조명이 있는 챔버에서 조명을 켜지 않은 채 1분 동안 적응시킨 후 조명을 켜고 2분 동안 적응시킨 다음 마우스가 어두운 챔버로 이동하자마자 전기충격을 0.5 mA, 1초 동안 가하였다. 학습 시험을 시킨 다음날 각 마우스들을 대상으로 기억 시험(test trial)을 실시하였고, 조명을 켠 챔버에 마우스를 놓고 마우스의 네 발이 다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latency time: 머무름 시간)을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TMT 그룹의 머무름 시간(latency time)은 39.02%로 대조구 그룹(100.00%)에 비하여 학습 및 인지기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60.98% 감소). TMT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B5, B10, 및 B20 그룹은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기능이 크게 회복,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 역시 높은 농도로 섭취하였을 때 대조구 이상의 회복능을 보여줌으로써 검정콩 껍질을 활용한 가공품은 Alzhimer's disease(AD)와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활용 가능성이 뛰어날 것으로 판단된다(도 9).
실시예 8: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뇌 조직 중의 AChE 활성 측정
수동 회피(passive avoidance) 실험 종료 후 마우스의 뇌를 적출하여 10 volume의 PBS를 넣고 Glass-Col homogenizer로 균질화한 후 12,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으며, 그 상등액을 효소실험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추출공정은 4℃에서 수행하였으며, 추출한 효소액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Quant-iTTM Protein Assay kit(Invitrogen Co.,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효소 5 ㎕에 50 mM 인산나트륨 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65 ㎕을 넣고 37℃에서 15분간 프리인큐베이션(pre-incubation) 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Ellman's reaction mixture 70 ㎕를 첨가한 후 405 nm에서 10분 동안 2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마우스 뇌 조직 중의 AChE 활성은 정상군 대비 %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Y-maze와 수동 회피(passive avoidance) 실험 종료 후 마우스의 뇌를 적출하여 AChE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10과 같다. TMT 그룹은 대조구 그룹(100.00%) 대비 113.23%로 나타나, TMT가 마우스 뇌 조직에 존재하는 해마영역의 AChE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농도에서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은 AChE 활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지만 B20 그룹에서는 AChE 활성을 크게 저해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B5: 109.09%, B10: 100.55%, B20: 96.19%). 따라서, 실험 결과 TMT로 유도된 학습 및 인지기능 결함 마우스에서 효과적으로 AChE의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도 10).
실시예 10: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뇌 조직 중의 malondialdehyde( MDA ) 함량 측정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이용하여 추출한 마우스 뇌조직 균질액 160 ㎕에 1% 인산 960 ㎕을 혼합한 후 0.67% TBA(thiobabituric acid) 320 ㎕을 넣고 9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532 nm에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DA 함량은 mg 단백질 당 ㎛ole의 농도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뇌 조직에 존재하는 지질과산화 중간생성물인 MDA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1.39 nmole/mg 단백질이었으며, TMT 그룹은 이보다 증가한 1.58 nmole/mg 단백질로 나타나 TMT에 의해 대부분 지질로 구성되어있는 뇌 조직의 과산화 생성물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안토시아닌 분획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DA의 함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B20 그룹은 TMT 그룹 대비 40.48%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에서 TMT는 뇌 특정부위의 신경세포 손상 및 아폽토시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TMT에 의해 생성된 ROS(reactive oxygen species)를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이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11).
실시예 11: 검정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활성 물질 분석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서 뛰어난 활성을 나타낸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이용하여 지표물질을 분석하기 위해 HPLC(Ultra mate 3000, Dionex, CA, USA)을 사용하였다. 분석조건 중 컬럼은 C18 컬럼(4.6 mm x 250 mm, 5 ㎛, Dionex, CA, USA)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0.01 M 인산 칼륨 일염기성(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pH 3.0(A)와 메탄올(B)을 사용하였으며, 0~80% B 용매를 선형 구배(linear gradient)로 35분 동안 분석하였다. 시료의 주입량은 20 ㎕, 이동상 유속은 1.5 mL/min이며 UV 검출장치의 파장은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photo diode array detector)로 280 nm에서 분석하였다.
높은 AChE 저해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서 높은 생리활성이 확인된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에 함유된 화합물을 탐색하고자 HPLC 분석을 한 결과는 도 12와 같다. 6.962분, 10.515분, 12.518분에서 확인된 피크가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지표물질임을 확인하였고, 이는 화합물 기준으로 페놀의 머무름 시간 및 스펙트럼과 비교하였을 때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검정콩 껍질의 페놀산 성분은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바닐린산(vanillic acid), 시린진산(syring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의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에서는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카테킨(catechin), 시린진산(syringic acid)이 확인됨에 따라 검정콩 껍질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의 다양한 생리활성은 이와 같은 화합물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Claims (6)

  1. 검은콩 껍질 40~60 g에 60~80%(v/v) 아세톤을 800~1200 mL를 첨가하여 15~25분 동안 초음파 추출한 검은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제조된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6. 검은콩 껍질 40~60 g에 60~80%(v/v) 아세톤을 800~1200 mL를 첨가하여 15~25분 동안 초음파 추출한 검은콩 껍질 아세톤 추출물을 염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제조된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30043632A 2013-04-19 2013-04-19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431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632A KR101431798B1 (ko) 2013-04-19 2013-04-19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632A KR101431798B1 (ko) 2013-04-19 2013-04-19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798B1 true KR101431798B1 (ko) 2014-08-19

Family

ID=5175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632A KR101431798B1 (ko) 2013-04-19 2013-04-19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120A (ko) 2018-11-30 2020-06-09 푸른여름팩토리 주식회사 홍삼 추출물, 석창포 추출물 및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장애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164A (ja) 2002-03-28 2003-10-07 Pharmafoods Kenkyusho:Kk 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阻害剤
KR20110041879A (ko) * 2009-10-16 2011-04-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20110113465A (ko) * 2010-04-09 2011-10-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164A (ja) 2002-03-28 2003-10-07 Pharmafoods Kenkyusho:Kk 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阻害剤
KR20110041879A (ko) * 2009-10-16 2011-04-2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20110113465A (ko) * 2010-04-09 2011-10-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검정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120A (ko) 2018-11-30 2020-06-09 푸른여름팩토리 주식회사 홍삼 추출물, 석창포 추출물 및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장애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913B1 (ko)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382099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KR101093413B1 (ko) 뇌 신경 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고구마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1440684B1 (ko) 클로렐라 유래 항산화 활성을 갖는 펩티드
KR20190001164A (ko) 강황, 모과 및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30107947A (ko) 디플로르에토하이드록시카르마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333982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31798B1 (ko)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23209B1 (ko) 결명자 또는 초결명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0909B1 (ko) 뇌 신경 세포 보호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20120086262A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00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113434A (ko) 인삼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우울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88131B1 (ko)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0143B1 (ko) 몬소니아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7997B1 (ko)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80032251A (ko) 바우히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1785B1 (ko) 블루베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70316A (ko)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뇌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739600B1 (ko)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트라아제 저해능을 가지는 한라봉 추출물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