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241B1 -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 Google Patents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241B1
KR101431241B1 KR1020140015527A KR20140015527A KR101431241B1 KR 101431241 B1 KR101431241 B1 KR 101431241B1 KR 1020140015527 A KR1020140015527 A KR 1020140015527A KR 20140015527 A KR20140015527 A KR 20140015527A KR 101431241 B1 KR101431241 B1 KR 10143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concrete
curved surface
blocking plate
finish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규
권석원
김칠환
Original Assignee
경록건설주식회사
동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록건설주식회사, 동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록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in situ, e.g. by sectioning a freshly-laid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아크(arc)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막음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막음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곡면 거푸집을 준비하는 곡면 거푸집 준비 단계; 상기 다수의 곡면 거푸집을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 및 상기 곡면 거푸집들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Constructing method for curved surface concrete bottom structure and curved surface concrete bottom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바닥 포장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복층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각 층은 해당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바닥의 복층 구조는 크게, 표층(表層)부와 노반(路盤)부로 나누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의 표층부는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평평한 면을 유지해야 하며, 마모에 강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표층부는 미끄럼에 대해서도 마찰력이 커야 하며, 그 밖에 방수성이 있어서 동결 및 융해의 파괴작용에도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반해, 후자의 노반부는 상기 표층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전하게 노반 밑의 노상(路床)으로 전달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재질로 성토된다.
한편, 바닥 포장을 시행하는 방법에 있어 포장은 그 표층부의 재질에 따라 콘크리트 포장, 아스팔트 포장 및 블록 포장의 세 가지로 크게 대별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콘크리트 포장은 표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포장 시공을 진행한 것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뿐이거나 콘크리트에 철망을 삽입한 보통의 콘크리트 포장 외에, 철근(또는 다웰 바) 콘크리트 포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포장 등이 있다.
아스팔트 포장은 표층부가 아스팔트 또는 타르에 의해 고결된 쇄석 등의 골재(骨材)로 포장한 것이다.
아스팔트 포장을 역청계(瀝靑系) 포장 또는 타르 포장 등으로도 부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블록 포장은 돌, 벽돌, 시멘트, 나무, 아스팔트 등의 각종 블록을 표층부에 배치하여 포장한 것이다.
블록 포장은 특수한 지역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역청계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서는 많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바닥 포장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콘크리트 포장이다. 이는 콘크리트 포장은 다른 포장 방법에 비해 자재 구입이 쉽고 시공이 간편하며, 강성이 높고, 넓은 지역을 빠른 시간 내에 포장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바닥이 평평한 상태인 경우인데, 만약 콘크리트 포장이 진행되어야 할 바닥이 급경사나 곡면을 이루는 경우, 기존의 단순 수평부 콘크리트 포장 방법으로는 진행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을 위한 특별한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4001156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3144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7431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303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아크(arc)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막음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막음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곡면 거푸집을 준비하는 곡면 거푸집 준비 단계; 상기 다수의 곡면 거푸집을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 및 상기 곡면 거푸집들 내부로 철망 또는 다웰 바 배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의 수행 시 상기 곡면 거푸집들 사이의 이격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곡면 거푸집들 사이에 간격조절바를 배치하면서 높이조절용 잭(jack)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 후,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으로 다웰 바(dowel bar)를 설치하면서 상기 이격간격의 하부 및 상부에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을 배치하는 다웰 바 설치, 철망 및 곡면 마감 거푸집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후, 상기 곡면 거푸집을 철거하는 곡면 거푸집 철거 단계; 상기 이격간격의 하부 및 상부에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을 배치하고 철망을 배치하는 막음재, 철망 배치 단계; 상기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기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에 의해 막힌 상기 이격간격 내부로 철망 또는 다웰 바 배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상기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후, 상기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기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을 철거하는 막음재 철거 단계; 및 상기 1차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2차 콘크리트 블록의 조인트(joint) 부분을 커팅 및 실링 처리함으로써 균열에 대한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1차, 2차 연결부 커팅 및 후처리 마감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하부 막음 플레이트 또는 상기 상부 막음 플레이트에 교차 배치되거나 상기 하부 막음 플레이트 또는 상기 상부 막음 플레이트를 뚫고 통과하게 결합되며, 상기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하부 막음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막음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높이조절용 브래킷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 거푸집의 각 코너에는 상기 곡면 거푸집의 높이 조절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용 잭(jack)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처럼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경우, 예컨대 자동차 주행 시험장처럼 곡면의 넓은 고속차로 역시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곡면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A 영역에 대하여 곡면 거푸집들이 배열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의 단계적인 평면 공정도이다.
도 8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시공 시 거푸집 설치 및 다웰 바 간격재 배치도이다.
도 9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1차 콘크리트 타설 예시도이다.
도 10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2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 완료도이다.
도 11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2차 콘크리트 타설 완료 예시도이다.
도 12는 1차, 2차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완성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도 2에 대한 요부 이미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 곡면 거푸집들이 배열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 도 5에 대한 변형 실시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요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요부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곡면 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A 영역에 대하여 곡면 거푸집들이 배열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의 단계적인 평면 공정도, 도 8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시공 시 거푸집 설치 및 다웰 바 간격재 배치도, 도 9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1차 콘크리트 타설 예시도, 도 10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2차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설치 완료도, 도 11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2차 콘크리트 타설 완료 예시도, 도 12는 1차, 2차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완성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평면도, 도 13은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의 플로차트, 그리고 도 14는 도 2에 대한 요부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내지 도 3, 그리도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 기술의 대표적인 것이 콘크리트 포장 기술인데,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바닥이 평평한 상태인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도 2 및 도 14처럼 바닥이 곡면을 이루는 경우, 기존의 단순 콘크리트 포장 방법으로는 진행하기 어렵다.
특히,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주행 시험장처럼 원형 곡면의 넓은 고속차로를 시공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단순 콘크리트 포장 방법으로는 진행할 수 없다.
이는 도 3처럼 1차 콘크리트 블록(181)과 2차 콘크리트 블록(182) 모두가 양 단부의 길어깨부를 제외하고 경사도에 따라 저속차로부, 중속차로부 및 고속차로부를 형성해야 하는데, 특히 저속차로부와 달리 중속차로부 및 고속차로부는 일정한 경사도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본 실시예와 같은 시공방법이 적용되어야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다. 참고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아래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곡면 거푸집(100)이 필요하다.
이러한 곡면 거푸집(100)은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 및 상부 막음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는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는 아크(arc)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저속차로부, 중속차로부 및 고속차로부의 경사도에 맞게 미리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의 경사도는 시공 장소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는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와 달리 곡선형의 형태, 즉 아크(arc)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된다.
상부 막음 플레이트(130) 역시,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와 달리 직선형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막음 플레이트(130)는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의 타측 상부에 결합된다.
도 9 및 도 10처럼 1차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곡면 거푸집(100)은 철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 및 상부 막음 플레이트(130)는 다수의 높이조절용 브래킷(190)에 의한 볼트 지지구조에 의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곡면 거푸집(100)의 각 코너에는 곡면 거푸집(100)의 높이 조절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용 잭(jack, 195)이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용 잭(195)은 고임목 위에 배치되어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의 단부(110a)를 하부에서 떠받쳐 지지하면서 곡면 거푸집(100)의 높이 조절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높이조절용 잭(195)에 이웃된 높이조절용 브래킷(190)에는 장공(191)이 형성되면서 너트(192)로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에 고정되어 높이조절용 잭(195)의 작용 시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한다. 상부 막음 플레이트(130)에도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높이조절용 잭(195)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높이조절용 잭(195)의 구조와 형상은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도면은 편의를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곡면 거푸집(100)은 아래가 좁고 위가 넓은 형태로서 연결되어야 하지만 도면에는 편의를 위해 단순히 사각형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 하부 막음 플레이트(120) 및 상부 막음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곡면 거푸집(100)을 준비한다(S11).
곡면 거푸집(100)은 많은 개수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로 여러 대의 곡면 거푸집(100)을 준비한다.
곡면 거푸집(100)의 준비가 완료되면, 도 6 및 도 7처럼 다수의 곡면 거푸집(100)을 상호간 이격간격(S)을 두고 배열한다(S12). 도 6은 사시도이고 도 7은 평면도로서 동일한 도면이다.
이때, 이격간격(S)의 폭은 곡면 거푸집(100)의 폭과 거의 유사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이처럼 곡면 거푸집(100)을 배열할 때는 곡면 거푸집(100)들 사이의 이격간격(S) 조절을 위해 곡면 거푸집(100)들 사이에 간격조절바(140)를 배치한다.
간격조절바(140)는 통상의 파이프(pipe)일 수 있는데, 곡면 거푸집(100)들 사이에 일정 간격, 즉 곡률반경에 따른 미리 결정된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간격조절바(140)를 설치하면서 곡면 거푸집(100)을 배열한 이후에는 도 8처럼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111)으로 다웰 바(150)를 설치한다(S13). 여기서, 다웰 바(150)는 포괄적인 용어로서, 다웰 바(150)에는 메쉬철망, 강선, 강연선, 철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플레이트(110)의 양측으로 짧게 다웰 바(150)를 설치하고 있다.
물론, 다웰 바(150)의 설치 작업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는 없으나 다웰 바(150)가 설치되어야 바닥구조체의 강도를 높이고, 연결부 단차로 인한 결함을 없앨 수 있다.
다음, 도 9처럼 곡면 거푸집(100)들 내부로 1차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킨다(S14).
일정 시간이 지나 1차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10처럼 곡면 거푸집(100)을 철거한다(S15). 그러면, 곡면 거푸집(100)이 철거된 자리에 1차 콘크리트 블록(181)이 완성된다.
다음, 이격간격(S) 영역의 콘크리트 작업을 위하여 도 10처럼 이격간격(S)의 하부 및 상부에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160)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170)을 배치한다(S16). 이때는 철망 역시 함께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이격간격(S)의 하부 및 상부에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160)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170)을 배치하고 나면 이격간격(S)의 내부가 막힌 구조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처럼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160)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170)에 의해 막힌 이격간격(S) 내부로 2차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킨다(S17).
일정 시간이 지나 2차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12처럼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160)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170)을 철거한다(S18). 그러면, 막음재(160,170)가 철거된 자리에 2차 콘크리트 블록(182)이 완성되며, 도 1, 도 2 및 도 14와 같은 형태의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 완료될 수 있다.
추후, 1차 콘크리트 블록(181)과 2차 콘크리트 블록(182)의 조인트(joint) 부분을 커팅 및 후처리함으로써 균열에 대한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후처리 마감 단계를 더 진행할 도 있는데(S19), S19 단계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처럼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경우, 예컨대 자동차 주행 시험장처럼 곡면의 넓은 고속차로 역시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 곡면 거푸집들이 배열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다웰 바(250)가 곡면 거푸집(100)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될 경우, 좀 더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공방법이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 도 5에 대한 변형 실시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310)의 단부(310a)는 하부 막음 플레이트(320)를 뚫고 통과하게 결합된다.
이럴 경우,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310)와 하부 막음 플레이트(320)가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강한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높이 조절 작업이 한 번에 수행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6의 실시예에도 도 5에 도시된 높이조절용 잭(195)이 적용되어야 하나 도 16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높이조절용 잭(195)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의 시공방법이 적용되더라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곡면 바닥에 대한 콘크리트 포장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요부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바닥구조체는 도 1의 원형 구조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제작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곡면 거푸집 110 :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
111 : 통공 120 : 하부 막음 플레이트
130 : 상부 막음 플레이트 140 : 간격조절바
150 : 다웰 바 160 :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
170 :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 181 : 1차 콘크리트 블록
182 : 2차 콘크리트 블록 190 : 높이조절용 브래킷

Claims (6)

  1. 아크(arc)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막음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막음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곡면 거푸집을 준비하는 곡면 거푸집 준비 단계;
    상기 다수의 곡면 거푸집을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 및
    상기 곡면 거푸집들 내부로 철망 또는 다웰 바 배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의 수행 시 상기 곡면 거푸집들 사이의 이격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곡면 거푸집들 사이에 간격조절바를 배치하면서 높이조절용 잭(jack)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거푸집 배열 단계 후, 상기 한 쌍의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으로 다웰 바(dowel bar)를 설치하면서 상기 이격간격의 하부 및 상부에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을 배치하는 다웰 바 설치, 철망 및 곡면 마감 거푸집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후, 상기 곡면 거푸집을 철거하는 곡면 거푸집 철거 단계;
    상기 이격간격의 하부 및 상부에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을 배치하고 철망을 배치하는 막음재, 철망 배치 단계;
    상기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기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에 의해 막힌 상기 이격간격 내부로 철망 또는 다웰 바 배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양생시키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상기 2차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단계 후, 상기 하부 곡면 마감 거푸집과 상기 상부 곡면 마감 거푸집을 철거하는 막음재 철거 단계; 및
    상기 1차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2차 콘크리트 블록의 조인트(joint) 부분을 커팅 및 실링 처리함으로써 균열에 대한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1차, 2차 연결부 커팅 및 후처리 마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는 상기 하부 막음 플레이트 또는 상기 상부 막음 플레이트에 교차 배치되거나 상기 하부 막음 플레이트 또는 상기 상부 막음 플레이트를 뚫고 통과하게 결합되며,
    상기 곡면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하부 막음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막음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높이조절용 브래킷이 결합되며,
    상기 곡면 거푸집의 각 코너에는 상기 곡면 거푸집의 높이 조절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용 잭(jack)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6. 삭제
KR1020140015527A 2014-02-11 2014-02-11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KR10143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27A KR101431241B1 (ko) 2014-02-11 2014-02-11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27A KR101431241B1 (ko) 2014-02-11 2014-02-11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241B1 true KR101431241B1 (ko) 2014-08-18

Family

ID=5175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527A KR101431241B1 (ko) 2014-02-11 2014-02-11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217A (ja) * 2001-12-25 2003-07-08 Junichi Tsuzuki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造用型枠
KR200448085Y1 (ko) 2009-04-01 2010-03-1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217A (ja) * 2001-12-25 2003-07-08 Junichi Tsuzuki 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造用型枠
KR200448085Y1 (ko) 2009-04-01 2010-03-12 주식회사 비씨에이치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66670B (zh) 一种装配式车载路面及其施工方法
KR10169731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 보수와 포장 공법
KR10208514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4358202B (zh) 路面结构层及其铺筑方法
KR101389704B1 (ko)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7950276B1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vehicle test road by joining pre-fabricated pavement modules
JP5596876B1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方法
KR101187369B1 (ko) 씨아이피를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CN109252434A (zh) 一种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074893B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的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CN211898390U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用的浇筑模板系统
KR101431241B1 (ko)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곡면 콘크리트 바닥구조체
KR101761477B1 (ko) 적층형 토목섬유 보강토지반벽체와 스프레드 토대판을 사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CN112458818B (zh) 高舒适性装配式水泥混凝土路面修复结构、施工方法及路面结构翻转装置
JP5401124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工法
JP6553464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構造の施工方法
KR1017053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합성한 도로포장공법
KR10085684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도로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N211849445U (zh) 一种河堤堤坝混凝土垫层的施工系统
DE202021102192U1 (de) Verbundpflasterdecke
JP2009041226A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を用いたアプローチ部の施工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0456737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KR101650856B1 (ko) 상단에 슬래브 블록이 일체로 구성되는 i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