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917B1 -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917B1
KR101430917B1 KR1020140091929A KR20140091929A KR101430917B1 KR 101430917 B1 KR101430917 B1 KR 101430917B1 KR 1020140091929 A KR1020140091929 A KR 1020140091929A KR 20140091929 A KR20140091929 A KR 20140091929A KR 101430917 B1 KR101430917 B1 KR 10143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unit
laser
senso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731A (ko
Inventor
홍규혁
신현수
지영상
Original Assignee
홍규혁
신현수
지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규혁, 신현수, 지영상 filed Critical 홍규혁
Priority to KR102014009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9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들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바퀴들 중 어느 하나를 드러내도록 상기 차체에 형성되며, 제1 연장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바퀴들 중 다른 하나를 드러내도록 상기 차체에 형성되고, 제2 연장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과 반대되는 면인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중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면과 상기 제2 연장면 사이의 중앙 영역의 건너편인 제2 외곽 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유닛과, 상기 제2 측면 중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사 유닛의 레이저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 영역의 건너편인 제1 외곽 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유닛을 구비하는 레이저 조사 유닛;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제1 축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설치되는 장착대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을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장착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대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을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 상기 차체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차체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 센서와, 상기 차체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좌표 센서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방향을 바꾸는 핸들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진자 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사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경사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좌표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위치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차체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가동되도록 하고, 상기 조향각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AUTOMOBILE ENABLE TO INFORM ITS APPROACH TO SURROUNDINGS}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면서 달리게 된다. 운전자는 또한 자동차의 주행 방향의 양 측방도 주시해야 하나, 전방만큼 주시하기는 힘들다.
그에 의해, 교차로나 골목길의 갈림길 등에서, 보행자가 자동차가 접근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갑자기 자동차와 마주하여 자동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한 운전자의 잘못이기도 하지만, 보행자로서도 미리 자동차의 접근을 알고 있다면 자동차를 피할 수 있기도 한 문제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접근을 주변, 주로는 보행자, 다른 자동차 운전자, 오토바이 운전다 등에게 알릴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가 있기도 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힘든 위치에서도 자동차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는, 바퀴들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바퀴들 중 어느 하나를 드러내도록 상기 차체에 형성되며, 제1 연장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바퀴들 중 다른 하나를 드러내도록 상기 차체에 형성되고, 제2 연장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과 반대되는 면인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중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면과 상기 제2 연장면 사이의 중앙 영역의 건너편인 제2 외곽 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유닛과, 상기 제2 측면 중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사 유닛의 레이저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 영역의 건너편인 제1 외곽 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유닛을 구비하는 레이저 조사 유닛;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제1 축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설치되는 장착대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을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장착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대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을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 상기 차체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차체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 센서와, 상기 차체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좌표 센서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방향을 바꾸는 핸들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진자 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사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경사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좌표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위치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차체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가동되도록 하고, 상기 조향각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에 의하면, 자동차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힘든 위치에서도 자동차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100)의 운행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조사 유닛(170)과 그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190)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차(100)의 제어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차(100)가 골목길에서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상황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100)의 운행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100)는, 차체(110)와, 제1 측면(130)과, 제2 측면(150)과, 레이저 조사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10)는 자동차(100)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이다. 차체(110)는 그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씩으로 구비되는 바퀴(111 및 113)를 포함한다.
제1 측면(130)은 제1 바퀴(111)를 드러내는 차체(110)의 일 측면이다. 제1 측면(130)은 제1 연장면(135)을 따라 연장하게 된다.
제2 측면(150)은 제2 바퀴(113)을 드러내는 차체(110)의 다른 측면이다. 그에 의해, 제2 측면(150)은 제1 측면(130)에 반대되는 면이다. 제2 측면(150)은 제2 연장면(155)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레이저 조사 유닛(170)은 차체(110)에 설치되어, 차체(110)의 전방 영역(F)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방 영역(F)은 제1 연장면(135) 및 제2 연장면(155) 사이의 중앙 영역(C)과, 제1 연장면(135) 넘어의 제1 외곽 영역(O1), 그리고 제2 연장면(155) 넘어의 제2 외곽 영역(O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조사 유닛(170)은 중앙 영역(C)을 제외한 제1 외곽 영역(O1)과 제2 외곽 영역(O2)에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레이저 조사 유닛(170)은 또한 자동차(100)가 놓여진 노면을 지향하도록 차체(110)에서 하향 경사져서 레이저가 진행되도록 배열된다.
레이저 조사 유닛(170)은, 제1 조사 유닛(171)과, 제2 조사 유닛(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사 유닛(171)이 제1 측면(130) 측에 설치되면, 제2 조사 유닛(173)은 제2 측면(15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사 유닛(171)이 제2 외곽 영역(O2)을 향해 레이저(L1)를 조사하는 경우, 제2 조사 유닛(173)은 제1 외곽 영역(O1)을 향해 레이저(L2)를 조사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조사 유닛(171)과 제2 조사 유닛(173)에서 각각 조사된 레이저들(L1 및 L2)은 서로 교차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이상의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레이저를 조사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유닛(19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조사 유닛(170)과 그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190)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 유닛(170)은 조절 유닛(190)에 장착되어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조절 유닛(190)은, 레이저 조사 유닛(170)을 지지한 채로 차체(110, 도 1)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절 유닛(190)은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조절 유닛(190)은, 샤프트(191)와, 지지대(193)와, 장착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91)는 제1 측면(130, 도 1)과 제2 측면(150, 도 1)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축(1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차체(110)에 설치된다. 지지대(193)는 샤프트(191)에서 연장 형성된다. 장착대(195)는 지지대(193)에 제2 축(11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축(117)은 제1 축(115)과 교차, 나아가 수직하도록 정의되며, 제1 측면(130) 및 제2 측면(150)과 평행한 방향을 따르는 축이다.
조절 유닛(190)은, 샤프트(191)를 제1 축(115)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부(197, 도 3), 및 장착대(195)를 제2 축(117)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부(199, 도 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유닛(190)을 통해 레이저 조사 유닛(17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 방식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자동차(100)의 제어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도 2)을 참조하면, 자동차(100)는, 앞서의 제1 구동부(197) 및 제2 구동부(199)에 더하여, 제어 유닛(210)과, 속도 센서(220)와, 경사 센서(230)와, 위치좌표 센서(240)와, 조향각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10)은, 속도 센서(220) 내지 조향각 센서(250)로부터 차체(110)에 관한 각종 정보를 받아서, 그를 근거로 제1 구동부(197) 및 제2 구동부(199)를 제어하여, 레이저 조사 유닛(170)의 작동 및 레이저 조사 유닛(170)에 의해 출력되는 레이저의 방향이 달라지게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속도 센서(220)는 차체(110)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경사 센서(230)는 차체(110)가 경사진 도로를 오르는 등에 의한 차체(110)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위치좌표 센서(240)는 차체(110)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치 좌표를 파악하는 센서이다. 조향각 센서(250)는 차체(110)의 핸들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제어 유닛(210)은, 속도 센서(220)로부터 차체(110)의 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레이저 조사 유닛(17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색상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110)가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 레이저가 보라색으로 출력되다가, 고속에서는 붉은 색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10)은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제1 축(115) 및 제2 축(117)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레이저 조사 방향이 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속에서는 차체(110)의 바로 앞을 비추던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속도 증가에 따라 제1 축(115)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더 먼 곳을 비추게 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210)은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제2 축(117)을 중심으로 진자 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도 4 참조)
제어 유닛(210)은 경사 센서(230)로부터 측정되는 경사도에 근거하여,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제1 축(11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차체(110)가 경사면을 오르는 경우에,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보다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제어 유닛(210)은 또한, 위치좌표 센서(240)로부터 입력된 위치좌표에 근거하여, 차체(110)가 갈림길 또는 교차길에 진입하는 시점에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차(100)의 접근을 미리 인식해야 할 경우는, 자동차(100)가 갈림길 또는 교차길에 진입하는 경우이므로, 그때만 레이저 조사 유닛(170)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또는 병행적으로, 제어 유닛(210)은, 차체(110)가 왕복 2차로 이하의 도로에 위치한 경우에 레이저 조사 유닛(170)을 가동할 수 있다.
제어 유닛(210)은 또한, 조향각 센서(250)로부터 검출된 핸들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레이저 조사 유닛(170)을 제2 축(1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핸들이 회전된 방향[차체(110)가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조사 유닛(170)도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상의 자동차(100)에 의해 안전을 확보하는 일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자동차(100)가 골목길에서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상황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100)는 골목길에서 제1 도로(R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도로(R1)는 제2 도로(R2)로 분기되고, 제2 도로(R2)에는 어린이(K)가 분기된 지점을 향해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100)는 레이저 조사 유닛(170)에 의해 전방의 양측으로 레이저(L1 및 L2)를 조사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 조사 유닛(170)은 레이저(L1 및 L2)를 제2 축(117)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진행 방향 전후로 진자 운동하는 궤적(S)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L1 및 L2)에 의해, 어린이(K)는 안 보이는 곳에서 자동차(100)가 접근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어린이(K)는 자동차(100)에 유의하여, 자동차(100)에 부딪히는 사고를 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자동차 110: 차체
130: 제1 측면 150: 제2 측면
170: 레이저 조사 유닛 171: 제1 조사 유닛
173: 제2 조사 유닛 190: 조절 유닛
191: 샤프트 195: 장착대
L1, L2: 레이저 O1,O2: 외곽 영역

Claims (1)

  1. 바퀴들을 구비하는 차체;
    상기 바퀴들 중 어느 하나를 드러내도록 상기 차체에 형성되며, 제1 연장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상기 바퀴들 중 다른 하나를 드러내도록 상기 차체에 형성되고, 제2 연장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과 반대되는 면인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중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면과 상기 제2 연장면 사이의 중앙 영역의 건너편인 제2 외곽 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유닛과, 상기 제2 측면 중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조사 유닛의 레이저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 영역의 건너편인 제1 외곽 영역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유닛을 구비하는 레이저 조사 유닛;
    상기 차체의 최선단에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제1 축과 교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설치되는 장착대와,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을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장착대에 연결되고 상기 장착대를 회전시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을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는 조절 유닛;
    상기 차체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상기 차체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경사 센서와, 상기 차체의 위치 좌표를 측정하는 위치좌표 센서와,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방향을 바꾸는 핸들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 및
    상기 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행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진자 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경사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경사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좌표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위치 좌표에 근거하여 상기 차체가 교차로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가동되도록 하고, 상기 조향각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핸들의 회전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이저 조사 유닛이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이저의 조사 방향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KR1020140091929A 2014-07-21 2014-07-21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KR10143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929A KR101430917B1 (ko) 2014-07-21 2014-07-21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929A KR101430917B1 (ko) 2014-07-21 2014-07-21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660A Division KR20140061707A (ko) 2012-11-14 2012-11-14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731A KR20140098731A (ko) 2014-08-08
KR101430917B1 true KR101430917B1 (ko) 2014-09-23

Family

ID=5174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929A KR101430917B1 (ko) 2014-07-21 2014-07-21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9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90Y1 (ko) * 2000-10-06 2001-02-15 문병호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JP2008195344A (ja) * 2007-02-15 2008-08-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障害物照射装置
JP2010285055A (ja) * 2009-06-11 2010-12-2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警報装置および車両の警報発生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90Y1 (ko) * 2000-10-06 2001-02-15 문병호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JP2008195344A (ja) * 2007-02-15 2008-08-28 Toyota Motor Corp 車両用障害物照射装置
JP2010285055A (ja) * 2009-06-11 2010-12-2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警報装置および車両の警報発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731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9220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6304086B2 (ja) 自動運転装置
JP6365390B2 (ja) 車線変更支援装置
CN103318073B (zh) 汽车及汽车的控制方法
KR20190113922A (ko) 회전들을 위한 자율 차량들의 준비
US20180335774A1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KR2019010061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8226140A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2016115280A (ja) 車両情報投影システム及び車両情報投影方法
KR101934751B1 (ko) 차량용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4534A (ko) 차량,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101174B1 (ko) 주차 지원 장치
KR102508510B1 (ko) 도로설치 기반 도로표면 레이저 마킹 시스템 및 방법
CN103786636A (zh) 车载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9032893A (ja) 車両情報投影システム及び車両情報投影方法
CN108725438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JP2013103628A (ja) 判断支援装置、及び、判断支援方法
JP6413919B2 (ja) 車両姿勢制御装置
KR102012842B1 (ko) 매트릭스형 스마트 자동차 전조등
KR101430917B1 (ko)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JP6819054B2 (ja) 自動運転車両
KR20140114152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후측방 경보 시스템 및 그의 경보 제어 방법
US10549607B2 (en) Lighting assembly disposed on an interior side of a window of a vehicle and method of illuminat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CN106915297A (zh) 车辆信号灯控制方法和装置
JP3961771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