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90Y1 -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90Y1
KR200214490Y1 KR2020000027850U KR20000027850U KR200214490Y1 KR 200214490 Y1 KR200214490 Y1 KR 200214490Y1 KR 2020000027850 U KR2020000027850 U KR 2020000027850U KR 20000027850 U KR20000027850 U KR 20000027850U KR 200214490 Y1 KR200214490 Y1 KR 200214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vehicle
scanning unit
laser scann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호
Original Assignee
문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호 filed Critical 문병호
Priority to KR2020000027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90Y1/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설정된 폭으로 지면에 주사점이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는 한 쌍의 레이저 주사부와; 상기 레이저 주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 주사부를 ON/OFF시키는 작동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됨으로써, 좁은 통로로 진입하거나 두 대의 차 사이에 파킹을 시키게 될 경우에 자동차가 통과할 수 있을지 여부를 하차하지 않고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Apparatus for confirming the pass width of car using laser beam }
본 고안은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좁은 통로로 진입하거나 두 대의 차 사이에 파킹을 할 경우에 자신의 차량이 통과할 수 있을지 여부를 하차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운행시에는 좁은 통로로 진입해야 할 경우나 두 대의 차량 사이를 통과하여 진행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좁은 공간이나 두 대의 차량 사이에 주차시키게 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좁은 통로 또는 공간이나 두 대의 자동차 사이의 간격을 정확히 확인하고 진입해야만 자동차의 좌우측면이 충돌없이 통과하게 되거나 주차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동차를 좁은 통로에 또는 두 대의 자동차 사이에 진입해야 할 경우나 파킹을 시키게 될 경우 자신의 자동차가 통과할 수 있을지 눈으로 어림짐작하여 판단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눈으로 어림짐작을 하여도 판단이 곤란한 경우에는 직접 하차하여 자동차의 차폭과 진입로의 폭을 비교해보는 등의 자구방법이 이용되었으나 하차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렇게 하더라도 정확한 통과 가능폭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또한 운전자가 초보이거나 아직 운전이 미숙한 사람인 경우에는 정확한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무작정 진입을 시도하다 보면 벽이나 인접하여 주차된 자동차와 접촉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매우 많았다.
그리고 골목의 길이가 긴 경우에 골목 초입에서는 진입이 가능하나 들어갈수록 폭이 좁아져 자동차가 통과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운전자가 골목으로 일단 진입하더라도 통과가 불가능하게 되어 후진하게 되는 낭패를 보는 경우도 종종 있어 왔다.
특히 이삿짐 차량의 경우에는 골목안에 차를 대어야하는 경우가 많아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더욱 자주 겪어 왔다.
또한 아직 운전이 익숙하지 못한 운전자들의 경우에는 좁은 진입로에 대한 두려움이 훨씬 커서 진입이 충분히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골목 진입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고속도로에서처럼 직진 위주의 운행시에 나란히 진행중인 두 대의 자동차 사이나 가드 레일과 자동차 사이 등을 추월해서 통과해야 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자동차의 폭을 직접 장애물 사이의 간격과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추월이 꼭 필요한 경우에도 망설이게 되거나 오판하여 추월을 시도하다 인접한 자동차나 가드레일과 접촉사고를 내는 경우도 있었다.
나아가, 자동차 백미러에는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이 사각지대에 위치한 자동차는 백미러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선행 자동차의 운전자는 측면의 상대방 자동차를 보지 못하고 차선변경을 시도함으로써 교통사고가 빈발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이러한 실수를 막기 위해 측면이나 후방에서 운행되는 자동차는 전방 또는 측면의 상대방 운전자에게 자신의 존재나 위치를 알릴 필요가 절실했으나 적당한 방법이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운행시에 좁은 통로나 두 대의 차 사이로 진입하거나 파킹을 시키게 될 경우에 자동차가 통과할 수 있을지 여부를 하차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방 또는 측면의 상대방 운전자에게 자신의 존재나 위치를 쉽게 알릴수 있도록 고안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을 자동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한 쌍의 레이저를 인접되게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한 쌍의 레이저를 자동차 앞 범퍼의 양 모서리에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한 쌍의 레이저를 좌우 백미러에 각각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한 쌍의 레이저를 자동차 실내의 전면 선반 좌우에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자동차 사이드미러 사각지대에 자동차가 위치해 있을 때에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이저 주사부 20 : 작동 스위치
30 : 각도 조절부 35 : 각도 조절 스위치
37 : 제어부 39 : 구동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설정된 폭으로 지면에 주사점이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는 한 쌍의 레이저 주사부와; 상기 레이저 주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 주사부를 ON/OFF시키는 작동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자동차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한 쌍의 레이저를 인접되게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한 쌍의 레이저를 자동차 앞 범퍼의 양 모서리에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한 쌍의 레이저를 좌우 백미러에 각각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한 쌍의 레이저를 자동차 실내의 전면 선반 좌우에 설치한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자동차 사이드미러 사각지대에 자동차가 위치해 있을 때에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설정된 폭으로 지면에 주사점이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는 한 쌍의 레이저 주사부(10)와; 상기 레이저 주사부(10)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 주사부(10)를 ON/OFF시키는 작동 스위치(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주사부(10)에 사용되는 레이저는 낮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적색광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지면에 표시되는 주사점 사이 폭의 설정은 상기 레이저 주사부(10)를 설치할 때 자신의 운전 습관을 고려하여 자동차의 최대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넓게 설치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주사부(10)가 소정의 각도로 상하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이저 주사부(10)는 자동차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볼 조인트 형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레이저 주사부(10)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30)는, 상기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각도 조절 스위치(35)와; 상기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39)와; 상기 각도 조절 스위치(35)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9)를 가동시켜 상기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어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7)는 자동차 방향조절수단과도 연결되어 자동차 앞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이저 주사부(10)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7)와 연결되는 자동차의 방향조절수단은 자동차 핸들의 조향축이 될 수도 있고 앞바퀴에 연결된 조향축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도 조절부(30)에는 상기 제어부(37)와 연결되고 자동차의 방향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방향조절수단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37)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회전각도감지센서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주행시 상기 작동 스위치(20)를 ON시켜 놓으면 앞바퀴의 회전에 따라 레이저 주사부(10)도 같이 회전하여 레이저가 주사되므로 각도 조절 스위치(35)의 조작 없이도 자신이 진행하려는 방향에 있는 타 자동차 사이의 폭과 레이저 주사점 간격을 비교하여 통과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레이저 주사부(10)와 작동 스위치(2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장애물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지 통과 가능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전자는 본 고안을 최초 설치할 때 자신의 운전 습관을 고려하여 주사된 한 쌍의 레이저가 지면에 형성하는 주사점 사이의 폭이 자동차 타이어 사이의 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조금 넓도록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지면에 형성되는 주사점은 운전자가 최초에 설정한 폭을 이루며 골프공 크기 정도의 타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주사점이 지면에 형성된다.
운전자는 좁은 통로 앞에서 작동 스위치(20)를 ON시키고 지면에 주사된 한 쌍의 주사점을 보고 자신의 자동차가 통과할 수 있을지 확인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주행시에 작동 스위치(20)를 ON시켜놓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자동차가 타 자동차의 사각지대(15)에 위치해 있을 때도 주사된 레이저는 선행 자동차의 가시영역 내로 주사되게 되므로 타 자동차의 운전자는 가시영역 안에 있는 레이저를 보고 사각지대에 자동차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고속도로에서처럼 직진 위주의 운행시에 작동 스위치(20)를 ON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나란히 진행중인 두 대의 자동차 사이나 가드 레일과 자동차 사이등을 추월해서 통과하고자 할 때 자신의 자동차의 폭을 장애물 간격과 직접 비교하여 통과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무리하여 추월한다거나 신속한 추월이 요구되는때에 망설이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고 중앙선이 없는 이면 도로 등에서 두 대의 자동차가 교차 주행할 때에 작동스위치(20)를 ON시켜놓으면 운전자는 차폭과 동일하게 전방 지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주사점을 보며 주행하므로 충돌에 대한 심적부담을 줄일 수 있고 충돌위험도 감소된다.
또한 낭떨어지를 끼고 주행할 때에도 작동스위치(20)를 ON시켜놓으면 운전자는 전방의 주사점을 보며 낭떨어지와 최대한 거리를 두고 운전할 수 있으므로 추락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시에 레이저 주사부(10)를 ON시켜놓으면 주사점을 항상 보면서 주행하게 되므로 자기 자동차에 대한 정확한 폭을 인식하는 훈련이 되기도 한다.
한편 레이저 주사부(10)가 자동차 몸체에 볼 조인트 형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볼 조인트를 풀어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절한 후 다시 조인트를 조여 고정하여 주사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이하 각도 조절 스위치(35), 구동모터(39), 제어부(37)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부(30)가 설치된 경우에 도 2를 참조하여 각도조절부(30)의 동작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동 스위치(20)를 ON시키고 각도 조절 스위치(35)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조작하면, 각도 조절 스위치(35)에서 제어부(37)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어부(37)에서는 각도 조절 스위치(35)로부터 인가 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9)를 가동시켜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처럼 각도 조절부(30)를 조작하여 레이저 주사부(10)를 상하좌우로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맞추어 레이저를 주사할 수 있다.
한편 회전각도감지센서가 구비된 경우에는 운행중 작동 스위치(20)를 ON시켜 놓고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방향을 회전할 때 핸들의 회전은 조향축 등의 자동차 방향조절수단을 거쳐 앞바퀴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방향조절수단의 회전을 회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37)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37)는 인가받은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9)를 구동시켜 레이저 주사부(1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 주사부(10)가 자동차 앞바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제어되므로써 운전자는 운행중 각도 조절 스위치(35)를 조작할 필요 없이 자동차 핸들의 조작만으로 레이저 주사부(10)를 자동차의 진행 예정 방향으로 미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사용상태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주사부(10)를 주사된 한 쌍의 레이저가 부채꼴로 주사되도록 각도를 설정하여 자동차 계기판이 설치된 덮개의 상단부 중앙에 한 쌍을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레이저 주사부(10)를 자동차 앞 범퍼 중앙에 한 쌍이 인접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주사부(10)를 주사된 한 쌍의 레이저가 평행으로 주사되도록 각도를 설정하여 자동차의 앞범퍼 양 모서리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주사부(10)를 자동차 좌우 백미러의 뒷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주사부(10)를 자동차 전면 선반 좌우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주사부(10)를 자동차 본넷트 내부의 좌우에서 한 쌍이 외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자동차 앞범퍼 중앙 등등 주사된 레이저가 지면에 주사점을 형성하고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어디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은 자동차를 좁은 통로나 두 대의 차 사이로 진입하거나 파킹을 시키게 될 경우에 자동차가 통과 할 수 있을지 여부를 하차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가능폭 확인 장치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좁은 통로나 두 대의 차 사이로 진입하거나 파킹을 시키게 될 경우에 자동차가 통과 할 수 있을지 여부를 하차하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장착차량이 타 자동차 백미러의 사각지대에 위치해 있을 때도 레이저 장착 차량에서 주사된 레이저는 타 자동차의 가시영역안에 주사되므로 타 자동차의 운전자는 사각지대에 있는 레이저 장착 자동차를 인식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설정된 폭으로 지면에 주사점이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는 한 쌍의 레이저 주사부와;
    상기 레이저 주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 주사부를 ON/OFF시키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는,
    상기 레이저 주사부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는,
    상기 레이저 주사부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레이저 주사부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각도 조절 스위치와;
    상기 레이저 주사부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각도 조절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가동시켜 상기 레이저 주사부의 각도를 상하좌우 소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차의 앞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레이저 주사부가 연동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자동차 방향조절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KR2020000027850U 2000-10-06 2000-10-06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KR200214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50U KR200214490Y1 (ko) 2000-10-06 2000-10-06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850U KR200214490Y1 (ko) 2000-10-06 2000-10-06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90Y1 true KR200214490Y1 (ko) 2001-02-15

Family

ID=7305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850U KR200214490Y1 (ko) 2000-10-06 2000-10-06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9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90B1 (ko) * 2000-11-09 2008-04-17 아스트론 그룹 테크놀로지스 에스 에이 차량에 적합한 시각적 신호발생 장치
KR101430917B1 (ko) * 2014-07-21 2014-09-23 홍규혁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KR20230104790A (ko) * 2021-12-31 2023-07-11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도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90B1 (ko) * 2000-11-09 2008-04-17 아스트론 그룹 테크놀로지스 에스 에이 차량에 적합한 시각적 신호발생 장치
KR101430917B1 (ko) * 2014-07-21 2014-09-23 홍규혁 주변에 접근을 알리는 자동차
KR20230104790A (ko) * 2021-12-31 2023-07-11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도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2599272B1 (ko) * 2021-12-31 2023-11-08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도로폭 산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530B1 (en) Vehicle treat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5886838A (en) Door mirror with a small dead angle
US20060190147A1 (en) Driver-assist device, in particular, for parking a vehicle
US20020128750A1 (en) Parking assisting apparatus
US10713509B1 (en) Parking assist system with parking spot occupancy readout
US114984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US20170291529A1 (en) Parking assistance system
US20200031278A1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JP3915200B2 (ja) 車両の障害物警報装置
KR200214490Y1 (ko)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차 통과 가능폭 확인 장치
JP2003159994A (ja) 車両周辺監視装置
US20110157730A1 (en) Peripheral vision amplifying posterior, lateral, external rear-view mirror (back-up mirror) for automobile vehicles
KR102348182B1 (ko)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JP4006969B2 (ja) 運転支援装置
JP5464577B2 (ja) 縦列駐車案内装置
JP3767610B2 (ja) 駐車補助装置
KR100534306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삼방향 장애물 감지장치
EP3658420A1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KR102405575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US1132564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parking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KR0149646B1 (ko) 차량의 후방주차 위치조정장치
KR101995113B1 (ko) 차량용 신호등 확인 장치
JPH0236853Y2 (ko)
KR20000016381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19990034549U (ko) 차의 후면이 보이는 자동차의 백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