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182B1 -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182B1
KR102348182B1 KR1020200002504A KR20200002504A KR102348182B1 KR 102348182 B1 KR102348182 B1 KR 102348182B1 KR 1020200002504 A KR1020200002504 A KR 1020200002504A KR 20200002504 A KR20200002504 A KR 20200002504A KR 102348182 B1 KR102348182 B1 KR 10234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ide mirror
auxiliary
vehicle
auxiliary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9392A (ko
Inventor
송해성
Original Assignee
송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성 filed Critical 송해성
Priority to KR102020000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 B60W2422/7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on the wheel or the t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석 전방도어 및 조수석 전방도어의 차창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하면에 장착되는 보조 미러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보조 미러 케이스; 상기 보조 미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가 접힐 경우, 동시에 같이 접히면서 도어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이용하여 보조 미러를 장착함에 의해 사이드미러의 시계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사각지대를 현저히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Secondary mirror device that eliminates blind spots by using the bottom of the side mirror}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하도록 사이드 미러가 전방 도어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사이드 미러는 차량 주행시, 차선 변경시, 다른 차량 추월시, 좌회전이나 우회전시, 차량의 주차시 또는 차량의 후진시 운전자가 후방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 미러는 시계범위가 제한되어 있어서 관측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형성됨으로써 접촉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았다.
한편, 종래 운전자측 백미러에 있어서의 사각 지대와 관련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관심사는 주로 후방측의 사각 지대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기술들이 주지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5 참조).
그러나, 차량의 운행 중, 특히 서행 좌회전 중에 종종 운전자측 백미러에 사람이나 사물이 가려져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즉, 서행 좌회전 중에 운전자측 백미러에 가려진 부분이 사각 지대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서행 죄회전 중에 운전자가 미쳐 운전자측 백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종종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사이드 미러와는 별개로 별도의 사각지대용 미러를 설치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고 있으나 차선 변경을 하기 위해서 후방과 사각지대 시야를 동시에 확보하지 못하였다.
즉, 사이드 미러로 후방시야를 확보한 다음에 사이드 미러 위에 설치된 보조 사각지대용 미러로 사각지대 시야를 확보한 후 차선 변경을 하여야 해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특히, 사각지대용 미러의 표면이 곡면처리된 볼록미러이기 때문에 물체가 실물보다 작게 보이고, 거리도 멀어 보이므로 미숙한 운전자들은 다른 자동차가 근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멀리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차선을 변경하다가 접촉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출원공개 10-2010-0109539 국내 특허출원공개 10-2013-0096585 국내 실용신안공개 20-1998-012737 국내 실용신안공개 20-1999-0007563 국내 실용신안공개 20-2014-0001625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82757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이용하여 보조 미러를 장착함에 의해 사이드미러의 시계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사각지대를 현저히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조 미러의 굴곡도를 사이드 미러와 동일하게 하여 주행시 도로의 어느 부분을 주행하고 있는지 신속히 파악하도록 하고, 좌회전 혹은 우회전 혹은 후진시 차량에 근접한 장애물을 정확히 판단하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쾌적한 운행을 하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기등록된 10-1827575호의 내용과 함께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승용차 운행시에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서행 죄회전 또는 우회전 중에는 운전자가 미쳐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하고, 나머지 주행시에는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는,
운전자석 전방도어 및 조수석 전방도어의 차창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하면에 장착되는 보조 미러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보조 미러 케이스;
상기 보조 미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가 접힐 경우, 동시에 같이 접히면서 도어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미러의 굴곡도는 상기 사이드 미러의 굴곡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미러의 밑면은 차창의 밑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향 배치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는,
운전자석 전방도어 및 조수석 전방도어의 차창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하면에 장착되는 보조 미러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보조 미러 케이스;
상기 보조 미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의 밑면은 차창의 밑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향 배치되며,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가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보다 더 하향 배치되고,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는 자신의 높이의 1/3 ~ 1/2 만큼 차창의 밑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향 배치되며,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는 자신의 높이의 1/4 ~ 1/3 만큼 차창의 밑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향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미러는 외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의 경사각은 45 ~ 60도이며,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의 경사각은 30 ~ 45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는,
사이드미러 각각의 하면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속 산출부;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 및 상기 차량 속도 산출부의 결과에 따라, 차량의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가 10도 내지 20도 사이로 되고, 또한 차량 속도가 40㎞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보조 미러가 좌측 후방 타이어 또는 우측 후방 타이어를 비추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미러가 후방을 비추는 각도를 조절하는 보조 미러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이용하여 보조 미러를 장착함에 의해 사이드미러의 시계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사각지대를 현저히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조 미러의 굴곡도를 사이드 미러와 동일하게 하여 주행시 도로의 어느 부분을 주행하고 있는지 신속히 파악하도록 하고, 좌회전 혹은 우회전 혹은 후진시 차량에 근접한 장애물을 정확히 판단하도록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쾌적한 운행을 하도록 하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기등록된 10-1827575호의 내용과 함께 사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승용차 운행시에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행 죄회전 또는 우회전 중에는 운전자가 미쳐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하고, 나머지 주행시에는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는,
운전자석 전방도어 및 조수석 전방도어의 차창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하면에 장착되는 보조 미러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 케이스(11)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보조 미러 케이스(21);
상기 보조 미러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20)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10)가 접힐 경우, 동시에 같이 접히면서 도어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미러(20)의 굴곡도는 상기 사이드 미러의 굴곡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볼록 보조 미러가 사이드미러의 상부 또는 옆에 장착되어 사이드 미러와 별도로 후방 시야를 판단해야 했으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미러의 밑면, 도어의 형태 및 사이드 미러의 접은 형태를 고려한 후 사이드 미러의 밑면을 이용하여 보조 미러(20)를 구현하여 사각지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에서, 보조미러(20)는 사이드 미러와 함께 사각지대를 포함하여 후방시야를 광범위하게 확보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후방 시야가 훨씬 넓어지게 되어 사각지대를 현저히 줄이거나 없앨 수 있고, 사이드미러(10)와 보조미러(20)를 통해 차선을 볼 수 있으므로 차선을 잘 지키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후면 주차시 주차선이 관측되므로 후방주차보조시스템(예컨대, 경보음장치, 후방카메라 등)이 없이도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차할 수 있다.
특히 도 1과 같이 보조미러(20)가 결합된 사이드 미러(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를 접게 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보조미러(20)가 결합된 사이드 미러(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를 접게 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보조미러(20)가 결합된 사이드 미러(10)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이드 미러의 밑면, 도어의 형태 및 사이드 미러의 접은 형태를 고려한 후 사이드 미러의 밑면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보조 미러(20)를 구현하여 사각지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 사이드 미러 뿐만 아니라 본 출원인에 의해 기등록된 10-1827575호의 사이드 미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운전자석 전방도어 및 조수석 전방도어의 차창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하면에 장착되는 보조 미러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 케이스(11)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보조 미러 케이스(21);
상기 보조 미러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20)를 포함한다.
사이드 미러는 차창(1,2)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미러케이스(11), 상기 미러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는 사변형의 미러(12)로 구성된다.
본원의 상기 사이드미러(10)는 기존에는 사이드미러(10)의 밑면(10a)이 차창(1,2)의 밑면(1a,2a)과 일치하게 설치하고 있었으나(선행기술 6의 도 1의 점선부분 참조), 후방 시계의 제약을 해소하고자, 밑면(10a)이 차창(1,2)의 밑면(1a,2a)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향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후방 시야가 훨씬 넓어지게 되어 사각지대를 현저히 줄이거나 없앨 수 있고, 사이드미러(10)와 보조미러(20)를 통해 차선을 볼 수 있으므로 차선을 잘 지키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후면 주차시 주차선이 관측되므로 후방주차보조시스템(예컨대, 경보음장치, 후방카메라 등)이 없이도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드 미러(10)의 밑면은 차창의 밑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향 배치되며,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가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10)보다 더 하향 배치되고,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10)는 자신의 높이의 1/3 ~ 1/2 만큼 차창의 밑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향 배치되며,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10)는 자신의 높이의 1/4 ~ 1/3 만큼 차창의 밑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향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미러(10)는 외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10)의 경사각은 45 ~ 60도이며,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10)의 경사각은 30 ~ 45도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는,
사이드미러 각각의 하면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20);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60)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70);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속 산출부(30);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70) 및 상기 차량 속도 산출부(30)의 결과에 따라, 차량의 타이어(60)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가 10도 내지 20도 사이로 되고, 또한 차량 속도가 40㎞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보조 미러(20)가 좌측 후방 타이어 또는 우측 후방 타이어를 비추도록 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제어부(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미러(20)가 후방을 비추는 각도를 조절하는 보조 미러 구동부(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 각도 센싱부(70)는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60)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에 10도 내지 20도범위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차속 검출부(30)는 주행 중인 차량의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40)는 회전 각도 센싱부(20)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에 10도 내지 20도 범위에 있고, 동시에 차속 검출부(30)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가 40㎞ 이하라고 판단되면, 보조 미러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좌측 뒷바퀴 또는 우측 뒷바퀴를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보조 미러(20)를 구동한다.
이때, 차량이나 운전자에 따라 조절해야할 각도는 미리 정해놓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전후좌우로 보조 미러(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편의에 따라 사이드 미러 또한 전후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행하다가, 제어부(40)는 회전 각도 센싱부(20)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에 10도 내지 20도범위에 있지 않거나, 차속 검출부(30)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가 4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보조 미러 구동부(50)를 제어하여 보조 미러(20)가 원래의 각도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때, 보조미러(20)는 사이드 미러(10)와 함께 사각지대를 포함하여 후방시야를 광범위하게 확보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후방 시야가 훨씬 넓어지게 되어 사각지대를 현저히 줄이거나 없앨 수 있고, 사이드미러(10)와 보조미러(20)를 통해 차선을 볼 수 있으므로 차선을 잘 지키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후면 주차시 주차선이 관측되므로 후방주차보조시스템(예컨대, 경보음장치, 후방카메라 등)이 없이도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사이드미러
20: 보조 미러
30; 차속 검출부
40; 제어부
50; 보조미러 구동부
60; 타이어
70; 타이어 회전 각도 센싱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운전자석 전방도어 및 조수석 전방도어의 차창 바깥쪽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의 하면에 장착되는 보조 미러 장치로서.
    상기 사이드 미러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고정되는 보조 미러 케이스;
    상기 보조 미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미러의 밑면은 차창의 밑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향 배치되며,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가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보다 더 하향 배치되고,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는 자신의 높이의 1/3 ~ 1/2 만큼 차창의 밑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향 배치되며,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는 자신의 높이의 1/4 ~ 1/3 만큼 차창의 밑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하향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미러는 외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운전자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의 경사각은 45 ~ 60도이며, 상기 조수석 전방도어의 사이드미러의 경사각은 30 ~ 45도이고,
    상기 사이드 미러가 접힐 경우, 상기 보조미러도 동시에 같이 접히면서 도어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 미러의 굴곡도는 상기 사이드 미러의 굴곡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차속 산출부;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 및 상기 차량 속도 산출부의 결과에 따라, 차량의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가 10도 내지 20도 사이로 되고, 또한 차량 속도가 40㎞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보조 미러가 좌측 후방 타이어 또는 우측 후방 타이어를 비추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미러가 후방을 비추는 각도를 조절하는 보조 미러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에 10도 내지 20도범위에 있지 않거나, 상기 차속 산출부로부터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가 40㎞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보조 미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미러가 원래의 각도로 복귀하도록 하며,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함께 사각지대를 포함하여 후방시야를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5. 삭제
KR1020200002504A 2020-01-08 2020-01-08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KR102348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504A KR102348182B1 (ko) 2020-01-08 2020-01-08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504A KR102348182B1 (ko) 2020-01-08 2020-01-08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392A KR20210089392A (ko) 2021-07-16
KR102348182B1 true KR102348182B1 (ko) 2022-01-05

Family

ID=7715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504A KR102348182B1 (ko) 2020-01-08 2020-01-08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446A (ko) * 2022-03-16 2023-09-25 송해성 복수의 굴절력을 갖는 사이드 미러 및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912B2 (ja) * 1995-03-07 2001-07-30 東京瓦斯株式会社 流量計
JP2014069699A (ja) * 2012-09-28 2014-04-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イドミラー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46U (ja) * 1993-03-26 1994-10-11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ミラー装置
KR19980012737U (ko) 1996-08-28 1998-06-05 임경춘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19990007563U (ko) 1997-07-24 1999-02-25 정견식 페레타이즈의 믹서장치
KR20100109539A (ko) 2010-09-20 2010-10-08 김기대 자동차 백미러 좌우 및 후방 사각지대 보정용
KR101827575B1 (ko) * 2011-07-26 2018-02-08 송해성 사각지대가 제거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130096585A (ko)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태영피에스 사각지대 확보용 백미러
KR20140001625U (ko) 2012-09-10 2014-03-19 이영권 사각지대 해소용 경보장치가 구비된 아웃사이드 백미러
KR20190135883A (ko) * 2018-05-29 2019-12-09 송해성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912B2 (ja) * 1995-03-07 2001-07-30 東京瓦斯株式会社 流量計
JP2014069699A (ja) * 2012-09-28 2014-04-2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イドミラー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446A (ko) * 2022-03-16 2023-09-25 송해성 복수의 굴절력을 갖는 사이드 미러 및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KR102644697B1 (ko) * 2022-03-16 2024-03-06 송해성 복수의 굴절력을 갖는 사이드 미러 및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392A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47585B2 (en) Vehicle driving aid system for lane changing assistance
US8775031B1 (en) Automatic interior rearview mirror positioning system
KR102586445B1 (ko) 주차 보조를 위한 장애물 높이 측정 시스템
JP2017538221A (ja) 運転者支援システム用の運転者固有盲点を決定する方法、運転者支援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JP4985967B2 (ja) 車輌ドアシステム
KR102348182B1 (ko) 사이드미러의 밑면을 활용하여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보조 미러 장치
JPH06255399A (ja) 車両の表示装置
JP3363935B2 (ja) 車両の表示装置
KR101866042B1 (ko)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CN108238102A (zh) 一种车载超声波传感器系统
JP4461567B2 (ja) バックミラー装置
TWM590547U (zh) 用於車輛的顯示裝置
JPH08253078A (ja) サイドミラー装置及びサイドミラーのミラー角制御方法
KR20190087714A (ko)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차량의 방향지시용 레버스위치 연동형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CN210591860U (zh) 一种多功能商用车先进驾驶辅助装置
JPH06255397A (ja) 車両の表示装置
JP2012025234A (ja) 車両用死角補助システム
KR100534306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삼방향 장애물 감지장치
JP3476336B2 (ja) 車両における障害物検知装置
CN112078483A (zh) 车辆安全警示系统
KR102343425B1 (ko)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KR102185650B1 (ko) 사이드 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CN210680609U (zh) 车辆控制系统及车辆
JP3017776U (ja) ワイド式方向指示器付きドアミラー
JP2009248814A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