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19B1 -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19B1
KR101430419B1 KR1020130078780A KR20130078780A KR101430419B1 KR 101430419 B1 KR101430419 B1 KR 101430419B1 KR 1020130078780 A KR1020130078780 A KR 1020130078780A KR 20130078780 A KR20130078780 A KR 20130078780A KR 101430419 B1 KR101430419 B1 KR 10143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ffc
holder
protrusio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현
박창호
황정규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07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박형, 초소형의 FFC용 커넥터의 실링부재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커넥터의 조립, 결합시 스며드는 수분을 확실히 차단함과 동시에, 금형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소형, 초박형의 실링부재를 금형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 초박형의 실링부재가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작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박형, 초소형의 실링부재의 외부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측으로 FFC가 보다 원활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WATERPROOF CONNECTOR FOR FFC}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박형, 초소형의 FFC용 커넥터의 실링부재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커넥터의 조립, 결합시 스며드는 수분을 확실히 차단함과 동시에, 금형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FFC(Flexible Flat Cable)는 가요성 박막 케이블로서, 이를 자동차 내부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FFC가 특정 장치와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로 연결할 때에는 커넥터를 사용하게 된다. 자동차는 항상 수분, 오일, 기타 오염물질에 항상 노출이 되는 환경이기 때문에, 이들이 커넥터 내부에 유입되어 접속을 방해하거나 그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부터 커넥터 내에 각종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방수 성능을 도모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링부재의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실링부재(100)는 납작한 링형의 본체(110) 내에 얇은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측공(130)이 일자형으로 구비된다. 또한 외측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두고 외곽을 둘러 형성되는 일정한 높이와 너비의 돌기(140)가 다수 개 형성된다.
그런데 초박형 초소형 FFC의 경우 두께가 0.17~0.6mm 정도의 박막형이므로, 이러한 기존 일반 전선 방식의 실링부재를 사용할 경우, 그 금형 설계가 불가능하여 양산성이 떨어지고, 품질의 안전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과 같은 일자형의 실링부재를 박막형 FFC에 맞는 사이즈로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내측 관통공, 측공을 확보하기 위한 금형의 부분을 매우 얇게 형성해야 하므로, 실질적인 설계나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작아지게 되므로, 실링부재가 정밀하게 형성되지 않으면 외부 가압력이 균일하지 않아 수밀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막형의 FFC에도 적합한 실링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박형의 실링부재의 개선된 형상을 통해, 금형 설계가 가능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실링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박형, 초소형의 실링부재의 외부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측으로 FFC가 보다 원활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실링부재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FFC; 상기 FFC의 단부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연장부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FFC의 단자측에 결합되는 접속단자; 상기 FFC, 상기 홀더 및 상기 접속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홀더의 외측에 씌워지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밀착되며 삽입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FFC, 상기 홀더 및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내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입부는 내측벽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지지연장부와 상기 내측벽의 사이에 밀착 및 압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내측에 측방으로 길고 상하로는 얇은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을 둘러 돌출되며 나란히 다수 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며 측면부를 향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측면부측에 배치되는 외측돌기; 및 양측의 상기 외측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내측돌기 외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돌기 외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돌기가 상기 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부분의 너비는, 상기 외측돌기가 상기 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부분의 너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돌기는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되고, 상기 내측돌기는 상기 외측돌기의 사이에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외측돌기는: 상기 내입부의 측방에서 인입될 때, 상기 내측벽을 대면하는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측공은: 일자형으로 얇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측공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 수록 다소 이격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공 내에는 상기 홀더의 상기 지지연장부가 내입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연장부를 밀착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초소형, 초박형의 실링부재를 금형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 초박형의 실링부재가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작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초박형, 초소형의 실링부재의 외부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내측으로 FFC가 보다 원활하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실링부재의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의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와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실링부재와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측벽과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초박형, 초소형 FFC 방수 커넥터는, FFC(1)와 그 단부에 결합되는 홀더(2)가 구비되고, 이 부분에는 실링부재(10)가 씌워지며, FFC(1) 단부에는 접속단자(3)가 결합되며, 이는 커넥터 하우징(20) 내에 인입되어 안착되며 결합된다.
FFC(1)는 0.17~0.6mm 두께의 초박형이며, 그 단부는 지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 납작한 홀더(2)가 상하로 마주보며 결합된다. 이 때 홀더(2)는 외측으로 얇게 연장되는 지지연장부(2a)가 형성되는데 지지연장부(2a)에는 실링부재(10)가 외측에 끼워져, 커넥터 하우징(20)의 내부에 인입되며 밀착,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의 측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재(10)는 초소형이면서도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결합성도 훼손하지 않기 위해 돌기의 형상을 변형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본체(11)는 납작한 o형으로 형성되며, 내측 중앙에는 얇고 긴 형상의 관통공(12)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2)으로는 지지연장부(2a)가 인입된다. 관통공(12)의 양 측방으로는 측공(13)이 형성되고, 측방으로는 측면부(16)가 외측을 향해 형성된다.
외측으로는 돌기가 간격을 두고 링형으로 다수 배치되는데, 측면부(16)쪽 외측으로는 외측돌기(14)가, 그 사이에는 내측돌기(15)가 피라미드 단면형으로 배치된다.
외측돌기(14)의 단면 너비(A1)보다 내측돌기(15)의 단면 너비(A2)가 더 크도록 한다. 또한 외측돌기(14)의 본체(11)의 외면으로부터의 높이(B1)보다 내측돌기(15)의 높이(B2)가 더 크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링부재와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실링부재와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링부재(10)는 홀더(2)의 지지연장부(2a)의 외부에 끼워지는데, 이 때 도 4(a)와 같이 실링부재(10)의 측공(13)을 일(一)자형으로 납작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a)와 같이 중앙측은 벌어지고, 양 단부는 다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한다.
초소형 실링부재(10)를 금형에서 성형하고자 할 때, 관통공(12), 측공(13) 해당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 약간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요소가 자체 두께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금형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한 금형으로부터 탈거 시에도, 확장된 관통공(12), 측공(13) 부분을 약간 비틀면서 이탈이 가능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링부재(10)는 지지연장부(2a)에 먼저 씌워진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20)의 측방에 형성된 개구 내의 내입부(22)로 인입된다. 이 때 내입부(22)의 상하좌우는 내측벽(24)으로 커버되어 있다.
실링부재(10)는 외측돌기(14)가 상대적으로 높이, 너비가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쉽게 먼저 삽입되며, 내측돌기(15) 부분에서도 보다 밀착되며 빡빡한 느낌으로 삽입이 된다. 이 때 제조상의 오류나 변형 등으로 외측돌기(14)로 인한 실링이 제대로 되지 않도라도, 그 보다 더 높이, 너비가 큰 내측돌기(15)가 내측벽(24) 내에 밀착되면서, 여전히 강한 실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부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측벽과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제적으로 실링부재(10)가 도면과 같이 내입부(22) 내에 삽입된 후에는 내측벽(24)과의 밀착 가압으로 인해 돌기(14, 15)나 본체(11)의 형상이 다소 변형되어야 하나, 본 도면에서는 돌기(14, 15)의 밀착을 설명하기 위해,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외측돌기(14)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와 너비로 형성되므로, 내측벽(24)의 영역과 겹치는 부분(C)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반해 내측돌기(15)는 보다 큰 높이와 너비로 형성되므로, 내측벽(24)의 영역과 겹치는 부분(D)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외측돌기(14)는 내입부(22) 내에 보다 쉽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하나 상대적으로 낮은 압축율을 보이게 되고, 내측돌기(15)는 높은 압축율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외측, 내측돌기(14, 15)에 의해 실링부재(10)는 보다 용이하게 인입되면서도, 높은 수밀성과 신뢰성을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FFC 2 : 홀더
2a : 지지연장부 3 : 접속단자
10 : 실링부재 11 : 본체
12 : 관통공 13 : 측공
14 : 외측돌기 15 : 내측돌기
16 : 측면부 20 : 하우징
22 : 내입부 24 : 내측벽

Claims (9)

  1. FFC;
    상기 FFC의 단부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연장부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FFC의 단자측에 결합되는 접속단자;
    상기 FFC, 상기 홀더 및 상기 접속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홀더의 외측에 씌워지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밀착되며 삽입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내측에 측방으로 길고 상하로는 얇은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을 둘러 돌출되며 나란히 다수 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며 측면부를 향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측면부측에 배치되는 외측돌기; 및
    양측의 상기 외측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내측돌기 외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돌기 외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더 크며,
    상기 내측돌기가 상기 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부분의 너비는, 상기 외측돌기가 상기 본체의 외면과 접하는 부분의 너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FFC, 상기 홀더 및 상기 실링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내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입부는 내측벽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홀더의 상기 지지연장부와 상기 내측벽의 사이에 밀착 및 압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돌기는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되고,
    상기 내측돌기는 상기 외측돌기의 사이에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상기 외측돌기는:
    상기 내입부의 측방에서 인입될 때,
    상기 내측벽을 대면하는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측공은:
    일자형으로 얇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8. FFC;
    상기 FFC의 단부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지지연장부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FFC의 단자측에 결합되는 접속단자;
    상기 FFC, 상기 홀더 및 상기 접속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며 고정시키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홀더의 외측에 씌워지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밀착되며 삽입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내측에 측방으로 길고 상하로는 얇은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을 둘러 돌출되며 나란히 다수 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며 측면부를 향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측면부측에 배치되는 외측돌기; 및
    양측의 상기 외측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내측돌기 외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외측돌기 외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더 크며,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측공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 수록 다소 이격되며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내에는 상기 홀더의 상기 지지연장부가 내입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연장부를 밀착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KR1020130078780A 2013-07-05 2013-07-05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KR10143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780A KR101430419B1 (ko) 2013-07-05 2013-07-05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780A KR101430419B1 (ko) 2013-07-05 2013-07-05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419B1 true KR101430419B1 (ko) 2014-08-14

Family

ID=5175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780A KR101430419B1 (ko) 2013-07-05 2013-07-05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4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410A (ja) * 2003-01-17 2004-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平面状配線体の防水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200441187Y1 (ko) 2007-06-19 2008-07-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2단 방수산을 구비한 씰
KR20090010073U (ko) * 2008-03-31 2009-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JP2013073888A (ja) * 2011-09-29 2013-04-22 Fujikura Ltd 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3410A (ja) * 2003-01-17 2004-09-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平面状配線体の防水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KR200441187Y1 (ko) 2007-06-19 2008-07-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2단 방수산을 구비한 씰
KR20090010073U (ko) * 2008-03-31 2009-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JP2013073888A (ja) * 2011-09-29 2013-04-22 Fujikura Ltd 防水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7956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463665B2 (ja) 防水コネクタ
US9368906B2 (en) Electric terminal
US9022804B2 (en) Waterproof plug
CN109768419B (zh) 连接器
JP5846802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20140094049A1 (en) Flat cable waterproofing connector and waterproofing connector structure for flat cable
JP2011154804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11114791B1 (en) Connector
JP6431471B2 (ja) 封止部材及びコネクタ
CN109428217A (zh) 电连接器
JP2011054433A (ja) 防水コネクタ
WO2016039378A1 (ja) グロメット
KR101430419B1 (ko) 방수 성능이 향상된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초박형 ffc용 방수 커넥터
JP5861205B2 (ja)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8014313A (ja) 端子付電線
US9705238B2 (en) Waterproof connect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CN103503242B (zh) 防水扁平电缆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0102853A (ja) 端子金具
JP2012069473A (ja) 防水コネクタ
JP2015032562A (ja) コネクタ
KR20130143637A (ko) 커넥터
JP4495089B2 (ja) コネクタ用防水栓
JP6175634B2 (ja) レゾルバステータのハーネス構造
JP2013054899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