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504B1 - 탄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탄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504B1
KR101429504B1 KR1020080045510A KR20080045510A KR101429504B1 KR 101429504 B1 KR101429504 B1 KR 101429504B1 KR 1020080045510 A KR1020080045510 A KR 1020080045510A KR 20080045510 A KR20080045510 A KR 20080045510A KR 101429504 B1 KR101429504 B1 KR 10142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arm
carbon
ammunition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53A (ko
Inventor
고준열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50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8Ammunition racks, e.g.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탄의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탄을 수용하고, 상기 탄들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 수용부; 및 상기 탄 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 수용부를 이송하며, 일 단부와 타 단부가 각각 존재하도록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탄 이송부를 포함하는 탄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탄 적재 장치{Apparatus for loading ammunition}
본 발명은 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탄의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탄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가 이동 능력을 가진 탄약 운반 장갑차는, 포, 특히 자가 이동이 가능한 자주포에 탄약을 공급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탄약 운반 장갑차는 내부에 탄약을 적재하고 적재된 탄약을 자주포로 보급하기 위한 탄약 적재/보급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탄약은 탄과 장약을 함께 부르는 용어로서, 포에 따라 탄과 장약이 분리된 상태의 탄약을 사용하거나 탄과 장약이 결합된 상태의 탄약을 사용한다.
탄약 운반 장갑차는 그 내부에 탄약을 적재한 상태에서 탄약을 운반한다. 따라서, 탄약을 내부에 적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탄약 운반 장갑차 내부에는 그 내부에 탄약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시스템과 적재 시스템에 탄약을 적재할 수 있는 탄 이송기가 필요하다. 여기서, 탄 적재 장치는 탄약 운반 장갑차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탄약을 적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탄 적재 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구비되어, 탄약을 적재 하는 탄통이 무한회전하는 형식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탄약 장치가 주변 장치에 의하여 위치 이동을 하는 방식 또는 고정된 탄통에서 외부 장치가 탄약을 인출해 가는 방식 등도 존재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한궤도 형태의 탄 적재 장치의 경우, 탄통이 무한회전을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주변 장치 및 공간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여분의 공간에 대한 필요로 인하여 탄 적재 장치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고, 다수의 주변 장치에 대한 필요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고장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탄의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탄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탄을 수용하고, 상기 탄들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 수용부; 및 상기 탄 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 수용부를 이송하며, 일 단부와 타 단부가 각각 존재하도록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탄 이송부를 포함하는 탄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 이송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 수용부는 상기 직선 형상의 탄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 이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 수용부는 상기 만곡되어 있는 탄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 이송부는, 소정의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 측에 결합하여 회전 운동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과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송축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탄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 수용부는 상기 탄 안착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 수용부는, 상기 탄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기 위한 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암(arm)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을 고정 및/또는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 수용부 및 상기 탄 이송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 이송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소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탄 수용부의 상기 암(arm)의 일 측이 상기 캠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암(arm)의 일 측과 상기 캠의 상기 오목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암(arm)의 회전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암(arm)의 일 측이 상기 오목부에 위치할 때, 상기 암(arm)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 이송부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타 단부는 서로 맞닿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탄 적재 장치에 의해서, 탄의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탄 적재 장치(100)는 탄 이송부(110)와, 탄 수용부(120)와, 가이드 레일(130)과, 다수 개의 탄(140)들을 포함한다.
상세히, 종래의 탄 적재 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구비되어, 탄약을 적재하는 탄통이 무한회전하는 형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한궤도 형태의 탄 적재 장치의 경우, 탄통이 무한회전을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주변 장치 및 공간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여분의 공간에 대한 필요로 인하여 탄 적재 장치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고, 다수의 주변 장치에 대한 필요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한 뿐만 아니라 고장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탄 적재 장치(100)는 무한궤도 형태가 아닌, 선형 이동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탄의 이송 및 적재가 용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탄 이송부(110)는 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선형이라는 의미는, 무한궤도의 경우와 같이 폐곡선을 이루며 무한히 회전하는 구성이 아니라, 시작점과 끝점, 즉 일 측 단부와 타 측 단부의 양 끝단이 존재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선형의 구성을 통하여, 무한회전을 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탄약 운반 장갑차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다. 탄 이송부(110)에 대하여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는 탄 이송부(110)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 수용부(120)가 직선 이동만을 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탄 이송부(110)는 직선 형상뿐만 아니라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직선부와 곡선부가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탄 이송부(110)는 무한궤도의 경우와 같이 폐곡선을 이루며 무한히 회전 하는 형상이 아니라, 일 단부와 타 단부는 서로 맞닿지 않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제공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탄 수용부(120)는 복수 개의 탄통(도 4 참조)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탄(140)들을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탄(140)들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특정 위치에서는 탄(140)이 탄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탈거하지 아니하도록 그 고정 위치를 지지하는 동시에, 다른 특정 위치에서는 상기 탄(140)이 탄 수용부(1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탄 수용부(120)는 탄 이송부(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탄 이송부(110)와 함께 선형 이동하게 된다. 탄 수용부(120)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130)은 탄 이송부(110) 및 탄 수용부(120)의 일 측에 형성되어, 탄 이송부(1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탄 수용부(120)가 탄 이송부(1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탄 수용부(1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130)에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캠(도 5 참조)이 형성되어, 탄(140)의 고정 및/또는 해제를 제어한다. 가이드 레일(130)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의 탄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에서 탄 수용부가 탄 이송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탄 적재 장치(100)의 탄 이송부(110)는, 기저부(111)와, 구동부(112)와, 감속기(113)와, 커플링(114)과, 이송축(115)과, 탄 안착부(116)를 포함한다.
기저부(111)는 탄약 운반 장갑차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저부(111)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111)는 탄(140)이 적재되고 이동하는 데 있어서 운동의 기준 역할을 수행한다.
기저부(111)의 일 측에는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2)가 배치되고, 구동부(112)의 일 측에는 구동부(112)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 운동하는 이송축(115)이 결합한다. 여기서, 구동부(112)와 이송축(115) 사이에는 두 개의 축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이음쇠인 커플링(114)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2)의 출력을 조절하는 감속기(1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송축(115)은 볼 스크류(Ball Screw)로 구성되며, 탄 안착부(116)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미도시)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미도시)는 LM 가이드 등의 선형 이동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볼 스크류는 나사축과 너트 사이에 강구를 넣어서 순환시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나사를 의미하며, 주로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를 조립하여 너트를 손으로 잡고 볼트를 돌리면 볼트가 회전하면서 너트를 타고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볼 스크류는 마찰저항이 작아서 마모가 적고, 고속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송축(115)은 볼트의 역할을 하고, 탄 안착부(116)의 체결부(미도시)는 너트의 역할을 하여, 이송축(115)의 회전 운동이 체결부(미도시) 및 이와 연결된 탄 안착부(116)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2)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이송축(115)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에 의하여 탄 안착부(116) 및 탄 안착부(116)에 결합된 탄 수용부(120)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의 탄 수용부 및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탄 적재 장치(100)의 탄 수용부(120)는 탄통(121)과 고정 암(arm)(122)과 핀(123)과 탄성 부재(124)를 포함한다.
탄통(121)은 대략 원통의 일부를 절개해 놓은 형상으로 형상되어, 그 안에 탄(14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탄통(121)의 일 단부는 핀(123)에 의하여 고정 암(arm)(122)과 결합된다. 고정 암(arm)(122)은 핀(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암(arm)(122)이 회전된 위치에 따라, 고정 암(arm)(122)이 탄(140)을 압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탄(140)의 탈거를 방지하기도 하고, 고정 암(arm)(122)이 탄(140)으로부터 이격되어 탄(140)이 탄 수용부(1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기 고정 암(arm)(122)의 작동에 대하여는 도 5에서 후술한다. 한편 핀(123) 에는 탄성 부재(124)가 더 결합되어, 회전된 고정 암(arm)(122)이 제 위치로 복귀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탄 수용부(120)의 일 측에는 가이드 레일(130)이 탄 이송부(1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130)은 탄 이송부(110)의 의하여 이송되는 탄 수용부(1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의 탄 수용부가 잠금 및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탄 수용부(120)의 고정 암(arm)(122)은 핀(12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 단부(122a) 및 제2 단부(122b)로 나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암(arm)(122)은 핀(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고정 암(arm)(122)의 제2 단부(122b)에는 롤러(125)가 결합되어 있다.그리고 롤러(125)는 가이드 레일(130)에 끼워져 있다.
가이드 레일(130)은 서로 마주보는 평판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일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 레일(130)에 롤러(125)가 끼워져서, 탄 수용부(120)가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 레일(130)의 내측에는 소정의 형상의 캠(1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캠(131)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arm)의 롤러(125)와 상기 캠의 오목부(131a)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암(arm)의 회전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5a는 탄 적재 장치의 탄 수용부(120)가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암(arm)의 제2 단부(122b)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125)가 가이드 레일(130)의 오목부가 아닌 부분, 즉 평평한 부분에 접해 있다. 이 상태는 고정 암(arm)(122)이 핀(1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는 위치에 롤러(125)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탄(140)을 눌러주고 있는 고정 암(arm)(122)의 제1 단부(122a) 또한 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정 암(arm)(122)이 탄(140)을 압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탄(140)의 탈거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탄 수용부(120)는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b 및 도 5c는 탄 적재 장치의 탄 수용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암(arm)의 제2 단부(122b)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125)가 가이드 레일(130)의 오목부에 접해 있다. 이 상태에서 탄(140)을 탄 수용부(120)로부터 인출하려는 외력이 주어지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암(arm)(122)이 핀(123)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롤러(125)가 캠(131)의 오목부(131a)를 따라서 굴러갈 수 있기 때문에, 고정 암(arm)(122)이 핀(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 암(arm)(122)이 탄(140)으로부터 이격되어 탄(140)을 고정시키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탄(140)을 탄 수용부(1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탄 적재 장치에 의해서, 탄의 이송 및 적재가 용 이하고,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의 탄 이송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에서 탄 수용부가 탄 이송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의 탄 수용부 및 가이드 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탄 적재 장치의 탄 수용부가 잠금 및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탄 적재 장치 110: 탄 이송부
120: 탄 수용부 130: 가이드 레일
140: 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복수 개의 탄을 수용하고, 상기 탄들의 고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 수용부; 및
    상기 탄 수용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 수용부를 이송하며, 일 단부와 타 단부가 각각 존재하도록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탄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 수용부는, 상기 탄의 인입 및 인출을 제어하기 위한 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암(arm)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을 고정 또는 해제하며,
    상기 탄 수용부 및 상기 탄 이송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 이송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소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탄 수용부의 상기 암(arm)의 일 측이 상기 캠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암(arm)의 일 측과 상기 캠의 상기 오목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암(arm)의 회전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탄 적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암(arm)의 일 측이 상기 오목부에 위치할 때, 상기 암(arm)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 적재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45510A 2008-05-16 2008-05-16 탄 적재 장치 KR10142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510A KR101429504B1 (ko) 2008-05-16 2008-05-16 탄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510A KR101429504B1 (ko) 2008-05-16 2008-05-16 탄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53A KR20090119453A (ko) 2009-11-19
KR101429504B1 true KR101429504B1 (ko) 2014-08-12

Family

ID=4160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510A KR101429504B1 (ko) 2008-05-16 2008-05-16 탄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46728C1 (ru) * 2014-03-13 2015-04-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евск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рижимной механизм удержания авиационных боеприпасов
CN104390530A (zh) * 2014-09-03 2015-03-04 长春设备工艺研究所 炮弹定位夹
RU2645022C1 (ru) * 2017-02-20 2018-02-15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Прижимной механизм
RU2667413C1 (ru) * 2017-08-08 2018-09-19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евск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раб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и подачи авиационных топливных баков на подволок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58A (ko) * 2000-06-01 2001-12-08 이중구 포탄 이송 장치
KR20020008539A (ko) * 2000-07-21 2002-01-31 이중구 탄적재장치
JP2004299829A (ja) 2003-03-31 2004-10-28 Sumitomo Heavy Ind Ltd ローラコンベア
KR100676961B1 (ko) * 2006-04-26 2007-02-01 주식회사 위너베아링 직선왕복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958A (ko) * 2000-06-01 2001-12-08 이중구 포탄 이송 장치
KR20020008539A (ko) * 2000-07-21 2002-01-31 이중구 탄적재장치
JP2004299829A (ja) 2003-03-31 2004-10-28 Sumitomo Heavy Ind Ltd ローラコンベア
KR100676961B1 (ko) * 2006-04-26 2007-02-01 주식회사 위너베아링 직선왕복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53A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504B1 (ko) 탄 적재 장치
US3670863A (en) Endless conveyor system
US8272500B2 (en) Screw driven conveyance device
WO2019165726A1 (zh) 电池库位、电池运输装置、电池储运系统和电池操作平台
TWI520888B (zh) Automatic warehouse system
JP5328228B2 (ja) 車両用荷役装置
US6315101B1 (en) Chain conveyor, such a carousel for a logistic installation machine, and a machine such as for sorting flat objects
KR10067329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KR100702939B1 (ko) 포탄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탄 이송 방법
KR102630302B1 (ko) 회전 플레이트를 구비한 중형 구경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95262B1 (ko) 표면에 요철을 가지는 물체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케미컬 공급장치
JP2002533652A (ja) 推進薬装填ユニットの貯蔵取扱方法及び装置
CN207276143U (zh) 叉车升降机构用防转动侧滚轴承组件
KR100430055B1 (ko) 포탄 적재, 공급장치
US7857124B2 (en)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thrust element
KR20190006529A (ko) 운반 시스템과 운반 시스템을 위한 차량
KR20120006773A (ko) 자동이송장치
KR20020008539A (ko) 탄적재장치
KR100457818B1 (ko) 자동 탄 이송장치
KR102353819B1 (ko) 탄약 낙하 방지용 잠금장치
KR20130046594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47287B1 (ko) 회전형 수평 탄 적재기와 이를 구비하는 탄약 운반 장갑차
CN218230440U (zh) 过渡导料装置及加工设备
CN109682250A (zh) 一种空间储备机构
KR20080095494A (ko) 탄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