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539A - 탄적재장치 - Google Patents

탄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539A
KR20020008539A KR1020000041911A KR20000041911A KR20020008539A KR 20020008539 A KR20020008539 A KR 20020008539A KR 1020000041911 A KR1020000041911 A KR 1020000041911A KR 20000041911 A KR20000041911 A KR 20000041911A KR 20020008539 A KR20020008539 A KR 2002000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guide
frame
driv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선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2000004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8539A/ko
Publication of KR2002000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6Packages or containers for a plurality of ammunition, e.g.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7Ammunition handling dollies or transfer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주포 차량이나 포탄 이송 차량등에서 포탄을 자동으로 적치하고 이송시키는 전자동화된 탄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적재 장치는, 무한궤도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 무한궤도상에서 각각 링크 연결되며 그 하부에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가이드축이 형성된 탄받침대를 구비하는 포탄 적치 수단;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탄받침대를 무한궤도상에서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적재장치{Shell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무한궤도 탄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탄의 이송을 무인화시켜 포탄이송의 자동화를 구현한 무한궤도 탄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전투용 차량에는 목표물에 발사되는 포탄을 적재하게 되는데, 전투용 차량 내부에 마련된 공간부에 포탄 적재 장치를 설치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포탄 운반 차량에 포탄 적재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전투용 차량에 지속적으로 포탄을 공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포탄 적재 장치는 포탄이 추출되는 위치로 포탄을 이송시키기 위한 포탄이송장치와, 상기 포탄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포탄을 추출할 수 있는 포탄 추출장치등을 포함한다.
종래의 포탄이송장치는 포탄이송부에 수평 내지 수직으로 적재된 포탄을 전투병이 수동으로 추출하거나, XY 축으로 직선왕복가능한 반자동화된 포탄이송기로 포탄을 추출하여 포신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포탄을 포탄이송부에서 추출시, 수십킬로그램의 무게에 해당되는 포탄군의 무게중심이 국부에 치우치게 되면 포탄군의 중량감으로 인하여 포탄을 이송시키는 차량의 균형을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특히, 화학물질을 탑재한 화학탄의 경우에는 포탄이송부에 수직 탑재 자체가 불가능하여 전투병이 직접적으로 포탄을 추출해야 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투차량이나 포탄운반차량의 운행시에는 폭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포탄을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 예컨대 밴드등으로 포탄을 프레임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불편함과 구조적 복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탄이송의 자동화에 의하여 무한궤도상에 피치단위로 포탄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포탄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탄 추출시는 포탄 적치 장치를 외부에 대하여 개방시키고 포탄의 이송 동작중에는 포탄 적치 장치를 외부에 대하여 폐쇄시켜 포탄의 안전한 이송을 도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베이스와 포탄 적치 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포탄 적치 수단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구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포탄 개폐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레임 2... 포탄 적치 수단
3... 베이스 4... 구동 수단
5... 포탄 개폐수단 21... 탄받침대
22... 탄지지대 31... 외부 레일
32... 내부 레일 33... 가이드 홈
42... 구동 스프라켓 43... 종동 스프라켓
45... 핀 52... 멈치
53... 편심캠 54... 캠팔로우
56... 회동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한궤도 탄적재장치는, 무한궤도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 무한궤도상에서 각각 링크 연결되며 그 하부에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가이드축이 형성된 탄받침대를 구비하는 포탄 적치 수단;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탄받침대를 무한궤도상에서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탄받침대에는 포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곡선부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상호 소정 간격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에 걸리는 구동 체인과, 상기 구동 체인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축을 수용하여 상기 탄받침대를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핀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적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무한궤도상의 탄받침대를 포위하며 그 일측면에 포탄 공급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포탄 공급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탄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상기 포탄 개폐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탄 공급 배출구를 개폐하는 회동 레버, 상기 회동 레버의 힌지축과 인접되는 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캠팔로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캠팔로우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소정의 외부장치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멈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탄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베이스(3)와 포탄 적치 수단(2)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탄적재 장치는 그 외주를 둘러싸는 프레임(1) 내부에 무한궤도 형상의 베이스(3)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베이스(3)의 상부에는포탄을 적재 및 이송할 수 있는 포탄 적치 수단(2)이 장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에는 외부 레일(31)이 무한궤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에는 내부 레일(32)이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및 내부 레일 사이의 이격된 간격은 가이드 홈(33)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홈(33)의 곡선부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외부 레일(31)의 양 코너부에는 각각 자유 구동할 수 있는 스프라켓들(34,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 일단부에는 상기 탄적치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31,32)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들과 상기 탄받침대(21)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력 저감 수단(36)으로서 트러스트 베어링 또는 볼 플렌지를 구비하고 있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포탄 적치 수단(2)은, 각각 링크 연결되어 무한궤도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는 탄받침대(21)를 구비하며 상기 탄받침대(21)의 상면은 포탄의 하부면에 상응하여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탄받침대(21)들의 링크 연결부 사이에는 상기 탄받침대(21) 상부에 안착되는 포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탄지지대(22)가 설치되며, 상기 탄지지대(22) 는 포탄과의 접촉부위가 가능한 넓어지도록 포탄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지지대(22)의 외피부에는 포탄의 삽입시나 운반중에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상기 포탄이 수직으로 튀어오르거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있는 패드(2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 패드가 형성된 탄지지대(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포탄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데, 이것은 포탄의 삽입시에 상기 패드(23)가 탄성력을 가지고 압착되어 상기 포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쿠션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받침대(21) 하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축(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은 베이스(3)의 가이드 홈(33)에 안착되어 포탄 적치 수단(2)이 무한궤도상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 홈(33)을 따라서 무한궤도상에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 홈(33)의 단면과 이에 결합되는 가이드 축(24)의 단부(25)는 더브 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포탄 이송 차량등에 대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상기 포탄 적치 수단(2)이 베이스(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상기 탄지지대(22)와 탄받침대(21)의 외측면에서는 각각 가이드 롤러들(26,27)이 설치되어, 포탄 적치 수단(2)의 회동시 상기 탄받침대(21)에 설치된 제 1가이드 롤러(26)는 프레임 하부에 형성된 제 1가이드 레일(11:도 1참조)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탄지지대(22) 에 설치된 제 2 가이드 롤러(27)는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제 2가이드 레일(12:도 2참조)을 따라 안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의 중앙 일단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4)에는, 외부의 구동원(4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라켓(42)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종동 스프라켓(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 사이에는 구동체인(44)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유구동 스프라켓(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42)과 종동 스프라켓(43)을 감아도는 구동체인(44)에는 복수 쌍의 핀(45)들이 소정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42)의 하부면에는 또 다른 스프라켓(46)이 구동 스프라켓과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체인등의 동력전달 수단(47)을 통하여 소정의 구동원(41)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의 일측면에는 포탄 개폐 수단(5)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 내측에는 편심캠축(51)이 상기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캠축(51)상에는 멈치(52)가 편심캠(53)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의 외부 장치의 전진에 의하여 멈치(52)가 후방으로 밀려 편심캠축(5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캠축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편심캠(53)도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편심캠(53)의 외주면에는 상기 편심캠(53)의 안내 형상에 접하여 회동하는 캠팔로우(54)가 캠팔로우 힌지축(55)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캠팔로우 힌지축(55)을 기준으로 상기 캠팔로우(54)의 타단은 회동레버(56)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레버(56)는 회동 레버 힌지축(57)을 기준으로 프레임(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회동 레버 안착부(50)에 안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탄적재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동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소정의 외부 구동원(41), 예컨대 모터의 회전력은 모터 체인(47)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하여 구동 수단(4)의 구동 스프라켓(42)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42)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종동 스프라켓(43)을 감아도는 구동 체인(44)에는 그 결합부에 핀(45)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42)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 체인(4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핀(45)들은 탄받침대(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축(24)을 밀면서 전진하게 되어 상기 포탄 적치 수단(2)이 무한궤도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한다. 상기 가이드축(24)이 무한궤도상의 코너부에 도달하게 되면, 그 코너부에는 별도의 구동원이 마련되지 않은 자유구동 스프라켓(34,35)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축(24)과 맞물려 가이드축의 회전 운동을 보조해준다. 이 때 상기 코너부의 가이드 홈(33)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포탄 적치 수단(2)의 1피치 구동 또는 연속 구동시 궤도와 포탄 적치 수단(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위치 안내를 하게된다.
상기 포탄 적치 수단(2) 중 탄지지대(22)와 탄받침대(21)의 외측면에는 제 1 가이드 롤러(26) 및 제 2가이드 롤러(27)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가이드 롤러들(26,27)은 그 높이에 대응하여 프레임(1)에 형성된 제 1가이드 레일(11:도 1참조) 및 제 2가이드 레일(12:도 2참조)의 안내에 따라 상기 포탄 적치 수단(2)의 원활한 이송운동을 보조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들(26,27)는 포탄 적치 수단(2)의 구동시 탄하부쪽으로의 힘 집중으로 인한 마찰이나 충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포탄 적치 수단(2)의 탄지지대(22)는 포탄과의 접촉면이 포탄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 포탄이 삽입된 경우 상기 포탄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포탄 잠김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탄지지대(22)가 무한궤도상의 코너부 즉 포탄 공급 배출구의 위치에 도달하여 링크결합된 탄받침대(21)가 그 코너부에서 회전운동하게 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탄을 지지하는 탄지지대(22)는 서로 개방되어 상기 포탄에 대하여 잠김기능을 해제하게 되어 포탄 이송기등에 의한 포탄 배출 작업이나 포탄 공급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포탄 공급 배출구에는 포탄 개폐수단(5)이 마련되어 있어, 포탄의 외부와의 공급 및 배출 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포탄 개폐수단이 개방되어 포탄의 공급 및 배출 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포탄 개폐수단(5)이 폐쇄되어 포탄이 횡방향으로 넘어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포탄 개폐수단은, 도 5를 참조하면, 포탄 이송기와 같은 소정의 외부 기구의 A방향으로의 전진에 의하여, 상기 기구와 접촉하는 멈치(52)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편심캠축(5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멈치는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심캠축(51)을 축으로 하여 상기 멈치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편심캠(53)도 역시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편심캠(53)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 캠팔로우(54)는, 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C 방향으로 밀려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캠팔로우 힌지축(55)을 기준으로 상기 캠팔로우(54)의 타단에 설치된 링크는 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회동레버 힌지축(57)을 기준으로 힌지 결합된 회동레버(56)는 역시 E 방향으로 회전하여 포탄 개폐수단(5)이 개방된다.
포탄 이송기등의 외부 기구가 상기 포탄 적치 장치로부터 포탄을 파지하여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멈치(52)와 상기 프레임(1)사이에 장착된 스프링등의 탄성수단(미도시)의 작용에 의하여 멈치(52)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고, 이에 따라상술한 포탄 개폐수단의 개방작용과는 반대의 작용을 통하여 상기 회동레버(56)는 안착부(58)에 다시 안착되어 포탄 개폐수단(5)을 폐쇄하게 된다.
이로써, 포탄 이송 차량이나 자주포 차량등에서 포탄의 적치 및 이송 작업을 인력의 동원이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탄적재 장치는 무한궤도상에 이동하는 각 링크 결합된 탄받침대상에 포탄을 적재하여 단위 피치로 이동시켜 포탄 추출위치에서 포탄의 추출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포탄의 적치 및 이송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포탄 적치 수단의 회전시에는 무한궤도상에서 탄지지대에 의하여 포탄이 지지되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도 전투용 차량이나 포탄운반차량의 운행시에도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포탄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무한궤도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
    무한궤도상에서 각각 링크 연결되며 그 하부에 상기 가이드 홈에 안내되는 가이드축이 형성된 탄받침대를 구비하는 포탄 적치 수단;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탄받침대를 무한궤도상에서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상호 소정 간격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에 걸리는 구동 체인과, 상기 구동 체인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축을 수용하여 상기 탄받침대를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핀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적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상의 탄받침대를 포위하며, 그 일측면에 형성된 포탄 공급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탄 개폐수단을 갖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탄 개폐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탄 공급 배출구를 개폐하는 회동 레버, 상기 회동 레버의 힌지축과 인접되는 부위로부터 연장되는 캠팔로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캠팔로우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소정의 외부 장치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멈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적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받침대에 설치되는 제 1가이드 롤러, 상기 탄지지대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 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가이드 롤러를 안내하는 제 1가이드 레일,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가이드 롤러를 안내하는 제 2가이드 레일을 갖는 가이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적재장치
KR1020000041911A 2000-07-21 2000-07-21 탄적재장치 KR20020008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11A KR20020008539A (ko) 2000-07-21 2000-07-21 탄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11A KR20020008539A (ko) 2000-07-21 2000-07-21 탄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539A true KR20020008539A (ko) 2002-01-31

Family

ID=1967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911A KR20020008539A (ko) 2000-07-21 2000-07-21 탄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85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95B1 (ko) * 2000-09-07 2006-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포탄 운반 차량
KR101429504B1 (ko) * 2008-05-16 2014-08-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적재 장치
CN114044142A (zh) * 2021-11-17 2022-02-15 南京航空航天大学 无人机空基存储投放一体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8700A (ko) * 1974-04-10 1975-11-05
US5094142A (en) * 1990-10-02 1992-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ing system for merging ammunition rounds from multiple ammunition bays to feed a rapid-fire gun
KR0133676Y1 (ko) * 1996-07-25 1999-01-15 이대원 포탄 적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8700A (ko) * 1974-04-10 1975-11-05
US5094142A (en) * 1990-10-02 1992-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ing system for merging ammunition rounds from multiple ammunition bays to feed a rapid-fire gun
KR0133676Y1 (ko) * 1996-07-25 1999-01-15 이대원 포탄 적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795B1 (ko) * 2000-09-07 2006-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포탄 운반 차량
KR101429504B1 (ko) * 2008-05-16 2014-08-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탄 적재 장치
CN114044142A (zh) * 2021-11-17 2022-02-15 南京航空航天大学 无人机空基存储投放一体化装置
CN114044142B (zh) * 2021-11-17 2022-04-19 南京航空航天大学 无人机空基存储投放一体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6734C (en) Magazine ammunition conveying system
EP0424057B1 (en) Modular ammunition packaging and feed system
KR20020008539A (ko) 탄적재장치
US6315101B1 (en) Chain conveyor, such a carousel for a logistic installation machine, and a machine such as for sorting flat objects
AU678675B2 (en) Sorting device for discharging goods
US4885976A (en) Magazine chain for ammunition
EP0492916B1 (en) Conveyor
US5175388A (en) Ammunition bucket carriers for magazine conveyors
KR101429504B1 (ko) 탄 적재 장치
KR100651795B1 (ko) 포탄 운반 차량
US3766823A (en) Ammunition handling system
US5151556A (en) Propellant magazine for field artillery piece
US5170006A (en) Propellant magazine for field artillery piece
CN215232014U (zh) 一种填弹装置
KR200190444Y1 (ko) 포탄이송장치
KR100457818B1 (ko) 자동 탄 이송장치
SU1215936A1 (ru) Транспортный ротор
KR0136523Y1 (ko) 탄이송장치
RU2237841C1 (ru) Конвейер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подачи выстрелов
RU2237840C1 (ru) Конвейер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подачи выстрелов
JPH11208877A (ja) 偏平状物品の一次仕分け装置
KR960007989Y1 (ko) 포탄 적치 및 배출장치
US4572351A (en) Transfer unit
KR0133676Y1 (ko) 포탄 적치장치
KR102576359B1 (ko) 탄환 회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