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06B1 - 식물 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206B1
KR101429206B1 KR1020097006024A KR20097006024A KR101429206B1 KR 101429206 B1 KR101429206 B1 KR 101429206B1 KR 1020097006024 A KR1020097006024 A KR 1020097006024A KR 20097006024 A KR20097006024 A KR 20097006024A KR 101429206 B1 KR101429206 B1 KR 10142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lant cultivation
plant
container body
plant g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7894A (ko
Inventor
마사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 재배용의 용기 본체(1)가, 식물 재배용 공간(2)을 형성하는 저벽(底壁)(3) 및 측벽(側壁)(4)과, 식물 재배용 공간(2)에 급수되는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저수부(貯水部)를 포함하고, 저수부에는 오버플로용의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식물 재배용 공간(2)이 위쪽을 향해 개구되는 가로 자세 A에 있어서, 저벽(3) 및 측벽(4)은,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가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고, 식물 재배용 공간(2)은 가로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세로 자세에 있어서, 저벽(3), 측벽(4) 및 저면이 되는 측벽(4)에 있어서 저벽(3)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뱅크부(bank portion)(8)가,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세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며, 배수구(12)의 배수 시단부(始端部)는 저벽(3)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고, 또한 측벽(4)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식물 재배 용기, 배수구, 저수부, 뱅크부, 식물 재배용 공간

Description

식물 재배 용기{PLAN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의 용기 본체가, 식물 재배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벽(底壁) 및 측벽(側壁)과,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에 급수되는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저수부(貯水部)를 포함하고, 그 저수부에는 오버플로용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식물 재배 용기는, 종래부터 각종 구성의 것이 제안되고,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베란다 등과 같은 비교적 수평인 면 상에 배치하기 위해, 식물 재배용 공간이 위쪽을 향해 개구되도록 용기 본체를 가로 자세로 배치하는 식물 재배 용기가 있었다.
또한, 옹벽(擁壁) 등과 같은 비교적 연직(鉛直)인 면을 따라 배치하기 위해, 식물 재배용 공간이 가로 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용기 본체를 세로 자세로 배치하는 식물 재배 용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가 있었다.
그러나, 단일의 식물 재배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를 가로 자세 및 세로 자세의 어느 쪽의 자세로도 배치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용기는 존재하지 않았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0-262150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한 것이며, 그 목적은, 비교적 수평인 면 상에 배치하는 가로 자세로도, 또한 비교적 연직인 면을 따라 배치하는 세로 자세로도 사용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식물 재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식물 재배용의 용기 본체가, 식물 재배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벽 및 측벽과,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에 급수되는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그 저수부에는 오버플로용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로서,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이 위쪽을 향해 개구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 그 용기 본체의 저벽 및 측벽이, 상기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가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이 가로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벽, 상기 측벽 및 저면(底面)이 되는 상기 측벽에 있어서 상기 저벽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뱅크부(bank portion)가 상기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세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구의 배수 시단부(始端部)가 상기 저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고, 또한 상기 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 가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고,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세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의 식물 재배 용기를, 가로 자세로 하여 베란다 등의 수평인 장소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 또는 세로 자세로 하여 옹벽 등의 연직인 벽면을 따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오버플로용의 배수구의 배수 시단부가, 용기 본체의 저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고, 또한 용기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오버플로용의 배수구가 가로 자세 저수부의 배수구와 세로 자세 저수부의 배수구를 겸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구를 겸용화함으로써 용기 본체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식물 재배 용기의 제조업자 측에서 보면, 식물 재배 용기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식물 재배 용기의 사용자의 측에서 보면, 사용 장소 등에 따라 단일의 식물 재배 용기를 가로 자세 또는 세로 자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킨 용기가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식물 재배용 공간이, 칸막이벽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된 식물 재배용수용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된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에, 예를 들면, 시판중인 식물 재배 바닥재나 식물 재배용 토양 등을 수납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끼리가 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므로,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의 식물 재배용수의 급수를, 칸막이벽에 형성된 연통구멍을 통하여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식물 재배용 공간이, 구획벽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구획벽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연통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에, 예를 들면, 시판중인 식물 재배 바닥재나 식물 재배용 토양 등을 수납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끼리가 배수구를 통하여 연통되므로,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의 식물 재배용수의 급수를, 구획벽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식물 재배용 공간이, 칸막이벽과 구획벽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가로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씩 정렬된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된 식물 재배용수용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구획벽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연통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벽과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고, 가로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씩 정렬된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에, 예를 들면, 시판중인 식물 재배 바닥재나 식물 재배용 토양 등을 수납 배치할 수 있으므로,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끼리가 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끼리가 배수구를 통하여 연통되므로,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의 식물 재배용수의 급수를, 연통구멍 및 배수구를 통하여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배수구를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수구로부터 오버플로에 의해 흘러내린 식물 재배용수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의 세로 자세 저수부에 저수되고, 그 후, 상기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의 배수구로부터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세로 자세 저수부로의 저수가 확실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상기 용기 본체의 복수개가,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을 동일 방향으로 개구시켜 병렬 배치되고, 그 인접하는 용기 본체 사이에 있어서, 한쪽 용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가 다른 쪽 용기 본체에 연통되어 접속된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복수개를 병렬 배치하고 있으므로, 병렬 배치하는 용기 본체의 개수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의 배치 장소의 면적의 대소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만큼의 면적에 걸쳐 식물을 재배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 인접하는 용기 본체 사이에 있어서, 한쪽 용기 본체의 배수구가 다른 쪽 용기 본체와 연통되어 접속되므로, 병렬 배치하는 용기 본체의 개수에 관계없이 각 용기 본체의 저수부에는 식물 재배용수를 확실하게 저수할 수 있다.
도 1은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일부 절결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용기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용기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용기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가로 자세 A, 도 2 및 도 3은 세로 자세 B의 식물 재배 용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식물 재배 용기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직사각형의 용기 본체(1)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는, 식물 P(도 4 내지 도 6 참조)를 재배하기 위한 식물 재배용 공간(2)을 형성하기 위해, 저벽(3)과 그 저벽(3)의 사방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4개의 측벽(4)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의 식물 재배용 공간(2)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벽(5)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벽(6)에 의해 다수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물 재배용 공간(2)은, 3개의 칸막이벽(5) 및 3개의 구획벽(6)에 의해, 합계 16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된다.
또한, 좌우에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 사이에는, 도 4 등에 나타낸 식물 재배용수 W가 연통되는 연통구멍(7)을 형성한다. 또한,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4개의 뱅크부(8)가, 대향하는 좌우의 측벽(4) 사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용 공간(2)이 위쪽을 향해 개구되는 용기 본체(1)의 가로 자세 A(도 1)에 있어서, 저벽(3) 및 측벽(4)이, 식물 재배용수 W를 저수하는 가로 자세 저수부(9)를 형성한다(도 4). 이 경우, 저벽(3)이 가로 자세 저수부(9)의 저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벽(5)·구획벽(6)에 의해, 16개의 단위 가로 자세 저수부(9a)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구획벽(6)에 의해 구획되지 않은 가로 방향 으로 정렬된 4개의 단위 가로 자세 저수부(9a)가 연통구멍(7)에 의해 각각 연통된다.
한편, 식물 재배용 공간(2)이 가로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용기 본체(1)의 세로 자세 B(도 2, 도 3)에 있어서, 저벽(3)·측벽(4) 또는 구획벽(6)·저벽(3)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뱅크부(8)가, 식물 재배용수 W를 저수하는 세로 자세 저수부(10)를 형성한다(도 5). 이 경우, 측벽(4) 또는 구획벽(6)이 세로 자세 저수부(10)의 저면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벽(5)·구획벽(6)에 의해 16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가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최하단에 위치하는 4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는, 저벽(3)·측벽(4)·칸막이벽(5)·뱅크부(8)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측벽(4)이 세로 자세 저수부(10)의 저면이 된다.
또한, 최하단 이외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에서는, 예를 들면,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6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는, 저벽(3)·측벽(4)·칸막이벽(5)·구획벽(6)·뱅크부(8)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구획벽(6)이 세로 자세 저수부(10)의 저면이 된다.
그리고, 구획벽(6)에 의해 구획되지 않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4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가, 연통구멍(7)에 의해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가로 자세 저수부(9)와 세로 자세 저수부(10)에는, 이들 저수부(9, 10) 내에서의 식물 재배용수 W를 일정량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용 의 통형체(11)가 설치되어 있다. 그 통형체(11)의 일단 개구부가 오버플로용의 배수구(12)에, 타단 개구부가 배수 출구(13)에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단 측의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과 우측단 측의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의 합계 8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각각 통형체(11)가 설치되어 있다.
각 통형체(11)의 배수구(12)의 배수 시단부는, 도 4에 나타낸 가로 자세 A에 있어서는, 저벽(3)으로부터 뱅크부(8) 측으로 소정 거리 a 만큼 떨어진 위치, 도 5에 나타낸 세로 자세 B에 있어서는, 측벽(4) 또는 구획벽(6)으로부터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 내에 소정 거리 b 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은, 통형체(11)의 배수구(12)와 배수 출구(13)를 통하여 서로 연통된다. 도 2에 있어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2개의 통형체(11)는, 그 배수 출구(13)가 측벽(4)에 개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4)과 대향하는 측벽(4)에는 급수구(14)가 2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거리 a 및 소정 거리 b에 대하여는, 서로 같은 거리라도 다른 거리라도 된다.
다음에, 이 식물 재배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베란다 등과 같은 비교적 수평인 면 상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1)를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가로 자세 A로 한다.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 내에 시판중인 식물 재배 바닥재나 식물 재배용 토양 등을 수납하여 식물 P를 재배한다. 식물 재배용수 W의 급수는 위쪽을 향해 개구되는 식물 재배용 공간(2)으로부터 행해도 되고, 급수구(14)에 호스 등을 접속하여 행해도 된다(도 4).
예를 들면, 급수구(14)로부터 급수하는 경우, 구획벽(6)에 의해 구획되지 않은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이 연통구멍(7)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므로, 먼저, 도 4에 있어서 우측단 측에 위치하는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식물 재배용수 W가 급수된다. 그리고, 식물 재배용수 W가 저벽(3)으로부터 대략 소정 거리 a의 레벨에 달하면, 식물 재배용수 W는 통형체(11)의 배수구(12)로부터 배수 출구(13)를 거쳐, 도 4에 있어서 좌측 방향에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유출된다. 최종적으로는, 모든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급수된다.
그 때, 배수구(12)의 시단부는, 저벽(3)으로부터 뱅크부(8) 측으로 소정 거리 a 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용수 W는,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있어서 저벽(3)으로부터 대략 소정 거리 a의 레벨 이하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 소정 거리 a의 레벨 이하의 부위가, 단위 가로 자세 저수부(9a)가 된다.
또한, 옹벽 등과 같은 비교적 연직인 면을 따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1)를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세로 자세 B로 한다.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 내에 시판중인 식물 재배 바닥재나 식물 재배용 토양 등을 수납하여 식물 P를 재배한다. 식물 재배용수 W의 급수는 가로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식물 재배용 공간(2)으로부터 행해도 되고, 급수구(14)에 호스 등을 접속하여 행해도 된다(도 5).
예를 들면, 급수구(14)로부터 급수하는 경우, 먼저, 도 5에 있어서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식물 재배용수 W가 급수되고, 그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에 저수된다. 그리고, 식물 재배용수 W가 구획벽(6)으로부터 대략 소정 거리 b의 레벨에 달하면, 식물 재배용수 W는 통형체(11)의 배수구(12)로부터 배수 출구(13)를 거쳐, 도 5에 있어서 아래쪽에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유출된다. 최종적으로는, 모든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급수된다.
그 때, 배수구(12)의 시단부는, 구획벽(6) 및 측벽(4)으로부터 소정 거리 b 만큼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용수 W는, 각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있어서 구획벽(6) 및 측벽(4)으로부터 대략 소정 거리 b의 레벨 이하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 소정 거리 b의 레벨 이하의 부위가,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10a)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는, 용기 본체(1)를 가로 자세 A 및 세로 자세 B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어느 쪽 자세라도, 통형체(11)의 배수구(12)가 오버플로용의 배수구를 겸용하게 된다.
또한, 이 식물 재배 용기는, 용기 본체(1)를 1개만 사용하여 식물 재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용기 본체(1)를 배치하는 베란다나 옹벽의 면적 등에 따라 복수개의 용기 본체(1)를 병렬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 도 6이다.
이 도 6의 예에서는, 6개의 용기 본체(1)가, 식물 재배용 공간(2)을 동일 방향을 향해 병렬 배치되고, 그 인접하는 용기 본체(1) 사이에 있어서,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배수구(12)가, 배수 출구(13)와 급수구(14)를 통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식물 재배용 공간(2)과 연통되어 접속되고, 스탠드 F1를 가지는 프레임 F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 부품이나 같은 작용을 가지는 구성 부품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1) 앞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칸막이벽(5)과 구획벽(6)에 의해 식물 재배용 공간(2)을 16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한 예를 나타냈으나, 구획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의 개수에 대하여는 특히 16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용 공간(2)을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벽(6)을 사용하지 않고, 칸막이벽(5)만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용기 본체(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이 칸막이벽(5)에 형성된 식물 재배용수용의 연통구멍(7)을 통하여 연통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앞의 실시예에서는, 식물 재배용 공간(2)을 칸막이벽(5)과 구획벽(6)에 의해, 용기 본체(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가로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다수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한 예를 나타냈으나,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의해 용기 본체(1)를 구성하도록 한 태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오버플로용의 통형체(11)와 급수구(14)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물 재배용 공간(2)을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하는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5)을 사용하지 않고, 구획벽(6)만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즉,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4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에 의해 용기 본체(1)를 구성하도록 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용기 본체(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이 구획벽(6)에 형성된 오버플로용의 배수구(12)를 통하여 연통되게 된다.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그 배수구(12)와 급수구(14)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배수구(12) 및 급수구(14)가 좌우로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 용기 본체(1)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했을 때,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배수구(12)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의 급수구(14)가 같은 위 치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앞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용기 본체(1)에 적용할 수도 있다.
(2)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식물 재배용 공간(2)을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2a)으로 구획하지 않고, 단일의 식물 재배용 공간(2)을 가지는 상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저벽(3)과 측벽(4)이, 식물 재배용 공간(2)과 가로 자세 저수부(9)를 형성하고, 저벽(3), 측벽(4) 및 뱅크부(8)가 세로 자세 저수부(10)를 형성하게 된다.
(3)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주로 식물 재배 용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실시할 때는 식물 재배 용기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제조하여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된다. 그래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식물 재배 용기를 간단하게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식물 재배 용기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의 1개의 반제품(1A)과 1개의 측벽(4)을 나타내고 있다.
용기 본체의 반제품(1A)은, 앞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저벽(3), 저벽(3)의 3변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3개의 측벽(4), 3개의 칸막이벽(5) 및 뱅크부(8)를 일체적으로 포함하고,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로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반제품(1A)은, 도 7에 나타낸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1)에 있어서, 바로 앞쪽에 위치하는 측벽(4)을 용기 본체(1)로부터 분리해 낸 구성과 유사하다. 또한, 이 반제품(1A)에는, 오버플로용의 통형체(11)와 배수구(12)를 형 성하기 위한 기둥형체(11A), 및 급수구(14)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1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반제품(1A)과 별체로 구성된 측벽(4)의 3변에는, 반제품(1A)에 대한 걸어맞춤용 단부(段部)(15)가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낸 반제품(1A)에 있어서는, 그 위쪽에 위치하는 상단 에지(16)가 측벽(4)의 단부(15)와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반제품(1A)에 있어서,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측벽(4)의 3변에도 별체로 구성된 측벽(4)의 단부(15)와 같은 단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17은, 돌기(14A)가 끼워지는 요입부(凹入部)이며, 도면 중 18은, 식물 재배용수 W의 통류를 조장하기 위한 요입홈이다.
이 용기 본체의 반제품(1A)은,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며,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당연한 것으로서, 단순한 형상의 측벽(4)도, 합성 수지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1개의 반제품(1A)과 1개의 측벽(4)을 사용하고, 반제품(1A)의 상단 에지(16)에 측벽(4)의 단부(15)를 걸어맞추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서로 접착한다. 또한, 기둥형체(11A)에 관통구멍, 즉 오버플로용의 배수구(12)(도 10 참조)를 형성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물 재배 용기의 용기 본체(1)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제품(1A)의 상단 에지(16)에 다른 반제품(1A)의 단부(15)를 걸어맞추어 다수의 반제품(1A)을 차례로 겹쳐 쌓아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제품(1A)의 상단 에지(16)에 측벽(4)의 단부(15)를 걸어맞춤 으로써, 임의 높이의 식물 재배 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 위쪽에 위치하는 반제품(1A)의 돌기(14A)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제품(1A)의 요입부(17)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형체(11A)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오버플로용의 배수구(1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제품(1A)의 돌기(14A) 중,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저벽(3) 또는 위쪽에 위치하는 측벽(4)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급수구(14)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급수구(14)에 급수용의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 접속 도구(19)를 장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좌측에 위치하는 돌기(14A)에도, 또한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제품(1A)의 돌기(14A)에도, 각각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측방에 인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식물 재배 용기로의 급배수구(14)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제품(1A)의 돌기(14A) 중, 예를 들면, 도 10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돌기(14A)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급수구(14)로 해도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단(段)으로 겹쳐 쌓은 반제품(1A)의 코너부에 앵글재(20)를 배치하고, 또한 각 반제품(1A)과 앵글재(20)를 적당한 연결구(21)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 자체를 견고한 것으로 하고, 가로 방향으로도 병렬 배치하여 옹벽 등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4)에 있어서의 반제품(1A)(용기 본체(1) 측의 면에, 예를 들면, 식물 재배용수를 퍼올리는 용도의 호스 H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1)를 설치할 수 있다(도 12). 상기 가이드 부재(41)는, 호스 H의 상단 개구부가 가이드 부재(41)에 맞닿은 후에, 상기 상단 개구부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홈형 또는 레일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각 반제품(1A)에는, 호스 H가 삽입통과하는 관통구멍(30a)을 가지는 통체(30)를 각각 설치한다. 각 통체(30)는 상하로 인접하는 각 반제품(1A) 사이에 있어서,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한다.
각 반제품(1A)의 통체(30)의 관통구멍(30a)에 호스 H를 삽통하고, 그 호스 H의 상단 개구부가 가이드 부재(41)와 맞닿음으로써, 호스 H의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방향 전환에 의해, 예를 들면, 호스 H의 상단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식물 재배용 공간에 존재하는 식물 재배용 토양이 관통구멍(30a)에 침입하여 상기 관통구멍(30a)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최하단의 용기 본체(1)의 아래쪽에 배치된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에 저수된 식물 재배용수 W를,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호스 H를 통하여 최상단의 용기 본체(1)의 저수부에 퍼올려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최상단의 용기 본체(1)의 저수부에 저장한 식물 재배용수 W는 배수구(12)를 거쳐 아래쪽에 인접하는 용기 본체(1)의 저수부에 유출된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의 용기 본체가, 식물 재배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벽 및 측벽과,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에 급수되는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저수부를 포함하고, 그 저수부에는 오버플로용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식물 재배용의 용기 본체가, 식물 재배용 공간을 형성하는 저벽(底壁) 및 측벽(側壁)과,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에 급수되는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저수부(貯水部)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에는 오버플로용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로서,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이 위쪽을 향해 개구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저벽 및 측벽이, 상기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가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이 가로 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저벽, 상기 측벽, 및 저면이 되는 상기 측벽에 있어서 상기 저벽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뱅크부(bank portion)가, 상기 식물 재배용수를 저수하는 세로 자세 저수부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구의 배수 시단부(始端部)는, 상기 용기 본체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저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저면이 되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식물 재배용 공간은 칸막이벽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 구획 되고,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된 식물 재배용수용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식물 재배용 공간이, 구획벽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개의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구획벽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식물 재배용 공간이, 칸막이벽과 구획벽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가로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씩 정렬된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으로 구획되고,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이 상기 칸막이벽에 형성된 식물 재배용수용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물 재배용 공간은 상기 구획벽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세로 자세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배수구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복수개는, 상기 식물 재배용 공간을 동일 방향으로 개구시켜 병렬 배치되고, 그 인접하는 용기 본체 사이에 있어서, 한쪽의 용기 본체의 상기 배수구가 다른 쪽의 용기 본체에 연통되어 접속되어 있는, 식물 재배 용기.
KR1020097006024A 2006-10-11 2007-10-01 식물 재배 용기 KR101429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77754 2006-10-11
JP2006277754 2006-10-11
JP2007092612 2007-03-30
JPJP-P-2007-092612 2007-03-30
PCT/JP2007/069160 WO2008047590A1 (fr) 2006-10-11 2007-10-01 Conteneur de plan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894A KR20090077894A (ko) 2009-07-16
KR101429206B1 true KR101429206B1 (ko) 2014-08-14

Family

ID=3931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024A KR101429206B1 (ko) 2006-10-11 2007-10-01 식물 재배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00203B2 (ko)
EP (1) EP2084957B1 (ko)
JP (1) JP4833295B2 (ko)
KR (1) KR101429206B1 (ko)
CN (1) CN101161052B (ko)
HK (1) HK1115510A1 (ko)
TW (1) TWI391090B (ko)
WO (1) WO2008047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4487D0 (en) 2008-03-11 2008-04-16 Terram Ltd Cellular structures
US20090235507A1 (en) * 2008-03-24 2009-09-24 Arthur Henry Cashin Method Of Repairing A Ballistics Barrier
US20090250675A1 (en) * 2008-03-24 2009-10-08 Arthur Henry Cashin Vehicle Barrier
US20090235814A1 (en) * 2008-03-24 2009-09-24 Cashin Arthur H Mobile Reconfigurable Barricade
US20090235813A1 (en) * 2008-03-24 2009-09-24 Arthur Henry Cashin Ballistics Barrier
TWI451836B (zh) * 2009-11-30 2014-09-11 Suntory Holdings Ltd 植栽容器
CH702585B1 (fr) * 2010-01-21 2015-03-13 Haute École Du Paysage D Ingénierie Et D Architecture Hepia Système biologique pour l'épuration d'effluents phytosanitaires.
WO2011145658A1 (ja) * 2010-05-19 2011-11-2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CN102763572B (zh) * 2011-05-03 2014-06-11 光劲能源股份有限公司 一体式给光植生墙
GB2493007B (en) 2011-07-21 2017-08-30 Fiberweb Holdings Ltd Confinement structures for particulate fill materials
JP5665832B2 (ja) * 2012-11-12 2015-02-04 山崎産業株式会社 植物栽培具
JP2013252150A (ja) * 2013-09-20 2013-12-19 Suntory Holdings Ltd 植栽容器
JP2015130848A (ja) * 2014-01-15 2015-07-2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具
ES2554706B1 (es) * 2014-11-03 2016-09-13 José Luis NARIO GUTIÉRREZ Macetero compacto para albergar jardín vertical interior con sistema de riego, drenaje y desagüe
US10462987B2 (en) * 2015-08-07 2019-11-05 Shoshanah Haberman Method and apparatus on modular gardens
CN106972670B (zh) * 2017-04-17 2019-02-19 安徽旋利达电机有限公司 一种电机输出调节专用机架
CN111869461A (zh) * 2020-07-03 2020-11-03 邓婧 一种用于环境修复的植物种植墙
US11641812B1 (en) * 2021-12-02 2023-05-09 Phat Panda LLC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consistent spacing between plant growing areas and for moving same
EP4364556A3 (en) 2022-05-03 2024-07-31 Spiro, Daniel A planter shelf assembly and a method of providing a modular vertical cultivation wa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026A (ja) * 1991-05-27 1993-04-06 Akito Murakami 栽培容器
JPH0837962A (ja) * 1994-08-01 1996-02-13 Infuritsuji Kogyo Kk 植物栽培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9220A (en) * 1936-03-03 1937-08-10 Edith J Norman Plant or flower box
US2484909A (en) * 1942-08-26 1949-10-18 Henry T Ritter Combination floweprot and saucer
DE3800095A1 (de) * 1987-03-02 1989-07-13 Mielke Horst Guenter Pflanzelement zur flaechenhaften wandbegruenung
JPH0670857B2 (ja) 1989-07-05 1994-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37836U (ko) * 1989-08-25 1991-04-12
JPH03254610A (ja) 1990-03-05 1991-11-13 Dokoo:Kk 簡易植裁方法及びプランター
JP3293879B2 (ja) 1992-05-13 2002-06-17 惣一 渡邊 組立庭園
JP2772300B2 (ja) 1993-11-01 1998-07-02 豊 福住 壁面緑化方法及び装置
JP2762341B2 (ja) * 1994-04-05 1998-06-04 株式会社淺沼組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JP3549130B2 (ja) 1995-06-30 2004-08-04 株式会社淺沼組 植栽用壁体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植栽容器
JP2000262150A (ja) 1999-03-15 2000-09-26 Kajima Corp 緑化用コンテナ
JP2004057052A (ja) 2002-07-26 2004-02-26 Taiyo Kogyo Co Ltd 植生パレット組立体
JP2004211373A (ja) 2002-12-27 2004-07-29 Dainichi Kasei Kk 緑化観賞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栽基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4026A (ja) * 1991-05-27 1993-04-06 Akito Murakami 栽培容器
JPH0837962A (ja) * 1994-08-01 1996-02-13 Infuritsuji Kogyo Kk 植物栽培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894A (ko) 2009-07-16
HK1115510A1 (en) 2008-12-05
TWI391090B (zh) 2013-04-01
US8800203B2 (en) 2014-08-12
EP2084957A4 (en) 2012-07-04
CN101161052B (zh) 2011-07-06
JPWO2008047590A1 (ja) 2010-02-25
TW200840470A (en) 2008-10-16
EP2084957B1 (en) 2014-05-07
US20100095588A1 (en) 2010-04-22
WO2008047590A1 (fr) 2008-04-24
CN101161052A (zh) 2008-04-16
JP4833295B2 (ja) 2011-12-07
EP2084957A1 (en)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206B1 (ko) 식물 재배 용기
US9769991B2 (en) Planting container
CA3042918C (en) Hydroponic cultivation unit and system
TWI445496B (zh) 植栽容器
US8312674B2 (en) Stackable planter
US10806107B2 (en) Water culture block and water culture device having same
CN109153476A (zh) 模块化托盘和多层支撑结构
WO2015108053A1 (ja) 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具
KR20130009323A (ko) 수경재배기
US20210176936A1 (en) Rotomolded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System
US20230129275A1 (en) Flowerpot including water supply tube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KR20090002388U (ko) 화분 받침대
GB2541687A (en) A display or storage apparatus
KR101826930B1 (ko)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JP5842416B2 (ja) 植栽容器
CN219395667U (zh) 种植架
KR101576540B1 (ko) 화분조립체
KR102249825B1 (ko) 화분
KR102109776B1 (ko) 물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분
KR101998622B1 (ko) 조립식 화분
KR20060022175A (ko) 화분파렛트
JP2007097402A (ja) 底面潅水トレー、カゴ型トレー、育苗システム
KR20100004450A (ko) 자동급수 다단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