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622B1 - 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622B1
KR101998622B1 KR1020180148919A KR20180148919A KR101998622B1 KR 101998622 B1 KR101998622 B1 KR 101998622B1 KR 1020180148919 A KR1020180148919 A KR 1020180148919A KR 20180148919 A KR20180148919 A KR 20180148919A KR 101998622 B1 KR101998622 B1 KR 10199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wall
column
assembl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정
정유현
임경민
이태현
Original Assignee
박은정
정유현
임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정, 정유현, 임경민 filed Critical 박은정
Priority to KR102018014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모듈, 상기 바닥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모듈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가상의 정사각형 도형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각각 조립되는 4개의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분갈이 등을 위해 조립식 모듈을 분해할 경우, 먼저 상기 상부 모듈에 대하여 커버 모듈을 분리하고, 상부 모듈에서 각각의 벽체와 기둥을 분해하여 흙과 식물을 온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화분{Plant Pot of Assembly Type}
본 발명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화분 외에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고 분갈이 등의 처리가 간편한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은 상부에 화초 등을 심는 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일체식 용기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따라, 그 크기가 고정되고 형상이 단조로울 수밖에 없었다.
특히, 종래의 화분을 분갈이할 경우 화초의 뿌리를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화분 속의 흙을 제거해야 했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웠으며 뿌리를 온전하게 유지하는 것 또한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대량으로 화분을 분갈이할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하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분갈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화분을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테이퍼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형상이 단조로워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 화분의 경우 그 용도가 화분에 한정되어 있어 관상용이나 공기정화 기능 정도의 용도에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2845호 (2018.06.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분갈이가 용이한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화분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화분으로서의 구성이 용이한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바닥 모듈;
상기 바닥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모듈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가상의 정사각형 도형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각각 조립되는 4개의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의 측면에는 더브테일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의 바닥에는 끼움돌기가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모듈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 모듈은,
상기 기둥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4개의 모서리편;
이웃하는 모서리편과 모서리편 사이에 각각 조립되며 상기 벽체와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3개의 연결편; 및,
상기 3개의 연결편 안쪽을 상하 방향으로 마감하며 상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이 없는 쪽의 측면에 서랍식 물받이가 설치되는 바닥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홈은 상기 연결편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은 상기 벽체와 연결편의 길이방향 양단을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의 높이는 상기 벽체의 높이보다 높아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단차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모듈은 상기 단차홈에 삽입되는 4개의 마감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편의 단면 형상은 상기 벽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와 나란히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개의 상기 벽체들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또는 액자로 이루어지며,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자동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또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액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화 수용공간에는, 충전 배터리, 전원 연결부 및 제어부가 내장되고, 자동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벽체의 상부 내면에는 조도 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조도 센서의 아래쪽에는 수분 센서가 설치되고, 상단 부근에는 LED가 배치되며, 외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 수용공간은 물 저장공간과 영양액 저장공간으로 분리되며, 액체 수용공간이 형성된 벽체의 상부 내면에는 물 공급 노즐과 영양액 공급 노즐이 설치되고 바닥 안쪽에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모듈, 상기 바닥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모듈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가상의 정사각형 도형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각각 조립되는 4개의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분갈이 등을 위해 조립식 모듈을 분해할 경우, 먼저 상기 상부 모듈에 대하여 커버 모듈을 분리하고, 상부 모듈에서 각각의 벽체와 기둥을 분해하여 흙과 식물을 온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의 측면에는 더브테일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벽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후 측방향으로 스스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4개의 상기 벽체들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또는 액자로 이루어지며,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자동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또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액체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4개의 상기 벽체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의 바닥에는 끼움돌기가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바닥 모듈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되, 끼움홈이 연결편에 각각 형성되며, 끼움돌기와 끼움홈은 벽체와 연결편의 길이방향 양단을 가로질러서 형성되므로,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의해 방수효과가 크게 제고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상부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자동화 수용공간이 형성된 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조립식 화분이 상호 조립되어 배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분(1000)은,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 모듈(100), 상기 바닥 모듈(100)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모듈(200) 및, 상기 상부 모듈(200)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모듈(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부 모듈(200)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가상의 정사각형 도형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정사각형 단면 형상의 기둥(210)과, 이웃하는 기둥(210)과 기둥(210) 사이에 각각 조립되는 4개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벽체(2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220)의 직사각형 단면은 길이가 두께보다 큰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바닥 모듈(100), 상부 모듈(200) 및 커버 모듈(300)을 서로 조립한 후 흙을 담아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또한, 분갈이 등을 위해 조립식 모듈(1000)을 분해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상부 모듈(200)에 대하여 커버 모듈(300)을 분리하고, 바닥 모듈(100)로부터 상부 모듈(200)을 분해한 후, 상부 모듈(200)에서 각각의 벽체(220)와 기둥(210)을 서로 분해하여 흙과 식물을 온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량으로 분갈이를 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흙과 식물을 분리하여 다른 화분에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210)의 측면에는 더브테일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211)가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벽체(2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211)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1 결합홈(221)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후 측방향으로 스스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220)의 바닥에는 끼움돌기(222)가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모듈(100)의 상면에는 상기 끼움돌기(222)가 결합되는 끼움홈(1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돌기(222)를 끼움홈(122)에 아래쪽을 향해 끼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상호 조립이 가능하다.
조립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바닥 모듈(100)은, 상기 기둥(21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4개의 모서리편(110), 이웃하는 모서리편(110)과 모서리편(110) 사이에 각각 조립되며 상기 벽체(220)와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3개의 연결편(120) 및, 상기 3개의 연결편(120) 안쪽을 마감하며 상면에는 배수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120)이 없는 쪽의 측면에 서랍식 물받이(132)가 설치되는 바닥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서리편(110)에 형성된 제2 결합돌기(111)가 연결편(120)에 형성된 제2 결합홈(121)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끼움홈(122)은 상기 연결편(120)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222)와 끼움홈(122)은 상기 벽체(220)와 연결편(120)의 길이방향 양단을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홈(122)과 끼움돌기(222)에 의해 방수효과가 크게 제고될 수 있다.
상기 서랍식 물받이(132)의 전면에는 손잡이 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편(130)은 아래를 향해 끼워짐으로써 3개의 연결편(120) 안쪽에 밀접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편(130)의 외측면은 상기 3개의 연결편(120) 안쪽 형상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210)의 높이는 상기 벽체(220)의 높이보다 높아서 기둥(210)과 기둥(210) 사이에 단차홈(2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모듈(300)은 상기 단차홈(250)에 삽입되는 4개의 마감편(3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편(31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벽체(2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220)와 나란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편(310)은 상기 벽체(22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4개의 상기 벽체(220)들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또는 액자로 이루어지며,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자동화 수용공간(223)이 형성되고, 또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액체 수용공간(2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4개의 상기 벽체(220)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 수용공간(223)에는, 충전 배터리(610), 전원 연결부(620) 및 제어부(630)가 내장되고, 자동화 수용공간(223)이 형성되는 벽체(220)의 상부 내면에는 조도 센서(640)가 배치되며, 상기 조도 센서(640)의 아래쪽에는 수분 센서(6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220)의 상단 부근의 내면에는 LED(660)가 배치되며, 외면에는 디스플레이(67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별도의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경우 없이, 상기 충전 배터리(610)에 의해 제어부(630), 조도 센서(640), 수분 센서(650), LED(660) 및 디스플레이(670)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조도 센서(640)에 의해 측정된 빛의 밝기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 LED(660)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공간(224)은 물 저장공간(224a)과 영양액 저장공간(224b)으로 분리되며, 액체 수용공간(224)이 형성된 벽체(220)의 상부 내면에는 물 공급 노즐(680)과 영양액 공급 노즐(690)이 설치되고 바닥 안쪽에는 상기 제어부(630)에 연결되는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자동화 수용공간(223)이 형성된 벽체(22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되는 전선 및 플러그(29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화 수용공간(223)이 형성된 벽체(220)에는 외측으로 전선이 인출되고, 상기 물 저장공간(224a)과 영양액 저장공간(224b)에는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의 선단에는 플러그가 마련되어 상기 콘센트에 연결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분 센서(650)에 의해 측정된 흙 속의 수분이 부족할 경우 펌프에 전원이 공급되어 물 공급 노즐(680)을 통해 소정치의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머(미도시)가 배치되어 소정의 시간이 지날 때마다 제어부(630)에 신호가 전달되어 영양액 저장공간(224b) 내의 펌프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영양액 공급 노즐(690)을 통해 소정치의 영양액이 흙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둥(210), 벽체(220), 바닥 모듈(100)의 외면에는 방수 코팅이 도포되어 상호 결합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210)과 모서리편(110)의 외측 4방향 전부에 각각 제1 결합돌기(211)과 제2 결합돌기(111)가 형성되어 있어, 다른 벽체(220)와 연결편(120)이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화분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배치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분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바닥 모듈
110... 모서리편
111... 제2 결합돌기
120... 연결편
121... 제2 결합홈
122... 끼움홈
130... 바닥편
131... 배수공
132... 물받이
200... 상부 모듈
210... 기둥
211... 제1 결합돌기
220... 벽체
221... 제1 결합홈
222... 끼움돌기
223... 자동화 수용공간
224... 액체 수용공간
224a... 물 수용공간
224b... 영양액 수용공간
250... 단차홈
300... 커버 모듈
310... 마감편
610... 충전 배터리
620... 전원 연결부
630... 제어부
640... 조도 센서
650... 수분 센서
660... LED
670... 디스플레이
680... 물 공급 노즐
690... 영양액 공급 노즐
1000... 조립식 화분

Claims (9)

  1. 바닥 모듈;
    상기 바닥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상부 모듈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모듈은,
    평면에서 바라볼 때, 가상의 정사각형 도형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정사각형 단면 형상의 기둥과, 이웃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각각 조립되는 4개의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벽체의 직사각형 단면은 길이가 두께보다 큰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의 4개 측면에는 더브테일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결합돌기가 상하로 연장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돌기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바닥에는 끼움돌기가 아래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 모듈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모듈은,
    상기 기둥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의 형상을 가지는 4개의 모서리편;
    이웃하는 모서리편과 모서리편 사이에 각각 조립되며 상기 벽체와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3개의 연결편; 및,
    상기 3개의 연결편 안쪽을 상하 방향으로 마감하며 상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이 없는 쪽의 측면에 서랍식 물받이가 설치되는 바닥편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연결편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은 상기 벽체와 연결편의 길이방향 양단을 가로질러서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높이는 상기 벽체의 높이보다 높아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단차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모듈은 상기 단차홈에 삽입되는 4개의 마감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편의 단면 형상은 상기 벽체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와 나란히 조립되고,
    4개의 상기 벽체들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또는 액자로 이루어지며,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자동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또 다른 적어도 하나에는 액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48919A 2018-11-27 2018-11-27 조립식 화분 KR10199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19A KR101998622B1 (ko) 2018-11-27 2018-11-27 조립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919A KR101998622B1 (ko) 2018-11-27 2018-11-27 조립식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622B1 true KR101998622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919A KR101998622B1 (ko) 2018-11-27 2018-11-27 조립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6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79Y1 (ko) * 2005-05-09 2005-09-30 공영근 장식용 화분
KR101047359B1 (ko) * 2008-07-30 2011-07-07 조규호 조립식 화분
KR20140074131A (ko) * 2012-12-07 2014-06-17 안장혁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KR101818497B1 (ko) * 2015-10-06 2018-01-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되는 스마트 화분
KR20180062845A (ko) 2016-12-01 2018-06-11 김선태 스마트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79Y1 (ko) * 2005-05-09 2005-09-30 공영근 장식용 화분
KR101047359B1 (ko) * 2008-07-30 2011-07-07 조규호 조립식 화분
KR20140074131A (ko) * 2012-12-07 2014-06-17 안장혁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KR101818497B1 (ko) * 2015-10-06 2018-01-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되는 스마트 화분
KR20180062845A (ko) 2016-12-01 2018-06-11 김선태 스마트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146B2 (en) Cultivation assembly
CN208029823U (zh) 植物栽培柜
KR200476518Y1 (ko)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US20080141587A1 (en) Planter container inserts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CN201150205Y (zh) 一种直立式植物种植架
KR101998622B1 (ko) 조립식 화분
CN208285957U (zh) 一种组合式栽培盆
JP2014187893A (ja) 植物栽培装置
CN205912547U (zh) 一种种植箱
CN103210872B (zh) 一种利于观赏和娱乐的养鱼装置
KR102274329B1 (ko) 레고형 식물재배용기
JPH0112592Y2 (ko)
CN202652915U (zh) 一种种植箱
KR200174587Y1 (ko) 조립형 화분
KR102650394B1 (ko) 배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화분
RU109368U1 (ru) Модул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1548155B1 (ko) 기능성 화분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CN204742253U (zh) 一种二斑叶螨养虫笼
CN201923513U (zh) 多功能购菜箱
JP3029604B2 (ja) プランター
CN211931887U (zh) 一种模块化组合式植物种植机
KR20160001812U (ko) 퍼즐블록을 이용한 퍼즐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