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131A -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131A
KR20140074131A KR1020120142360A KR20120142360A KR20140074131A KR 20140074131 A KR20140074131 A KR 20140074131A KR 1020120142360 A KR1020120142360 A KR 1020120142360A KR 20120142360 A KR20120142360 A KR 20120142360A KR 20140074131 A KR20140074131 A KR 20140074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ortion
planting box
present
bas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596B1 (ko
Inventor
안장혁
Original Assignee
안장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장혁 filed Critical 안장혁
Priority to KR102012014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5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 내측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 구비되어 둘레부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측부, 판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 중 상기 연결측부가 구비되지 않은 측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외측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에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둘레부를 외부와 막힌 형태로 구비하여 주거나 외부와 연통된 형태로 구비하여 줄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A Multi Purpose Assembling Flowerpot }
본 발명은 식재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식재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초나 채소와 같은 다양한 작물을 키우는 방법으로서, 화분을 이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인 화분의 경우 합성수지 또는 도기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은 화분은 상부가 개방된 평면상 사각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이고, 저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화분 내에 배양토를 채워 넣은 상태에서 씨앗 또는 묘목을 심어 충분한 일조량과 물을 공급함에 따라 작물의 왕성한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화분은 각기 개별적으로 구분 제작되어 있어 상호 간의 연결사용이 불가능한 것이고, 배수 흐름도 원활하지 못하여 잔뿌리가 쉽게 썩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근자에 들어 하우스 내부에서도 작물의 재배와 취급이 용이하도록 화분을 이용한 재배가 널리 성행하고 있는 추세이고, 가정 내 베란다 또는 옥상을 이용하여 화초를 가꾸거나 상추, 토마토, 고추와 같이 쉽게 재배가 가능한 채소류 등을 직접 키워 섭취하는 가정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많은 수의 화분을 연속으로 나열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다수의 화분을 연속으로 나열하여 사용하는 경우 통상의 화분인 경우 선단의 손잡이부에 의해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화분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실질적인 재배면적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기존의 보편적인 화분은 하부에만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화분을 연속적으로 나열 설치하는 경우 화분 상호 간의 소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거름 또는 비료를 도포하거나 주기적으로 물을 주는 경우 각각의 화분에 공급되는 비료나 물의 량이 서로 다르게 되어 고른 생육 상태를 보이지 못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작물의 왕성한 성장에 따라 작물의 뿌리가 화분 내에 갇힌 상태가 되면서 작물의 뿌리가 사방으로 뻗어나 가지 못하게 되어 작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는 것이고, 잔뿌리가 특정부분으로 집중됨에 따라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뿌리 말단부에 대한 무름이나 단절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화분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많은 수납공간을 차지하여 수납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화분은 통상 원형 또는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복수의 화분을 곡선으로 배치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화분을 상호 연결되게 구성하여 주는 경우 각각의 화분에서 자란 식물의 뿌리가 연통된 부분을 통해 다른 화분으로 넘어가 식물을 옮기거나 화분에 채워진 흙을 갈아주는 경우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상 화분에 비료를 주는 경우 화분에 채워진 흙의 노출된 상단 표면에 비료를 도포하여 주는데 이렇게 비료를 도포하여 주면 비료가 화분 전체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기가 쉽지 않으며 비료가 식물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지 못하고 공급되는 물과 함께 빠져나가 버리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식재박스의 구성요소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줄 수 있는 식재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식재박스의 둘레부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하여 주거나 외부와 막힌 상태로 형성하여 줄 수 있는 식재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식재박스를 사용자가 놓고자 하는 공간 형상에 맞추어 불필요한 공간 없이 상호 맞물리면서 연통되도록 놓아줄 수 있는 식재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박스 내부로 비료 또는 물을 골고루 공급하여 줄 수 있는 식재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식재박스가 상호 연통되어 각각의 식재박스에 심어진 식물들의 뿌리가 서로 얽히더라도 얽힌 식물들의 뿌리를 잘라주어 용이하게 식물을 옮기거나 식재박스에 담겨진 흙을 교체하여 줄 수 있는 식재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식재박스를 별도의 결합장치 없이 기하학적인 맞물림으로 상호 연통되게 구비하여 줄 수 있는 식재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는 다각형 형상의 판 형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 내측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 구비되어 둘레부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측부, 판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 중 상기 연결측부가 구비되지 않은 측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외측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에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둘레부를 외부와 막힌 형태로 구비하여 주거나 외부와 연통된 형태로 구비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측부에 형성된 통공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측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바(Bar)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연결부재에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측부는 상기 바(Bar) 형태의 연결부재를 따라 상하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측부의 외측에는 면접하게 구비되는 다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의 연결측부와 기하학적 맞물림으로 각각의 통공들이 상호 연통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맞물림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는 식재박스의 구성요소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식재박스의 미 사용시 각각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줌으로써 적은 수납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재박스의 둘레부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하여 주거나 외부와 막힌 상태로 형성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식재박스 설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식재박스의 단면 형상이 육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식재박스를 사용자가 놓고자 하는 공간 형상에 맞추어 불필요한 공간 없이 상호 맞물리면서 연통되도록 놓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재박스 둘레부 중 일부에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주며 복수의 통공 중 사용자가 원하는 통공에 비료를 채워줌으로써 비료 또는 물을 식재박스 내부에 골고루 공급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재박스 둘레부 중 일부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여 주며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둘레부를 눌러 경사져 날카로운 단면을 가지는 통공들이 얽힌 식물 뿌리를 잘라주어 용이하게 식물을 옮기거나 식재박스에 담겨진 흙을 교체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식재박스들이 기학적인 맞물림으로 상호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장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의 둘레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들의 연통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이하 식재박스)는 일반적으로 칭하는 화분 및 도로상에 설치되는 식재박스 등 식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횡방향 단면이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내부에는 토사가 채워지고 토사에 식물의 종자, 모종 또는 식물이 식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크게 베이스부(100), 연결측부(120), 외측부(110) 및 결합부재(300)를 구성요소로 가진다.
베이스부(10)는 육각형 형상의 판 형태로 내측에는 복수의 통공(106)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부에는 결합부재(300)가 삽입 고정되는 "ㄴ'자 형상의 결합홈(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측부(120)는 베이스부(100)의 각 측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 구비되어 식재박스(10)의 둘레부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탄성을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복수의 통공(122)이 형성된다. 복수의 통공(122)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연결측부(120)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슬라이딩 안내홈(124)이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부(100)의 삽입홈(102)에 연결부재(300)가 삽입 고정되고 삽입 고정된 연결부재(300)의 측부를 따라 연결측부(120)의 슬라이딩 안내홈(124)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베이스부(100)와 연결측부(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측부(120)의 외측면 중 복수의 통공(1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맞물림 홈(128) 및 외측으로 돌출된 맞물림 돌기(127)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외측부(110)는 연결측부(1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동일하게 결합부재(300)를 통해 베이스부(100)와 결합되지만 복수의 통공(122)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측부(1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지만 외측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이와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식재박스(10)의 미 사용시에는 각각 분리하여 적은 수납공간에서도 수납 가능하다.
또한 식재박스(10)의 둘레부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주며 다른 부분은 외부와 막힌 형태로 형성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복수의 식재박스(10)들을 상호 연통되도록 설치하여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도 3과 같이 결합부재(300) 없이 베이스부(100)의 삽입홈에 연결측부(120) 및 외측부(110)에 형성된 결합돌기(129)를 직접 삽입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성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연결측부(120) 및 외측부(110)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연결측부(120) 및 외측부(110)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테두리 결합부재(300)를 구성하여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의 둘레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연결측부(120)의 기능 및 복수의 통공(122)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측부(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22)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형성하여 줄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연결측부(120)의 외측면을 따라 행렬로 촘촘하게 정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각의 식재박스(10)들이 상호 연통되게 구비되었을때 연통된 통공(122)을 따라 식물의 생장을 위해 공급되는 비료 및 물이 다른 식재박스(10) 내부로 골고루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연결측부(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22)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125)에서 타측(126)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식재박스(10) 내측(126)에서 외측(125)을 향해 통공(122)의 단면 크기가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와 같이 통공(122)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통공(122)이 깔때기 형상의 수용부처럼 형성되기 때문에 식물의 생장을 위한 비료를 채워 넣기에 용이함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일렬의 통공(122)에는 수용성의 비료를 채워 넣어주고 다음 일렬의 통공은 비워주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주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재박스(10)에 채워진 토사의 외측 표면을 물을 공급하여 주더라도 각 식재박스(10) 내부로 물과 비료가 골고루 공급되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통공(122)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식재박스(10)에 식물이 식재되고 식물이 성장하면서 식물의 뿌리 부분이 연통된 통공(122)을 통해 다른 식재박스(10)로 넘어가 식물뿌리가 얽힐 수 있는데 탄성을 가지는 연결측부(120)를 사용자가 외력을가해 위에서 아래로 눌러주면 경사져 날카로운 단면을 가지는 통공(120)이 눌러져 다른 식재박스(10)로 넘어간 식물뿌리를 잘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재박스(10)에 심어진 식물이 통공을 통해 뿌리를 사방으로 뻗어나가게 하면서도 식재박스(10)에 식재된 식물을 옮기거나 식재박스(10)에 담겨진 토사를 갈아줄 때는 식물의 뿌리를 잘라주어 용이하게 식물을 옮기거나 토사를 갈아 줄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300)는 연결측부(120)의 상하 신축 동작을 가이드해주는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연결측부(120)를 신축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연결측부(120)가 결합부재(300)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때문에 식재박스(10)가 설치된 후에도 연결측부(120)를 뽑아낸 다음 통공(122)에 비료를 채워 넣고 다시 슬라이딩 결합하여 줄 수 있어 사용에 편리함을 더해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들의 연통된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연통되는 부분에만 연결측부(120)를 구비하여 주고 다른 둘레부는 막힌 형상으로 형성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식재박스(10)의 둘레부가 모두 통공이 형성된 형태가 되면 상호 연결되지 않은 부분으로는 통공(12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뿌리가 빠져나와 외적으로 미려함이 떨어지고 사용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결되는 둘레부만 연통되기 때문에 기능적으로도 우수하며 외적으로도 미려한 식재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측부(120)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인입된 맞물림 홈(128) 및 외측으로 돌출된 맞물림 돌기(127)가 형성되어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구성없이 상호 면접하는 연결측부(120)들이 기하적인 맞물림으로 각각의 통공(122)들이 연통되게 구성하여 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참조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10)는 각각의 식재박스(10)들을 상하로 적층시키는 형태로 구비하여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상호 연통되게 구성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적층시키는 경우 베이스부(100)에 형성된 통공(106)을 통해 상하 적층된 식재박스(10)가 상호 연통되기 때문에 식물이 아래로 길게 뿌리를 내려 성장하게 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평면상으로는 식재박스(10)가 육각단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곡선 형태, 원호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식재박스(10)가 배치되는 베이스 모듈(500)을 구비하여 줌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및 외적 미려함을 추가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재박스는 이와 같이 분리 결합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이 수행 가능하며 각각의 식재박스(10)들을 연통시켜주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 및 외적 미려함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식재박스 100: 베이스부 110: 외측부 120: 연결측부 300: 결합부재
122: 통공 124: 슬라이딩 안내홈 102: 결합홈

Claims (6)

  1. 다각형 형상의 판 형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
    내측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 중 하나 이상의 측부에 구비되어 둘레부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측부;
    판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 중 상기 연결측부가 구비되지 않은 측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외측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측부에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둘레부를 외부와 막힌 형태로 구비하여 주거나 외부와 연통된 형태로 구비하여 줄 수 있는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부에 형성된 통공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바(Bar)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 각각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의 양단에는 슬라이딩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측부 또는 외측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된 연결부재에 상기 슬라이딩 안내홈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측부는 상기 바(Bar) 형태의 연결부재를 따라 상하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측부의 외측에는 면접하게 구비되는 다른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의 연결측부와 기하학적 맞물림으로 각각의 통공들이 상호 연통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맞물림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KR1020120142360A 2012-12-07 2012-12-07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KR101470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360A KR101470596B1 (ko) 2012-12-07 2012-12-07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360A KR101470596B1 (ko) 2012-12-07 2012-12-07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131A true KR20140074131A (ko) 2014-06-17
KR101470596B1 KR101470596B1 (ko) 2014-12-10

Family

ID=5112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360A KR101470596B1 (ko) 2012-12-07 2012-12-07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5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2304A (zh) * 2014-09-30 2015-02-04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大型苗木花台
CN105265207A (zh) * 2014-06-25 2016-01-27 钱红亚 一种组合式绿化装置
KR20180138356A (ko) * 2017-06-21 2018-12-31 공희준 유충 사육 용기
KR20190037752A (ko) *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하이브형 벽면녹화장치
KR101998622B1 (ko) * 2018-11-27 2019-07-11 박은정 조립식 화분
CN110178589A (zh) * 2019-07-01 2019-08-30 郑州职业技术学院 一种绿植、花卉培养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568158A (zh) * 2022-02-21 2022-06-03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装配式花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3321A (zh) * 2015-09-11 2015-12-09 李传义 一种观赏种植箱
CN105507503B (zh) * 2016-01-29 2018-04-20 深圳市绿粤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屋顶花园种植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212B1 (ko) * 2002-06-18 2005-03-25 조흥렬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JP2005021158A (ja) * 2003-06-11 2005-01-27 Yoshihisa Bessho 植木鉢
JP3114565U (ja) * 2005-06-24 2005-10-27 ひとみ 中嶋 パネル組立式植木鉢
KR101176556B1 (ko) * 2010-05-04 2012-08-23 임상일 조립식 화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5207A (zh) * 2014-06-25 2016-01-27 钱红亚 一种组合式绿化装置
CN104322304A (zh) * 2014-09-30 2015-02-04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大型苗木花台
KR20180138356A (ko) * 2017-06-21 2018-12-31 공희준 유충 사육 용기
KR20190037752A (ko) * 2017-09-29 2019-04-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하이브형 벽면녹화장치
KR101998622B1 (ko) * 2018-11-27 2019-07-11 박은정 조립식 화분
CN110178589A (zh) * 2019-07-01 2019-08-30 郑州职业技术学院 一种绿植、花卉培养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568158A (zh) * 2022-02-21 2022-06-03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装配式花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596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96B1 (ko)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US20100132255A1 (en) Eco-friendly vertical plan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50289453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110203175A1 (en) Modular gardening system and method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KR101408995B1 (ko) 식물 재배용기
CA3027324A1 (en) Horticulture device and method
KR20210141029A (ko) 원예작물 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200477741Y1 (ko) 적층식 작물재배기
KR100653373B1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JP2006296205A (ja) 野菜の栽培方法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20210054881A (ko) 조립식 화분체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CA2706153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101776260B1 (ko) 채소재배용기
KR20120056080A (ko) 적층식화분
KR102623177B1 (ko) 화분 구조체
JP3589551B2 (ja) イチゴの育苗容器、イチゴの育苗装置及びイチゴの育苗方法
KR0139530Y1 (ko) 재배장치
KR200483157Y1 (ko) 다단식 화분
KR200463447Y1 (ko) 적층식 재배용기
KR20160022501A (ko) 조림용 묘목의 뿌리분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뿌리분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