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960A - 빗물 집수 장치 및 이 빗물 집수 장치를 구비한 식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 집수 장치 및 이 빗물 집수 장치를 구비한 식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5960A KR20100085960A KR1020107009897A KR20107009897A KR20100085960A KR 20100085960 A KR20100085960 A KR 20100085960A KR 1020107009897 A KR1020107009897 A KR 1020107009897A KR 20107009897 A KR20107009897 A KR 20107009897A KR 20100085960 A KR20100085960 A KR 201000859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lant cultivation
- rainwater
- container
- water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9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11265 semifinishe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red l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71 blow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16 polyethyle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2 pumi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27—Drainage outlets, e.g. gullies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in the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73—Rain water reservoirs integrated in down pip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66—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969—Build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을 개조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빗물 집수 장치(1)를 제공한다. 빗물을 도입 가능한 도입구(7), 건물 보디체(2)에 형성되는 배수로(4)의 시단(始端)인 빗물 배수구(3)의 주위 둘레부에 걸어서 고정하여 빗물을 도입구(7)에 도입할 수 있는 플랜지부(10), 소정 수위를 넘는 과잉의 물을 배수로(4)에 배수할 수 있는 배수부(9)를 가지고, 또한 빗물 배수구(3)를 통하여 배수로(4) 내에 끼워넣기 가능한 저수 용기(5), 및 저수 용기(5) 내에 수용된 물을 용기 밖으로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기구(6)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보디체에 형성되는 빗물 배수구에 유입된 빗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용기와, 이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수 있는 양수(揚水) 기구를 구비하는 빗물 집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빗물 집수 장치에 의하면, 건물 보디체(일반 가옥, 빌딩 등)의 지붕이나 옥상에 내리는 빗물을 양호한 효율로 회수할 수 있다. 회수된 빗물은, 각종 용도(예를 들면, 식물로의 살수나 화장실에서 내리는 물 등)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빗물 집수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상기 저수 용기를 구비하여 빗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기를 건물 보디체의 처마끝에 배치한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빗물 집수 장치를 이미 설치된 건물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집수기를 그 건물의 처마끝에 설치하므로 빗물을 상기 빗물 배수구로부터 집수기까지 이송하는 배수관 등을 새로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건물을 개조해야만 한다.
또한, 건물을 신설할 때 상기 빗물 집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빗물 집수 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건물을 설계할 필요가 있고, 건물의 시공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건물을 개조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빗물 집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장치의 제1 특징적 구성은, 빗물을 도입 가능한 도입구, 건물 보디체에 형성되는 배수로의 시단(始端)인 빗물 배수구의 주위 둘레부에 걸어서 빗물을 상기 도입구에 도입할 수 있는 플랜지부, 및 소정 수위를 넘는 과잉의 물을 상기 배수로에 배수할 수 있는 배수부를 가지면서, 또한 상기 빗물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배수로 내에 끼워넣기 가능한 저수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용기 밖으로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기구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는, 건물을 개조하지 않고, 그 건물에 이미 설치된 빗물 배수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저수 용기를, 빗물 배수구에 끼워넣고, 그 플랜지부를 빗물 배수구의 주위 둘레부에 걸기만 하면 된다.
빗물 배수구에 유입되어 온 빗물은, 플랜지부 상을 흘러서 도입구에 들어가고,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다. 수용된 빗물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수 기구에 의해 퍼 올려져서 각종 용도(예를 들면, 식물로의 살수나 화장실의 내리는 물 등)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 있어서는, 큰 비 등으로 대량의 물이 저수 용기 내에 유입되어 오는 경우에도, 저수 용기의 소정 수위를 초과하면, 그 과잉수가 배수부로부터 배수로로 배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빗물 배수구로부터 물이 넘쳐 나와, 옥상 등이 침수될 염려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장치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양수 기구가, 상기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펌프와, 상기 양수 펌프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이 유통할 수 있는 양수관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서의 양수 기구는,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펌프와, 이 양수 펌프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이 유통할 수 있는 양수관을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양호한 효율로 퍼 올릴 수가 있어서 저수 용기 내의 물을 더 한층 이용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장치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상기 도입구에, 상기 빗물 중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 의하면, 도입구에, 빗물 중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고형물의 축적에 의한 저수 용기 내의 용적의 감소(즉, 저수 가능한 빗물의 양이 감소함)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고형물이 제거된, 더욱 맑고 깨끗한 빗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의 특징적 구성은, 상기 빗물 집수 장치, 식물을 재배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 및 상기 빗물 집수 장치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 기구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인 점에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에 의하면, 관수(灌水) 작업이 간편화될 수 있고, 식물을 양호한 효율로 재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를, 건물 보디체에 형성된 빗물 배수구에 설치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를, 건물 보디체에 형성된 빗물 배수구에 설치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서의 저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다른 실시형태)를, 건물 보디체에 형성된 빗물 배수구에 설치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식물 재배 장치(제1 실시형태)의 표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9는, 식물 재배 장치(제1 실시형태)의 배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식물 재배 장치(제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2는,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5는,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별도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식물 재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별도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식물 재배 장치(제3 실시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9는, 식물 재배 장치(제3 실시형태(별도 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저수 용기 및 장착 설치부의 측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32는, 저수 탱크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를, 건물 보디체에 형성된 빗물 배수구에 설치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서의 저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다른 실시형태)를, 건물 보디체에 형성된 빗물 배수구에 설치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세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가로 자세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식물 재배 장치(제1 실시형태)의 표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9는, 식물 재배 장치(제1 실시형태)의 배면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0은, 식물 재배 장치(제1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2는,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5는,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별도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식물 재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식물 재배 장치(제2 실시형태(별도 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식물 재배 장치(제3 실시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9는, 식물 재배 장치(제3 실시형태(별도 형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저수 용기 및 장착 설치부의 측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 32는, 저수 탱크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를, 건물 보디체(2)(일반 가옥, 빌딩 등)의 옥상에 설치했을 때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도 1: 사시도, 도 2: 단면도). 그리고, 도 1 및 도 2의 화살표(점선)는, 빗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에 있어서의 저수 용기(5)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는, 배수로(4)의 시단인 빗물 배수구(3)에 유입된 빗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용기(5)와, 이 저수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저수 용기)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용기(5)는, 빗물을 도입 가능한 도입구(7), 도입된 빗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부(8), 소정 수위를 넘는 과잉의 물을 오버플로우에 의해 배수로(4)에 배수할 수 있는 배수부(9), 및 빗물 배수구(3)의 주위 둘레부에 걸 수 있으면서, 또한 도입구(7)에 빗물을 도입 가능한 플랜지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저수 용기(5)는, 빗물 배수구(3)를 통해 배수로(4) 내에 끼워넣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입구(7)에, 빗물 중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1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저수 용기(5)가 수용 가능한 물은, 빗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빗물 배수구(3)에 유입될 수 있는 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수 기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양수 기구는,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펌프와, 양수 펌프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이 유통될 수 있는 양수관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양수 기구(6)는, 저수부(8)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펌프(12), 건물 보디체(2)의 지붕이나 옥상에 설치되는 저수 탱크(13), 및 양수 펌프(12)와 저수 탱크(13)를 연통하는 양수관(14)을 구비하고 있다.
비가 내려서 빗물 배수구(3)에 유입되어 온 빗물은, 플랜지부(10) 상을 흘러 도입구(7)에 들어가고, 저수부(8)에 저수된다. 저수부(8)에 저수된 빗물은, 양수 펌프(12)에 의해, 양수관(14)을 통하여 저수 탱크(13)까지 퍼 올려져 저수된다. 저수 탱크(13)에 저수된 빗물은, 각종 용도(예를 들면, 식물로의 살수나 화장실의 내리는 물 등)로 이용될 수 있다.
(설치 방법)
이어서, 빗물 집수 장치(1)의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빗물 집수 장치(1)를 건물 보디체(2)에 설치하려면, 먼저, 저수 용기(5)를 배수로(4)의 시단인 빗물 배수구(3)에 끼워넣고, 플랜지부(10)를 빗물 배수구(3)의 주위 둘레부에 건다. 이 때, 저수 용기(5)의 저수부(8)는, 배수로(4) 내에 설치되게 된다.
이어서, 도입구(7)에 필터부(11)를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필터부(11)에 설치되어 있는 삽입구(15)로부터, 양수 펌프(12)[양수 펌프(12)에는, 저수 탱크(13)와 연통되는 양수관(14)이 장착되어 있음]를 삽입하여, 저수 용기(5)의 바닥부에 배치한다.
[다른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저수 용기(5)에는, 그 내부에 내통부(內筒部)(5a)가 형성되어 있다. 저수부(8)는, 내통부(5a)와 외통부(5b)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배수부(9)가 내통부(5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수 용기(5)의 소정 수위를 초과하는 과잉의 물은, 배수부(9)로부터 오버플로우하여, 내통부(5a) 내를 통하여 배수로(4)로 배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 있어서는, 저수 용기 내에 각종 센서(예를 들면, 수위 센서 등)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에서의 저수 용기는, 벨로우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수 용기는, 배수구 내의 배수로가 곡관(曲管)인 경우에 설치하기 쉬워진다.
[실시예]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의 실시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에 의해 모여진 물은, 예를 들면 식물 재배에 이용할 수 있다(즉, 관수용수로서 이용 가능).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와, 적절한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함으로써, 관수 작업이 간편화될 수 있고, 식물을 양호한 효율로 재배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 집수 장치(1)와, 식물 재배 장치를 조합시켜 구축한 식물 재배 시스템(18)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식물 재배 시스템(18)은, 빗물 집수 장치(1), 식물을 재배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 및 빗물 집수 장치(1)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식물 재배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 기구(17)를 구비하고 있다.
식물 재배 시스템(18)에 있어서는, 빗물 집수 장치의 저수 탱크(13) 내에 저수되어 있는 물이, 급수 기구(17)에 의해, 식물 재배 장치에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히, 이 식물 재배 시스템(18)을 건물의 옥상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 빗물 집수 장치(1)와 식물 재배 장치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빗물 집수 장치(1)의 양수 기구(6)나 급수 기구(17)에 있어서의 작동 에너지의 절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급수 기구(17) 및 식물 재배 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수 기구)
급수 기구(17)는, 저수 탱크(13)에 수용된 물을, 식물 재배 장치에 공급 가능한 급수 펌프(19), 및 급수 펌프(19)와 식물 재배 장치를 연통하는 급수관(20)(호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식물 재배 장치)
식물 재배 장치는,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직사각형 용기 본체(21)를 구비하고, 이 용기 본체(21)는, 식물 P(도 9∼도 11 참조)를 재배하기 위한 식재용 공간(22)을 형성하도록, 바닥벽(23)과 이 바닥벽(23)의 4변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된 4개의 측벽(24)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1)의 식재용 공간(22)은, 도 7을 참조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분벽(25)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벽(26)에 의해 다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구분벽(25)과 3개의 구획벽(26)에 의해, 합계 16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되고, 구분벽(25)에는, 식재용수 W(도 9 및 도 10 참조)를 위한 연통구멍(27)이 설치되고, 또한 좌우의 측벽(24)간에 걸쳐서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4개의 윗벽(28)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가로 자세 A, 즉 식재용 공간(22)이 윗쪽을 향해 개구된 용기 본체(21)의 가로 자세 A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의 바닥벽(23)과 측벽(24)이, 식재용수(빗물 W)를 저수하는 가로 자세 저수부(29)를 형성하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세로 자세 B, 즉 식재용 공간(22)이 가로측 방향으로 개구된 용기 본체(2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21)의 바닥벽(23), 측벽(24), 구획벽(26), 및 윗벽(28)이, 식재용수 W를 저수하는 세로 자세 저수부(30)를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용기 본체(21)의 가로 자세 A에 있어서는, 바닥벽(23), 측벽(24), 구분벽(25), 및 구획벽(26)이, 합계 16개의 단위 가로 자세 저수부(29a)를 형성한다.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위 가로 자세 저수부(29a)는, 연통구멍(27)에 의해 각각 연통된다.
용기 본체(2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는, 바닥벽(23), 측벽(24), 구분벽(25), 구획벽(26), 및 윗벽(28)이, 합계 16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30a)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벽(23), 측벽(24), 구분벽(25), 및 윗벽(28)이, 도 7에 있어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4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30a)를 형성하고, 바닥벽(23), 측벽(24), 구분벽(25), 구획벽(26), 및 윗벽(28)이, 나머지 12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30a)를 형성한다.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30a)는, 연통구멍(27)에 의해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1)의 가로 자세 저수부(29)와 세로 자세 저수부(30)에는, 이들 저수부(29, 30) 내에서의 식재용수 W를 일정량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오버플로우용의 통형체(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통형체(31)의 일단 개구부는 오버플로우용의 배수구(32)에, 타단 개구부는 배수 출구(33)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좌측의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과 우측의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의 합계 8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각각 통형체(31)가 설치되어 있다. 각 통형체(31)의 배수구(32)는, 이 배수구(32)의 배수 시단부가, 도 9에 나타내는 가로 자세 A에 있어서, 용기 본체(21)의 바닥벽(23)으로부터 윗벽(28) 측으로 소정 거리 a 만큼 이격된 위치이면서,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용기 본체(21)의 측벽(24) 또는 구획벽(26)으로부터 단위 식재용 공간(22a) 내에 소정 거리 b 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은, 통형체(31)의 배수구(32)와 배수 출구(33)를 통하여 서로 연통된다. 도 7에 있어서 제일 아래쪽에 위치하는 2개의 통형체(31)는, 그 배수 출구(33)가 측벽(24)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그 측벽(24)과 대향하는 측벽(24)에는 급수구(34)가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거리 a와 b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거리일 수도 있고, 또한, 서로 상이한 거리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 식물 재배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베란다 등과 같은 비교적 수평한 면 상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21)를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가로 자세 A로 하고, 각 단위 식재용 공간(22a) 내에 시판중인 식재 바닥재나 식재용 토양 등을 수납하여 식물 P를 식재한다. 식재용수 W의 급수는, 급수관(20)(호스 등)으로부터의 방수에 의해, 윗쪽을 향해 개구된 식재용 공간(22)으로부터 행하거나,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구(34)에 급수관(20)(호스 등)을 접속하여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급수구(34)로부터 급수하는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이 연통구멍(27)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므로, 먼저, 도 9에 있어서 제일 오른쪽에 위치하는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식재용수 W가 급수된다. 그리고, 식재용수 W가 바닥벽(23)으로부터 대략 a의 레벨에 달하면, 식재용수 W는, 통형체(31)의 배수구(32)로부터 배수 출구(33)를 거쳐, 도 9의 좌측 방향에 인접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유출되고, 최종적으로는, 모든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급수된다.
이 때, 배수구(32)의 시단부가 바닥벽(23)으로부터 윗벽(28) 측으로 소정 거리 a 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식재용수 W는, 각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있어서 바닥벽(23)으로부터 대략 a의 레벨 이하로 유지되고, 따라서, 이 a의 레벨 이하의 부위가, 단위 가로 자세 저수부(29a)가 된다.
또한, 옹벽 등과 같은 비교적 수직인 면을 따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21)를 도 7, 도 8, 및 도 10에 나타내는 세로 자세 B로 하고, 각 단위 식재용 공간(22a) 내에 시판중인 식재 바닥재나 식재용 토양 등을 수납하여 식물 P를 식재한다. 이 경우에도, 식재용수 W의 급수는, 급수관(20)(호스 등)으로부터의 방수에 의해, 옆쪽을 향해 개구된 식재용 공간(22)으로부터 행할 수도 있고, 또한, 급수구(34)에 급수관(20)(호스 등)을 접속하여 행할 수도 있다.
급수구(34)로부터 급수할 경우에는, 먼저, 도 10에 있어서 제일 윗쪽에 위치하는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식재용수 W가 급수되고, 그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30a)에 저수된다. 그리고, 식재용수 W가 구획벽(26)으로부터 대략 b의 레벨에 달하면, 식재용수 W는, 통형체(31)의 배수구(32)로부터 배수 출구(33)를 거쳐, 도 10에 있어서 아래쪽에 인접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유출되고, 최종적으로는, 모든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급수된다. 이 때, 배수구(32)의 시단부가 구획벽(26) 및 측벽(24)로부터 소정 거리 b 만큼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식재용수 W는, 각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있어서 구획벽(26) 및 측벽(24)으로부터 대략 b의 레벨 이하로 유지되고, 따라서, 이 b의 레벨 이하의 부위가, 단위 세로 자세 저수부(30a)가 된다.
이와 같이, 식물 재배 장치는, 용기 본체(21)를 가로 자세 A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세로 자세 B로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자세에 있어서도, 통형체(31)의 배수구(32)가, 오버플로우용의 배수구를 겸용하게 된다.
또한, 이 식물 재배 장치는, 용기 본체(21)를 하나만 사용하여 식재할 수도 있지만, 용기 본체(21)를 탑재하는 베란다나 옹벽의 면적 등에 따라 복수의 용기 본체(21)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 도 11이다.
이 도 11의 예에서는, 6개의 용기 본체(21)가, 식재용 공간(22)이 동일 방향을 향해 병렬로 탑재되고, 그 인접하는 용기 본체(21) 사이에 있어서, 윗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1)의 배수구(32)가, 배수 출구(33)와 급수구(34)를 통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1)의 식재용 공간(22)에 연통 접속되어, 스탠드 F1를 가지는 프레임 F에 유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식물 재배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앞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부품이나 동일한 작용을 가지는 구성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1) 앞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구분벽(25)과 구획벽(26)에 의해, 식재용 공간(22)을 16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한 예를 나타냈으나, 구획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16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식재용 공간(22)을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하는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벽(26)을 사용하지 않고, 구분벽(25)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용기 본체(2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이, 구분벽(25)에 설치된 식재용수용 연통구멍(27)을 통하여 연통하게 된다.
환언하면, 앞의 실시형태에서는, 식재용 공간(22)을 구분벽(25)과 구획벽(26)에 의해, 용기 본체(2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가로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한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실시형태에서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의해 용기 본체(21)를 구성한 것과 동일한 태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용의 통형체(31)와 급수구(34)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식재용 공간(22)을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하는 경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분벽(25)을 사용하지 않고, 구획벽(26)만을 사용하여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즉,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에 의해 용기 본체(21)를 구성한 것과 동일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용기 본체(2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 식재용 공간(22a)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서로 인접하는 단위 식재용 공간(22a)이, 구획벽(26)에 설치된 오버플로우용의 배수구(32)를 통하여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배수구(32)와 급수구(34)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21)의 세로 자세 B에 있어서, 배수구(32)와 급수구(34)가 우측과 좌측에 교대로 배치되고, 이 용기 본체(21)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했을 때, 윗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1)의 배수구(32)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21)의 급수구(34)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앞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용기 본체(21)에 적용할 수도 있다.
(2)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식재용 공간(22)을 단위 식재용 공간(22a)으로 구획하지 않고, 단일 식재용 공간(22)을 가지는 상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바닥벽(23)과 측벽(24)이, 식재용 공간(22)과 가로 자세 저수부(29)를 형성하고, 바닥벽(23), 측벽(24), 및 윗벽(28)이 세로 자세 저수부(30)를 형성하게 된다.
(3) 여기까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실시할 경우에는, 식물 재배 장치를 가능한 한 간단하게 제조하여 염가로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된다. 그래서, 도 14∼도 16을 참조하여, 식물 재배 장치를 간단하게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조예에 대하여 언급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것은, 식물 재배 장치에서의 용기 본체의 하나의 반제품(21A)과 하나의 측벽(24)이다. 용기 본체의 반제품(21A)은, 앞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닥벽(23), 바닥벽(23)의 3변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된 3개의 측벽(24), 3개의 구분벽(25), 및 윗벽(28)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반제품(21A)은, 도 12에 나타낸 식물 재배 장치의 용기 본체(21)에 있어서, 바로 앞쪽에 위치하는 측벽(24)을 용기 본체(21)로부터 분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반제품(21A)에는, 오버플로우용의 통형체(31)와 배수구(32)를 형성하기 위한 기둥형체(31A)와, 급수구(34)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3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제품(21A)과는 별개로 구성된 측벽(24)의 3변에는, 반제품(21A)으로의 걸어맞춤용 단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반제품(21A)에 있어서, 그 윗쪽에 위치하는 상단 에지(36)는, 별개로 구성된 측벽(24)의 단부(35)와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반제품(21A)에 있어서,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측벽(24)의 3변에도, 별개로 구성된 측벽(24)의 단부(35)와 동일한 단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의 부호 "37"은, 돌기(34A)가 끼워지는 요입부(凹入部)이며, 도면 중의 부호 "38"은, 식재용수 W의 통류(通流)를 조장하기 위한 요입홈이다.
이 용기 본체의 반제품(21A)은,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당연한 것으로서, 단순한 형상의 측벽(24)도, 합성 수지에 의해 간단하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하나의 반제품(21A)과 하나의 측벽(24)을 사용하여, 반제품(21A)의 상단 에지(36)에 측벽(24)의 단부(35)를 걸어맞추고, 또한 필요에 따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킨다. 기둥형체(31A)에 관통 구멍, 즉 오버플로우용의 배수구(32)(도 15 참조)를 천설(穿設)한다. 이로써,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식물 재배 장치의 용기 본체(21)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제품(21A)의 상단 에지(36)에 다른 반제품(21A)의 단부(35)를 걸어맞추어서 다수의 반제품(21A)을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제품(21A)의 상단 에지(36)에 측벽(24)의 단부(35)를 걸어맞춤으로써, 임의의 높이의 식물 재배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윗쪽에 위치하는 반제품(21A)의 돌기(34A)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제품(21A)의 요입부(37)에 끼워넣어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형체(31A)에 관통 구멍을 천설하여 오버플로우용의 배수구(3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제품(21A)의 돌기(34A) 중, 예를 들면 도 15에 있어서 바닥벽(23) 또는 윗쪽에 위치하는 측벽(24)에 관통 구멍을 천설하여 급수구(34)를 만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 급수구(34)에 급수용의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 접속 도구(39)를 장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좌측에 위치하는 돌기(34A)에도, 또한,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제품(21A)의 돌기(34A)에도, 각각 관통 구멍을 천설하여 측방에 인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식물 재배 장치로의 급수구(34)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반제품(21A)의 돌기(34A) 중, 예를 들면 도 15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돌기(34A)에 관통 구멍을 천설하여 급수구(34)를 만들어도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수단으로 중첩된 반제품(21A)의 코너부에 앵글재(40)를 배치하면서, 또한 각 반제품(21A)과 앵글재(40)를 적절한 연결구(41)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식물 재배 장치 자체를 견고하게 하고, 가로 방향으로도 병렬로 배치하여 옹벽 등을 따라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7은, 상기 실시예 1과는 상이한 식물 재배 시스템(18)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식물 재배 시스템(18)은, 빗물 집수 장치(1), 식물을 재배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16b), 및 빗물 집수 장치(1)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식물 재배 장치(16b)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 기구(17)를 구비한다.
식물 재배 시스템(18)에 있어서는, 빗물 집수 장치의 저수 탱크(13) 내에 저수되어 있는 물이, 급수 기구(17)에 의해, 식물 재배 장치(16b)에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히, 이 식물 재배 시스템(18)을 건물의 옥상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 빗물 집수 장치(1)와 식물 재배 장치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빗물 집수 장치(1)의 양수 기구(6)나 급수 기구(17)에 있어서의 작동 에너지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급수 기구(17) 및 식물 재배 장치(16b)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급수 기구)
급수 기구(17)는, 저수 탱크(13)에 수용된 물을, 식물 재배 장치(16b)에 공급 가능한 급수 펌프(19), 및 급수 펌프(19)와 식물 재배 장치(16b)를 연통하는 급수관(20)(호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식물 재배 장치)
도 18 및 도 19는, 식물 재배 장치(16b)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도 18은 표면측, 도 19는 배면측). 식물 재배 장치(16b)는, 식물 P에 관수(灌水)하는 물을 저수 가능한 저수 트레이(52), 식물 P를 재배 가능한 재배 바닥재(55)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원형의 받이부(53), 및 저수 트레이(52)의 윗쪽을 덮는 커버부(5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트레이(52)에는, 받이부(53)끼리 사이에 트레이 솟은바닥(raised bottom)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은, 재배 바닥재(55)를 받이부(53)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도 18에 있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식물 재배 장치(16b)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재배 바닥재(55)로서는, 적절한 식재용 흙이 그 안에 넣어져 있으면서, 또한 바닥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이나 플랜터(planter) 등, 또는 식재용 흙 그 자체를 재배 바닥재로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단,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바닥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식물의 뿌리부가, 이 유입수를 흡수할 수 있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식재용 흙은, 식물을 원예 재배할 수 있는 고형 배지(培地)이면 어떤 것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적옥토, 경석토, 부엽토, 이탄(泥炭), 물이끼 등의 천연의 식재용 흙 외에,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펄라이트(perlite), 우레탄 수지나 페놀 수지 등의 각종 발포 수지재, 암면(rock wool), 하이드로볼 등의 인공 식재용 흙이 있다. 또한, 그 형상도 도면에 예시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블록형, 모래형, 입상(粒狀)이나 괴상(塊狀) 등 각종 형상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래형이나 입상 또는 괴상 등의 형상의 배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배지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망형의 봉지(자루) 등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다.
저수 트레이(52)에는,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52)를 서로 연통 접속할 수 있는 접속 노즐(56)(접속부)이 2군데 설치되어 있고, 접속 노즐(56)은 나아가서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서, 유입용 접속 노즐(56a)(유입용 접속부)과 유출용 접속 노즐(56b)(유출용 접속부)로 구별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용 접속 노즐(56a)과, 별도의 저수 트레이(52)의 유출용 접속 노즐(56b)은, 접속 호스(66)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연통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접속 호스(66)를 통하여, 저수 트레이(52)로부터 다른 저수 트레이(52)에 물이 흐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호스(66)를 통하여, 저수 트레이(52)의 유입용 접속 노즐(56a)과, 별도의 저수 트레이(52)의 유출용 접속 노즐(56b)과의 접속을 반복하여 행하면,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개수의 저수 트레이(52)를 연통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서로 연통 접속된 복수의 저수 트레이(52) 모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유입용 접속 노즐(56a)로부터 유입된 물은, 일단 저수 트레이(52) 내의 저수 공간(58)에 저수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58)은, 접속 노즐(56)의 내주면의 제일 아래쪽의 위치로부터 저수 트레이(52)의 바닥면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물을 저수 가능한 최대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저수 공간(58) 가득하게 저류수(59)가 모이면, 오버플로우에 의해 유출용 접속 노즐(56b)로부터 유출한다. 또한, 받이부(53)의 바닥부(53a)에는, 저수 공간(58)에 연통되는 관통구(57)(급수부)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또한, 바닥부(53a)는, 접속 노즐(56)의 내주면의 제일 아래쪽의 위치[즉, 저수 공간(58) 가득하게 물을 저수했을 때 취할 수 있는 저류수(59)의 최대 수위 T]보다 낮은 위치 t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58)에 물을 유입시켜 오버플로우시킬 때, 저류수(59)는, 관통구(57)를 통하여 받이부(53) 내로 솟아나오고, 저류수(59)의 수면의 높이 T로부터 바닥부(53a)의 높이 t를 뺀 수위를 가지는 물이 받이부(53) 내에 항상 공급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58)의 깊이, 또는 받이부(53)의 깊이나 폭을 변경함으로써, 받이부(53)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재배 조건(식물의 종류 등)에 맞는 적절한 양의 물을 항상 공급(관수)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54)의 상면부에 있어서의 유출용 접속 노즐(56b) 측에는, 저수 공간(58)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빼기부(7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공기 빼기부(74)로부터 저수 공간(58)에 모이는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의 체류에 의해 저류수(59)를 오버플로우에 의해 유출용 접속 노즐(56b)에 유출하기 곤란한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저수 트레이(52)를 서로 연통 접속한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저수 트레이(52) 모두에 대한 물의 공급을 정확하게 행하기 쉬워진다.
식물 재배 장치(16b)를 사용할 때는, 예를 들면 녹화할 건물의 부지나 옥상의 넓이에 맞추어 복수의 식물 재배 장치(16b)를 접속·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 식물 재배 장치(16b)군 중에는, 미접속의 유입용 접속 노즐(56a)과 유출용 접속 노즐(56b)이 각각 1개씩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미접속의 유입용 접속 노즐(56a)에 급수관(20)(호스 등)을 접속하여 물을 공급하면, 각 식물 재배 장치(16b)의 저수 트레이(52)가 오버플로우를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모든 식물 재배 장치(16b)에 물이 공급된다. 모든 식물 재배 장치(16b)의 저수 트레이(52)가 물로 가득하게 되면, 미접속의 유출용 접속 노즐(56b)로부터 물이 유출되므로, 이 미접속의 유출용 접속 노즐(56b)을 적절한 배관이나 유수로 등에 연결하여 배수한다. 그리고, 미접속의 유입용 접속 노즐(56a)과 유출용 접속 노즐(56b)을 호스 등으로 연결하고, 펌프를 통하여, 적절히 외부로부터 물을 보급하면서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식물 재배 장치(16b)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공지의 성형 기술(사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21∼도 26은, 식물 재배 장치(16b)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6b)는, 식물에 관수하는 물을 저수 가능한 저수 트레이(52)와, 일체 성형의 식물 재배 용기(64)[식물 P를 재배 가능한 재배 바닥재(55)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받이부(53)와, 저수 트레이(52)의 윗쪽을 덮는 커버부(54)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 성형체]로 구성되어 있다. 저수 트레이(52)와 식물 재배 용기(64)는, 분리 가능하며 또한 끼워넣기 가능하다.
도 22는, 재배 바닥재(55)를 받이부(53)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도 21에 있어서 화살표 B-B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2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6b)[저수 트레이(52)와 식물 재배 용기(64)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의 식물 재배 장치(16b)의 저수 트레이(52)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52)를 서로 연통 접속 가능한 접속 노즐(56)(접속부)가 2군데 설치되어 있다. 접속 노즐(56)은 나아가서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서, 유입용 접속 노즐(56a)(유입용 접속부)과 유출용 접속 노즐(56b)(유출용 접속부)로 구별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저수 트레이(52)에는, 식물 재배 용기(64)를 탑재 가능한 탑재부(60)가 설치되어 있고, 탑재부(60)에는 용수구(湧水口)(60a)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용 접속 노즐(56a)로부터 유입된 물은, 용수구(60a)로부터 솟아나와서 탑재부(60) 상으로 흐르기 시작하여,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저수 공간(58)에 저수된다.
그리고, 저수 공간(58) 가득하게 저류수(59)가 모이면, 오버플로우에 의해 유출용 접속 노즐(56b)로부터 유출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받이부(53)의 바닥부(53a)에는, 저수 공간(58)에 연통되는 관통구(57)(급수부)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또한, 바닥부(53a)는, 접속 노즐(56)의 내주면의 제일 아래쪽의 위치[즉, 저수 공간(58) 가득하게 물을 저수했을 때 취할 수 있는 저류수(59)의 최대 수위 T]보다 낮은 위치 t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저수 트레이(52)의 상면부에 있어서의 유출용 접속 노즐(56b) 측에는, 공기 빼기부(74)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58)에 물을 유입시켜 오버플로우시킬 때, 용수구(60a)로부터 솟아 나와서 탑재부(60) 상에 흐르기 시작한 저류수(59)는, 관통구(57)를 통하여 받이부(53) 내로 솟아 오르고, 저류수(59)의 수면의 높이 T로부터 바닥부(53a)의 높이 t를 뺀 수위를 가지는 물이 받이부(53) 내에 항상 공급된다. 저수 공간(58)의 깊이, 탑재부(60)의 높이, 또는 받이부(53)의 깊이나 폭을 변경함으로써, 받이부(53)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고, 재배 조건(식물의 종류 등)에 맞는 적절한 양의 물을 항상 공급(관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서의 복수의 식물 재배 장치(16b)(저수 트레이(52))의 접속 방법, 사용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식물 재배 용기(64)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의 외방측 부분에 있어서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접어서 이중벽부(75)를 설치하여 중앙측 부분을 솟은바닥으로 함으로써 하부 측을 개방한 오목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중벽부(75)로 둘러싸는 공간에 저수 트레이(52)를 배치시킴으로써, 저수 트레이(52) 전체를 식물 재배 용기(64)에 의해 덮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 트레이(52)에 있어서의 저수 공간(58) 전체를 식물 재배 용기(64)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저수 공간(58) 전체에 있어서 식물 재배 용기(64)에 의한 차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저류수 중의 이끼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식물 재배 용기(64)와 저수 트레이(52)를 끼워맞추기 위하여, 저수 트레이(52)에는 제1 끼워맞춤부(76)가 설치되고, 식물 재배 용기(64)에는 제2 끼워맞춤부(77)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부(76)는, 저수 트레이(52)의 외주부에 있어서 그 상부 측 부분을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끼워맞춤부(77)에 대해서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이중벽부(75)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된 볼록부(77a)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77a)의 윗쪽으로 형성된 오목형부를 제2 끼워맞춤부(77)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끼워맞춤부(76)와 제2 끼워맞춤부(77)를 끼워맞추어서 식물 재배 용기(64)를 저수 트레이(52)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제2 끼워맞춤부(77)에 있어서의 볼록부(77a)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이중벽부(75)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식물 재배 용기(64)에 있어서 강성을 높인 부분에 제2 끼워맞춤부(77)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끼워맞춤부(76)와 제2 끼워맞춤부(77)와의 끼워맞춤이 쉽게 벗겨지기 않으며, 식물 재배 용기(64)를 저수 트레이(52)에 정확하게 장착하기 쉬워진다.
식물 재배 용기(64)는, 그 내부를 중공형으로 성형하고 있으며, 그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통하는 개구부(78)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개구부(78)에는, 개구부(78)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79)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79)를 벗겨내어 개구부(78)로부터 물이나 모래 등을 식물 재배 용기(64)의 내부 공간에 주입하여 커버 부재(79)를 장착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64)를 추(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옥상 등에 설치한 경우에도, 바람 등에 의한 식물 재배 용기(64)의 이동이나 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 용기(64)를 운반할 때는, 커버 부재(79)를 벗겨내어 개구부(78)로부터 주입된 물이나 모래 등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 재배 용기(64)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플로우트부(63)(공기를 집어넣은 공간)를 설치하고, 식물 재배 용기(64)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65)으로 부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식물 재배 용기(64)가 가지는 부력은, 그 받이부(53)에 재배 바닥재(55)를 수용한 상태에서, 받이부(53)의 바닥부(53a)가, 수면(65)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조정되어 있고, 그 부력을 조정함으로써, 받이부(53)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식물 재배 용기(64)는, 받이부(53) 및 플로우트부(63)를 가진 일체 성형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우트부(63)는, 받이부(53)의 바닥부(53a)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65)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식물 재배 용기(64)를 부양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중공형의 식물 재배 용기(64)의 내부 공간에 공기를 충전하여 커버 부재(79)에 의해 개구부(78)를 폐색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64)에 플로우트부(63)를 형성하고 있다.
식물 재배 용기(64)는, 받이부(53)를 구비한 중앙측 부분을 솟은바닥으로 하여 하부 측을 개방한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식물 재배 용기(64)의 용기 본체의 둘레부를 받이부(53)의 바닥부(53a)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받이부(53)의 주위부에 플로우트부(63)를 형성함으로써, 받이부(53)의 바닥부(53a)보다 낮은 위치까지 플로우트부(63)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플로우트부(63)에 의해 얻어지는 부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받이부(53)의 바닥부(53a)가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65)보다 지나치게 낮은 위치가 되어, 식물 P로의 물의 공급량이 과잉으로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식물 재배 장치(16b)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에 띄워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재배 용기(64)에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를 서로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부(61)가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61)는 구멍(61a)을 가진다. 접속할 때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서로의 연결부(61)끼리를 중첩하여, 구멍(61a)의 위치를 맞추고, 중첩된 2개의 구멍(61a)을 관통할 수 있는 적절한 연결 부재(62)(볼트 등)를 내측으로 끼워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61)는, 커버부(54)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식물 재배 용기(64)의 4변 각각에 있어서 그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61)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부에 설치한 연결부(61)와 타측부에 설치한 연결부(61)가 상하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가로 방향(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연결부(61)끼리를 상하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식물 재배 용기(64)끼리를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를 연결할 때는, 가로 방향(수평 방향)의 한쪽(도 23의 윗쪽)에서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연결부(61)보다 윗쪽이 되도록 연결부(61)끼리를 중첩시키고, 또한 가로 방향(수평 방향)의 다른 쪽(도 23의 아래쪽)에서는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연결부(61)보다 아래쪽이 되도록 연결부(61)끼리를 중첩시키고, 식물 재배 용기(64)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상하 방향에서의 각 식물 재배 용기(64)의 위치를 맞추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61)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외측부에 있어서 내측으로 요입한 부분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방향(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를 연결할 때는, 연결부(61)끼리를 중첩시킴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64)의 용기 본체끼리가 접촉하는 상태로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식물 재배 용기(64) 각각에 구비한 플로우트부(63)의 부력을 협동하여 얻을 수 있고, 복수의 식물 재배 용기(64)를 일체적으로 부양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용기(64)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 일측부에 구비하는 연결부(61)의 상면 또는 하면이, 타측부에 구비하는 연결부(61)의 하면 또는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에서의 각 식물 재배 용기(64)의 위치를 맞추면서, 식물 재배 용기(64)의 용기 본체끼리 접촉하는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24∼도 26은, 제2 실시형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형태의 식물 재배 용기(64)에 있어서는, 받이부(53)의 폭을 더욱 크게 하여, 그 바닥부(53a)에 복수(도 24에 있어서는 3군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관통구(5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21에 있어서는, 식물 재배 용기(64)에 있어서, 1개의 받이부(53)에 대하여, 1개의 관통구(5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25는, 도 24에 있어서 화살표 C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2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6b)[저수 트레이(52)와 식물 재배 용기(64)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트레이(52)에는, 트레이 솟은바닥부(52a)가 형성되어 있고, 필요 최소한의 저수 공간(58)을 설치함으로써, 사용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식물 재배 용기(64)의 개구부(78)에는, 개구부(78)를 폐색하는 커버 부재(79)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의 다른 형태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저수 트레이(52)에 제1 끼워맞춤부(76)를 설치하면서, 또한 식물 재배 용기(64)에 제2 끼워맞춤부(77)를 설치하고 있지만,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것과는 설치 위치 및 형상을 변경하고 있다. 즉,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끼워맞춤부(76)는, 저수 트레이(52)의 상면부 중, 수평 방향의 양 단부 및 중앙부를 윗쪽으로 돌출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끼워맞춤부(77)는, 식물 재배 용기(64)의 바닥부 중, 수평 방향의 양단 부분 및 중앙부를 솟은바닥으로 한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형의 제1 끼워맞춤부(76)와 오목형의 제2 끼워맞춤부(77)가 끼워맞추어지도록, 식물 재배 용기(64)를 저수 트레이(52) 상에 탑재함으로써, 식물 재배 용기(64)를 저수 트레이(52)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에 의해 나타낸 식물 재배 용기(64)를 연못이나 강, 호수 등의 수면(65)에 부양시키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플로우트부(63)는, 받이부(53)의 바닥부(53a)가 연못 등의 수면(65)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식물 재배 용기(64)를 부양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식물 재배 용기(64)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수평 방향)에 인접하는 식물 재배 용기(64)와 연결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61)를 설치하고 있다.
도 27은, 도 24∼도 26에 의해 나타낸 식물 재배 장치(16b)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트레이(52)의 용수구(60a)를, 식물 재배 용기(64)를 저수 트레이(5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받이부(53)의 바닥부(53a)에 설치한 관통구(57)와 가로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24 및 도 25에 있어서는, 저수 트레이(52)의 용수구(60a)를, 식물 재배 용기(64)를 저수 트레이(5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받이부(53)의 바닥부(53a)에 설치한 관통구(57)와 가로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수구(60a)와 관통구(57)를 가로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로 함으로써, 식물 P의 뿌리가 관통구(57)를 통과해도 용수구(60a)를 통해 저수 공간(58)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58)에 있어서 식물 P의 뿌리가 저항으로 되어 저류수(59)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의 (A), (B) 및 도 29는, 식물 재배 장치(16b)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 재배 장치(16b)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식물에 관수하는 물을 저수 가능한 저수 트레이(52), 식물을 재배 가능한 재배 바닥재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원형의 받이부(53), 및 저수 트레이(52)의 윗쪽을 덮는 커버부(54)로 구성되어 있다.
저수 트레이(52)에는, 인접하는 저수 트레이(52)를 서로 연통 접속 가능한 접속 노즐(56)(접속부)이 2군데 설치되어 있고, 접속 노즐(56)은 나아가서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서, 유입용 접속 노즐(56a)(유입용 접속부)과 유출용 접속 노즐(56b)(유출용 접속부)로 구별된다.
또한, 저수 트레이(52)에는, 장착부(67)(장착 볼록부(67a) 및 장착 오목부(67b))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 볼록부(67a)는, 벽면(68)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본체 장착 금속부재(69)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67b)는, 동일하게 벽면(68)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보호 커버 장착 금속부재(70)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의 식물 재배 장치(16b)는, 도 2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볼록부(67a)와 장착 오목부(67b)를 각각, 본체 장착 금속부재(69)와 보호 커버 장착 금속부재(70)에 걺으로써, 벽면(68)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장착 금속부재(69)와 장착 볼록부(67a)에는, 볼트가 관통할 수 있는 볼트 구멍(7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볼트 구멍(73)을 맞추어, 본체 장착 금속부재(69)에 장착 볼록부(67a)를 장착하고, 볼트 구멍(73)에 적절한 길이의 볼트를 통과시키고, 본체 장착 금속부재(69)의 반대측으로부터 너트 등을 장착시켜 고정하면, 식물 재배 장치(16b)를 벽면(68)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 장착 금속부재(70)에는, 보호 커버부재(71)(보호 커버부재를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FRP(강화 플라스틱) 등이 있음)가 경첩 연결되어 있고, 상하로 요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커버부재(71)에는, 복수의 개구부(71a)와, 걸림부(71b)가 설치되어 있다.
도 2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6b)에 있어서는, 그 장착부(67)를 본체 장착 금속부재(69)와 보호 커버 장착 금속부재(70)에 걸어둔 후, 식물 재배 장치(16b)를 덮도록 보호 커버부재(71)를 윗쪽으로 들어올려, 보호 커버부재의 걸림부(71b)를 식물 재배 장치(16b)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차(피걸림부(72))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도 2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커버부재(71)에 있어서의 개구부(71a)의 위치와 크기는, 식물 재배 장치(16b)의 받이부(53)를 막지 않도록, 받이부(53)의 위치와 크기에 맞추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9는, 제3 실시형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이 다른 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6b)에 있어서는, 받이부(53)의 폭을 더욱 크게 하여, 그 바닥부(53a)에 복수(도 29에 있어서는 3군데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의 관통구(5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28에 있어서는, 식물 재배 장치(16b)에 있어서, 1개의 받이부(53)에 대하여, 1개의 관통구(57)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식물 재배 장치(16b)의 형상(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또는 식물 재배 장치(16b)의 내부에 배치되는 받이부의 형상이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호스를 통하여 복수의 식물 재배 장치(16b)를 연통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 노즐끼리를 직접 연통 접속하도록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식물 재배 장치(16b)에 설치되는 접속 노즐(접속부)의 설치 위치나 그 개수는,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오버플로우에 의해 적절한 급수·배수가 가능한 구성이라면, 그 설치 위치나 개수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식물 재배 장치(16b)의 형상이 사각형이며, 각 변의 중앙부에 합계 4군데의 접속 노즐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접속 노즐을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2군데만 설치한 식물 재배 장치(16b)에 비해, 그 식물 재배 장치(16b)를 복수개 접속했을 때 형성되는 전체 형상의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물의 부지나 옥상의 넓이 또는 그 형상에 맞추어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장치(16b)를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미접속(미사용)의 접속 노즐에 대하여는, 적당, 적절한 마개를 설치하여 물이 흐르지 않게 해도 된다.
(실시예 3)
도 30은, 빗물 회수 제어부(80), 및 수돗물 공급부(90) 등을 더 구비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18)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시스템(18)은, 빗물 집수 장치(1), 식물을 재배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1), 또는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장치(16b)에 상당함), 및 빗물 집수 장치(1)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식물 재배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 기구(17)(급수관(20))를 구비한다.
도 30 및 도 3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집수 장치(1)에 있어서의 저수 용기(5)의 상부에는, 빗물 회수 제어부(8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설치부(86)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 설치부(86)에는, 빗물 회수 제어부(80)를 탑재 가능한 개구 에지(87)(도 31의 (B)), 저수 용기(5)의 저수부(8)에 빗물을 도입할 수 있는 복수의 도입구(7), 및 전원 코드 등을 통과시킬 수 있는 절흠부(切欠部)(89)가 설치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물 회수 제어부(80)는, 제1 수위 센서(81), 제2 수위 센서(82), 제3 수위 센서(83), 및 제4 수위 센서(84)를 구비하고 있고, 빗물 회수 제어부(80)를 장착 설치부(86)에 장착할 때는, 제1 수위 센서(81), 제2 수위 센서(82), 및 제3 수위 센서(83)를 장착 설치부(86)의 개구부(88)로부터 도입하고, 빗물 회수 제어부(80)의 본체를 개구 에지(87) 상에 설치한다.
빗물 회수 제어부(80)는, 제1 수위 센서(81), 제2 수위 센서(82), 및 제3 수위 센서(83)에 의해, 저수 용기(5)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제4 수위 센서(84)에 의해 저수 탱크(13) 내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
빗물 회수 제어부(80)는, 저수 용기(5) 내의 물의 수위가, 제1 수위 센서(81)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 L1 이상으로 상승하면, 배선(85)을 통해서 양수 펌프(12)에 지령을 발하여 양수 펌프(12)를 작동시켜, 저수 용기(5) 내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저수 탱크(13)에 퍼 올리도록 제어한다. 한편, 수위가, 제2 수위 센서(82)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 L2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하면, 양수 펌프(12)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빗물 회수 제어부(80)는, 제4 수위 센서(84)에 의해 저수 탱크(13) 내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저수 탱크(13)의 물이 만수 상태로 되어, 제4 수위 센서(84)에 의해 저수 탱크(13) 내의 수위가 L3(도 30 참조)가 되었다고 검출되면, 양수 펌프(12)를 신속하게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0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시스템(18)에 있어서의 저수 탱크(13)에는, 수돗물 공급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수돗물 공급부(90)는, 수돗물이 통과하는 수도관(91),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92), 및 수도관(91)에 축 지지 연결되는 암부(9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부(93)에는, 수도관(91)에 설치된 밸브 장착 구멍(94)을 통하여 수도관(91)을 폐색 가능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밸브(95), 및 부력을 가지는 플로우트부(96)가 장착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돗물 공급부(90)에 있어서는, 수돗물을 공급 가능한 수도관(91)이, 저수 탱크(13)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도관 장착 구멍(97)을 통하여 저수 탱크(13) 내에 삽입되어 있고, 수도꼭지(92)로부터 수돗물이 저수 탱크(13) 내에 보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암부(93)에 장착되어 있는 플로우트부(96)는, 저수 탱크(13) 내의 물에 떠 있으며, 저수 탱크(13) 내의 수위에 맞추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95)는, 암부(93)에 의해, 이 플로우트부(96)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수도관(91)을 개방 또는 폐색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3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탱크(13) 내의 수위가 L4 미만이 되었을 경우, 플로우트부(96)는 L4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암부(93)를 통하여 밸브(95)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수도관(91)이 개방되고, 수돗물이 수도꼭지(92)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도 3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돗물이나 빗물이 보급되어 저수 탱크(13) 내의 수위가 L4 이상이 되었을 경우, 플로우트부(96)가 그 부력에 의해 윗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암부(93)를 통하여 밸브(95)가 윗쪽으로 이동하므로, 수도관(91)이 폐색되고, 수돗물의 보급이 멈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시스템(18)에 있어서는, 빗물 회수 제어부(80), 및 수돗물 공급부(90)를 구비함으로써, 저수 탱크(13) 내에 저수되는 물의 양은, 항상 그 수위가, L3∼L4의 사이로 유지된다.
또한,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수 탱크(13)를, 식물 재배 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저수 탱크(13)에 있어서의 급수관(20)의 장착 위치를 수위 L4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급수관(20)에 설치한 급수 밸브(98)를 개방하면 위치 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저수 탱크(13) 내의 물이 식물 재배 장치(16b, 21)에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의 식물 재배 시스템(18)에 있어서는, 빗물과 수돗물을 병용함으로써, 식물로의 관수 작업을 완전 자동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빗물 회수 제어부(80)나 양수 펌프(12)에 필요하게 되는 전력에 대해서는, 건물 보디체의 옥상 등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기기로부터 공급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집수 장치는, 예를 들면, 회수한 물을 식물 재배에 이용하기 위해, 식물 재배 장치와 조합하여 식물 재배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 빗물을 도입 가능한 도입구, 건물 보디체에 형성되는 배수로의 시단인 빗물 배수구의 주위 둘레부에 걸어서 빗물을 상기 도입구에 도입할 수 있는 플랜지부, 및 소정 수위를 초과하는 과잉의 물을 상기 배수로에 배수할 수 있는 배수부를 가지면서, 또한 상기 빗물 배수구를 통하여 상기 배수로 내에 끼워넣기 가능한 저수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용기 밖으로 퍼 올릴 수 있는 양수(揚水) 기구를 포함하는,
빗물 집수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 기구가,
상기 저수 용기 내에 수용된 물을 퍼 올릴 수 있는 양수 펌프; 및
상기 양수 펌프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이 유통할 수 있는 양수관
을 포함하는, 빗물 집수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에, 상기 빗물 중에 포함되는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가 설치되어 있는, 빗물 집수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빗물 집수 장치;
식물을 재배 가능한 식물 재배 장치; 및
상기 빗물 집수 장치에 의해 퍼 올려진 물을 상기 식물 재배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 기구
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289929 | 2007-11-07 | ||
JP2007289929A JP4886659B2 (ja) | 2007-11-07 | 2007-11-07 | 雨水集水装置及びその雨水集水装置を備える植物栽培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5960A true KR20100085960A (ko) | 2010-07-29 |
KR101635837B1 KR101635837B1 (ko) | 2016-07-04 |
Family
ID=4062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9897A KR101635837B1 (ko) | 2007-11-07 | 2008-10-30 | 빗물 집수 장치 및 이 빗물 집수 장치를 구비한 식물 재배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689819B2 (ko) |
EP (1) | EP2208830A4 (ko) |
JP (1) | JP4886659B2 (ko) |
KR (1) | KR101635837B1 (ko) |
CN (1) | CN101691767B (ko) |
WO (1) | WO200906078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37580A1 (en) * | 2009-07-09 | 2012-06-07 | Dekker Chrysanten B.V. | System, watering device and method for developing roots on plant cuttings |
CN102071719A (zh) * | 2010-11-22 | 2011-05-25 | 赵铭心 | 一种雨水循环利用系统 |
CN102182228A (zh) * | 2011-03-31 | 2011-09-14 | 杨天人 | 建筑立面景观绿化的生态系统构造 |
CN102778902B (zh) * | 2011-05-11 | 2015-04-22 | 山东建筑大学 | 双稳态自动注水控制机构 |
CN102359141A (zh) * | 2011-07-28 | 2012-02-22 | 城市建设研究院 | 建筑物屋顶雨水收集及利用系统及方法 |
US20140231328A1 (en) * | 2011-09-28 | 2014-08-21 | Denis Sheehy | Rainwate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device |
CN105143567B (zh) * | 2013-04-02 | 2018-01-30 | 湖北慧盾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 多重过滤自动排灌水管及种植装置 |
WO2014167556A1 (en) | 2013-04-10 | 2014-10-16 | Sheehy Denis | A rainwater collection tank and a rainwater collection system |
CN103477946A (zh) * | 2013-09-30 | 2014-01-01 |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 风光互补供电提水泵从雨水收集池提水浇灌树木的装置 |
CN104542042B (zh) * | 2013-10-11 | 2017-01-04 | 辽宁山水城市园林景观有限公司 | 园林景观组合式立体绿化智能系统 |
KR101572372B1 (ko) * | 2014-05-15 | 2015-11-26 | 이경자 |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
US9366070B2 (en) * | 2014-05-19 | 2016-06-14 |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 Active water management for fenestration assembly |
US10206343B2 (en) * | 2015-10-27 | 2019-02-19 | Ewersmith Enterprises, Llc | Nutrient delivery system |
US11286671B2 (en) | 2017-09-18 | 2022-03-29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Mobile fabric water tower system |
CN108477939A (zh) * | 2018-03-22 | 2018-09-04 | 河南城市园丁园艺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智能型画框 |
CN109339500B (zh) * | 2018-11-16 | 2024-07-12 | 河南省海绵城市建设有限公司 | 聚氨酯绿岛公厕 |
CN109932500B (zh) * | 2019-04-12 | 2023-12-29 |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 一种相邻区域内多级地下水位控制的调控系统及方法 |
US11359378B2 (en) | 2020-03-02 | 2022-06-14 | Tri-Step Gutter Covers, Inc. |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liquid drainage |
US11623257B2 (en) | 2020-05-29 | 2023-04-11 | Vrm International Pty Ltd | Method for large scal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
US11968938B2 (en) | 2020-05-29 | 2024-04-30 | Vrm International Pty Ltd | Method and system for intensive biological hydrosynthesis,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and/or topsoil restoration |
US11865596B2 (en) | 2020-05-29 | 2024-01-09 | VRM International Pty Ltd. | Method for restoring acidic or sodic alkali soils in a contaminated site |
US11608617B2 (en) | 2020-12-31 | 2023-03-21 | Casimir Pacior | Rainwater collection assembly |
GB202100686D0 (en) * | 2021-01-19 | 2021-03-03 | Clostio James |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
CN113016569B (zh) * | 2021-01-30 | 2022-09-13 | 山西路桥建设集团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 屋顶绿化灌溉装置 |
CN113107143B (zh) * | 2021-03-27 | 2022-06-24 | 银广厦集团有限公司 | 一种绿色屋顶节水系统 |
CN113309176B (zh) * | 2021-05-14 | 2021-11-30 | 广东文华建设发展有限公司 | 一种高层建筑消防用雨水收纳系统 |
CN113502987B (zh) * | 2021-07-03 | 2022-06-21 | 安徽华盛国际建筑设计工程咨询有限公司 | 一种房屋建筑排水系统 |
US12059673B2 (en) | 2021-09-13 | 2024-08-13 | Vrm International Pty Ltd | Method for converting an organic material into a catalyst for biological hydrosynthesis |
FR3128476B1 (fr) * | 2021-10-21 | 2023-10-27 | Cactile | Élément de toiture, toiture comprenant un tel élément de toiture et procédé d’installation d’une telle toiture |
CN114412086B (zh) * | 2022-02-18 | 2023-08-25 | 重庆望辰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屋面雨水存储利用装置 |
CN114457870A (zh) * | 2022-03-25 | 2022-05-10 |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全密封智能防排水回用系统施工方法 |
CN115142619B (zh) * | 2022-07-12 | 2023-12-22 | 广东鲁匠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雨水回收再利用的绿色节能建筑 |
CN115119654A (zh) * | 2022-08-15 | 2022-09-30 | 上海同晟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装配式雨水花箱及其组装方法 |
US11821180B1 (en) * | 2023-03-06 | 2023-11-21 | King Faisal University | Integrated system for collecting rainwater for irrigation and watering plants |
CN117188599B (zh) * | 2023-10-23 | 2024-08-16 | 广东弘海实业发展有限公司 | 一种绿色建筑系统 |
KR102711401B1 (ko) * | 2024-01-31 | 2024-09-27 | 한경국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집수 기능을 활용한 화재방지 옹벽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8733A (en) | 1979-09-07 | 1981-04-14 | Hitachi Ltd | Preparation of fluorescent screen for color picture tube |
JP2000064526A (ja) * | 1998-08-21 | 2000-02-29 | Kaneso Co Ltd | ルーフドレインにおける土砂回収装置 |
JP5526004B2 (ja) * | 2010-09-28 | 2014-06-18 | 現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48840A (en) | 1977-05-31 | 1978-12-2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Rainwater recovering device |
DE3723900A1 (de) * | 1987-07-18 | 1989-01-26 | Hoffmann Geb Pyrags Margarethe | Regenwasserauffangvorrichtung |
US4934404A (en) * | 1989-08-28 | 1990-06-19 | Destefano Gerard | Water management system |
JPH05256004A (ja) * | 1992-03-10 | 1993-10-05 | Takenaka Komuten Co Ltd | 屋外屋根の排水構造 |
FR2842843B1 (fr) * | 2002-07-24 | 2005-04-22 | Andre Gabriel Pierre Escallier | Recuperateur d'eau pluviale |
CA2466886C (fr) * | 2004-05-19 | 2011-06-14 | Yves Dussault | Recuperateur d'eau pluviale |
-
2007
- 2007-11-07 JP JP2007289929A patent/JP488665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10-30 EP EP08846884.8A patent/EP220883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8-10-30 WO PCT/JP2008/069772 patent/WO200906078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0-30 US US12/741,521 patent/US868981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0-30 KR KR1020107009897A patent/KR1016358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11-04 CN CN2008101758251A patent/CN10169176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38733A (en) | 1979-09-07 | 1981-04-14 | Hitachi Ltd | Preparation of fluorescent screen for color picture tube |
JP2000064526A (ja) * | 1998-08-21 | 2000-02-29 | Kaneso Co Ltd | ルーフドレインにおける土砂回収装置 |
JP5526004B2 (ja) * | 2010-09-28 | 2014-06-18 | 現代自動車株式会社 | 自動車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60784A1 (ja) | 2009-05-14 |
CN101691767B (zh) | 2011-10-26 |
KR101635837B1 (ko) | 2016-07-04 |
US8689819B2 (en) | 2014-04-08 |
JP2009114760A (ja) | 2009-05-28 |
CN101691767A (zh) | 2010-04-07 |
US20100307057A1 (en) | 2010-12-09 |
JP4886659B2 (ja) | 2012-02-29 |
EP2208830A4 (en) | 2016-12-14 |
EP2208830A1 (en) | 2010-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85960A (ko) | 빗물 집수 장치 및 이 빗물 집수 장치를 구비한 식물 재배 시스템 | |
KR101342475B1 (ko) |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 |
CN104603363A (zh) | 种植面结构以及用于形成这种种植面结构的模块和方法 | |
KR101234615B1 (ko) | 벽면 조경용 플랜터 | |
CN208905310U (zh) | 一种活动房装配式绿化装置 | |
KR102039379B1 (ko) |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 |
WO2010142000A1 (en) | Vegetation support system | |
KR101019776B1 (ko) |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 |
KR20100098492A (ko) |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 |
CN105557361A (zh) | 一种植物墙的水回收系统 | |
KR20090056752A (ko) | 안정된 급·배수구조가 마련된 적층식 화분 | |
KR101460852B1 (ko) |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 |
KR100504938B1 (ko) | 양액 재활용 시스템 및 양액재배용기의 구조 | |
CN201188786Y (zh) | 有蓄水装置的种植盆 | |
KR20070093504A (ko) |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부재 | |
JP5842416B2 (ja) | 植栽容器 | |
KR100912228B1 (ko) | 다단으로 구성된 꽃탑의 급수시스템 | |
JP4645169B2 (ja) | 緑化基盤システム、スペーサ部材、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の施工方法 | |
JP6425695B2 (ja) |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 |
CN221710591U (zh) | 种植盆和景观建筑 | |
JP4977306B2 (ja) | 植物栽培容器への自動給水装置及び自動給水システム | |
KR200329325Y1 (ko) | 양액 재활용 시스템 | |
JP6426826B2 (ja) |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 |
CN105493931A (zh) | 一种植物墙的防渗水系统 | |
KR101642741B1 (ko) | 식생 방음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