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489B1 -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 Google Patents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489B1
KR101428489B1 KR1020140021984A KR20140021984A KR101428489B1 KR 101428489 B1 KR101428489 B1 KR 101428489B1 KR 1020140021984 A KR1020140021984 A KR 1020140021984A KR 20140021984 A KR20140021984 A KR 20140021984A KR 101428489 B1 KR101428489 B1 KR 10142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water tank
water
storage
s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석
김옥신
윤성민
안준황
정강진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filed Critical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2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의 물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치패 저장부를 따로 구비하여 다슬기 모패와 치패를 구분하여 순치시키는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수조와, 다수의 구획으로 구성되고, 각 구획마다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다슬기의 모패가 투입되어 순치되며, 바닥에 상기 다슬기 모패의 크기보다 작게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수면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상기 수조의 수면에 상기 모패 저장부가 부유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체와, 상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패 저장부의 홀을 통해 낙하되는 치패가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Apparatus for inducing childbirth of marsh snail and method for inducing childbirth of marsh snai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의 물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치패 저장부를 따로 구비하여 다슬기 모패와 치패를 구분하여 순치시키는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슬기는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다슬기과(Pleuroceridae)에 속하며, 자웅이체이고, 난생 또는 난태생을 한다.
다슬기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 속 9 종이 전국에 걸쳐 강, 호수, 관개수로, 새천 등 수류가 빠르고 수심이 얕은 계류에서 서식한다.
다슬기는 식용으로 기호도가 높고 유용 수산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종이다.
패류의 종묘생산을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특1995-052050(전복종묘의 양식방법)에서는, 전복 모패를 채취하고 자극을 가하여 산란을 유도한 다음, 수정시킨 유생을 양식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 10-1999-0002616(개불 종묘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펄 개선)에서는, 개불의 알과 정자의 비율, 수온, 염분, pH의 적정범위를 이용하여, 부유 유생 종묘를 생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해당 종에는 적용이 가능하다고 하겠으나, 생물의 특성상 종 특이성으로 인해 다른 종에 대해서는 항상 좋은 효과를 거두는 것은 아니며, 다슬기의 출산유도와 종묘생산에 관한 자료는 거의 없다.
그리고, 이에 따른 다슬기 출산 유도 장치 또한 거의 전무 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443530호가 있다.
본 발명은 수조의 물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치패 저장부를 따로 구비하여 다슬기 모패와 치패를 구분하여 순치시키는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수조와, 다수의 구획으로 구성되고, 각 구획마다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다슬기의 모패가 투입되어 순치되며, 바닥에 상기 다슬기 모패의 크기보다 작게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수면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상기 수조의 수면에 상기 모패 저장부가 부유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체와, 상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패 저장부의 홀을 통해 낙하되는 치패가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로 이루어지는 수직판을 통해 다수 구획으로 구분되며, 외곽에 상기 모패 저장부 측으로 유출 방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모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와이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패 저장부와 상기 수조 간에 설치되어 상기 모패 저장부를 수조의 수면에 부유시킬 수 있다.
상기 치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를 이용한 다슬기 출산 유도방법은, 다슬기 모패가 투입되어 순치되는 모패 저장부와, 치패가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를 수조에 설치하고, 설치된 상기 모패 저장부와 치패 저장부에 규조류를 배양하고, 조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다슬기 모패의 출산을 자극시키기 위하여 공기 중에 일정시간 노출시키고, 수류를 통해 일정 시간 자극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패 저장부에 출산 자극이 완료된 상기 다슬기 모패를 모패 저장부에 투입하여 순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모패 저장부에 투입되어 순치되는 다슬기 모패가 출산하여 상기 모패 저장부의 바닥을 통해 낙하되는 상기 다슬기 치패를 치패 저장부를 통해 저장하여 순치시키고, 상기 모패 저장부를 상기 수조에서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슬기 모패를 모패 저장부에 투입하여 순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모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로 이루어지는 수직판을 통해 다수 구획으로 구분되며, 바닥면에 상기 다슬기 모패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외곽에 상기 모패 저장부 측으로 유출 방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모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패 저장부를 상기 수조에서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치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조의 물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치패 저장부를 따로 구비하여 다슬기 모패와 치패를 구분하여 순치시켜 모패와 치패가 따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치패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를 이용한 다슬기 출산 유도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바닥에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는 수조(10)와, 수조(10)의 수면에 부유하며, 다슬기 모패가 투입 순치되는 모패 저장부(20)와, 모패 저장부(20)가 수조(10)의 수면에 부유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체(40)와, 모패 저장부(20)의 하측에 설치되어 모패가 출산한 치패가 낙하되어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10)는 모패 저장부(20)와 치패 저장부(3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모패 저장부(20)와 치패 저장부(30)의 높이와 모패 저장부(20)와 치패 저장부(30)가 이격되는 거리를 포함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수조(10)의 외벽면에는 고정체(40)가 결합되어 수조(10)에 주입되는 물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되는 모패 저장부(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체(40)는 와이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수조(10)와 모패 저장부(20) 간에 설치되어 모패 저장부(20)가 수면에 부유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패 저장부(20)는 수조(10)에 저장되는 물의 수면에 부유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높이의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수직판(21)을 통해 다수 구획으로 구분되며, 바닥에 다수의 홀(22)이 형성된다.
상기 홀(22)은 다슬기 모패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다슬기 모패가 통과해 낙하되지 않도록 하며, 다수가 형성되어 다량 투입되는 다슬기 모패가 출산하는 치패가 빠른 시간에 모패 저장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치패 저장부(30)로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패 저장부(20)는 다슬기 모패가 외부로 탈출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외측 벽 상측면을 따라 모패 저장부(20) 측으로 유출 방지판(23)이 형성된다.
상기 모패 저장부(20)에 다슬기의 모패가 투입되어 순치되어 출산을 시작하면, 모패 저장부(20)의 바닥에 형성된 홀(22)을 통해 출산된 치패가 낙하되어 치패 저장부(30)로 저장된다.
상기 치패가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3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패 저장부(20)와 대응되도록 구획이 구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치패 저장부(30)는 수조(10)의 물 속에 잠수되어 설치되며, 모패 저장부(20)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렇게 상기 치패 저장부(30)가 모패 저장부(20)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이유는 치패가 모패 저장부(20)의 하부에 형성된 홀(22)을 통해 모패 저장부(2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상기 모패 저장부(20)와 치패 저장부(30)가 따로 형성되는 이유는 모패와 치패가 같은 공간에서 순치되면 먹이를 모패가 대다수 섭취하므로 치패의 성장이 불균형 해지며, 먹이 부족으로 치패가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슬기 모패의 출산 촉진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조(10)의 바닥에 치패 저장부(30)를 설치하고, 수조(10)의 수면에 부유되도록 모패 저장부(20)를 설치한뒤 모패 저장부(20)와 치패 저장부(30)에 다슬기의 먹이인 규조류 등을 번식시킨다(S10).
이때, 상기 모패 저장부(20)는 수조(10)의 수면에 절반 정도 잠기도록 부유시켜 물이 홀(22)을 통해 유입되어 모패 저장부(20)의 절반을 채우도록 한다.
상기 모패 저장부(20)와 치패 저장부(30)에 다슬기의 먹이를 번식시킨뒤 다슬기 모패가 활동할 수 있도록 조도를 조절하여 암전상태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도의 조절은 외부의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광막을 외부에 설치한다(S20).
이렇게 환경이 조성된 모패 저장부(20)에 출산 자극이 완료된 다슬기 모패를 투입하여 순치시킨다.
이때, 상기 모패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순치되는 다슬기 모패는 출산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출산 자극을 진행하는데 이러한 출산 자극은 다슬기 모패를 공기 중에 일정 시간 노출시킨뒤 물을 뿌려 다슬기의 출산을 자극시키게 된다.
상기 다슬기 모패를 공기 중에 노출시키는 시간은 30분 ~ 70분 정도이며, 다슬기 모패에 뿌리는 물은 2 ~ 10 bar의 압력으로 분사장치에서 분사되어 다슬기 모패에 뿌려지게 된다.
이때 물을 다슬기 모패에 분사하는 시간은 1 ~ 15분 동안 분사되어 다슬기 모패에 스트레스를 주어 출산을 유도하게 된다(S30).
이렇게 출산 자극이 완료된 다슬기 모패는 모패 저장부(20)에 투입 순치되어 출산을 하게 되며, 이때 출산되는 치패는 모패 저장부(20)의 바닥에 형성된 홀(22)을 통해 치패 저장부(30)로 낙하되어 저장 및 순치된다.
상기 다슬기 모패가 출산을 완료하여 치패가 치패 저장부(30)에 저장디어 순치되면, 모패가 순치되는 모패 저장부(20)를 수조(10)에서 분리하여 모패와 치패를 따로 생장시키게 된다(S4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조의 물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와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치패 저장부를 따로 구비하여 다슬기 모패와 치패를 구분하여 순치시켜 모패와 치패가 따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하여 치패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수조
20 : 모패 저장부 21 : 수직판
22 : 홀 23 : 유출 방지판
30 : 치패 저장부 40 : 고정체

Claims (7)

  1. 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수조;
    다수의 구획으로 구성되고, 각 구획마다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다슬기의 모패가 투입되어 순치되며, 바닥에 상기 다슬기 모패의 크기보다 작게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수면에 부유되는 모패 저장부;
    상기 수조의 수면에 상기 모패 저장부가 부유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체; 및
    상기 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패 저장부의 홀을 통해 낙하되는 치패가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로 이루어지는 수직판을 통해 다수 구획으로 구분되며, 상측 외곽에 상기 모패 저장부 측으로 유출 방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모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치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와이어 또는 지지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패 저장부와 상기 수조 간에 설치되어 상기 모패 저장부를 수조의 수면에 부유시키는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
  4. 삭제
  5. 청구항 1로 이루어진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를 이용한
    다슬기 모패가 투입되어 순치되는 모패 저장부와, 치패가 저장되는 치패 저장부를 수조에 설치하고, 설치된 상기 모패 저장부와 치패 저장부에 규조류를 배양하고, 조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다슬기 모패의 출산을 자극시키기 위하여 공기 중에 일정시간 노출시키고, 수류를 통해 일정 시간 자극시키는 단계;
    상기 모패 저장부에 출산 자극이 완료된 상기 다슬기 모패를 모패 저장부에 투입하여 순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패 저장부에 투입되어 순치되는 다슬기 모패가 출산하여 상기 모패 저장부의 바닥을 통해 낙하되는 상기 다슬기 치패를 치패 저장부를 통해 저장하여 순치시키고, 상기 모패 저장부를 상기 수조에서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를 이용한 다슬기 출산 유도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슬기 모패를 모패 저장부에 투입하여 순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모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수로 이루어지는 수직판을 통해 다수 구획으로 구분되며, 바닥면에 상기 다슬기 모패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측 외곽에 상기 모패 저장부 측으로 유출 방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다슬기 모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를 이용한 다슬기 출산 유도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패 저장부를 상기 수조에서 분리시켜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치패 저장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패 저장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다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다슬기의 출산유도장치를 이용한 다슬기 출산 유도방법.
KR1020140021984A 2014-02-25 2014-02-25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KR10142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984A KR101428489B1 (ko) 2014-02-25 2014-02-25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984A KR101428489B1 (ko) 2014-02-25 2014-02-25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489B1 true KR101428489B1 (ko) 2014-08-13

Family

ID=5174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984A KR101428489B1 (ko) 2014-02-25 2014-02-25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7685A (zh) * 2014-08-18 2014-12-31 福建省水产研究所 一种不同规格东风螺稚、幼螺筛选分选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860A (ja) * 1999-10-07 2001-04-17 Fuyo Kaiyo Kaihatsu Kk 肉食性巻き貝の養殖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95027A (ko) * 2002-01-03 2002-12-20 방인철 다슬기의 출산유도 및 종묘생산 방법
KR20100010730U (ko) * 2009-04-23 2010-11-02 심윤경 자석을 이용한 부착식 부화통
JP2011115081A (ja) * 2009-12-02 2011-06-16 Kotobuki Kogei Kk 魚卵及び稚魚の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3860A (ja) * 1999-10-07 2001-04-17 Fuyo Kaiyo Kaihatsu Kk 肉食性巻き貝の養殖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95027A (ko) * 2002-01-03 2002-12-20 방인철 다슬기의 출산유도 및 종묘생산 방법
KR20100010730U (ko) * 2009-04-23 2010-11-02 심윤경 자석을 이용한 부착식 부화통
JP2011115081A (ja) * 2009-12-02 2011-06-16 Kotobuki Kogei Kk 魚卵及び稚魚の保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7685A (zh) * 2014-08-18 2014-12-31 福建省水产研究所 一种不同规格东风螺稚、幼螺筛选分选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469B1 (ko) 부착 산란형 어류용 부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728224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JP2015177787A (ja) 被養殖生物の養殖方法およびその養殖施設
KR101947328B1 (ko) 양식장용 어류의 분리 부성란 보관장치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WO199301265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ultivating marine organisms
CN204132184U (zh) 一种鱼缸
KR101475414B1 (ko)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KR20200084309A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KR101549211B1 (ko)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KR101428489B1 (ko) 다슬기의 출산 유도장치와 이를 이용한 다슬기의 출산 유도방법
Fui et al. Flow field control via aeration adjustment for the enhancement of larval survival of the kelp grouper Epinephelus bruneus (Perciformes: Serranidae)
CN207443996U (zh) 一种鳜鱼苗种驯食装置
JP6216725B2 (ja) 浮上槽及び仔稚魚管理方法
KR20190023584A (ko)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KR101603715B1 (ko) 어류 생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긴꼬리투구새우의 생육 방법
KR101270650B1 (ko) 패류 빌딩양식을 위한 먹이생물 공급장치
KR101010473B1 (ko)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JP7170253B2 (ja) 貝類の養殖装置
CN211268158U (zh) 一种多层人工鱼巢
JP2011200137A (ja) プランター付水槽装置
CN103238545A (zh) 一种金乌贼受精卵孵化装置及其孵化方法
CN107801668A (zh) 一种能够调节深度的青蟹养殖笼
CN107155989A (zh) 水产养殖装置
CN113331123A (zh) 一种石首鱼科育苗专用充气组件装置、气石及设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