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584A -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 Google Patents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584A
KR20190023584A KR1020170109549A KR20170109549A KR20190023584A KR 20190023584 A KR20190023584 A KR 20190023584A KR 1020170109549 A KR1020170109549 A KR 1020170109549A KR 20170109549 A KR20170109549 A KR 20170109549A KR 20190023584 A KR20190023584 A KR 20190023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cubation
tank
water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최혜승
김봉래
이정호
이영식
김형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to KR102017010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584A/ko
Publication of KR2019002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자루아과 어류의 부화율을 높이고 폐사량을 줄임과 동시에 부화기간 동안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도록 제1물탱크와 제2물탱크 2개를 연결하여 포기하고 제1물탱크에 외부여과기를 부착하여 깨끗한 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는 연결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1물탱크 및 제2물탱크와, 제1물탱크에 연결되고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제1물탱크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물에 대한 여과를 행하는 외부여과기와, 상자형상의 부화틀과, 부화틀에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부화조와, 제2물탱크의 물을 복수의 부화조쪽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중간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주급수관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부화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분기급수관과, 분기급수관에 설치되고 각 부화조의 상면에 물이 공급되도록 출구가 위치하고 미세조절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급수노즐과, 부화틀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Incubator for Fishes of Acheilognathinae}
본 발명은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납자루아과 어류의 부화율을 높이고 폐사량을 줄임과 동시에 부화기간 동안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한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자루아과 어류들의 가장 큰 특징은 암컷이 산란관을 조개에 꽂아 산란하는 특이한 생식습성을 가진다.
그런데, 조개는 호흡과 먹이 활동을 위해 끊임없이 입수공을 통해 물을 빨아들이고 들어온 물을 필터링한 다음 다시 깨끗한 물을 다시 출수공을 통하여 내보내는 행동을 무한 반복한다.
납자루아과 어류는 조개의 출수공에 산란을 하여 조개의 아가미 속에 알이 장착되도록 하여 대략 20~30일 동안 머무르다 치어로 완성되면 조개 몸 밖으로 나오게 된다. 즉, 납자루아과 어류는 조개가 없이는 어떠한 번식도 할 수 없는 종이다.
납자루아과 어류를 번식시키기 위해서는 조개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며, 항상 산소가 풍부하게 녹아있는 물을 공급하여 부화와 치어의 사육이 행해지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납자루아과 어류의 수정란을 페트리 접시나 높이가 낮은 용기에 수용한 다음, 대략 30일 동안 하루 1~2회의 물갈이를 행하면서 치어를 생산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는, 실험적인 소규모 생산만 가능할 뿐이며, 대량 생산이나 계획적인 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수정란이 들어 있는 수조에 오염된 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물을 교환하기 위해서 한 사람이 전담하여 하루 2~3시간 정도의 시간을 들여야만 교환하여야 하며, 물갈이 시에 발생하는 충격과 흔들림으로 기형 및 폐사 등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72110호, 제10-2009-009187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2783호, 제10-1666469호 등에는 여러 형태로 구성되어져서 다양한 어류들을 부화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 어류의 부화장치 및 방법으로는 납자루아과 어류를 부화시키고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에 부족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납자루아과 어류의 부화율을 높이고 폐사량을 줄임과 동시에 부화기간 동안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도록 제1물탱크와 제2물탱크 2개를 연결하여 포기하고 제1물탱크에 외부여과기를 부착하여 깨끗한 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부화수조에 적정량의 물이 수정란과 부화 자어나 치어의 성장 시기에 맞추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는 연결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1물탱크 및 제2물탱크와, 상기 제1물탱크에 연결되고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제1물탱크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물에 대한 여과를 행하는 외부여과기와, 상자형상의 부화틀과, 상기 부화틀에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부화조와, 상기 제2물탱크의 물을 상기 복수의 부화조쪽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중간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주급수관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부화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분기급수관과, 상기 분기급수관에 설치되고 각 부화조의 상면에 물이 공급되도록 출구가 위치하고 미세조절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급수노즐과, 상기 부화틀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부화조의 상단에는 자어나 치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과망이 설치되는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화틀에는 저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부화조가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적재되는 받침판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물탱크와 제2물탱크에는 물 속의 산소포화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포를 형성하는 에어블로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의하면, 에어블로워와 외부여과기를 설치하여 제1물탱크와 제2물탱크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납자루아과 어류의 치어의 대량 생산 및 계획 생산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의하면, 주급수관의 중간밸브와 급수노즐의 미세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정하여 물갈이를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갈이에 이용되는 인력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의하면, 부화조를 움직이지 않고 물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갈이를 행할 때에 충격과 흔들림이 없어 수정란과 치어의 기형과 폐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납자루아과 어류의 자어 및 치어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의하면, 급수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부유조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부유조가 항상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어와 치어의 최종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는 납자루아과 어류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은 다양한 어류 및 관상어의 부화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있어서, 부화틀과 부화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에 있어서, 부화조와 급수노즐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물탱크(10) 및 제2물탱크(20)와, 부화틀(30)과, 복수의 부화조(40)와, 주급수관(60)과, 복수의 분기급수관(70)과, 복수의 급수노즐(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물탱크(10)와 제2물탱크(20)는 연결관(24)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1물탱크(10)와 제2물탱크(20)는 밀폐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한다.
상기 제1물탱크(10)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18)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물탱크(10)와 제2물탱크(20)에는 물 속의 산소포화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포를 형성하는 에어블로워(9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물탱크(10)와 제2물탱크(20)에는 상기 에어블로워(90) 대신에 다양한 구조의 포기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물탱크(10)에는 외부여과기(16)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외부여과기(16)를 통하여 상기 제1물탱크(10)에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원수)에 대한 여과를 행하므로 수질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여과기(16)는 상기 제1물탱크(10)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관(14)에 설치한다.
상기 순환관(14)에는 물을 강제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화틀(30)은 상자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부화조(40)는 상기 부화틀(30)에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부화틀(30)에는 저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받침판(50)을 설치한다.
상기 부화틀(30)의 내면에는 상기 받침판(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42)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부화조(40)는 상기 받침판(50) 위에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적재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각 부화조(40)의 상단에는 자어나 치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과망이 설치되는 배수구멍(44)을 형성한다.
상기 부화틀(30)의 저면에는 배수관(38)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부화조(40)의 상부로 흘러넘치는 물이 받침판(5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부화틀(30)의 저면으로 모아지고, 상기 배수관(3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주급수관(60)은 상기 제2물탱크(20)의 물을 상기 복수의 부화조(40)쪽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주급수관(60)에는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중간밸브(64)를 설치한다.
상기 주급수관(60)에는 상기 제2물탱크(20)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제1물탱크(10)에 연결된 원수공급관(18)을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공급관(18)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으로 제2물탱크(20)의 물이 주급수관(60)을 통하여 부화조(40)로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상기 주급수관(60)에 펌프를 설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분기급수관(70)은 상기 주급수관(60)에서 분기하여 상기 부화틀(30)에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부화조(40) 각각에 물이 공급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복수의 급수노즐(80)은 상기 분기급수관(70)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노즐(80)은 각 부화조(40)의 상면에 물이 공급되도록 출구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분기급수관(70)에 설치한다.
상기 급수노즐(80)에는 부화조(40)에 공급되는 물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미세조절밸브(84)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원수공급관(18)을 통하여 원수(물)가 상기 제1물탱크(10)에 공급되면, 상기 순환관(14)을 통하여 순환되는 제1물탱크(10)의 물이 외부여과기(16)를 통과하면서 정수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물탱크(10)의 물은 연결관(24)을 통하여 상기 제2물탱크(20)로 공급되고, 상기 제2물탱크(20)의 물은 주급수관(60)과 분기급수관(70)을 통하여 이동하여 급수노즐(80)을 통하여 부화조(40)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제1물탱크(10)와 제2물탱크(20)에 저장된 물에는 상기 에어블로워(90)에 의하여 포기가 이루어져 산소포화도가 우수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수질이 유지되는 물이 공급되면, 조개의 출수공으로 내보내지는 깨끗한 물과 유사한 수질 상태의 물이 부화조(40)로 공급되므로, 조개의 출수공에 산란을 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의 수정란의 부화 및 자어, 치어의 사육에 적합환 환경을 부화조(40)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부화조(40)로 급수노즐(80)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면, 상기 부화조(40)에 채워진다.
그리고, 계속 물이 부화조(40)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 부화조(40)에 가득 채워지면 흘러넘치게 되고, 흘러넘친 물은 상기 부화틀(30)의 저면으로 모아지게 되고, 상기 배수관(38)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물을 부화조(40)로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부화조(40)에는 자연스럽게 물갈이가 이루어지고, 항상 깨끗한 수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부화조(40)는 정지된 상태로 물갈이가 이루어지므로, 부화조(40)의 수정란이나 자어, 치어에 충격이나 흔들림을 주지 않게 되어 기형과 폐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조절밸브(84)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부화조(4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정란을 부화하여 자어나 치어를 사육하기 위한 어류의 종류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의 표 1에는 묵납자루에 대하여 종래 방식으로 부화조(40)의 물갈이를 행한 경우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식으로 부화조(40)의 물갈이를 행하는 경우의 생존율을 나타낸다.
종래 방식은 부화조(40) 각각을 1일 1~2회 정도 직접 움직이며 물갈이를 행하는 방식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식은 부화조(40)가 고정된 상태에서 물을 공급하여 물갈이를 행하는 방식이다.
구분 총채란횟수 총채란량 생존미수 생존율
종래 방식 90 4400 580 13.2%
본 발명 90 5140 1630 31.7%
상기 표 1에서 총채란횟수는 채란을 행한 횟수를 나타내며, 총채란량은 채란된 수정란의 갯수를 나타내며, 생존미수는 부화후 25일이상 생존하는 치어의 수를 나타내며, 생존율은 생존미수를 총채란량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방식에 비하여 2.4배의 생존율 향상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는 불필요한 핸들링과 충격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부화와 치어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제1물탱크, 14 - 순환관, 16 - 외부여과기, 18 - 원수공급관
20 - 제2물탱크, 24 - 연결관, 30 - 부화틀, 38 - 배수관, 40 - 부화조
42 - 지지돌기, 44 - 배수구멍, 50 - 받침판, 60 - 주급수관, 64 - 중간밸브
70 - 분기급수관, 80 - 급수노즐, 84 - 미세조절밸브, 90 - 에어블로워

Claims (4)

  1. 연결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제1물탱크 및 제2물탱크와,
    상기 제1물탱크에 연결되고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제1물탱크에 연결하여 설치하고 물에 대한 여과를 행하는 외부여과기와,
    상자형상의 부화틀과,
    상기 부화틀에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부화조와,
    상기 제2물탱크의 물을 상기 복수의 부화조쪽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중간밸브가 설치되는 주급수관과,
    상기 주급수관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부화조에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분기급수관과,
    상기 분기급수관에 설치되고 각 부화조의 상면에 물이 공급되도록 출구가 위치하고 미세조절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급수노즐과,
    상기 부화틀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부화조의 상단에는 자어나 치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과망이 설치되는 배수구멍을 형성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화틀에는 저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부화조가 가로세로로 배열되어 적재되는 받침판을 더 설치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물탱크와 제2물탱크에는 물 속의 산소포화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포를 형성하는 에어블로워를 설치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KR1020170109549A 2017-08-29 2017-08-29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KR20190023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49A KR20190023584A (ko) 2017-08-29 2017-08-29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49A KR20190023584A (ko) 2017-08-29 2017-08-29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84A true KR20190023584A (ko) 2019-03-08

Family

ID=6580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549A KR20190023584A (ko) 2017-08-29 2017-08-29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5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1643A (zh) * 2019-10-08 2019-12-03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水产科学研究所 一种拉萨裂腹鱼受精卵孵化方法
EP3702538A1 (en) 2019-02-28 2020-09-02 Doosan Infracore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heel loader
CN113907026A (zh) * 2021-09-26 2022-01-11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湛江) 一种浮性卵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2538A1 (en) 2019-02-28 2020-09-02 Doosan Infracore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heel loader
CN110521643A (zh) * 2019-10-08 2019-12-03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水产科学研究所 一种拉萨裂腹鱼受精卵孵化方法
CN110521643B (zh) * 2019-10-08 2021-04-02 西藏自治区农牧科学院水产科学研究所 一种拉萨裂腹鱼受精卵孵化方法
CN113907026A (zh) * 2021-09-26 2022-01-11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湛江) 一种浮性卵收集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278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sh reproduction, hatching and larval culture
KR101947328B1 (ko) 양식장용 어류의 분리 부성란 보관장치
KR101178392B1 (ko)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666469B1 (ko) 부착 산란형 어류용 부화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23584A (ko) 납자루아과 어류용 부화장치
US20190029232A1 (en) System for Breeding Zebrafish
CN1729763A (zh) 一种头足类苗种培育的方法及所用的装置
KR19990011968A (ko) 미세조류,생사료동물,치어의 연쇄배양장치
JP6216725B2 (ja) 浮上槽及び仔稚魚管理方法
KR102035095B1 (ko) 다목적 양식장
CN101507421B (zh) 一种肉食性鱼种高成活率培育方法及分规格喂食装置
KR100722228B1 (ko)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및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방법
KR102535426B1 (ko) 어류 인공부화장치
CN105557584A (zh) 一种松江鲈鱼全海水苗种繁育及室内工厂化养殖方法
KR20160136993A (ko)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CN109937953B (zh) 利用循环水进行黑斑原鮡培育驯化养殖的方法
CN110720412A (zh) 一种虾类受精卵离体孵化装置及孵化方法
KR101065623B1 (ko) 물고기 부착성 수정란의 고밀도 부화기
KR20070036406A (ko)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KR20030056042A (ko) 수정벌의 인공산란 촉진방법 및 그 장치
JPH05304853A (ja) アワビまたはサザエの養殖方法
JP2014143938A (ja) 浮上槽
CN104365539A (zh) 一种石蛙高效繁育方法
CN113331123A (zh) 一种石首鱼科育苗专用充气组件装置、气石及设置方法
CN209824859U (zh) 鱼苗培育用集装箱及其培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