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414B1 -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414B1
KR101475414B1 KR1020140034248A KR20140034248A KR101475414B1 KR 101475414 B1 KR101475414 B1 KR 101475414B1 KR 1020140034248 A KR1020140034248 A KR 1020140034248A KR 20140034248 A KR20140034248 A KR 20140034248A KR 101475414 B1 KR101475414 B1 KR 10147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d
natural
positive
shellfish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김수민
Original Assignee
김영길
김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김수민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14003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체굴과 자연 개체종패생산, 먹이생물의 생산 및 어패류의 양성을 자연친화적인 원스톱(ONE-STOP) 방식으로 양식할 수 있도록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어패류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130)와, 상기 양성호지(130)에 수용되는 자연 개체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120)와, 자연 산란용 어미 모패에 의한 어패류 등의 자연 개체 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110)가 내부에 형성되는 양식조(100)와, 상기 양식조(100)의 내부로 연결된 취수관과 배수관으로 해수를 취수 및 배수시켜, 상기 양식조(100)의 내부로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맞추도록 해수를 공급하는 취수설비 및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 수단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FOR HIGH PRODUCTIVITY OF MARINE PRODUCTS, ONE STOP COMBINED AQUATIC FARM SYSTEMS AND METHODS OF THE THEIR FACILITIES FORM UTILIZING FARM LAND CONSTRUCTED WITH EMBANKMENT}
본 발명은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하여 생산한 자연친화적 수산물을 원스톱(One-stop), 고생산적으로 양식하기 위한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수산물의 소비급증과 기후변화 및 수산물의 남획으로 인해 어획생산량이 한계에 도달하게 됨에 따라, 수산물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수산물 양식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개체굴은 오래 전부터 건강식품, 월빙식품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자의 관심이 매우 높고, 그 소비량 또한 높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개체굴은 해삼 등과 함께 국내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8대 웰빙수산물일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차세대 10대 전략 양식 품목으로 지정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한편, 개체굴의 경우, 양식에서 성장의 중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껍데기의 성장은 개체굴의 먹이와 관계 없이 공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패각이 성장하며, 알 의 비만은 먹이에 의하여 좌우된다.
굴의 상품으로서 가치는 굴의 껍데기 성장과는 크게 관계가 없으나, 살이 차야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보통 성장기간이 2년이 되어야 비만이 되어 상품으로 출하가 가능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수산물의 양식방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양식방법 중 가장 오래된 기법의 하나인 바닥양식은 투석식 양식방법이라고도 하며, 간만 조선에서부터 수심이 수 미터 되는 데까지의 해저에서 어패류를 양성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양성이라 함은 어린 종패를 수확할 때까지 성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투석식 양성방법은 부착기질로서 사용되는 돌이나 패각을 해저에 투입하여 어패류 등의 치패(종패)들이 적절한 시기를 골라 투입된 돌에 부착되어 양성되도록 한 방식이다.
또한, 연승 수하식 양성 방식은 복수개의 부자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닻줄에 끼운 다음 닻줄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닻을 해저에 꽂아 고정하고, 해수면과 나란하게 떠있는 어미줄로부터 수하연을 적정 간격으로 벌려 매달아 수하연에 부착된 종패를 양성하도록 한 방식이다.
더불어, 뗏목 수하식 양식 방법은 복수개의 횡간과 종간을 적정 간격으로 교차시켜 만든 뗏목에 부착를 부착하여 해수면 위에 띄워 놓고, 횡간 및 종간에 종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하연을 매달은 후, 각각의 수하연에 패각을 연결하고, 이 패각에 종패를 부착하여 양성하도록 한 양성 방식이다.
기존의 어패류 양식은 대부분 해면에서 연승 수하식 양식방법 또는 뗏목 수하식 양식방법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연승 수하식 양식 방법과 뗏목 수하식 양식 방법은 한정된 수역에서 어장을 장기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각종 노폐물과 배설물의 장기 축적으로 환경이 악화되어 수산물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질병이 빈발하며, 성장이 부진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들어서는 전 세계적으로 바다의 갯벌어장 또는 해면에서 채롱식으로 양식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갯벌어장을 이용한 양식방법이 도입되어 시작단계에 있다.
이러한, 갯벌어장을 대체하여 활용하기 위한 육상 축제식 양식장 등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공개특허 제10-2013-0030793호 가상세트식 굴 양식 구조물 및 굴 양식을 위한 이의 설치 방법의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갯벌어장에서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넓은 갯벌어장이 확보되어야 하나, 국내의 수산업법상 갯벌어장은 어촌계 어업인의 지선어장으로서, 그 이용 및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수산물의 양식을 위한 적지 확보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기업화 양식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또한, 지금까지 개체굴의 생산에서는 인공배양장 시설내에서 인위적인 수질관리 등의 환경요인 영향으로 폐사 등의 영향으로 종패의 생존율이 낮아, 현재 가상식 양식 시설이 되어 있는 어장에 종패 부족란 등을 겪고 있다.
개체굴의 종패는 인공배양장 시설을 위한 건축비, 해수의 취수를 위한 동력비, 난방을 위한 연료비, 먹이생물배양의 관리를 위한 인건비 등이 막대한 투자비로 작용되어 생산경비가 과다하게 발생된다.
개체굴 종패는 양식시설의 1ha당 면적에 약 50만개체의 종패가 필요하며 전체적으로 수백만억패의 종패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육상축제식 양식장 등을 활용한 개체굴 자연 종패의 생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가상식 세트식 양식장 등을 이용한 개체굴의 생산과, 개체굴 자연종패의 생산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는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더 나아가, 개체굴의 가상식 세트식 양식과, 해삼 등 다른 종의 복합적 생산 및 개체굴 양식을 통한 진주의 생산 등을 자연 친화적인 원스톱(one-stop) 방식으로 생산하여 고생산성을 내기 위한 완전 복합 양식 시스템 및 복합 양식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140647호 공개특허 제10-2013-0030793호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어패류 등의 양식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을 줄여, 고생산성 및 고부가가치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갯벌어장이 아닌 지상 및 육상의 축제식장 등의 유휴지를 활용함으로써, 갯벌어장의 적지면적 한계의 문제 및 갯벌어장의 조간대와 동일한 하루 조석시간과 동일하게 노출시간을 양식 어패류에 제공하여 실제 갯벌어장에서 생산되는 어패류와 맛과 향그리고 항상 수면에서 어패류가 성장할 경우에는 조개껍데기 두께가 가늘어지고 패각에 부착생물의 부착과 어패류간 서로 엉켜 달라 붙은 것을 방지하는 것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에 따르면, 어패류 등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와, 상기 양성호지에 수용되는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내부에 형성되는 양식조와,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연결된 취수관과 배수관으로 해수를 인위적으로 취수 및 배수시켜,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자연 갯벌어장의 조간대와 동일한 조석 주기를 맞추도록 해수를 공급하는 취수설비 수단이 포함된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양식조는 상기 양성호지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와 함께 서로 해수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자연 산란용 어미 모패로부터 자연 개체굴 종묘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성호지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각각 서로 독립적인 해수 흐름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식조의 전체 면적 내에서 상기 양성호지는 30%,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는 60%,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는 10%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양성호지는 상기 양식조의 일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와 상기 양성호지 사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는 상기 양식조 내에서 차지하는 전체 영역 상에 다수 이격 배치되어, 산란용 어미 모패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수조 및 상기 외부수조의 내부에 다수 이격 배치되어 상기 어미 모패에 의해 산란된 종패 유생의 유실을 방지하는 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어미 모패를 통해 산란된 종패 유생이 부착되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채묘기질을 수용하는 내부수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채묘기질은 PE, PP, PVC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어 외측 표면에 요철 구조 형성에 의한 다수의 골이 형성된 채묘기질 홀더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묘기질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세척하여 자연건조 또는 가열건조를 시킨 다음,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후 진주층과 석회질을 흐르는 물에 유수분리하여 분리된 진주층만 다시 분쇄기를 통해 50~200㎛ 크기로 분쇄시킨 분말 입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취수설비수단은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해수를 취수 및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의 가동 시간과 주기를 조절하는 타이머; 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성호지는 지상에 가상식 세트 및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가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성호지는 상기 양식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상단의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로부터 생산된 종패를 수용하여 양성시키는 양성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성호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이 지지되는 상기 양식조의 바닥과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다른 이종의 어패류 등을 양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양성호지는 상부에 양성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굴 양성망 거치대와,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지지하는 거치지주와,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에 올려진 굴의 성장에 따른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수면자동 노출 부력부자 및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를 상하로 유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고리로 형성된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는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를 수면에서 노출과 잠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부동 고리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의 단위 시설 규격은 폭 1m∼2m, 길이 2m∼50m, 거치지주의 높이는 1m∼5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의 재질은 철근, 형강, 원형강관파이프, 대나무, 목재 등 소재에 PVC, 에폭시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수면자동 노출 부력부자의 소재는 PVC, PE, 스티로폼 등 소재로 굴 양성망의 성장 무게에 따라서 1리터∼300리터 단위 부자들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어패류 등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와, 산란용 어미 모패와 채묘기질을 투입하여 어패류의 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 및 상기 양성호지에 수용되는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를 양식조 내에 형성하는 양식조 형성단계와, 상기 양식조에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제공하도록 취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해수 공급단계 또는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를 통해 생산된 종패를 상기 양성호지로 이동시켜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를 통해 생산된 먹이생물에 의해 양성시키는 양성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양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는 상기 양식조의 전체 면적 내에서 상기 양성호지는 30%,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는 60%,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는 10%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는 채묘기질을 PE, PP, PVC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어, 외측 표면에 요철 구조 형성에 의한 다수의 골이 형성된 채묘기질 홀더를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투입하여 자연 개체 유생 및 종패를 생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는 조개류의 껍데기를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후 진주층과 석회질을 흐르는 물에 유수분리하여 분리된 진주층만 다시 분쇄시킨 분말 입자를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투입하여 패류 등의 자연 개체 종패 유생 및 종패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분말 입자는 50㎛ ~ 1000㎛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에서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에 사용되는 먹이생물은 나비쿨라(Navicula) 종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해수 공급단계는 상기 양성호지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 속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해수 공급단계는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 속도를 상기 양성호지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비해 완만한 속도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해수 공급단계는 양식조 전체의 해수가 1순환 하는 것을 1회전(100%)으로 정의하고, 하루에 8시간 동안 봄, 가을, 겨울에는 0.2회전(20%)을, 여름에는 1회전(100%)을 하도록 해수를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성단계는 상기 양성호지는 가상식 세트에 의해 상기 양식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띄워진 다리부의 상단의 영역에 형성되는 양성망에 어패류을 양성하고, 상기 바닥과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상기 어패류의 배설물과 잔니 등을 먹이로 하는 이종의 수산물을 동시에 양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성단계는 상기 어패류 등의 자연 종패가 10g~150g 범위의 크기로 성장하면 상기 어패류 등의 내장기관으로 진주핵을 삽입하여, 시간 경과에 의해 어패류 등을 이용한 진주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의하면, 어패류 등의 자연 개체종패와, 어패류 등의 성장을 위한 양성과, 이를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의 생산이 하나의 양식조 내에서 원스톱 방식으로 진행됨으로써, 자연 종패와 먹이생물의 공급과, 어패류 등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의하면, 갯벌어장이 아닌 지상 및 육상 축제식의 유휴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갯벌어장의 적지면적의 한계로 인해 접근성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친환경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수산업의 대기업화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의하면, 상기 어패류의 양식과, 상기 어패류에 의해 발생되는 배설물 잔니 등으로 양성될 수 있는 이종의 수산물 또는 진주의 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 시설의 추가 설치비용을 절감시키고, 지역 특산물을 널리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복합 양식 시스템의 자연종묘 생산호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연종묘 생산호지의 내부수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연종묘 생산호지의 내부수조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연종묘 생산호지의 내부수조에 수용되는 채묘기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채묘기질 홀더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채묘기질 홀더의 사용예를 나태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먹이생물 생산호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양성호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양성호지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지상의 축제식 양식장 적지를 활용한 개체굴의 자연종패의 생산과, 개체굴의 가상식 세트식 양식과 해삼 등의 다른 종의 복합적인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개체굴 양식을 통한 진주의 생산을 자연 친화적으로 원스톱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지상 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시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은 어패류 등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와, 상기 양성호지에 수용되는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내부에 형성되는 양식조와,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연결된 취수관과 배수관으로 해수를 인위적으로 취수 및 배수시켜,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맞추도록 해수를 공급하는 취수설비수단 및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양식조는 상기 양성호지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서로 해수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자연 산란용 어미 모패에 의한 어패류 등의 개체 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양성호지는 상기 양식조의 일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와 상기 양성호지 사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방법은 어패류 등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와, 산란용 어미 모패와 채묘기질을 투입하여 어패류 등의 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 및 상기 양성호지에 수용되는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를 양식조 내에 형성하는 양식조 형성단계와, 상기 양식조에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제공하도록 취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해수 공급단계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를 통해 생산된 자연 개체종패를 상기 양성호지로 이동시켜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를 통해 생산된 먹이생물에 의해 양성시키는 양성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양성단계에서 상기 양성호지는 가상식 세트 및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에 상기 양식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띄워진 다리부의 상단의 영역에 형성되는 양성망에 어패류를 양성하고, 상기 바닥과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상기 어패류의 배설물과 잔니 등을 먹이로 하는 이종의 수산물을 동시에 양성할 수 있다.
또한, 양성단계는 상기 어패류 등의 종패가 10g~150g 범위의 크기로 성장하면 상기 어패류의 내장기관으로 진주핵을 삽입하여, 시간 경과에 의해 어패류 진주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은 지상에 축제되는 양식조(100) 내에 어패류 등의 자연 개체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110)와 상기 어패류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120) 및 어패류 등의 성장을 위한 다수의 가상식 세트 및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를 포함하는 양성호지(130)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어패류 등의 복합 양식 시스템에 의해 생산되는 어패류 등의 예를 들어 개체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체굴의 양식을 중점적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개체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종의 어패류 및 수산물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을 통한 어패류 등의 양식을 위한 자연 취수방법에 의한 가상세트 양식장치 및 수면 자동 노출 어패류 양식장치를 포함하는 양식시설 장치방법 및 취수설비수단 등을 통하여 해수 취수용량과 양식조(100)의 수위를 통해 인위적인 취수 및 배수를 조절하여, 개체굴이 해수에 잠김과 노출되는 환경을 반복시켜 줌으로써, 개체굴의 맛과 향, 육질을 개선하고, 패각의 모양을 아름답고 단단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위적인 취수 및 배수는 해양의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맞추기 위해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와, 먹이생물 생산호지(120) 및 양성호지(130)의 면적 조성비율을 조정하여, 해수의 원활한 공급과 환수가 이루어져, 먹이생물의 원활하게 번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체 양식조(100) 면적 내에서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는 약 10% 내외로 형성되고, 먹이생물 생산호지(120)는 약 60% 내외로 형성되며, 양성호지(130)는 약 30% 내외로 형성된다.
그리고, 양식조(100)에 형성된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와 먹이생물 생산호지(120) 및 양성호지(130)가 해수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시간과 해수면에 잠기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취수설비수단으로, 자동비 및 전동수문, 펌프, 수위센서, 타이머 등의 부속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양성호지(130)와, 먹이생물 생산호지(120) 및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각각 서로 독립적인 해수 흐름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합 양식 시스템의 취수 및 배수를 위하여, 전체 양식조(100)의 면적이 약 33,000m(10,000평)일 경우, 예를 들어 전체 양식조(100)의 면적이 폭 126m, 길이 200m, 수심2.0m 인 경우 총 저수량은 하루 8시간 동안에 약 50,400톤의 해수 취수량이 필요로 된다.
또한, 해수가 양식조(100) 전체를 1순환하는 것을 1회전으로 할 때, 0.2회전시 10,080톤, 0.5회전시 25,200톤, 1회전시 50,400톤, 2회전시 100,800톤의 해수가 필요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양식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 양식을 위해서는 조석시간 때 하루에 8시간 동안에 각 호지 내의 해수의 취수 및 배수를 원활하기 위하여, 봄, 가을, 겨울에는 0.2회전(20%)인 10,080톤, 여름에는 0.5~1회전(50%~100%)인 25,200톤~50,400톤의 해수가 취수 및 배수된다.
이와 같이, 하루 8시간 동안 0.5~1회전의 해수의 취수와 배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취수관과 배수관이 규격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
예컨데, 취수관과 배수관의 규격이 Ø300mm 관의 경우, 관 1개당 관내경의 유속이 4.0m/s일 때, 0.15 × 0.15 × 3.14 = 0.07/sec 로 1시간당 252톤의 해수를 취수 및 배수 가능하다.
이 경우, 하루 8시간 동안 취수시 Ø300mm의 시간당 취수 가능 용량은 252톤으로 하루 8시간 취수 및 배수를 위해서는 2,016톤의 취수가 가능하고, 취수관 및 배수관의 규격은 Ø300mm 관의 경우 하루 0.5회전을 위해서는 12.5개가 설치되어야 개체굴과 해삼 등의 다른 종을 복합적으로 양식할 수 있으며, 여름 장마철 고수온기와, 저염분 변화에 대응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는 외부수조(112)와, 외부수조(112)의 내부에 다수 배열되는 내부수조(114)와, 각각의 내부수조(114)의 하부에 형성되는 망목(116a, 116b 도 3 및 도 4를 참조)을 포함한다.
외부수조(112)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종패 유생의 산란을 위한 어미 모패가 수용되고, 그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외부수조(112)의 규격은 길이 10m ~ 30m, 폭 1.0m ~ 3.0m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깊이는 0.5m ~ 2.0m 범위로 형성되어, 양식조(100) 내의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가 차지하는 전체 영역의 외곽을 형성하는 격벽(111) 내부에 다수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열된 형태를 이룬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의 내부수조(114)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내부수조(114)는 외부수조(112)의 내부에 다수 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 사각형, 가두리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수조(112)에 수용된 어미 모패로부터 산란된 유생 및 개체종패를 내부에 수용한다.
내부수조(114)는 직사각형 콘크리트,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소재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수조(114)의 밑면과 측면에는 망목(116a)이 형성되어, 흐르는 물에 의해 내부수조(114)에 수용된 종패 유생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며, 망목(116a)에는 50~500㎛ 크기의 망눈이 형성된다.
내부수조(114)의 내부에는 어미 모패에 의해 산란된 종패 유생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채묘기질이 수용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연종묘 생산호지 (110)의 내부수조(114)에 수용되는 채묘기질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채묘기질은 환형관 형상으로 형성된 채묘기질 홀더(5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묘기질 홀더(500)는 PE, PP, PVC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여, 다수의 골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채묘기질 홀더(500)는 내부수조(114)에 수용되어 어미 모패에 의해 산란된 종패 유생을 부착시켜 일정 시간 동안 양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채묘기질 홀더(500)에 부착된 종패 유생이 일정 크기가 되면, 내부수조(114)로부터 꺼내서 중간 양성과정을 거치거나, 바로 최종 양성과정으로 투입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채묘기질 홀더(500)를 중간 양성과정으로 투입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채묘기질 홀더(500)를 중간 양성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내부수조(114)로부터 꺼내진 채묘기질 홀더(500)를 중간 양성과정으로 투입하기 위해, 다수의 채묘기질 홀더(500)를 길게 연장된 지지봉(117)에 끼우도록 한다.
지지봉(117)에 끼워진 다수의 채묘기질 홀더(500)는 도 1에 도시된 양성호지(130)에 형성된 가상식 세트(132)의 상부에 수평하게 안착시켜 중간 양성을 시키도록 한다.
참고로, 양성호지(130)의 가상식 세트(132)는 상단에 후술될 양성망(134)을 안착시켜 최종 양성을 하는 용도로 함께 시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수조(114)에 수용되는 채묘기질은 분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말 형태로 형성될 경우, 조개류의 껍데기를 세척하여 자연건조 또는 가열건조를 시킨 다음,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후 진주층과 석회질을 흐르는 물에 유수분리하여 분리된 진주층만 다시 분쇄기를 통해 50~200㎛ 크기로 분쇄시킨 입자가 사용된다.
분말 형태의 채묘기질은 자연적으로 굴의 개체로 치패가 착생이 가능한 입자 크기로 분쇄되어, 내부수조(114) 안의 바닥에 쌍이는 두께층으로 수용되고, 자연 채묘가 이루어진 후에는 내부수조(114)로부터 이를 분리하여 양성망(134)에 수용된 후, 양성호지(13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먹이생물 생산호지(1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먹이생물 생산호지(120)는 내부로 투입되는 해수가 통과하는 순환유로(124) 상에 다수 이격 형성되어 내부에 먹이생물이 수용되는 먹이생물 홀더(122)가 포함된다.
이때, 순환유로(124)는 먹이생물 홀더(122)의 배치에 의해 해수의 흐름을 다수 우회시키도록 하여, 해수의 유속이 완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먹이생물 생산호지(120)는 내부에 복합비료, 질소비료, 계분 등을 시비제로 하여, 30일 이전에 물 만들기를 위한 해수 1톤당 200g~1,000g을 15일 간격으로 시비할 경우 먹이 생물의 번식 조장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바닷물 속에는 각종 어패류 등의 먹이생물인 Chlorella sp., Nannochloris oculata, Tetraselmis sp., Isochrysis galbana, Chlorella sp., Tetraselmis sp., Navicula sp., Nitzschia sp., Amphora sp., Cocconeis sp.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simplex, 유기현탁물질 등이 상존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서는 해수 1L당 200000에서 700000cell 농도로 번식 조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먹이생물 중에서 Navicula 종은 다른 먹이생물과 달리 개체굴에게 집중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경우 일반 개체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굴의 장내의 색을 녹색으로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특징적이고 상징적인 개체굴 상품을 만들어 내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의 일실예를 통해 Navicula 종을 주 먹이생물로 하여 개체굴을 성장시키도록 하여, 이를 통해 생산된 개체굴의 상품성을 높이도록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120)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 속도를 상기 양성호지(130)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110)에 비해 완만한 속도로 조절하는 것이 먹이생물의 생산에 보다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따르면, 지상에 축제식 양식장 등지에 설치되어 개체굴의 양식과 함께 해삼 등의 서로 다른 어종을 복합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양성호지(13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를 이 전의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양성호지(130)는 다리부(133)에 의해 양식조(100)의 바닥으로부터 0.7m~ 1.0m 정도 띄워진 상부에 양성망(134)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가상식 세트(132)로 형성된다.
가상식 세트(132)는 양식조(100)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는 다리부(133)와, 다리부(133)의 상단 영역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부에 양성망(134)과 채묘기질 홀더(500)를 선택적으로 안착시키는 지지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양성호지(130)의 양성망(134)이 가상식 세트(132)에 의해 저질의 바닥으로부터 띄워져서 양성망(134)의 하부인 저질의 지면에 자동으로 은신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해삼을 위한 별도의 은신처가 조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양성호지(130)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을 이 전의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양성호지(130)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굴 양성망(600)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굴 양성망 거치대(610)를 지지하는 거치지주(620)와, 굴 양성망 거치대(610)를 수면(w)에서 노출과 잠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부동 고리홈(621)이 형성되며, 굴 양성망 거치대(610)의 굴의 성장에 따른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수면 자동 노출 부력 부자(630)와, 굴 양성망 거치대(610)를 상하 수직으로 유동되면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고리(640)로 이루어진 수면자동노출 어패류양식장치(601)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한 수면자동노출 어패류양식장치(601)의 단위 시설 규격은 폭 1m∼2m, 길이 2m∼50m, 거치지주(620)의 높이는 1m∼5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치의 재질은 철근, 형강, 원형강관파이프, 대나무, 목재 등 소재에 PVC, 에폭시 등으로 코팅을 할 수 있다.
상기한 수면자동노출 어패류양식장치(601)의 재질은 규격은 10mm∼100mm 단위로 제작되며, 수면자동 노출 부력부자(630)의 소재는 PVC, PE, 스티로폼 등 소재로 굴 양성망(600)의 성장 무게에 따라서 1리터∼300리터 단위 수면자동 노출 부력부자(630)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굴 양성망(600)을 굴양성망 거치대(610)에 복수개로 올려 놓은 상태로 개체굴의 양성이 이루어지며, 수면자동노출 부력부자(630)는 자연의 간만조차이에 의한 조석시간과 무관하게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서도 물의 수면(w) 아래에 잠김과 노출을 일정 반복 시간 단위 주기로 조절하는 수면자동노출 어패류 양식장치(601)이다.
굴 양성망 거치대(610)는 거치지주(620)를 통하여 상하 수직으로 작동되는 부동 고리홈(621)을 통하여 상하 수직으로 움직이면서 원하는 수면(w)의 위치의 조절은 상하 수직 고정고리(640)를 통하여 개체굴의 햇볕 노출에 의한 육질이 탄력이 있고, 맛과 향 등의 상품성을 높이도록 실시될 수 있다.
해삼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서식 습성 상 매우 중요한 은신처의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서, 자연석 돌 또는 인공구조물 등을 바닥 면적에 60% 이상 차지하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식 세트에 안착된 양성망(134) 자체가 해삼의 은신처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여, 해삼의 은신처 형성을 위한 자연석 돌을 별도로 깔아줄 필요가 없거나, 깔아주는 양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개체굴을 양식하는 과정에서 배설물과 잔니 등은 바닥에 축적되어, 양식장을 장기적으로 활용시 저질 오염 문제 등을 일으키므로, 일정 기간을 두고 주기적으로 바닥저질의 경운과, 객토작업이 필요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서 해삼은 굴이 배설하는 분 및 잔니 등을 먹이생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에 의해 개체굴과 해삼을 복합적으로 생산할 경우, 단위 면적당 생산성은 기존 개체굴 양식에 있어서는 1ha 당 540세트에서 2,700망을 세트 위에 설치할 경우, 각 망당 2~3cm 크기의 종묘를 120개체를 수용하여, 이론적으로 총 양식 마리수는 324,000 개체를 입식하여 수확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개체굴 양식에 있어서는 생존률이 50% 내외가 되어, 개체당 중량 80g 정도의 크기를 약 162,000개체를 2년이 경과하여야 개체굴의 비만이 되어 상품가치를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생존률이 60% 내외가 되고, 6개월에서 1년 사이의 기간 내에 약 194, 400개체를 생산하여 상품으로 출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체굴의 생산성과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개체굴의 생산과 함께 개체굴 진주를 복합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기존의 해면이나, 갯벌어장에서 양식하는 방법에 의하면 양성망(134) 내에서 파도 및 태풍에 의한 진동과 움직임이 발생되어, 개체굴 진주를 생산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 양식 시스템은 가상식 세트(132)를 지상에 설치하여, 파도 및 태풍에 의한 진동과 움직임이 없이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맞추어 줌으로써, 개체굴 진주의 생산에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른 개체굴 진주의 생산은 개체굴 양성망(134)에 수용하는 중간 종패에 인공 진주핵을 삽입하여 개체굴 진주를 생산한다.
개체굴에 인공 진주핵을 삽입할 수 있는 개체굴의 종패는 10g ~ 150g 범위의 크기가 적당하다.
개체굴에 인공 진주핵을 삽입하는 부위는 살아있는 개체굴에서 진주의 형성이 가장 활발한 내장기관인 외투막, 소화맹낭, 내장주변, 패주 등 위치가 바람직하며, 굴껍떼기의 좌각 및 우각을 전동드릴을 통해 1mm~7mm의 구멍을 뚫고 인공 진주핵을 삽입한 후 뚫린 구멍을 식용본드, 밀납, 석회, 실리콘 등으로 채워 정상적인 성장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 후, 약 15~30일 전후에는 개체굴이 자체적으로 생성해내는 내분비 물질을 통하여 패각이 원상으로 복원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개체굴 진주가 형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개체굴 진주가 생성되는 기간은 6개월~1년 정도 소요되며, 이를 통해 개체굴 진주로 만들어진 것은 보석류로 취급되어 부수입이 되는 것은 물론, 개체굴 양식의 스토리성을 소비자에게 보여줌으로써, 개체굴의 판매, 홍보, 전시 효과를 통하여 소비를 촉진시키고, 고부가가치 소득사업으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양식 시스템은 해양 근처의 염전이나, 축제식 양식장, 방조제 등의 지상에 설치됨으로써, 유휴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지선어장의 한계를 극복하여 양식 사업의 대형화 및 대기업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양식조
110: 자연종묘 생산호지
112: 외부수조
114: 내부수조
120: 먹이생물 생산호지
122: 먹이생물 홀더
124: 순환유로
130: 양성호지
132: 가상식 세트
134: 양성망
500: 채묘기질 홀더
601: 수면자동노출 어패류양식장치

Claims (28)

  1. 양식조; 및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연결된 취수관과 배수관으로 해수를 취수 및 배수를 시키며,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맞추도록 해수를 공급하는 취수설비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양식조는,
    어패류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
    상기 양성호지에 수용되는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
    상기 양성호지 및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의 해수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어패류의 자연 개체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 및
    상기 양성호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각각 독립적인 해수 흐름 속도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양성호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는,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치되되,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와 상기 양성호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산란용 어미 모패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외부수조; 및
    상기 외부수조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직렬이 형성되고, 상기 어미 모패에 의해 산란된 유생 및 종패의 유실을 방지하는 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어미 모패를 통해 산란된 자연 개체종패가 부착되어 외부로 유출시키는 채묘기질이 수용되는 내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취수설비수단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속도를 상기 양성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기질은 PE, PP, PVC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묘기질은 조개류의 껍데기를 세척하여 자연건조 또는 가열건조를 시킨 다음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후, 진주층과 석회질을 흐르는 물에 유수분리하여 분리된 진주층만 다시 분쇄기를 통해 50~200㎛ 크기로 분쇄시킨 분말입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설비수단은 상기 양식조의 내부로 해수를 취수 및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의 가동 시간과 주기를 조절하는 타이머;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호지는,
    상기 양식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상단의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로부터 생산된 자연 개체종패를 수용하여 양성시키는 양성망을 포함하는 가상식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호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이 지지되는 상기 양식조의 바닥과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이종의 어패류를 양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호지는,
    상부에 양성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굴 양성망 거치대;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지지하는 거치지주;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에 올려진 굴의 성장에 따른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수면자동 노출 부력부자; 및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를 상하로 유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고리; 로 형성된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는,
    상기 굴 양성망 거치대를 수면에서 노출과 잠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부동 고리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의 단위 시설 규격은 폭 1m∼2m, 길이 2m∼50m, 거치지주의 높이는 1m∼5m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자동노출 패류양식장치의 재질은 철근, 형강, 원형강관파이프, 대나무 및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에 PVC 또는 에폭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수면자동 노출 부력부자의 소재는 PVC, PE 및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18. 어패류의 성장을 위한 양성호지와, 산란용 어미 모패와 채묘기질을 투입하여 어패류의 자연 개체 종패를 생산하기 위한 자연종묘 생산호지, 상기 양성호지에 수용되는 종패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먹이생물을 생산하는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양성호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각각 독립적인 해수 흐름 속도를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양식조를 형성하는 양식조 형성단계;
    상기 양식조에 자연 조간대의 갯벌어장과 동일한 조석 주기를 제공하도록 취수 및 배수를 조절하는 해수 공급단계;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를 통해 생산된 종패를 상기 양성호지로 이동시켜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를 통해 생산된 먹이생물에 의해 양성시키는 양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는,
    상기 양성호지,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를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치하되,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가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와 상기 양성호지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산란용 어미 모패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외부수조 및 상기 외부수조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직렬이 형성되고, 상기 어미 모패에 의해 산란된 유생 및 종패의 유실을 방지하는 망목이 형성되며, 상기 어미 모패를 통해 산란된 자연 개체종패가 부착되어 외부로 유출시키는 채묘기질이 수용되는 내부수조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 공급단계는,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속도를 상기 양성호지 및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유입되는 해수의 흐름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해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는 채묘기질을 PE, PP, PVC 및 나일론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는 조개류의 껍데기를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 후 진주층과 석회질을 흐르는 물에 유수분리하여 분리된 진주층만 다시 분쇄시킨 분말 입자를 상기 자연종묘 생산호지에 투입하여 유생 및 자연 개체종패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입자는 50㎛ ~ 1000㎛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조 형성단계에서 상기 먹이생물 생산호지에 사용되는 먹이생물은 나비쿨라(Navicula) 종을 특별하게 사용하여 녹색 개체굴의 상품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단계는 상기 양성호지는 가상식 세트에 의해 상기 양식조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띄워진 다리부의 상단의 영역에 형성되는 양성망에 어패류를 양성하고, 상기 바닥과 상기 다리부의 사이에 상기 어패류의 배설물과 잔니를 먹이로 하는 이종의 수산물을 동시에 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단계는 상기 어패류 중 개체굴의 내장기관으로 진주핵을 삽입하여, 진주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방법.
KR1020140034248A 2014-03-24 2014-03-24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KR10147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48A KR101475414B1 (ko) 2014-03-24 2014-03-24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48A KR101475414B1 (ko) 2014-03-24 2014-03-24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414B1 true KR101475414B1 (ko) 2014-12-23

Family

ID=5267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48A KR101475414B1 (ko) 2014-03-24 2014-03-24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4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220B1 (ko) * 2016-02-17 2016-09-27 대한민국 육상용 개체굴 치패 사육장치
KR20160126966A (ko) * 2014-02-28 2016-11-0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KR101721179B1 (ko) * 2016-11-02 2017-03-29 삼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성 해양생물 사육장치
KR102218630B1 (ko) * 2020-06-05 2021-02-22 장철호 낙지 양식 장치
KR20210152077A (ko) * 2020-06-05 2021-12-15 한국화학연구원 패류 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류 사육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725A (ja) * 2002-05-07 2003-11-11 Toshiyuki Iwamoto 養殖用支柱
JP2004024062A (ja) * 2002-06-24 2004-01-29 Matsushita Pearl Co Ltd 真珠の養殖方法
KR20050082611A (ko) * 2004-02-19 2005-08-24 (주) 황해 개체굴 종패 생산 및 양성 시스템
KR20140028218A (ko) * 2012-08-27 2014-03-10 전라남도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725A (ja) * 2002-05-07 2003-11-11 Toshiyuki Iwamoto 養殖用支柱
JP2004024062A (ja) * 2002-06-24 2004-01-29 Matsushita Pearl Co Ltd 真珠の養殖方法
KR20050082611A (ko) * 2004-02-19 2005-08-24 (주) 황해 개체굴 종패 생산 및 양성 시스템
KR20140028218A (ko) * 2012-08-27 2014-03-10 전라남도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966A (ko) * 2014-02-28 2016-11-0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KR102355838B1 (ko) 2014-02-28 2022-01-25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KR101660220B1 (ko) * 2016-02-17 2016-09-27 대한민국 육상용 개체굴 치패 사육장치
KR101721179B1 (ko) * 2016-11-02 2017-03-29 삼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성 해양생물 사육장치
KR102218630B1 (ko) * 2020-06-05 2021-02-22 장철호 낙지 양식 장치
KR20210152077A (ko) * 2020-06-05 2021-12-15 한국화학연구원 패류 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류 사육방법
KR102468241B1 (ko) 2020-06-05 2022-11-18 한국화학연구원 패류 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류 사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5310B (zh) 一种光唇鱼仿生态工厂规模化繁育驯养方法
US3473509A (en) Method for the artificial culture of shrimp
CN103004666B (zh) 一种花鳗苗种标粗培育的养殖方法
CN105494193B (zh) 一种双线紫蛤的育苗方法
CN101637136B (zh) 一种池蝶蚌幼蚌的繁育方法
CN104273074B (zh) 一种培育乌贼种苗的方法
CN104108797A (zh) 一种由水生动植物立体配置的水体净化系统及其净化方法
KR101475414B1 (ko)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CN101530064A (zh) 单环刺螠繁育养成方法
CN105994072B (zh) 一种松江鲈鱼人工配合饲料的养殖方法
KR20110033005A (ko) 해삼 및 전복 종묘 복합 양식 방법
CN106942103B (zh) 一种瓜螺的人工育苗方法
JP2011244795A (ja) アサリ等の潜砂性二枚貝の陸上生産方法
CN102422820A (zh) 野生糙海参室内水泥池人工精养促熟方法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3461224B (zh) 刺参杂交育种中种参的选择方法
CN106359208B (zh) 一种禾虫半人工育苗滩涂养殖方法
CN111165403A (zh) 一种方格星虫和近江牡蛎苗种池塘立体生态培育方法
CN202760008U (zh) 中华绒螯蟹大规模家系蟹苗土池培育装置
Fedonenko et al. Basics of aquaculture and hydrobiotechnology
CN201160430Y (zh) 青蟹蟹苗中间培育的养殖装置
Hadley et al. Hard clam hatchery and nursery production
CN107211932A (zh) 一种鲍鱼苗种培育方法
KR20150063273A (ko) 전복 가두리 양식장을 이용한 해삼 양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