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483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483B1
KR101428483B1 KR1020070084104A KR20070084104A KR101428483B1 KR 101428483 B1 KR101428483 B1 KR 101428483B1 KR 1020070084104 A KR1020070084104 A KR 1020070084104A KR 20070084104 A KR20070084104 A KR 20070084104A KR 101428483 B1 KR101428483 B1 KR 10142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per
fixing device
she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567A (ko
Inventor
백성구
김성협
김선수
황규덕
김종우
조현기
류제형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483B1/ko
Priority to US12/153,271 priority patent/US7792453B2/en
Publication of KR2009001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정착장치의 외부로 가능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커버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용지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정착장치와,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정착장치 내부의 열이 출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출구를 폐쇄하는 제1위치와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개폐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재와, 캠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여 캠부재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착장치 내부의 열이 외부로 가능한 방출되지 않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인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토너를 투입하여 토너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단지 용지에 담지되어 있을 뿐이고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고착시키기 위한 정착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착장치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와, 이 가열롤러에 밀착되어 그 접촉부에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압롤러를 가진다. 토너화상이 전사되어 있는 용지가 회전하고 있는 가열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로 진입하면 가열롤러의 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에 고착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에서 정착장치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를 점검하거나 정착장치의 내부에 걸린 용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 본체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커버가 설치된다.
정착장치 내부에 설치된 가열롤러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복사, 전도 및 대류 현상에 의해 정착장치 상부에 설치된 커버로 전달되는데, 커버는 사용자가 기기의 내부 점검을 할 때 빈번하게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커버가 정착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뜨거워지면 사용자는 커버를 만질 때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63273호에는 정착장치와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열 차단부재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열 차단부재는 정착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반사시켜 커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커버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열 차단부재를 이용하면 정착장치에서 방출된 열이 커버로 전달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는 차단할 수는 있으나, 정착장치 내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고온의 열이 방출되는 상황에서는 위와 같은 열 차단부재만으로 커버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정착장치의 외부로 가능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커버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용지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정착장치;와 상기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정착장치 내부의 열이 상기 출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제1위치와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폐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캠부재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정착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상기 캠부재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동력단속유닛은 전자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정착장치의 내부로 진입하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1용지검출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정착장치의 내부를 통과한 용지의 후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2용지검출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후단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지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정착장치;와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제1위치와,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부재;와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지 검출센서;와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개폐부재를 밀어 올려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상기 캠부재로 전달되는 동 력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 검출센서는 상기 정착장치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용지검출센서와 제2용지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개폐부재를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2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후단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때에만 정착장치의 출구가 개방되므로 정착장치 내부의 고온의 열이 정착장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착장치의 주위에 있는 부품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착장치 내부에서 외부로 손실되는 열량이 감소하므로 적정 수준의 정착 온도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3은 도 2에서 개폐부재가 캠부재에 의해 회동하여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용지(S)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20)와,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30)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 착장치(40) 및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장치(50)를 구비한다.
급지장치(20)는 용지(S)가 적재되는 급지트레이(21)와, 급지트레이(21)에 적재된 용지(S)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장치(30)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상장치(30)는 레이저스캐닝유닛(60)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감광체(31)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32)와, 감광체(31)에 현상된 정전잠상을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토너를 통해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33Y, 33M, 33C, 33K)와, 중간전사벨트(34)와, 제1전사롤러(35) 및 제2전사롤러(36)를 구비한다.
각 현상기(33Y, 33M, 33C, 33K)는 감광체(31)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하는 현상롤러(37)와, 현상롤러(37)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토너를 현상롤러(37)에 공급하는 공급롤러(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34)는 지지롤러들(34a)(34b)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3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1전사롤러(35)는 감광체(31)와 대면되며, 감광체(31)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34)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2전사롤러(36)는 중간전사벨트(34)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제2전사롤러(36)는 감광체(31)에서 중간전사벨트(34)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34)로부터 이격되고, 중간전사벨트(34)에 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34)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정착장치(40)는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킨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장치(40)는 용지가 진입하는 입구(41a)와, 용지가 배출되는 출구(41b)를 가지는 프레임(41)을 구비한다. 프레임(41)의 내부에는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42a)을 가지는 가열롤러(42)와, 가열롤러(42)에 압착되어 가열롤러(42)와의 사이에 소정의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두 개의 가압롤러(43)(44)가 설치된다.
정착장치(40)의 출구(41b) 근처에는 제1용지가이드(45)와 제2용지가이드(46)가 설치된다. 제1용지가이드(45)와 제2용지가이드(46)는 정착장치(40)를 통과한 용지가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지구(11)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1용지가이드(45)의 일단은 힌지축(45a)을 통해 정착장치(40)의 프레임(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배지구(11)를 향해 연장된다. 제2용지가이드(46)는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사이에 두고 제1용지가이드(45)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제2용지가이드(46)는 용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면(46a)을 가진다.
정착장치(40)의 상부에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커버(70)가 설치된다. 커버(70)는 힌지축(71)을 통해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0)의 내부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나 사용자가 내부 부품을 점검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커버(70)를 열고 본체(10)의 내부를 살피거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배지장치(50)는 정착장치(40)를 통과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배지롤러(51)와, 배지롤러(51)에 대면하여 설치되는 배지백업롤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롤러(32)에 의하여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31)에 레이저스캐닝유닛(60)으로부터 예를 들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31)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옐로우 현상기(33Y)의 현상롤러(37)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옐로우 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31)에는 옐로우 색상의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이러한 토너화상은 제1전사롤러(35)에 의해 중간전사벨트(34)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폐이지 분량의 토너화상의 전사가 완료되면,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면 중간전사벨트(34)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첩된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이 칼라토너화상은 중간전사벨트(34)와 제2전사롤러(36)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S)로 전사되고, 용지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장치(40)을 통과할 때 가열롤러(42)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42)와 가압롤러들(43)(44)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용지에 고착된다. 이와 같이 정착장치(40)를 통과한 용지는 배지롤러(51)에 의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착장치(40) 내부의 고온의 열이 프레임(41)에 형성된 출구(41b)를 통해 지속적으로 방출되면 출구(41b)의 상부에 설치된 제1용지가이드(45)와 커버(70)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기의 내부 점검을 위해 커버(70)와 제1용 지가이드(45)에 접촉하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0)와, 개폐부재(100)가 출구(41b)를 폐쇄하는 제1위치(도 2 참조)와 출구(41b)를 개방하는 제2위치(도 3 참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200, 도 4 참조)와, 적절한 시점에서 개폐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도 4 참조)를 구비한다.
개폐부재(100)는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용지(S)가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통과하는 때에만 출구(41b)를 개방하고, 그 외에는 출구(41b)를 폐쇄함으로써 정착장치(40) 내부의 열이 출구(41b)를 통해 커버(7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개폐부재(100)의 일측은 힌지축(110)을 통해 프레임(4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부재(100)의 타측은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개폐부재(100)가 출구(41b)를 폐쇄하는 제1위치에 있을 때 개폐부재(100)의 타측은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용지가이드(46)에 의해 지지된다. 개폐부재(100)의 타측은 제2용지가이드(46)의 가이드면(46a)을 따라 경사지는 경사부(120)를 가지고, 이 경사부(120)가 제2용지가이드(46)의 가이드면(46a)에 밀착됨으로써 정착장치(40) 내부의 열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개폐부재(100)는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폐부재의 내부에 별도의 단열부재를 설치하는 것 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200)는 개폐부재(100)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재(210)와, 이 캠부재(21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20)를 구비한다.
캠부재(210)는 캠축(211)과, 이 캠축(211)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회전캠(212)을 가진다. 회전캠(212)은 그 회전 시에 특정 영역에서 개폐부재(100)의 측방향 단부(100a)와 간섭하여 개폐부재(100)를 밀어 올린다. 그러면 개폐부재(100)가 회동하여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고, 도 3과 같이 정착장치(40)의 출구(41b)가 개방된다. 반면에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회전캠(212)이 더 회전하여 개폐부재(100)로부터 이탈하면 개폐부재(100)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회동하여 도 2와 같이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폐쇄하는 제1위치로 이동한다.
캠부재(210)를 구동하는 구동부(220)는 구동원인 구동모터(221)와, 구동모터(221)에서 캠부재(210)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유닛(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력단속유닛(222)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클러치 장치가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클러치(222a)가 사용되었다.
전자 클러치(222a)에는 클러치기어(223) 및 캠부재(210)가 연결된다. 클러치기어(223)는 기어트레인(도 4에서는 편의상 기어트레인 중 일부의 기어(224)(225)만을 도시하였다)를 통해 구동모터(221)와 연결된다. 전자 클러치(222a)가 ON되면 클러치기어(223)의 회전력이 캠부재(210)로 전달되고, 전자 클러치(222a)가 OFF되 면 클러치기어(223)의 회전력이 캠부재(210)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서는 전자 클러치(222a)에 캠부재(21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전자 클러치(222a)와 캠부재(210) 사이에 일련의 동력전달기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장치(40)의 입구(41a)측에 설치되는 제1용지검출센서(80)와, 정착장치(40)의 출구(41b) 측에 설치되는 제2용지검출센서(90)를 구비한다.
제1용지검출센서(80)에서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정착장치(40)의 내부로 용지가 진입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부재(100)가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개방하도록 구동장치(200)를 제어한다. 또 제2용지검출센서(90)에서 용지의 후단이 감지되면 제어부(300)는 용지가 정착장치(40)를 완전히 통과하였다고 인식하고, 이에 따라 개폐부재(100)가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폐쇄하도록 구동장치(20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개폐부재가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폐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체(1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용지가 중간전사벨트(34)와 제2전사롤러(36) 사이를 통과하면 용지에 화상이 인쇄된다. 이와 같이 화상이 인쇄된 용지(S)는 도 5a와 같이 정착장치(40)로 진입하기 시작한다. 도 5a는 용지가 제1용지검출센서(80)의 근접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제1용지검출센서(80)에서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100)는 제1위치, 즉 정착장치(40) 의 출구(41b)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정착장치(40) 내부의 고온의 열이 커버(70) 쪽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용지가 조금 더 이송되어 용지(S)의 선단이 도 5b와 같이 제1용지검출센서(80)를 동작시키면, 제어부(300)는 정착장치(40)의 내부로 용지가 진입한다는 것을 인식하여 개폐부재(100)가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개방하도록 구동장치(200)의 전자 클러치(222a)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00)는 전자 클러치(222a)를 소정 시간만큼만 ON시킨다. 그러면 전자 클러치(222a)가 ON된 시간 동안에만 구동모터(221)의 동력이 캠부재(210)로 전달되어 캠부재(210)가 소정 각도 회전하고, 캠부재(210)의 회전캠(212)이 개폐부재(100)와 간섭하여 도 5b와 같이 개폐부재(100)를 들어 올린다. 따라서 정착장치(40)의 출구(41b)가 개방된다.
도 5b와 같이 정착장치(40)의 출구(41b)가 개방되면 용지(S)는 출구(41b)를 지나 배지롤러(51) 쪽으로 이송된다. 이 때 배지롤러(51) 쪽으로 이송되는 용지의 선단은 도 3과 같이 제2용지검출센서(90)를 동작시킨다.
도 3과 같이 용지(S)가 계속 지나가다가 도 5c와 같이 용지(S)의 후단이 제2용지검출센서(90)를 통과하면 제2용지검출센서(9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제2용지검출센서(9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자 클러치(222a)를 소정 시간 동안 ON 시킨다. 전자 클러치(222a)가 ON되면 구동모터(221)의 동력이 전자 클러치(222a)를 통해 캠부재(21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캠부재(2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캠부재(210)가 도 5c와 같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 개폐부재(100)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폐쇄한 다.
다음에 인쇄되는 용지가 정착장치(40)로 진입할 때까지 개폐부재(100)는 정착장치(40)의 출구(41b)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므로 정착장치(40) 내부의 열은 개폐부재(100)에 의해 차단되어 출구(41b)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따라서 정착장치(40)의 상부에 위치된 제1용지가이드(45)나 커버(7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개폐부재가 캠부재에 의해 회동하여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개폐부재가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40 : 정착장치
41 : 프레임 41b : 정착장치의 출구
45 : 제1용지가이드 70 : 커버
80 : 제1용지검출센서 90 : 제2용지검출센서
100 : 개폐부재 200 : 구동장치
210 : 캠부재 220 : 구동부
221 : 구동모터 222 : 동력단속유닛
222a : 전자 클러치 300 : 제어부

Claims (17)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용지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정착장치;
    상기 정착장치의 출구를 개폐하며,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개폐부재;
    상기 정착장치 내부의 열이 상기 출구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제 1 위치와,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캠부재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상기 캠부재에 의해 이동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는 상기 개폐부재의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정착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하로 회동하여 상기 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부분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정착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상기 캠부재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단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유닛은 전자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의 내부로 진입하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1용지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장치의 내부를 통과한 용지의 후단을 감지하기 위한 제2용지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후단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본체;
    상기 본체의 일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지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정착장치;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제1위치와, 용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개폐부재;
    용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지 검출센서;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지검출센서는,
    상기 정착장치의 입구측에서 상기 정착유닛으로 유입되는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는 제 1 용지검출센서;
    상기 정착장치의 출구측에서 상기 정착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감지하는 제 2 용지검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 1 용지검출센서에서 상기 정착장치로 유입되는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면 개방되고, 상기 제 2 용지검출센서에서 상기 정착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이 감지되면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개폐부재를 밀어 올려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서 상기 캠부재로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선단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개폐부재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지검출센서에 의해 용지의 후단이 감지되면,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84104A 2007-08-21 2007-08-21 화상형성장치 KR10142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04A KR101428483B1 (ko) 2007-08-21 2007-08-21 화상형성장치
US12/153,271 US7792453B2 (en) 2007-08-21 2008-05-15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pening/clos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04A KR101428483B1 (ko) 2007-08-21 2007-08-2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567A KR20090019567A (ko) 2009-02-25
KR101428483B1 true KR101428483B1 (ko) 2014-08-11

Family

ID=4038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104A KR101428483B1 (ko) 2007-08-21 2007-08-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92453B2 (ko)
KR (1) KR101428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6831B2 (en) * 2010-03-05 2015-06-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thermal energy released externally from device due to thermal convection and hot air flow
JP5267492B2 (ja) * 2010-03-23 2013-08-2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133159A (ja) * 2010-12-22 2012-07-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6127475B2 (ja) * 2012-11-30 2017-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67024B2 (en) * 2012-11-30 2016-06-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JP6111623B2 (ja) * 2012-11-30 2017-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51822B2 (ja) * 2012-11-30 2016-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310724B2 (en) * 2013-08-30 2016-04-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heating unit, recording medium convey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456164B2 (ja) 2015-01-29 2019-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6711288B2 (ja) * 2017-01-17 2020-06-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465A (ja) * 2004-12-27 2006-07-13 Canon Inc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08330A (ja) * 2005-10-12 2007-04-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70066659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유닛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5072A (en) * 1980-12-11 1984-03-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leakage preventing microwave fixing device
JP3197112B2 (ja) * 1993-04-28 2001-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732309A (en) * 1996-02-20 1998-03-24 Minolt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41807B1 (ko) * 1998-12-30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정착부열차단구조
KR100463273B1 (ko) 2002-12-28 200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열 차단수단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2465A (ja) * 2004-12-27 2006-07-13 Canon Inc シート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08330A (ja) * 2005-10-12 2007-04-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70066659A (ko) * 2005-12-22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92453B2 (en) 2010-09-07
KR20090019567A (ko) 2009-02-25
US20090052924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483B1 (ko) 화상형성장치
JP4750506B2 (ja) 画像形成装置
US6125251A (e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internal access capability
EP2009508B1 (en)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US79849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103829A (ko)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20100079740A1 (en)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sensor
JP5365371B2 (ja) 搬送経路切替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185038B2 (en) Curl corr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074391A (ko) 화상형성장치
JP2011017835A (ja) 画像形成装置
US1141209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714649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装置
WO2021183177A1 (en)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JP5054557B2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20284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illumination device to illuminate jammed sheet
US20180348679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8268401A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23024715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912518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US12034894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6171784B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ユニットロック機構
JP530923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300864A (ja) 画像形成装置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