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269B1 -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269B1
KR101428269B1 KR1020120143648A KR20120143648A KR101428269B1 KR 101428269 B1 KR101428269 B1 KR 101428269B1 KR 1020120143648 A KR1020120143648 A KR 1020120143648A KR 20120143648 A KR20120143648 A KR 20120143648A KR 101428269 B1 KR101428269 B1 KR 10142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door
hook
ho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371A (ko
Inventor
정기환
민치영
제명권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269B1/ko
Priority to DE201310203509 priority patent/DE102013203509A1/de
Priority to US13/789,636 priority patent/US8998277B2/en
Priority to CN201310088152.7A priority patent/CN103867027B/zh
Priority to JP2013133011A priority patent/JP6239277B2/ja
Publication of KR2014007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패널에 장착되되, 일단에 제1홀(110)이 형성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회동 및 수평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에 상기 제1홀(110)에 삽입되는 제1후크(210)가 형성되는 그립(200)과; 상기 그립(200)의 제1후크(210)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100)의 제1홀(11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그립(200)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는 레버(300)로 구성되어, 도어 개방 및 폐쇄 시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 편의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Outside handl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아웃사이드 핸들의 회동 및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도어 개폐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량의 경우 도어의 개폐를 위하여 도어패널의 외부에는 아웃사이드 핸들의 그립이 노출되어 있고, 도어패널의 내부에는 리모컨, 키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도어래치 어셈블리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를 정상적으로 열고자 할 때, 리모컨 등의 열림 버튼을 조작하면, 리모컨의 신호를 받은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솔레노이드가 도어의 열림방향으로 작동하여 도어래치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고, 연이어 사용자가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을 열림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오픈하게 되는 경우 힘 작용 방향과 도어 오픈 방향이 동일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폐쇄하게 되는 경우 핸들을 당긴 후 도어 닫힘 방향으로 밀어서 작동하게 되므로 최초 핸들에 가해지는 힘 작동 방향과 도어 받힘 방향이 상이하게 되어 조작에 불편함을 느껴 사용 편의성과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 도어에 장착된 아웃사이드 핸들의 회동 및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도어 개폐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에 장착되되, 일단에 제1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및 수평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에 상기 제1홀에 삽입되는 제1후크가 형성되는 그립과; 상기 그립의 제1후크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의 제1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그립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는 제2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의 타단에는 상기 제2홀에 삽입되는 제2후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는 상기 베이스의 제1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그립의 제1후크가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프트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의 제1후크에 가이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일단에는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홀 내부에는 그립암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그립의 제1후크와 상기 레버를 연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어 개방 및 폐쇄 시 아웃사이드 핸들의 작동 편의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폐쇄 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서 레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폐쇄 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서 베이스 내부에서 레버와 그립암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서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와, 가이드에 의해 팝업되는 그립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개방 시 그립을 당기는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의 도어 폐쇄 시 그립의 슬라이딩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서 그립의 슬라이딩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에서 그립 회동 시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은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에 장착되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그립(200)과, 그립(200)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는 레버(30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외측면은 후술하게 될 그립(200)이 장착되며, 내측면은 도어 패널에 고정 장착된다.
베이스(100)의 일단에는 제1홀(110)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2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립(200)은 도어에 장착되는 핸들로써, 베이스(100)에 회동 및 수평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립(200) 일단에는 베이스(100)의 제1홀(110)에 삽입되는 제1후크(21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베이스(100)의 제2홀(120)에 삽입되는 제2후크(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후크(210)는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게 될 레버(300)가 끼워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베이스(100)의 제1홀(110) 내부에는 그립암(230)이 추가로 구비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압(230) 양단이 돌출 형성됨으로 인해 그 사이에 그립(200)의 가이드(130)가 끼워지게 되며, 그립(200)의 제1후크(210)에는 레버(300)가 삽입되어 그립(200)과, 그립암(230)과, 레버(3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0)는 그립(200)의 제1후크(210)와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100)의 제1홀(110) 내부에 위치하여 그립(200)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한다.
레버(300)는 베이스(100)의 제1홀(110)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310)와, 샤프트(310)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그립(200)의 제1후크(210)가 삽입되는 걸림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샤프트(310)에는 탄성체(311)가 장착되어 레버(300)와 연동된 그립(200)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 후에는 제자리로 복원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200)의 제1후크(210)에 가이드(130)가 형성되도록 하여 그립(200)을 슬라이딩하게 되면 제1후크(210)가 가이드(130)에 의해 일정각도를 가지고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을 슬라이딩시키게 될 때 가이드(130)에 의해 그립(200)이 베이스(100)로부터 소정길이 팝업되면서 슬라이딩됨으로 인해 그립(200)이 슬라이딩되는 동안 베이스(100)와의 간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방지하고 작동력은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0)의 걸림부(320) 일측면에는 케이블 고정부(330)가 형성되도록 하여 그립(200)을 당기는 작동을 실시하게 되면 레버(300)가 샤프트(310)에 의해 회전하여 레버(300)와 연결되는 케이블을 잡아당길 수 있게 하며, 그립(200)을 슬라이딩시키는 작동을 실시하게 되면 레버(300)가 그립(200)과 같이 슬라이딩하여 케이블을 잡아당겨 그립(200)의 움직임을 래치(미도시)에 전달함으로써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즉, 제1후크(210)와 레버(300)가 결합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그립(200)을 당기면 제1후크(210)가 당겨지게 되면서 그 힘이 레버(300)로 전달되어 레버(300)가 회전하게 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오픈하게 되며, 사용자가 그립(200)을 밀면 제1후크(210)가 밀리게 되면서 그 힘이 레버(300)로 전달되어 레버(300)가 평행하게 이동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200)의 제1후크(210)와 레버(3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그립(200)을 슬라이딩하게 되면 제1후크(210)가 레버(300)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레버(300)와 연결된 케이블이 당겨지게 되면 래치(미도시)에 동일한 스트로크를 전달하게 되고, 래치에 일정량 이상의 스트로크가 전달되면 도어록이 해제되면서 도어를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그립(200)은 베이스(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하여 고장 발생 시 탈거 후 정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방향이 우측인 경우에는 제1후크(210)가 형성된 그립(200)의 일측을 회동시켜 제2후크(22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방향이 좌측인 경우에는 그립(200)의 회동 없이 그립(200)을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게 되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도어를 폐쇄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200) 작동 시 걸림감 및 끼임이 없어 슬라이딩 작동이 용이하게 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200)의 당김 작동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만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 110 : 제1홀
120 : 제2홀 200 : 그립
210 : 제1후크 220 : 제2후크
230 : 그립암 300 : 레버
310 : 샤프트 320 : 걸림부
330 : 고정부

Claims (7)

  1. 도어 패널에 장착되되, 일단에 제1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동 및 수평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장착되되, 일단에 상기 제1홀에 삽입되는 제1후크가 형성되는 그립과;
    상기 그립의 제1후크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의 제1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그립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는
    상기 베이스의 제1홀에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그립의 제1후크가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에는 제2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의 타단에는 상기 제2홀에 삽입되는 제2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제1후크에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일단에는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홀 내부에는 그립암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그립의 제1후크와 상기 레버를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120143648A 2012-12-11 2012-12-11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KR10142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648A KR101428269B1 (ko) 2012-12-11 2012-12-11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DE201310203509 DE102013203509A1 (de) 2012-12-11 2013-03-01 Außengriff für eine Schiebetür
US13/789,636 US8998277B2 (en) 2012-12-11 2013-03-07 Outside handle for sliding door
CN201310088152.7A CN103867027B (zh) 2012-12-11 2013-03-19 用于滑动门的外部把手
JP2013133011A JP6239277B2 (ja) 2012-12-11 2013-06-25 スライディングドア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648A KR101428269B1 (ko) 2012-12-11 2012-12-11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371A KR20140075371A (ko) 2014-06-19
KR101428269B1 true KR101428269B1 (ko) 2014-08-07

Family

ID=5077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648A KR101428269B1 (ko) 2012-12-11 2012-12-11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8277B2 (ko)
JP (1) JP6239277B2 (ko)
KR (1) KR101428269B1 (ko)
CN (1) CN103867027B (ko)
DE (1) DE102013203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7728B (zh) * 2011-06-20 2016-03-30 Adac塑模公司 门把手组件、子组件及其安装方法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CN106401330B (zh) * 2015-07-29 2020-12-04 株式会社有信 门把手装置
JP7046215B2 (ja) 2018-09-27 2022-04-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7336770B2 (ja) 2020-01-17 2023-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647027B1 (ko) * 2021-08-26 2024-03-13 주식회사 프라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33A (ja) * 2001-04-26 2002-11-08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ハンドル構造
JP2007085032A (ja) * 2005-09-20 2007-04-0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8518A1 (de) * 1995-03-10 1996-09-12 Huelsbeck & Fuerst Türverschluß für Fahrzeuge
FR2789427B1 (fr) * 1999-02-05 2001-04-13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9079352A (ja) * 2007-09-25 2009-04-1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ITMI20100723A1 (it) * 2010-04-27 2011-10-27 Valeo Spa Maniglia per sportello di veicolo comprendente un dispositivo di sicurezza
KR101543045B1 (ko) 2010-06-23 2015-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핸들 구동장치
JP5732795B2 (ja) * 2010-09-22 2015-06-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2092636A (ja) * 2010-09-30 2012-05-17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163471B1 (ko) 2010-11-02 2012-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KR101550944B1 (ko) 2010-11-02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장착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33A (ja) * 2001-04-26 2002-11-08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ハンドル構造
JP2007085032A (ja) * 2005-09-20 2007-04-0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67027B (zh) 2017-10-27
CN103867027A (zh) 2014-06-18
JP6239277B2 (ja) 2017-11-29
US8998277B2 (en) 2015-04-07
DE102013203509A1 (de) 2014-06-12
US20140159391A1 (en) 2014-06-12
KR20140075371A (ko) 2014-06-19
JP2014114687A (ja)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6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JP5972919B2 (ja) 車両のドア装置
JP465960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US7770946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9834956B2 (en) Safety mechanism for door handle
KR20140139518A (ko) 후드와 같은 마감 패널을 위한 이중 풀 래치
US10612277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e device
GB2458567A (en) Door latch in a motor vehicle
GB2483965A (en) Vehicle door latch with child lever
US20070138813A1 (en) Hold-open lock structure of sliding door
US10190342B2 (en) Door lock mechanism for vehicle
US7159907B2 (en) Jam-resistant door latch assembly for vehicles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767495B1 (ko) 양방향 열림 동작이 가능한 안티패닉 모티스락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WO2014195928A1 (en) Inside door handle with locking function using single cable
JP487542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467284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KR101089821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142260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829296B1 (ko) 차량의 프론트 패널 개폐장치
TWI512181B (zh) 汽車門鎖的解鎖機構
KR20080009840A (ko) 차량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1467286B1 (ko) 래치볼트 고정레버의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