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027B1 -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027B1
KR102647027B1 KR1020210112769A KR20210112769A KR102647027B1 KR 102647027 B1 KR102647027 B1 KR 102647027B1 KR 1020210112769 A KR1020210112769 A KR 1020210112769A KR 20210112769 A KR20210112769 A KR 20210112769A KR 102647027 B1 KR102647027 B1 KR 10264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ever
vehicle
grip
hand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739A (ko
Inventor
조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21011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0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며, 래치 로드를 통하여 도어 래치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ⅰ)전방부에 구비된 그립 결합부와,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 결합부를 포함하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도어 아웃터 패널의 인너 면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와, ⅱ)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전방부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버 작동부와, 피벗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부를 포함하며, 도어 아웃터 패널의 아웃터 면에 장착되는 핸들 그립과, ⅲ)그립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션 스프링을 통해 그립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레버 작동부에 연결되는 레버 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 부재와, ⅳ)레버 부재에 일체로 구비되어 래치 로드의 레버 결합 단부가 결합되되, 차량 전방을 따른 레버 결합 단부의 결합과, 레버 부재와 레버 결합 단부의 상대적인 회전은 허용하면서 차량 후방을 따른 레버 결합 단부의 이탈은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OUTSIDE DOOR HANDL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래치 로드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차실이 형성되어 있고, 차실을 개폐하기 위해 차실 개폐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차실 개폐 도어는 탑승자가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내측 면에 장착되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과,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 면에 장착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로 구분된다.
이러한 각각의 도어 핸들에는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도어 래치와 연동되게 연결된다. 도어 핸들은 도어 록 장치가 언록 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핸들 조작을 통해 도어 래치를 해방하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도어 핸들을 잡아당기면, 도어 핸들에 연결된 래치 로드가 움직이면서 도어 래치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수 있다.
한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은 도어 아웃터 패널의 인너 면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와, 도어 아웃터 패널의 아웃터 면에 장착되며, 핸들 베이스에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외 측으로 피벗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그립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핸들 그립의 일측 단부에는 핸들 베이스의 일측 단부와 피벗 결합하는 피벗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핸들 그립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핸들 베이스의 다른 일측 단부에 끼워지는 레버 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핸들 베이스의 다른 일측 단부에는 레버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 부재는 스프링을 통해 핸들 베이스의 다른 일측 단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핸들 그립의 레버 작동부와 연결되어 핸들 그립의 당김 및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원 위치 시, 레버 작동부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레버 부재에는 도어 래치와 연결된 래치 로드가 결합되는데, 도어 래치는 도어 래치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도록 일측 단부를 통해 도어 래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 단부를 통해 레버 부재에 연결된다. 여기서, 래치 로드의 다른 일측 단부는 레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클립을 매개로 레버 부재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레버 부재와 래치 로드의 결합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로드 클립을 레버 부재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로드 클립에 래치 로드의 다른 일측 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로드 클립을 회전시켜 래치 로드에 결합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래치 로드를 로드 클립을 통하여 레버 부재에 결합하기 때문에, 부품 수 및 부품 조립 공정 수의 증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로드 클립과 레버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핸들 베이스의 어셈블리를 도어 조립 공정으로 운송하는 중 로드 클립이 레버 부재로부터 이탈되거나 도어 조립 공정에서 래치 로드와 결합된 로드 클립이 레버 부재로부터 이탈됨으로 인해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의 조립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로드 클립을 레버 부재에 억지로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로드 클립을 레버 부재에 끼워서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로드 클립을 삭제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래치 로드가 레버 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차량의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며, 래치 로드를 통하여 도어 래치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ⅰ)전방부에 구비된 그립 결합부와,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 결합부를 포함하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의 인너 면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와, ⅱ)상기 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전방부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버 작동부와, 상기 피벗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의 아웃터 면에 장착되는 핸들 그립과, ⅲ)상기 그립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션 스프링을 통해 상기 그립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레버 작동부에 연결되는 레버 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 부재와, ⅳ)상기 레버 부재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래치 로드의 레버 결합 단부가 결합되되, 차량 전방을 따른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결합과,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상대적인 회전은 허용하면서 차량 후방을 따른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이탈은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차량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그립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차량 후방으로 상기 샤프트부의 축 방향에 편심되게 연장되며,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이 일체로 구비되는 로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 로드의 레버 결합 단부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차량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1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이 차량 전방으로 끼워지는 로드 삽입부와,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삽입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부분을 가이드 하는 제2 로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는 C 타입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삽입부 사이에서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로드 삽입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로드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로드 삽입 홀은 상기 레버 부재에 구비된 로드 연결부의 로드 수용 홈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는, 상기 그립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레버 작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핸들 그립의 피벗 회전량을 규제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체결되는 더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 작동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더미 커버는 볼트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래치 로드를 레버 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로드 클립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및 부품 조립 공정 수의 감소로 인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첨부한 도면들과 연계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레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슬라이더와 핸들 그립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래치 로드 결합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 참조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적에 맞추어 도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예시하는 다양한 선호되는 특징들의 다소 간략한 표현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치수, 방향, 위치, 및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설계 특징들이 특정 의도된 응용과 사용 환경에 의해 일부 결정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한 복수 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 단계들, 작동,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들, 작동,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컴포넌트들이 상호 간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매개 컴포넌트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들 간의 물리적 관계를 표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차량용 도어에서 도어 아웃터 패널(1)의 핸들 장착부(3)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 장착부(3)는 도어 아웃터 패널(1)에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 하나의 예에서,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아웃터 면에서 오목하고, 인너 면에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핸들 장착부(3)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양쪽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를 장착/조립하기 위한 장착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아웃터 면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피벗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도어 래치(도시하지 않음)와 래치 로드(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래치 로드(5)에 의해 작동하는 도어 래치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구성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탑승자에 조작에 의해 차량 폭 방향으로 피벗 회전하게 되면, 래치 로드(5)를 통해 도어 래치의 로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열수 있다.
당 업계에서는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 길이 방향(차체 전후 방향)을 T 방향, 그리고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준 방향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LTH 방향으로 설정하는 대신, 차량 전후 방향, 차량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설정하여 하기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너'라 함은 차량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인너 면 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아웃터'라 함은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아웃터 면 측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상단부', '상부', '상단' 또는 '상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내고, 구성요소의 '하단부', '하부', '하단' 또는 '하부 면'은 도면에서 상대적으로 하측에 있는 구성요소의 단부, 부, 단, 또는 면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단(예를 들어, 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 단 등)은 임의의 한 방향으로 구성요소의 끝을 나타내며, 구성요소의 단부(예를 들어, 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 단부 등)는 그 끝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일정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로드 클립을 삭제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래치 로드(5)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기본적으로, 핸들 베이스(10), 핸들 그립(30), 레버 부재(50), 그리고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 베이스(10)는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인너 면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핸들 장착부(3)에 장착된다.
상기 핸들 베이스(10)는 전방부에 구비된 그립 결합부(11)와,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 결합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그립 결합부(11)는 핸들 장착부(3)의 전방 측 장착 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피벗 결합부(13)는 핸들 장착부(3)의 후방 측 장착 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핸들 그립(30)은 탑숭자의 파지가 가능한 그립 바디로 구비되며,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아웃터 면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핸들 장착부(3)에 장착된다.
상기 핸들 그립(30)은 전방부에 구비된 레버 작동부(31)와,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레버 작동부(31)는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핸들 그립(30)의 전방부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피벗부(33)는 핸들 베이스(10)의 피벗 결합부(13)에 피벗 결합되도록 핸들 그립(30)의 후방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 그립(30)은 피벗 결합부(13)에 피벗 결합된 피벗부(33)를 중심으로 차량 폭 방향을 따라 피벗 회전하는데, 레버 작동부(31)는 핸들 그립(30)의 회전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레버 작동부(31)는 핸들 그립(30)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곡률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 차폭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레버 부재(50)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에 연동하여,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버 부재(50)는 그립 결합부(11)에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부재(50)는 토션 스프링(40)을 통해 그립 결합부(11)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레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레버 부재(50)는 서로 일체로 연결된 바디부(51), 샤프트부(53), 그리고 로드 연결부(5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디부(51)는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에 연결되는 레버 아암(52)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부(53)는 바디부(51)에서 차량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 차량 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연결부(55)는 래치 로드(5)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바디부(51)에서 차량 후방으로 샤프트부(53)의 축 방향에 편심되게 연장된다.
여기서, 이미 언급한 바 있는 상기 토션 스프링(40)은 샤프트부(53)에 장착되는데, 그 토션 스프링(40)의 일단은 그립 결합부(11)에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40)의 타단은 바디부(51)에 지지된다.
이에, 상기 핸들 그립(30)을 잡아당겨 피봇 회전시키면, 레버 작동부(31)는 토션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레버 부재(5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핸들 그립(30)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토션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 부재(50)가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핸들 그립(30)이 원 위치로 복원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은 도어 래치와 연결되는 래치 로드(5)를 레버 부재(50)에 직접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은 레버 부재(50)의 로드 연결부(55)에 일체로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에 적용되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한 바와 같은 래치 로드(5)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에 결합되는 한쪽 단부로서의 레버 결합 단부(7)와, 도어 래치(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되는 다른 한쪽 단부로서의 래치 결합 단부(9)(도 3 및 도 4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레버 결합 단부(7)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부분(8a)과, 제1 부분(8a)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2 부분(8b)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은 래치 로드(5)의 레버 결합 단부(7)가 결합되는데, 차량 전방을 따른 레버 결합 단부(7)의 결합과, 레버 부재(50)와 레버 결합 단부(7)의 상대적인 회전은 허용하면서 차량 후방을 따른 레버 결합 단부(7)의 이탈은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은 서로 일체로 연결된 제1 로드 가이드부(71), 로드 삽입부(73), 그리고 제2 로드 가이드부(7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71)는 레버 부재(50)의 로드 연결부(55)에 일체로 연결되며, 레버 결합 단부(7)의 제1 부분(8a)과 제2 부분(8b)을 차량 전방으로 가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71)는 차량 전방을 따른 레버 결합 단부(7)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71)는 C 타입(예를 들면, C-렌치 타입)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71)는 레버 결합 단부(7)의 제1 부분(8a)과 제2 부분(8b)을 차량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홈(7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드 삽입부(73)는 제1 로드 가이드부(71)의 전방 측에서 레버 부재(50)의 로드 연결부(55)와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로드 삽입부(73)에는 레버 결합 단부(7)의 제1 부분(8a)이 차량 전방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로드 삽입부(73)는 제1 부분(8a)이 차량 전방으로 삽입 가능한 로드 삽입 홀(7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드 삽입 홀(74)은 로드 연결부(55)에 구비된 로드 수용 홈(57)과 연결된다.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75)는 레버 부재(50)와 레버 결합 단부(7)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따라 그 레버 결합 단부(7)의 제2 부분(8b)을 가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75)는 레버 부재(50)와 레버 결합 단부(7)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75)는 제1 로드 가이드부(71)와 로드 삽입부(73) 사이에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2 로드 가이드부(75)는 제1 로드 가이드부(71)와 로드 삽입부(73) 사이에서 레버 부재(5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 홈(76)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로드 삽입부(73)의 로드 삽입 홀(74)은 제1 가이드 홈(72)과의 사이에 제2 가이드 홈(76)을 두고 제1 가이드 홈(72)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71)는 제2 로드 가이드부(75)의 제2 가이드 홈(76)에 위치하는 레버 결합 단부(7)의 제2 부분(8b)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드 스토퍼(7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드 스토퍼(77)는 차량 후방을 따른 레버 결합 단부(7)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슬라이더(80)와 더미 커버(9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80)는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를 지지하면서 그 핸들 그립(30)의 피벗 회전량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80)는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한 슬라이더(80)와 레버 작동부(31)의 결합 구조를 살펴 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에는 슬라이더(80)에 대응하는 걸림 돌기(3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80)에는 걸림 돌기(39)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 돌기(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더미 커버(90)는 핸들 장착부(3)의 전방 측 장착 홀(도시하지 않음)을 커버링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더미 커버(90)는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 결합되며, 슬라이더(80)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80)와 더미 커버(90)는 커버 패드(91)를 통해 그립 결합부(11)를 사이에 두고 볼트(B)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의 래치 로드(5) 결합 과정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8, 그리고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의 래치 로드 결합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래치 로드(5)를 제공하고, 레버 부재(50)가 토션 스프링(4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 베이스(10)를 제공하며, 핸들 베이스(10)에 결합될 핸들 그립(30)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로드(5)의 레버 결합 단부(7)의 제1 부분(8a)과 제2 부분(8b)을 차량 전방을 따라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의 제1 로드 가이드부(71)의 제1 가이드 홈(72)으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결합 단부(7)의 제1 부분(8a)을 로드 삽입부(73)의 로드 삽입 홀(74)에 차량 전방으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부분(8a)은 로드 삽입 홀(74)을 통해 로드 연결부(55)의 로드 수용 홈(57)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로드(5)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레버 결합 단부(7)의 제2 부분(8b)은 제2 로드 가이드부(75)의 제2 가이드 홈(76)에 결합(가이드)되면서 제1 로드 가이드부(71)의 로드 스토퍼(77)와 로드 삽입부(7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부분(8b)이 로드 스토퍼(77)에 스토핑 되어 있기 때문에, 래치 로드(5)의 레버 결합 단부(7)는 차량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래치 로드(5)의 레버 결합 단부(7)가 조립된 핸들 베이스(10)와, 핸들 그립(30)을 도어 조립 공정으로 운송하고, 도어 조립 공정에서 핸들 베이스(10)와 핸들 그립(30)을 도어 아웃터 패널(1)에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핸들 그립(30)의 피벗부(33)를 핸들 베이스(10)의 피벗 결합부(13)에 피벗 결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더(80)가 분리되어 있는 핸들 베이스(10)의 그립 결합부(11)에 더미 커버(90)를 도어 아웃터 패널(1)의 아웃터 면 측에서 결합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를 그립 결합부(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슬라이더(80)를 그립 결합부(11)에 슬라이딩 결합하고, 그 슬라이더(80)와 더미 커버(90)를 볼트(B)로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래치 로드(5)의 래치 결합 단부(9)를 도어 래치(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전 상태에서,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에 의하여 레버 부재(50)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핸들 그립(30)을 잡아당기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그립(30)이 피벗부(33)를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게 되고, 핸들 그립(30)의 레버 작동부(31)는 토션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레버 부재(50)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레버 작동부(31)의 걸림 돌기(39)가 슬라이더(80)의 적어도 하나의 규제 돌기(81)에 걸리면서 핸들 그립(30)의 피벗 회전량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로드(5)는 레버 결합 단부(7)가 레버 부재(50)의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에 결합된 상태로, 레버 부재(50)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면서 레버 부재(50)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며 도어 래치의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 그립(30)에 작용하는 힘을 제거하면, 토션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 부재(50)가 다른 한쪽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핸들 그립(30)이 원 위치로 복원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에 의하면,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애 의하여 래치 로드(5)를 레버 부재(50)에 직접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래치 로드를 레버 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로드 클립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 수 및 부품 조립 공정 수의 감소로 인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70)애 의하여 레버 부재(50)에 대한 래치 로드(5)의 결합 및 회전은 허용하면서 래치 로드(5)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핸들 베이스(10)의 조립체를 도어 조립 공정으로 운송하는 중 래치 로드(5)가 레버 부재(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의 조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래치 로드(5)를 레버 부재(50)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100)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도어 아웃터 패널 3: 핸들 장착부
5: 래치 로드 7: 레버 결합 단부
8a: 제1 부분 8b: 제2 부분
9: 래치 결합 단부 B: 볼트
10: 핸들 베이스 11: 그립 결합부
13: 피벗 결합부 30: 핸들 그립
31: 레버 작동부 33: 피벗부
39: 걸림 돌기 40: 토션 스프링
50: 레버 부재 51: 바디부
52: 레버 아암 53: 샤프트부
55: 로드 연결부 57: 로드 수용 홈
70: 래치 로드 결합 유닛 71: 제1 로드 가이드부
72: 제1 가이드 홈 73: 로드 삽입부
74: 로드 삽입 홀 75: 제2 로드 가이드부
76: 제2 가이드 홈 77: 로드 스토퍼
80: 슬라이더 81: 규제 돌기
90: 더미 커버 91: 커버 패드
100: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laims (11)

  1. 차량의 도어 아웃터 패널에 장착되며, 래치 로드를 통하여 도어 래치와 연결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로서,
    전방부에 구비된 그립 결합부와,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 결합부를 포함하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의 인너 면에 장착되는 핸들 베이스;
    상기 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전방부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버 작동부와, 상기 피벗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후방부에 구비된 피벗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패널의 아웃터 면에 장착되는 핸들 그립;
    상기 그립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션 스프링을 통해 상기 그립 결합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레버 작동부에 연결되는 레버 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레버 부재;
    상기 레버 부재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래치 로드의 레버 결합 단부가 결합되되, 차량 전방을 따른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결합과,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상대적인 회전은 허용하면서 차량 후방을 따른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이탈은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래치 로드 결합 유닛;
    상기 그립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레버 작동부를 지지하며, 상기 핸들 그립의 피벗 회전량을 규제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그립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체결되는 더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작동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응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규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더미 커버는 볼트를 통해 서로 체결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레버 아암이 일체로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차량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그립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차량 후방으로 상기 샤프트부의 축 방향에 편심되게 연장되며,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이 일체로 구비되는 로드 연결부
    를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로드의 레버 결합 단부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로드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차량 전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1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이 차량 전방으로 끼워지는 로드 삽입부와,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삽입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레버 결합 단부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부분을 가이드 하는 제2 로드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는 C 타입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드 스토퍼
    를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로드 가이드부와 상기 로드 삽입부 사이에서 상기 레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삽입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로드 삽입홀
    을 포함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삽입 홀은,
    상기 레버 부재에 구비된 로드 연결부의 로드 수용 홈과 연결되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112769A 2021-08-26 2021-08-26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64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69A KR102647027B1 (ko) 2021-08-26 2021-08-26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769A KR102647027B1 (ko) 2021-08-26 2021-08-26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39A KR20230030739A (ko) 2023-03-07
KR102647027B1 true KR102647027B1 (ko) 2024-03-13

Family

ID=8551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769A KR102647027B1 (ko) 2021-08-26 2021-08-26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0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505B1 (ko) * 2004-03-15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의 압축 코일 스프링 적용구조
KR101428269B1 (ko) * 2012-12-11 2014-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용 아웃사이드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39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038B2 (en) Vehicle door latch structure
KR102104888B1 (ko) 차량용 오토 플러쉬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5944375A (en) Movable roof construction for an open passenger car
US7226110B2 (en) Convertible top latch
US9091102B2 (en) Dual hood latch assembly
US4662109A (en) Sliding door lock arrangement
US20080258552A1 (en) Fuel Filler Door Interlock Assembly
EP3699005B1 (en) Automobil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EP2636551A2 (en) Vehicle door structure
JP3268837B2 (ja) 自動車用ルーフ装置
KR102647027B1 (ko)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US6868930B2 (en) Automobile vehicle including associated body parts with reduced clearance
US20170298657A1 (en) Dual cable door latch release mechanism
CN115071382A (zh) 滑动门构造
DE10392867T5 (de) Außentürgriff eines Fahrzeugs
KR10050692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홀드 오픈 록장치
CN111140109B (zh) 用于车辆的双致动闩锁机构
US7073838B2 (en) Separation/attachment of seat for vehicles
KR19990078921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EP1428709B1 (en) A split tailgat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3263802B2 (ja) スライドドアのハンドル装置
USRE31899E (en) Remote control arrangement
US7654605B2 (en) Roof opening/closing apparatus
JP2500175Y2 (ja) 車両のスイングスライド式ドア構造
CN220548998U (zh) 手套箱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