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349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349B1
KR101427349B1 KR1020060107376A KR20060107376A KR101427349B1 KR 101427349 B1 KR101427349 B1 KR 101427349B1 KR 1020060107376 A KR1020060107376 A KR 1020060107376A KR 20060107376 A KR20060107376 A KR 20060107376A KR 101427349 B1 KR101427349 B1 KR 101427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call
message
call connection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709A (ko
Inventor
이규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349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응급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여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응급 구조 센터로 제공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EMERGENCY CALL, 위치 정보, 911, ORM, GPS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S THE LOCATION OF US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R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응급 호 연결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소용량 기지국의 자원 고갈시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절도나 화재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관공서(응급 구조 센터)로 구조 요청을 함으로써, 자신과 주위 사람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강·절도를 당한 경우에는 112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119로 전화를 걸어 강·절도나 화재 신고를 하는데 상기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신고자는 사고 발생 위치 및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직접 구두로 설명해야한다.
하지만, 노인, 어린이, 장애우들과 같이 언어 전달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자가 긴급 호 연결을 수행할 시에는 몹시 당황하여 정확한 신고가 힘들어 구조의 지 연이 발생함에 따라 소중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응급 구조를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구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파악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긴급 상황이 발생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를 신속히 구조하기 위하여 긴급 호 연결의 수행시 사용자의 위치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응급 호 연결 수행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응급 구조 센터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응급 호 연결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용량 기지국 환경에서 응급 호 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응급 호 연결(Emergency Call)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상기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응급 호 연결(Emergency Call)시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성 신호 수신 모듈과,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위성 신호 수신 모듈을 제어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메시지 형식으로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응급 호 연결(Emergency Call)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달하기 위한 기지국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 기 위한 방법은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응급 호(Emergency Call) 연결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응급 구조 센터와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한 후,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응급 호 연결(Emergency Call) 요청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응급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할 경우, 응급 구조 센터로 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호 연결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발신 호 메시지에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를 이용하여 응급 호 연결(Emergency Call)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응급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할 경우,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발신 호 메시지에 입력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9 견지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응급 호(Emergency Call) 연결 요청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를 확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한 후, 응급 구조 센터와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연결 수행 후,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응급 호 연결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응급 호 연결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기지국(1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02),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 및 통신부(106)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응급 호 연결을 감지할 경우, 상기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을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에 입력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02)가 사용자로부터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을 통하여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위치 정보를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에 입력하여 상기 기지국(11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기지국(110)과의 통화 연결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을 통해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11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은 상기 제어부(102)의 지시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통신부(106)는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기지국(110)과 통신하여 응급 호 연결을 위한 요청 및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110)은 기지국 제어부(114), 통신부(112), 위치 정보 획득 부(1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제어부(11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16)로 하여금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10)의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통신 연결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16)는 상기 기지국 제어부(114)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발신 호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201), 기지국(203), 교환기(205) 및 응급 구조 센터(207)로 구성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1)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1)를 통해 응급 구조 센터(207)로 통화 연결 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응급 구조 센터(207)와의 통화 연결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1)가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응급 구조 센터(207)의 착신 번호(예 ; 911)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를 상기 기지국(203)으로 전송(210)함으로써 수행한다.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203)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의 등록을 위한 CM 서비스 요구(C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교환기(205)로 전송(212)한다.
이후, 상기 교환기(205)는 상기 응급 구조 센터와 페이징(Paging) 과정을 수행(214)한 후, 상기 기지국(205)으로 무선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Assignment Request)를 송신(216)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응급 구조 센터(207)와 호 연결을 수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1)는 위성 신호 수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220)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1)는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응급 구조 센터(207)로 전송(224)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1)가 상기 응급 구조 센터(207)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메시지는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로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 위치 결정 데이터 메시지(PDDM ; Position Determination Data Message)와 같은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BM ; Data Burst Message)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2)는 먼저 3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요청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2)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2)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110)으로 응급 구조 센터와의 연결을 위한 응급 호 연결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응급 구조 센터와 연결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2)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을 제어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메 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는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제공되는 정보로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102)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생성한 위치 정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10)으로 전송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14)는 먼저 4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응급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한 후,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응급 구조 센터간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4)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는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제공하는 정보로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말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4)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 메시지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응급 호 연결 요청이 발생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501)는 먼저 위성 신호 수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수신(509)한 후, 기지국(503)으로 전송하는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에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알리는 값을 입력(511)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도 8과 같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와 응급 호 연결을 알리는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도 8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필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 기 발신 호 메시지의 SERVICE_OPTION 필드(801)는 일반 호와 응급 호를 구별하는 값을 포함하는 필드이고, CHARi 필드(803)는 호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착신 번호를 포함하는 필드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킨다.
상기 발신 호 메시지에 응급 호 연결을 알리는 값을 입력하는 방법은 하기 <표 1>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 <표 1>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서비스 옵션 필드를 나타내며, 상기 서비스 옵션 필드의 값은 3GPP2 C.R1001-D. Version 1.0에 명시되어 있다.
Proprietary Indicator Service Option Revision Base Service Number
1 bit 3 bit 12 bit
여기에서, Proprietary Indicator는 서비스 옵션 값이 표준에 정의된 번호(Standard) 인지 사업자에 의해 정의된 번호(Proprietary) 인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상기 Proprietary Indicator 값이 "0" 이면 Standard 값을 뜻하고, "1" 일 경우에는 Proprietary 값을 뜻한다.
Service Option Revision는 서비스 옵션 필드 포멧에 따른 버젼으로 일반적으로 "000" 3 bit를 사용한다.
Base Service Number는 실질적인 서비스 옵션 값으로 통화 연결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만일, 911로 통화하고자 할 경우, 상기 Proprietary Indicator 가 1일 경우 0911이고, Proprietary로 사업자마다 정할 경우, 8911이 될 수 있다.
상기 발신 호 메시지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하기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 <표 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필드로 상기 필드에 좌표 정보를 ASCII 값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입력해야 한다.
DIGIT_MODE 1
NUMBER_TYPE '000' (Unknown)
NUMBER_PLAN '0011' (Data numbering plan)
MORE_FIELDS 0
NUM_FIELDS CHARi 에 포함될 ASCII length
CHARi NUM_FIELDS 에 입력된 length 만큼 ASCII 로 표현된 좌표계 정보
여기에서, 상기 DIGIT_MODE는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상기 DIGIT_MODE 값이 "0" 경우 8 bit(ASCII)를 사용하고, 상기 값이 "1"일 경우, 4 bit(DTMF)를 사용한다.
상기 NUMBER_TYPE은 상기 DIGIT_MODE가 1인 경우에만 사용하며, 상기 NUMBER_TYPE은 3GPP2 C.S0005-A v6.0 의 Table 2.7.1.3.2.4-2 Number Types에 정의되어 있다.
상기 NUMBER_PLAN은 사용자와 통신망의 규약 언어로 상기 DIGIT_MODE가 1인 경우에만 사용하며, 3GPP2 C.S0005-A v6.0 의 Table 2.7.1.3.2.4-3 Numbering Plan Identification 리스트 가운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CHARi는 실질적인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담는 필드로써, 상기 DIGIT_MODE의 값에 따라 ASCII 코드나 복합 주파수 부호(DTMF ; Dual Tone Multi-Frequency)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정보는 TM(Transverse Mercator)좌표,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좌표 등 상황에 맞게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의 입력을 완료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는 상기 기지국(503)으로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503)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서비스 옵션을 확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획득(515)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기지국(503)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의 등록을 위한 CM 서비스 요구(C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교환기(505)로 전송(517)한다.
이후, 상기 교환기(505)는 상기 응급 구조 센터(507)와 페이징(Paging) 과정을 수행(519)한 후, 상기 기지국(503)으로 무선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Assignment Request)를 송신(521)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응급 구조 센터(507)와 호 연결을 수행(523)하게 되면, 상기 기지국(503)은 상기 획득한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환기(505)를 통해 상기 응급 구조 센터(507)로 전송(525)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응급 구조 센터(507)는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50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02)는 먼저 6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요청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2)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02)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위성 신호 수신 모듈(104)을 통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발신 호 메시지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착신 번호 정보를 담는 CHRi 필드에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2)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입력한 발신 호 메시지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110)의 제어부(114)는 먼저 70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발신 호 메시지는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4)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 획득부(116)로 하여금 상기 수신한 발신 호 메시지에서 상기 응급 호 연결을 요청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시한다.
이후,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116)에 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완료한 경우, 상기 제어부(114)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응급 구조 센터 간의 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호 연결 후, 상기 제어부(114)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703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응급 구조 센터로 전송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소용량 기지국의 자원 고갈시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는 소용량 기지국을 사용하여 응급 호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응급 호 연결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901)는 기지국(903)으로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를 전송한다.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903)은 사용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만일 사용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통화 상태인 일반 호 가운데 임의의 일반 호를 강제 종료(911)시킨 후, 상기 강제 종료한 호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913)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응급 호 연결에 따라 통화 연결이 종료됨을 알리는 메시지(예 ; Emergency State, Call again later~ plz)로 사용자에 의한 재다이얼링을 방지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이후, 상기 기지국(903)은 네트워크 접속 기능의 등록을 위한 CM 서비스 요구(C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교환기(905)로 전송(915)한다.
이후, 상기 교환기(905)는 상기 응급 구조 센터(907)와 페이징(Paging) 과정을 수행(917)한 후, 상기 기지국(903)으로 무선 자원 할당 요청 메시지(Assignment Request)를 송신(919)하여 상기 응급 구조 센터(907)와 호 연결을 수행(921)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901)는 상기 응급 구조 센터(907)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901)의 위치 정보를 전송(923)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도 2 및,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방법(발신 호 메시지에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응급 구조 센터와의 연결 후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발신 호 메시지(ORM ; Origination Message)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자동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직접 응급 상황 발생 위치를 구두로 설명하지 않아도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응급 구조 센터에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4)

  1. 휴대용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착신번호가 입력되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ORM: 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호 연결을 시도하는 동작은, 착신 측 단말기에 호 자원이 부족한 상태일 경우,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호를 위해, 연결 중인 호 가운데 어느 하나가 강제 종료 되어 획득된 자원을 통해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서비스 옵션 필드에 응급 호를 알리는 정보를 추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캐리(Chari) 필드에 위치 정보를 추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기지국의 호 연결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발신 호 메시지(ORM: Origination Message)를 수신하여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요청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요청에 대하여 발신 호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착신측 단말기와 호 연결을 수행한 후, 발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호 연결을 수행한 후, 발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은,
    호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연결 중인 호 가운데 어느 하나를 강제 종료한 후,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호 메시지에 대한 호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단말기와 호 연결을 수행한 후, 발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은,
    강제 종료한 호를 이용하는 단말기로 응급 호 연결에 따른 통화 종료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호 연결을 시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성 신호 수신 모듈 및,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착신번호가 입력되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ORM: Origination Message)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착신 측 단말기에 호 자원이 부족한 상태일 경우,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호를 위해, 연결 중인 호 가운데 어느 하나가 강제 종료 되어 획득된 자원을 통해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서비스 옵션 필드에 응급 호를 알리는 정보를 추가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 호 메시지의 캐리(Chari) 필드에 위치 정보를 추가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호 연결을 처리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발신 호 메시지(ORM: Origination Message)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단말기로부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요청인지 확인하고, 상기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요청에 대하여 발신 호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착신측 단말기와 호 연결을 수행한 후, 발신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호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상기 발신 호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연결 중인 호 가운데 어느 하나를 강제 종료한 후, 응급 호 연결이 필요한 발신 호 메시지에 대한 호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강제 종료한 호를 이용하는 단말기로 응급 호 연결에 따른 통화 종료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60107376A 2006-11-01 2006-11-0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427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376A KR101427349B1 (ko) 2006-11-01 2006-11-0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376A KR101427349B1 (ko) 2006-11-01 2006-11-0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09A KR20080039709A (ko) 2008-05-07
KR101427349B1 true KR101427349B1 (ko) 2014-08-06

Family

ID=3964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376A KR101427349B1 (ko) 2006-11-01 2006-11-0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3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777A (ja) * 2000-05-12 2001-11-16 Nec Corp 移動体通信交換システム及び緊急呼の接続処理方法
KR20050045639A (ko) * 2003-11-12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유-씨디엠에이 패킷교환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 제공서비스를 이용한 응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88597A (ko) * 2004-03-02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60030336A (ko) * 2004-10-05 2006-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777A (ja) * 2000-05-12 2001-11-16 Nec Corp 移動体通信交換システム及び緊急呼の接続処理方法
KR20050045639A (ko) * 2003-11-12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유-씨디엠에이 패킷교환 시스템에서의 위치정보 제공서비스를 이용한 응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88597A (ko) * 2004-03-02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긴급 구조 메시지 처리 방법
KR20060030336A (ko) * 2004-10-05 2006-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09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819B2 (en) Control and messaging during emergency calls
US5937355A (en) Emergency call handling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754608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긴급 발신 방법 및 장치
US7248853B1 (en) Direct communication and localisation of mobile end equipment and emergency handling
US6014555A (en) System for providing the telephone number of a telephone making an emergency call
WO1997039594A1 (en) Providing different routing treatments for emergency calls based on subscriber specified data
CA213579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bound ca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fixed communication units coupled to a telephone system by a telephone line shared in common
KR100703297B1 (ko) 위치정보서비스 장치 및 방법
EP1253798A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4273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US20120195260A1 (en) Packet switched eCall connection
JP2006133828A (ja) 緊急時の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サーバ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
KR20050040373A (ko) 비상버튼이 내장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구조요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3083752B2 (ja) 緊急呼制御方式
US9042861B2 (en)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method
JP2018152718A (ja) 携帯電話機遠隔制御機能を有する内線電話機
JP2003152867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呼通知方式
JP2004265191A (ja) 緊急通報管理装置、移動体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緊急通報発信方法、緊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通報方法
JPH1123292A (ja) 簡易型車両管理システム
JP3056145B2 (ja) 紛失携帯電話端末探知システム
KR100594080B1 (ko) 발신번호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291022A (ja) 位置情報センター、携帯端末、位置情報システム、および通話方法
JP2000196491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10127571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JP2002171571A (ja) 移動体無線通信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管理セ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