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718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718B1
KR101275718B1 KR1020060090439A KR20060090439A KR101275718B1 KR 101275718 B1 KR101275718 B1 KR 101275718B1 KR 1020060090439 A KR1020060090439 A KR 1020060090439A KR 20060090439 A KR20060090439 A KR 20060090439A KR 101275718 B1 KR101275718 B1 KR 10127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atus
information
mobil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5813A (ko
Inventor
김지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7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통화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 시,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들을 설정한 후, 통화 가능지역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며, 상기 측정된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는, 상기 통화 음영지역에서 이탈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통화 음영지역에서 이탈하는 경우, 또는 단말기의 송수신 불능 시와 같은 상태정보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어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상태 통보, 통화 음영지역, 송수신 불능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OF MOBILE EQUIPMENT ST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음영지역에서 이탈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영지역으로의 진입 및 이탈 시의 메시지 전송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불능 시 상태통보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송수신이 잘 되지 않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경우, 또는 송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곳으로 상태정보를 전송하는데 적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 이다.
통화 음영지역이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파를 단말기가 수신할 수 없는 지역으로서, 대형빌딩의 내부, 혹은 산이나 언덕의 뒤편, 터널이나 유원지, 산골짜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단말기는 전화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통화 중이었다면 갑자기 통화가 끊기게 되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통화 음영지역에는 이동통신사가 중계기를 설치하여 전파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모든 음영지역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는 없으므로 음영지역들은 곳곳에 존재할 수 있으며, 특히 도심 지역보다는 비도심 지역에 대부분 분포한다.
상기와 같이 통화 음영지역이 거의 없는 도심 지역에서 사용자가 통화 음영 지역으로 진입을 했다면, 이는 사태의 심각성을 충분히 의심할 만한 상황이며, 납치나 실종사건의 경우 초동 수사의 중요성을 생각한다면 사건이 발생한 시점에서 주변인이나 경찰이 이를 빨리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음영지역이 간혹 존재하는 비도심이라도 음영지역을 통과하는 시간이 길거나 다른 음영지역으로의 진입 시, 만일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음역지역에 사용자가 진입하더라도 대처할 방안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통화 가능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 및 동 지역 이탈 시, 이를 미리 지정해 둔 다른 단말기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알림으로써, 메시지를 받은 사용자가 그 상황을 판단하여 다음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강제종료나 고장 등의 이유로 주기적인 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면, 상기 단말기를 송수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여 미리 등록된 사용자들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화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 시,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들을 설정한 후, 통화 가능지역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는, 상기 통화 음영지역에서 이탈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화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 시,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들을 설정한 후, 통화 가능지역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는, 상기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이동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큰 경우는, 상기 통화 음영지역에서 이탈했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태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나 보안업체로 전송하는 이동 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단말기가 상태정보 송신불능 시, 이에 대한 상태이상 메시지를 수신할 제 2단말기를 이동교환기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제 1단말기가 이동교환기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기에서 상기 제 1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일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의 상태정보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는, 상기 이동교환기가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상기 제 1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임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교환기로 상태정보 송신불능 시, 이에 대한 상태이상 메시지를 수신할 제 2단말기를 이동교환기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교환기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 1단말기와, 상기 제 1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일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의 상태정보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상기 제 1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임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교환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음영지역에서 이탈 시, 이를 미리 지정해 둔 다른 단말기들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그 상황을 판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강제종료 되었거나 고장 등의 이유로 주기적인 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면,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한다.)에서 상기 단말기를 송수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여 미리 지정해둔 사용자들에게 단말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음영지역에서 이탈하는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40)는 통화 가능 셀 영역내에 위치한 기지국(130)과 수신 신호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이때, 상기 신호 감도 측정은 단말기(140)와, 기지국(130) 상호간에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측정되는 신호 감도는 신호의 세기와 품질 등이 측정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140)는 측정된 신호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다면, 상기 단말기(140)가 음영지역(160)에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130)으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단말기(140)의 사용자가 음영지역(160)으로의 진입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단말기(140)내에서 문자나, 소리 및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미리 경고하도록 한다. 상기 기지국(130)으로 전송된 상태 메시지는 MSC(110)를 경유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150)의 사용자에게 상태메시지를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MSC(110)는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상태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150)나 보안업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문자로된 상태 메시지의 전달 방식은, 단말기(140)에서 기지국(130)으로 전송한 상태 메시지는 MSC(110)를 경유하여 문자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SC라 한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며, 이후 상 기 다른 단말기(150)나 보안업체로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음영지역(160)에 진입했던 단말기(140)가 이탈하여 통화 가능 셀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즉, 기지국(13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감도를 측정하여 임계값 보다 커서 통화가 가능한 경우는, 이에 대한 상태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130)과 MSC(110)를 경유하여 미리 설정된 단말기(150)의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기지국(130)에서도 단말기(130)의 신호 감도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130)가 음영지역(160)으로의 진입이나 이탈시 수신되는 신호 감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단말기(140)가 아닌 기지국(130)에서 상태메시지 전송여부를 판단하여 MSC(1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영지역으로의 진입 및 음영지역에서의 이탈 시 메시지 전송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단말기 A는 통화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 시, 이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 B와 복수의 알리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들을 설정한 후, 단계 220에서 통화 가능지역의 수신신호 감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이후 단계 230에서 단말기 A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신호값이 수신되는 경우는 음영지역으로 진입해가는 것이므로, 단계 240으로 진행하여 단말기 B에게 단말기 A가 음영지역으로의 진입해가는 상태임을 메시지로 전송한다. 현재 단말기 A도 음영지역에 진입중임을 알 수 있도록 설정된 상태이거나, 다른 단말기와 통화중인 경우는 문자나, 소리 및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음영지역에 진입 중임을 미리 경고해준다.
상기 단계 230에서 통화 음영지역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이거나, 단계 240에서 음영지역에 진입한 경우이면, 단계 250으로 진행하여 통화 음영지역에서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신호값이 수신되는 경우는 음영지역에서 이탈한 것이므로, 단계 260으로 진행하여 단말기 B에게 단말기 A가 음영지역에서 이탈했음을 메시지로 전송한다.
이에 하기 (표 1)에서는 통화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 시 전송할 메시지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음영지역 진입 시 음영지역 이탈 시


1) 011-234-5678님이 청계산 부근에서 통화권 이탈 하였습니다 1) 011-234-5678님이 청계산 부근에서 통화권으로 진입하였습니다.
2) 홍길동님이 분당구 시흥동에서 의왕시 청계동 방향으로 가는 중에 통화권 이탈 하였습니다. 2) 홍길동님이 의왕시 청계동 방향에서 통화권으로 진입하였습니다.
상기 (표 1)과 같은 메시지들은 미리 설정되어 다른 단말기들에게 문자나 음성메시지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도 1은 단말기 자체적으로 신호감도를 측정하여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시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이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강제 종료된 상태라면, 이에 대한 신호감도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위급한 상황이라면, 핸드폰에서 직접적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보다 MSC에서 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상태이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더 좋은 방안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강제 종료시 단말의 상태정보 전송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단말기 A가 상태정보 송신불능 시, 단말기 A의 상태이상 메시지를 수신할 단말기 B를 MSC에 등록하고, 단계 320에서 단말기 A가 속해있는 셀 영역의 기지국으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태정보는 MSC로 전달한다. 이때 상태정보는 단말기의 등록정보, 위치정보, 전파 수신율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단계 330에서 MSC는 단말기 A의 상태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는 주기적인 상태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서, 단말기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한 상태이거나, 단말기의 침수나, 파손으로 인한 고장 등으로 송수신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거나, 사용자나 혹은 타인에 의해 단말기와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도 단말기 A로부터의 상태정보를 전송 받지 못한 MSC는 단계 340에서 미리 등록된 단말기 B에게 단말기 A가 강제종료 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기 B 사용자가 단말기 A의 상황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계 310에서 미리 등록된 휴대폰 B외에 가족, 경찰서 등의 연락처가 등록된 경우는 모든 등록된 연락처로 문자나 음성으로 전송한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기 A가 비정상 상태에서 주기적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상상태로 복귀한 경우에도 이에 대한 정보를 등록된 단말기 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하기 (표 2)에서는 통화 음영지역 진입 및 이탈 시 전송할 메시지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말기의 상태이상 감지 시 단말기의 정상상태 복귀 시


011-234-5678님의 단말기가 청계산 부근에서 상태이상이 감지되었습니다. 011-234-5678님의 단말기가 청계산 부근에서 정상상태로 복귀되었습니다.
홍길동님의 단말기가 분당구 시흥동에서 의왕시 청계동 방향으로 가는 중에 상태이상이 감지되었습니다. 홍길동님의 단말기가 분당구 시흥동에서 의왕시 청계동 방향으로 가는 중에 정상상태로 복귀되었습니다.
상기 (표 2)과 같은 메시지들은 미리 설정되어 다른 단말기들에게 문자나, 음성 메시지로 전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통화 가능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며,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음영지역에서 이탈 시, 이에 대한 사항을 미리 지정해 둔 주변 사람들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가 강제종료 되었거나 고장 등의 이유로 주기적인 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면, 이동교환기에서 상기 단말기를 송수신 불능 상태로 판단하여 미리 지정해둔 주변 사람들에게 단말기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특정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하거나, 통화 음영지역에서 이탈하는 경우, 또는 단말기의 송수신 불능 시와 같은 상태정보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주어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단말기가 상태정보 송신불능 시, 이에 대한 상태이상 메시지를 수신할 제 2단말기를 이동교환기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제 1단말기가 이동교환기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기에서 상기 제 1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일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의 상태정보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는, 상기 이동교환기가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상기 제 1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임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단말기의 등록정보, 위치정보, 전파 수신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상태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단말기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한 상태이거나, 단말기의 침수나, 파손으로 인한 고장 상태이거나, 단말기와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가 비정상상태에서 주기적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상상태로 복귀한 경우는, 상기 이동교환기에서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교환기로 상태정보 송신불능 시, 이에 대한 상태이상 메시지를 수신할 제 2단말기를 이동교환기에 등록하고,
    상기 이동교환기로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제 1단말기와,
    상기 제 1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일정시간이 지나도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의 상태정보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는,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상기 제 1단말기가 비정상 상태임을 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교환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단말기의 등록정보, 위치정보, 전파 수신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기로부터 주기적인 상태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단말기가 통화 음영지역으로 진입한 상태이거나, 단말기의 침수나, 파손으로 인한 고장 상태이거나, 단말기와 배터리가 강제로 분리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기는, 상기 제 1단말기가 비정상상태에서 주기적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상상태로 복귀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상태를 통보하기 위한 장치.
KR1020060090439A 2006-09-19 2006-09-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KR10127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439A KR101275718B1 (ko) 2006-09-19 2006-09-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439A KR101275718B1 (ko) 2006-09-19 2006-09-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813A KR20080025813A (ko) 2008-03-24
KR101275718B1 true KR101275718B1 (ko) 2013-06-14

Family

ID=39413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439A KR101275718B1 (ko) 2006-09-19 2006-09-1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834B1 (ko) * 2018-12-19 2023-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티드 센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342A (ja) * 1998-10-15 2000-04-28 Nec Commun Syst Ltd 移動端末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移動端末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20040043351A (ko) * 2002-11-18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불능 안내방법
KR20050093296A (ko) * 2004-03-18 200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96848A (ko) * 2005-03-04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드롭 사전 통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342A (ja) * 1998-10-15 2000-04-28 Nec Commun Syst Ltd 移動端末位置情報通知方法及び移動端末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KR20040043351A (ko) * 2002-11-18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불능 안내방법
KR20050093296A (ko) * 2004-03-18 200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96848A (ko) * 2005-03-04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드롭 사전 통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813A (ko) 2008-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819B2 (en) Control and messaging during emergency calls
US88119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pdated mobile station location estimates to emergency services providers
JP2005510157A (ja) 緊急救助支援
WO2006135553A3 (en) A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1600209A (zh) 一种识别被复制的客户识别模块卡的方法、装置及系统
JP4602877B2 (ja)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KR100703297B1 (ko) 위치정보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27571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CN103379450A (zh) 漏话通知方法、装置及系统
US20040242211A1 (en) Mobile subscriber station with low frequency call alerting capability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20050011612A (ko) 이동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를 이용한 주변인물 신원확보를 통한 비상구호 시스템
US6169908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US20060246958A1 (en) Alerting feature for RF availability of mobile subscriber
KR100810880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위급 정보 통보 시스템 및 방법과 그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0534104C (zh) 一键式小灵通定位终端和无线固话的组合定位方法
AU763852B2 (en) Method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providing signal strength and mobile station information to monitoring agency
JP2001148084A (ja) 携帯形端末装置の位置報知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用いる携帯形端末装置
JP3566897B2 (ja) 移動機、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状態通知方法
JP2002171571A (ja) 移動体無線通信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管理センタ
KR100645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시스템 및 방법
JPH06189359A (ja) 位置通知電話システム
KR100732482B1 (ko) 인증을 통한 단말기 분실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4719346B2 (ja) 通報装置および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