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841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841B1
KR101128841B1 KR1020050088900A KR20050088900A KR101128841B1 KR 101128841 B1 KR101128841 B1 KR 101128841B1 KR 1020050088900 A KR1020050088900 A KR 1020050088900A KR 20050088900 A KR20050088900 A KR 20050088900A KR 101128841 B1 KR101128841 B1 KR 10112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saster
disaster alert
channel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329A (ko
Inventor
권기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8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84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하는 위치 결정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서 연산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도 및 상기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터 및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STP(Signaling Transfer Point)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비를 구비하여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통보하는 재해 경보 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통신 채널을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기 통신 채널과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중계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상기 STP를 경유하여 상기 위치 센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해 경보 시스템에 접속하고,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알림으로써, 자연 재해 및 인적 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채널 변경, 재해 경보, 위치 정보, 관공서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larming Natural Disaster by Changing Channe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GPS 인공위성 110: 이동통신 단말기
120: 무선 접속망 122: 기지국 전송기
124: 기지국 제어기 130: 이동통신 교환국
132: HLR 134: STP
140: 위치 센터 150: 위치 결정 서버
152: GPS 안테나 160: 재해 구조 센터
170: 재해 경보 시스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재해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채널 변경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 무선 기지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재해 경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통신 채널로 변경하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알림으로써,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재해는 크게 자연 재해와 인적 재해로 나누어지는데, 자연 재해는 태풍, 홍수, 호우, 폭풍, 해일, 폭설, 가뭄, 전염병 및 지진 등 자연 현상으로 인한 재해를 포함하며, 인적 재해는 화재, 교통 사고, 항공 사고, 철도 사고, 구조물의 붕괴 등 인공 설비 또는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를 의미한다.
재해와 관련된 정보는 재해 대책 본부, 국토 관리청, 기상청, 홍수 통제소, 가스 안전 공사, 경찰청, 보건 복지부 등에서 수집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중앙 재해 대책 본부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해 대책 본부와 같은 경보 발령 기관 및 방송사로 전달되어 재해 상황에 따른 경보가 발령된다. 이와 같은 재해 시 긴급 상황을 전달할 수 있는 매체로는 텔레비전과 라디오와 같은 공중파 방송 매체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재해 지역 주민 및 해당 공무원은 방송 매체를 통하여 긴급 상황을 전달받게 된다.
그러나 재해에 의한 재해 발생 지역의 주민이나 해당 지역을 여행하는 여행 객 등은 긴급 상황과 관련한 공중파 방송을 시청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재해 지역의 주민이나 여행객이 재해에 적기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가 가중된다. 특히, 이와 같은 재해 경보 체계는 국지적으로 수시로 발생하는 재해에 대해서는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사태의 초동 단계에서 재해 지역의 주민이나 여행객에게 통보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경보 발령 시기를 놓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해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채널 변경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 무선 기지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재해 경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통신 채널로 변경하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알림으로써,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가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하는 위치 결정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 호에 따라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서 연산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도 및 상기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터 및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STP(Signaling Transfer Point)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비를 구비하여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통보하는 재해 경보 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통신 채널을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기 통신 채널과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중계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상기 STP를 경유하여 상기 위치 센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가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하는 위치 결정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서 연산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도 및 상기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터,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STP, 무선 통신 장비를 구비하여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통보하는 재해 경보 시스 템 및 관공서로 재해 경보를 통보하는 재해 구조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의 상기 통신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연결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GPS 인공위성(102), 이동통신 단말기(110),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120), 이동통신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13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132), 신호 중계점(STP: Signaling Transfer Point, 이하 'STP'라 칭함)(134), 위치 센터(MPC: Mobile Position Center)(140), 위치 결정 서버(PDE: Position Determination Entity)(150), GPS 안테나(152), 재 해 구조 센터(160) 및 재해 경보 시스템(170) 등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하나 이상의 GPS 인공위성(102)으로부터 GPS 전파 신호를 수신하여 GPS 전파 신호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Navigation Data)를 추출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150)로 전송하는 GPS 안테나, GPS 수신기, GPS 칩셋(Chipset) 등이 장착된 단말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현재까지 가장 뛰어난 측위 알고리즘으로 알려진 미국 퀄컴(Qualcomm)사의 측위 기술인 gpsOneTM 알고리즘이 탑재된 MSMTM(Mobile Station Modem)칩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CDMA-2000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 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재해 경보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재해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무선 접속망(120)을 통하여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송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지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접속망(120)은 기지국 전송기(122) 및 기지국 제어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124)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 전송기(122)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124)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접속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신호 채널 중 트래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124)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10) 및 기지국 전송기(122)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기지국 전송기(122)를 통하여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IS-95 A/B/C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세대 및 4세대를 위한 이동통신 교환국(13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ATM 스위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가입자 등록, 갱신 기능 및 기지국 제어기(124)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성 제어부(Mobility Control Subsystem), 셀 단위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제어부(Call Control Subsystem), 각종 부가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과금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어부(Service Control Subsystem),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 부가 서비스부(Intelligent Peripheral Subsystem) 등의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할당된 통신 채널을 재해 경보 시스템(170)에서 사용하는 통신 채널과 동일하게 변경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재해 경보 시스템(170)과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여 연결되도록 중계 역할을 하 며,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재해 경보 신호를 STP(134)를 경유하여 위치 센터(140)로 전송한다.
HLR(132)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교환국(13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LR(132)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STP(134)는 ITU-T의 공통선 신호 방식에 있어서 신호 메시지의 중계 및 교환을 수행하는 신호 중계국이다. STP(134)를 사용하여 구성한 신호망은 통화 회선과 신호 링크에 대응시키지 않는 비대응 모드로 운용되며, 각종 신호는 통화 회선을 갖는 교환국 이외의 STP를 경유하여 전송되어 경제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TP(134)는 신호 메시지의 변환 및 신호 중계가 불가능할 때 신호 메시지를 다른 교환국으로 통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STP(134)는 이동통신 교환국(130)으로부터 수신한 재해 경보 신호를 위치 센터(140)로 전달한다.
위치 센터(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위치 결정 서버(150)와 연동하여 위치 결정 서버(150)에서 연산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경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재해 경보 신호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재해 구조 센터(160)로 전송한다.
위치 결정 서버(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한다. 또한, 위치 결정 서버(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결정을 돕기 위한 에이딩(Aiding) 데이터를 전송하고, GPS 인공위성(102)과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전송하는 항법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측위를 하는 C(Conventional)-GPS 방식도 이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A(Assisted)-GPS 방식을 이용한다.
A-GPS 방식은 C-GPS 방식에서 초기 구동 시간(TTFF: Time To First Fix)이 오래 걸리는 단점, 건물 안이나 고층 빌딩의 장애로 인하여 측위가 어렵다는 단점 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에이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위 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이동통신망은 IS(Interim Standard)-801-1 규격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A-GPS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 서버(150)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치 결정 서버(150)는 위치 결정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무선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무선 기지국에 세팅되어 있는 MAR(Maximum Antenna Range) 값을 확인한다. 여기서, MAR란 무선 기지국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도달 하는 최대 반경을 말하는데, 대개 3 km나 5 km 등으로 설정되어 있다.
해당 무선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MAR 값을 확인한 위치 결정 서버(150)는 해당 무선 기지국에서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인공위성(102)의 정보 등이 포함된 IS-801-1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Provide_GPS_Acquisition_Assistance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즉, 위치 결정 서버(150)는 모든 GPS 인공위성(102)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준 GPS 안테나(152)로부터 GPS 인공위성(102)의 궤도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위치한 무선 기지국의 위경도 좌표와 MAR 값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양호하게 GPS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인공위성(102)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Provide_GPS_Acquisition_Assistance 메시지에 추출한 GPS 인공위성(102)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다.
Provide_GPS_Acquisition_Assistance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GPS 인공위성(102)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GPS 인공위성(102)만을 탐색하여 GPS 전파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GPS 인공위성(102)으로부터 GPS 전파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GPS 전파를 이용하여 위성 신호의 세기, 의사 거리(Pseudorange) 등을 연산하고, 연산된 데이터를 IS-801-1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Provide_Pseudorange_Measurement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위치 결정 서버(15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Provide_Pseudorange_Measurement 메시지를 수신한 위치 결정 서버(150)는 Provide_Pseudorange_Measurement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를 취사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연산한다.
한편, 도 1에서 GPS를 이용한 측위의 프로토콜 규격으로 IS-801-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향후 개량될 기술 규격도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C-GPS 방식 및 A-GPS 방식 이외에도 위치 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된 D-GPS(Differential GPS) 및 향후 제안될 진보된 GPS 기술도 포함할 수 있다.
재해 경보 시스템(170)은 무선 통신 장비를 구비하여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재해 경보 시스템(170)에 직접 접속하여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알리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재해 구조 센터(160)는 위치 센터(14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재해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재해 대책 본부, 국토 관리청, 기상청, 홍수 통제소, 가스 안전 공사, 경찰청 등을 포함한 관공서로 재해 경보를 알린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다(S210).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통신 채널을 재해 경보 시스템(170)의 통신 채널 로 변경한다(S220).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재해 경보 시스템(170)에 연결한다(S230).
이동통신 교환국(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재해 경보 신호를 STP(134)를 경유하여 위치 센터(140)로 전송한다(S240). 여기서, 위치 센터(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위치 결정 서버(150)와 연동하여 위치 결정 서버(150)에서 연산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재해 경보 신호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재해 구조 센터(160)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해 경보 시스템에 접속하고,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알림으 로써, 자연 재해 및 인적 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가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하는 위치 결정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서 연산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도 및 상기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터 및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STP(Signaling Transfer Point)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비를 구비하여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방송을 통해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통보하는 재해 경보 시스템;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통신 채널을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상기 통신 채널과 동일하게 변경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중계 역할을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상기 STP를 경유하여 상기 위치 센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교환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위치 센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재해 대책 본부, 국토 관리청, 기상청, 홍수 통제소, 가스 안전 공사 및 경찰청 중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관공서로 재해 경보를 통보하는 재해 구조 센터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사용자가 재해 경보 버튼을 누르면 재해 경보 신호 및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접속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연산하는 위치 결정 서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서 연산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도 및 상기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터,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전달하는 STP, 무선 통신 장비를 구비하여 동일한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여 재해 경보를 타인에게 통보하는 재해 경보 시스템 및 관공서로 재해 경보를 통보하는 재해 구조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 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채널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채널을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의 상기 통신 채널로 변경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재해 경보 시스템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다음에,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를 상기 STP를 경유하여 상기 위치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해 경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결정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위치 결정 서버에서 연산한 상기 이 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경도 및 상기 위도 좌표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재해 경보 신호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재해 구조 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 알리는 방법.
KR1020050088900A 2005-09-23 2005-09-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2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900A KR101128841B1 (ko) 2005-09-23 2005-09-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900A KR101128841B1 (ko) 2005-09-23 2005-09-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329A KR20070034329A (ko) 2007-03-28
KR101128841B1 true KR101128841B1 (ko) 2012-03-23

Family

ID=4762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900A KR101128841B1 (ko) 2005-09-23 2005-09-2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8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73A (ko) * 1995-10-18 1997-05-30 김재성 특정 방송주파수를 이용한 tv전원 및 채널 콘트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73A (ko) * 1995-10-18 1997-05-30 김재성 특정 방송주파수를 이용한 tv전원 및 채널 콘트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329A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7623B2 (en) Localized cellular awareness and tracking of emergencies
US6839022B1 (en) Network support for subscriber access to mobile caller location information
US7260406B2 (en)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subscribers in dual stac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9747784B2 (en) Emergency system and method
US7184776B2 (en) Technique for notification of mobile terminals by geographical co-ordinates
US668406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obile station
US20030129977A1 (en) Emergency rescue aid
US20050070247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using presence, triangulation, and wireless telephony
US20060025106A1 (en) Method for alerting wireless units of an impending emergency situation
JP4602877B2 (ja)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US20050026626A1 (en) Wireless network with positioned mobile devices
US9081078B2 (en) Technique for effectively communic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WO2019167082A1 (en) Method and system to broadcast emergency alert message using ieee 802.11 based wi-fi access point
CA2327719A1 (en) Wireless position lo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fferential global system information and general packet radio switching technology
KR1011288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경을 이용하여 재해 경보를알리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09190A (ko) 재해 긴급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806176B1 (ko) 자동 위치 저장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와시스템
KR100335825B1 (ko) 전역 위치 시스템의 수신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상태 관리 방법
Gunduzhan et al. Wireless Emergency Alerts in arbitrary sized target areas: Mobile location aware emergency notification
EP1199902A1 (en) Technique for notification of mobile terminals by geographical co-ordinates
KR20070066579A (ko) Gps를 이용한 물품 위치 안내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661142A1 (en) A portable femtocell base station, a user terminal, and a method of detection of a user terminal as being in a femtocell
KR100627717B1 (ko) Dmb 방송망과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도 이미지 전송을이용한 위치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위한 dmb단말기
KR1011825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정 시간 단축 방법 및 시스템
KR10127571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상태 통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