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007B1 -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 Google Patents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007B1
KR101427007B1 KR1020120141649A KR20120141649A KR101427007B1 KR 101427007 B1 KR101427007 B1 KR 101427007B1 KR 1020120141649 A KR1020120141649 A KR 1020120141649A KR 20120141649 A KR20120141649 A KR 20120141649A KR 101427007 B1 KR101427007 B1 KR 10142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rotation
rotating body
moving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792A (ko
Inventor
오시명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0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a working support, e.g.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로서, 바퀴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상부 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대차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바디를 정위치시키는 위치 고정장치와, 상기 바디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바디의 내부 골격을 형성하는 멤버를 지지하는 멤버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Trolley for Transporting Vehicles Body}
본 발명은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바디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소 등으로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에 관한 것이다.
차량 개발 단계에서 차량의 바디를 검사하거나 생산 단계에서 생산된 차량의 바디의 불량 여부 등을 검사하기 위해, 차량 바디를 별도의 검사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차량의 바디를 생산하는 생산 라인에서는 챠랑 바디의 이송이 자동화되어 있으나, 검사 장소로 차량 바디를 이송하는 일은 사람이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바디를 검사 장소로 쉽게 이송하기 위해서 바디를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대차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대차로는 측정 지그 탑재형과 측정 지그 비탑재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측정 지그 탑재형 이동 대차는, 바퀴가 형성된 하판 위에 측정 지그체를 올려 직접 탑재한 형태이다. 검사 장소에는 상기 하판의 높이와 일치하는 지그 세팅 블록이 놓여 있다.
이동 대차의 측정 지그 위에 차량 바디를 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 대차를 검사 장소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그 세팅 블록과 밀착시킨 뒤, 차량 바디가 탑재된 상기 측정 지그체를 상기 지그 세팅 블록 위로 밀어 차량 바디를 검사 장소에 세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동 대차에 크기가 비교적 큰 측정 지그를 직접 탑재하므로 이동 대차의 크기가 커서 이동을 위한 인원이 많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바디를 이동 대차로부터 지그 세팅 블록으로 옮겨야 하므로, 이동 대차의 하판과 지그 세팅 블록 각각에는 측정 지그체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 등의 수단이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해당 차종 외의 차종에 대해서는 이동 대차를 호환하여 이용하기 어렵다.
측정 지그 비탑재형 이동 대차는, 측정 지그가 이동 대차에 탑재되지 않고, 검사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 이용되는 이동 대차이다.
이동 대차를 이용하여 차량 바디를 검사 장소 앞까지 이송한 뒤, 집게 형태의 호이스트(hoist)를 이용해 차량 바디를 들어올려 측정 지그 상에 올려놓는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른 차종에 대한 이동 대차의 호환이 어렵고, 호이스트 등의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며, 차량 바디가 호이스트에 의해 지그에 안착됨에 따라서 차량 바디를 측정 지그 상에 정교하게 위치시키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62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작고, 차종에 상관없이 호환 가능하며, 차량 바디를 측정 지그로 옮기기 위한 호이스트와 같은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측정 지그 비탑재형 이동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로서, 바퀴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상부 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대차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바디를 정위치시키는 위치 고정장치와, 상기 바디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바디의 내부 골격을 형성하는 멤버를 지지하는 멤버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회전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는,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 방향과 수직하게 놓인 위치까지 회전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1회전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몸체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몸체는, 상기 바디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는, 상기 회전 몸체가 상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회전 몸체가 상부 프레임과 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회전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 스토퍼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 스토퍼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가 안착되면,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제1회전 스토퍼와 상기 제2회전 스토퍼 사이에 갇혀 전후방향의 회전이 모두 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멤버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멤버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는 상기 멤버 지지장치가 바닥과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멤버 지지장치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스토퍼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멤버 지지장치는 길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길이 신축이 가능한 수직방향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방향 샤프트를 동작시키는 모터가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닥에 접촉하는 지면 이동 바퀴와, 상기 바닥 위에 설치된 레일에 물려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대차를 안내하는 레일 이동 바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에 차량 바디가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의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대차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 대차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차량 바디가 회전 몸체 위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차량 바디가 회전 몸체 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를 이용해 차량 바디를 측정 지그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에 차량 바디(20)가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에에 따른 이동 대차(1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는 바퀴(110, 120)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10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200) 및, 상기 상부 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차량 바디(20)를 상부 프레임(200) 위에서 고정하는 고정장치(210, 220, 230)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200)과 하부 프레임(100)은 네 개의 수직방향 샤프트(310)에 의해 연결된다.
수직방향 샤프트(310)는 하부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 샤프트(311)와, 상기 고정 샤프트(3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샤프트(312)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100)에는 모터(400)가 설치된다. 모터(400)는 제1수평축(320)과 기어를 통해 연결되고, 제1수평축(320)은 베벨기어(미도시)를 통해 제2수평축(330)과 연결되며, 제2수평축(330)은 제2수평축(330)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이동 샤프트(312)에 형성된 랙 기어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동 샤프트(31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모터(400)의 회전 구동력이 제1수평축(320)와 제2수평축(330)을 통해 이동 샤프트(312)의 직선 구동력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이동 샤프트(312)가 고정 샤프트(3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동 샤프트(312)가 고정 샤프트(311)에 대해 수직방향(도 2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직방향 샤프트(310)의 전체 길이는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된다. 수직방향 샤프트(310)의 신장 또는 수축 운동에 의해, 수직방향 샤프트(310)에 연결된 상부 프레임(200)이 상하로 승강 운동하게 된다(도 2 및 도 3 참조).
하부 프레임(100)은 지면 이동 바퀴(110)와 레일 이동 바퀴(120)를 포함한다.
지면 이동 바퀴(110)는 바닥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며, 하부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여 이동 대차(10) 이동시 이동 대차(10)의 이동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해준다.
이동 대차(10)의 이동 경로가 일정 경로를 따르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바닥에 상기 경로를 따르는 레일(31)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도 2 및 도 6 참조). 레일 이동 바퀴(120)는 지면 이동 바퀴(11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바닥과는 이격 배치되며,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레일(31)에 체결된다.
레일 이동 바퀴(120)는 바닥에 설치된 레일(31)에 물려 이동 대차(10)를 레일(31)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200)은 넓은 판 형태의 부재이며, 상부 프레임(200)에는 고정장치(210, 220, 23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부 프레임(200)에 대해 차량 바디(20)를 정 위치시키는 위치 고정장치(220, 230)와, 차량 바디(20)의 멤버(21)(도 1)를 지지하는 멤버 지지장치(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멤버(21)는 차량 뒷바퀴 쪽에 위치하는 리어 크로스 멤버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멤버"는 차량 바디의 내골격을 형성하며 차량 바디의 저면보다 높게 형성된 모든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두 개의 제1위치 고정장치(220)가 상부 프레임(200)의 양 측면 부근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제1위치 고정장치(220)는 상부 프레임(200)의 상면에 결합되고, 회전 중심축(223)을 중심으로 상부 프레임(200)에 대해 회전(rotate) 가능한 회전 몸체(222)를 포함한다. 회전 몸체(222)에는 고정핀(221)이 돌출 형성된다.
고정핀(221)은 회전 몸체(222)에 형성된 슬릿(226)을 따라 회전 몸체(222)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회전 몸체(222)는 상부 프레임(200)에 대해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 다만, 회전 몸체(222)가 고정되지 못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경우 차량 바디(2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차량 바디(20)가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 몸체(222)의 회전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5(a)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것이며, 차량 바디(20)가 회전 몸체(222) 위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차량 바디(20)가 회전 몸체(222) 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 몸체(222)의 회전중심축(223)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디(2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몸체(222)는 상부 프레임(200)의 상면과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디(20)(도 5(b)에서는 도시 생략됨)가 안착되면, 회전 몸체(222)는 차량 바디(20)의 하중에 의해 눌려 상부 프레임(200)의 상면에 밀착된다. 다시 차량 바디(20)가 제거되면, 회전 몸체(222)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상부 프레임(220)의 상면과 이격될 것이다.
회전 몸체(222)의 후방측(도 5(a)에서 좌측)에는 회전 몸체(222)가 상부 프레임(200)의 전후 방향과 수직하게 놓인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 몸체(222)의 후방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1회전 스토퍼(224)가 구비된다. 제1회전 스토퍼(224)의 높이는 회전 몸체(222)의 저면보다 항상 높도록 형성된다.
회전 몸체(222)의 전방측(도 5(a)에서 우측)에는 회전 몸체(222)가 상부 프레임(200)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회전 몸체(22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회전 몸체(222)가 상부 프레임(200)과 밀착한 상태에서는 회전 몸체(222)의 회전을 저지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제2회전 스토퍼(2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디(20)가 회전 몸체(222)에 안착되었을 때, 회전 몸체(222)가 제1회전 스토퍼(224)와 제2회전 스토퍼(225) 사이에 갇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00)에는 제1위치 고정장치(220)의 회전 중심축(223)이 체결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공(240)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위치 고정장치(220)는 결합공(24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위치 고정장치(220)를 하나의 결합공(240)에서 분리하여 다른 결합공으로 옮겨 결합함으로써, 제1위치 고정장치(220)를 상부 프레임(20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제1회전 스토퍼(224)와 제2회전 스토퍼(225) 역시 상부 프레임(200)에 대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제1위치 고정장치(220)를 위치 이동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같이 이동시킨다.
제2위치 고정장치(230) 및 그와 관련한 제1회전 스토퍼(234)와 제2회전 스토퍼(235)의 구성은 상부 프레임(20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제1위치 고정장치(220) 및 그와 관련한 제1회전 스토퍼(224)와 제2회전 스토퍼(225)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231은 고정핀, 232는 회전 몸체, 233은 회전 중심축, 234는 제1회전 스토퍼, 235는 제2회전 스토퍼, 236은 슬릿을 지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는 멤버 지지장치(210)를 포함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멤버 지지장치(210)는 상부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회동부재(214)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회동부재(214)와 동시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15)를 포함한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14)는 상부 프레임(220)의 양 측면에 대해 회동(swing) 가능하게 연결되어, 멤버 지지장치(210)가 상부 프레임(200)의 측면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회동부재(214)는 상부 프레임(2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며, 상부 프레임(200)에는 회동부재(21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공(212)이 상부 프레임(20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재(214)를 하나의 결합공(212)에서 분리하여 다른 결합공으로 옮겨 결합함으로써, 멤버 지지장치(210)를 상부 프레임(20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멤버 지지장치(210)는 차량 바디(20)의 멤버(21)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바닥과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는 멤버 지지장치(210)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회동부재(214)의 후방측(도 2에서 좌측)에는 회동 스토퍼(217)가 형성된다.
회동 스토퍼(217)는 상부 프레임(200)의 측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회동 부재(214)의 후방으로의 회동을 저지한다.
회동 스토퍼(217)는 복수의 결합공(213)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며, 멤버 지지장치(210)의 회동부재(214)를 인접한 결합공(212)로 옮겨 이동시키는 경우 회동 스토퍼(217) 역시 인접한 결합공(213)으로 옮겨 이동시킴으로써, 회동 스토퍼(217)가 항상 멤버 지지장치(2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회동 부재(214)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고, 연결부재(215)는 상기 슬릿 내에서 이동 가능한 핀(216)에 의해 회동부재(214)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연결부재(215)가 회동부재(214)에 대해서 위치 이동하여, 멤버 지지장치(210)의 전체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차량 바디(20)를 이동 대차(10) 위에 안착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조립 라인에서 높이 위치하고 있는 차량 바디(20) 아래쪽으로 이동 대차(10)를 이동시킨다. 두 개의 제2위치 고정장치(230)의 고정핀(231)의 위치를 차량 바디(20)의 저면(22) 아래에 형성된 통공 아래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차량 바디(20)의 전방측 저면(22) 아래에 형성된 상기 통공은 차량의 각종 부품이 결합 또는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 바디(20)에 형성된 통공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이며, 고정핀(231)이 체결될 수 있는 별도의 통공을 차량 바디(20)에 형성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위치 고정장치(230)의 회전 몸체(232)와 상부 프레임(20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고, 고정핀(23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종류에 따라 고정핀(231)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차량 바디(20)의 저면 전방 측에 위치한 임의의 통공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위치 고정장치(220)의 회전 몸체(222)를 상부 프레임(200)에서 분리하거나 고정핀(221)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위치 고정장치(220)의 고정핀(221)의 차량 바디(20)의 중앙측 저면(22) 아래에 형성된 임의의 통공 아래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멤버 지지장치(210)의 전후방 위치를 조정하여 멤버 지지장치(210)를 적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상과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차량 바디(20)를 위치 고정장치(220, 230) 위로 내려놓고, 멤버 지지장치(210)의 길이를 조정하여, 멤버 지지장치(210)가 멤버(21)를 지지하도록 한다.
높이가 낮은 고정핀(221, 231)에 의해서만 차량 바디(20)를 지지하는 경우 차량 바디(20)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므로, 멤버 지지장치(210)를 이용해 차량 바디(20)의 멤버(21)를 지지하여 차량 바디(20)가 이동 대차(1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는 위치 고정장치(220, 230) 및 멤버 지지장치(210)의 위치, 길이 또는 방향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종류에 따라 고정장치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제한된 차종에만 이용 가능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대차와 달리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
또한, 크기가 작아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매우 용이하게 측정 지그 상에 차량 바디(20)를 정 위치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10)를 이용해 차량 바디(20)를 측정 지그(32) 상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디(20)가 이동 대차(1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 대차(10)의 상부 프레임(100)을 승강시켜 차량 바디(20)를 측정 지그(32) 높이보다 높게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대차(10)를 밀어 검사 장소(30) 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대차(10)를 검사 장소(30) 안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이동 대차(10)의 레일 구동 바퀴(120)가 레일(31) 위를 통과하도록 한다. 레일(31)의 가이드에 의해, 이동 대차(10)는 검사 장소(30) 안에서 직선 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레일(31)은 이동 대차(10)의 좌우 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므로, 검사 장소(30) 안에서 이동 대차(10)의 위치를 다시 좌우로 조정하여야 하는 과정은 생략할 수 있으며, 단지 이동 대차(1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만으로 차량 바디(20)의 위치를 측정 지그(32)와 정치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바디(20)가 측정 지그(32)에 대해 정 위치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대차(10)의 상부 프레임(100)을 하강시켜 차량 바디(20)를 측정 지그(32) 상에 안착시키고, 검사 장비(미도시)를 이용해 차량 바디(20)를 검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이동 대차(10)를 승하강시킴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차량 바디(20)를 측정 지그(32) 상에 정 위치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로서,
    바퀴가 결합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상부 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상기 바디를 정위치시키는 위치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바디의 저면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바디의 내부 골격을 형성하는 멤버를 지지하는 멤버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회전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 방향과 수직하게 놓인 위치까지 회전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1회전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몸체는,
    상기 바디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가 상부 프레임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회전 몸체가 상부 프레임과 밀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을 저지하는 제2회전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 스토퍼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 스토퍼는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가 안착되면, 상기 회전 몸체는 상기 제1회전 스토퍼와 상기 제2회전 스토퍼 사이에 갇혀 전후방향의 회전이 모두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지지장치가 바닥과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멤버 지지장치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지지장치는 길이 신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길이 신축이 가능한 수직방향 샤프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수직방향 샤프트를 동작시키는 모터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닥에 접촉하는 지면 이동 바퀴와,
    상기 바닥 위에 설치된 레일에 물려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대차를 안내하는 레일 이동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KR1020120141649A 2012-12-07 2012-12-07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KR10142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649A KR101427007B1 (ko) 2012-12-07 2012-12-07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649A KR101427007B1 (ko) 2012-12-07 2012-12-07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792A KR20140073792A (ko) 2014-06-17
KR101427007B1 true KR101427007B1 (ko) 2014-08-05

Family

ID=5112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649A KR101427007B1 (ko) 2012-12-07 2012-12-07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0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027A (ja) * 2004-10-12 2006-04-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KR20070095534A (ko) * 2006-03-21 2007-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용 클램핑 장치
KR100908040B1 (ko) * 2008-04-07 2009-07-15 한국철도공사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20063777A (ko) * 2010-12-08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027A (ja) * 2004-10-12 2006-04-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KR20070095534A (ko) * 2006-03-21 2007-10-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용 클램핑 장치
KR100908040B1 (ko) * 2008-04-07 2009-07-15 한국철도공사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20063777A (ko) * 2010-12-08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792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4497B2 (ja)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KR102105518B1 (ko) 두 개의 매니퓰레이터를 구비하는 휠 림 및 스포크 결함 검출 시스템
US9802758B2 (en) Stacker cran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4978371B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KR101057629B1 (ko) 이송장치에 있어서의 승강대의 부착구조
EP3744664A1 (en) Vehicle conveying device and scanning inspection system
CN105575862A (zh) 一种foup装载门装置
JP6680783B2 (ja) 均一性試験システム
JP6010401B2 (ja) 駐車装置
KR101427007B1 (ko)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CN116573590A (zh) 转台翻转装置和转台翻转系统
JP2006027753A (ja) 電動機検修ライン用ターンテーブル装置
WO2015074924A1 (en) Lifting platform for vehicles, of the pantograph type
CN210340233U (zh) 一种工件托运装置
JP7173696B2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JPS6029363A (ja) 車体の受金装置
JP7431124B2 (ja) 車両拘束装置およびシャシーダイナモメータ
CN202630885U (zh) 混凝土搅拌车罐体检测工装
JP6170423B2 (ja) 機械式駐車設備
KR20140143240A (ko)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CN217731852U (zh) 载具运输设备及产品生产线
CN219278763U (zh) 一种抓取举升定位及空间避让装置
CN210149298U (zh) 一种汽修用汽车升降调节装置
KR100687524B1 (ko) 차량용 의자 및 머리받이 시험장치
CN107601272B (zh) 一种轻型起重设备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