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240A -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240A
KR20140143240A KR1020130064243A KR20130064243A KR20140143240A KR 20140143240 A KR20140143240 A KR 20140143240A KR 1020130064243 A KR1020130064243 A KR 1020130064243A KR 20130064243 A KR20130064243 A KR 20130064243A KR 20140143240 A KR20140143240 A KR 2014014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rail
plate
bask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901B1 (ko
Inventor
구태흥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3006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90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는 하나 이상의 바퀴를 갖는 대차형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위에 배치되고, 원호형 가이드벽체와 수직프레임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기저부의 사이에 위치한 업다운모듈;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원호면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보드바스켓; 상기 보드바스켓에서 이격 배치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이픽스보드를 탑재시키는 슬라이딩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기초로 상기 보드바스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APPARATUS FOR CARRYING AND INSTALLING HI-FIX BOARD}
본 발명은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부품 또는 반도체 디바이스(이하, 간단히 '디바이스'라고 한다)의 제조 과정에서 소정의 조립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디바이스는 최종적으로 특정 기능을 발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테스트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테스트 공정을 위해서는 테스트핸들러 시스템(TEST HANDLER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테스트핸들러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터(TESTER)와, 테스터에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장비인 테스트핸들러(TEST HANDLER) 및, 테스터와 테스트핸들러 사이에 위치하는 하이픽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터는 디바이스의 전기적 성능 등을 테스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이픽스보드(HI-FIX BOARD)는 어댑터 또는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퍼포먼스보드와, 퍼포먼스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소켓이 설치된 소켓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픽스보드는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설치되고, 이후, 거치대를 테스터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퍼포먼스보드의 접촉단자가 테스터의 접촉단자에 접촉되고, 그 결과 하이픽스보드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후, 하이픽스보드 및 테스터가 테스트핸들러 쪽으로 이동하여 도킹(docking)되나, 테스트가 종료되면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로부터 분리 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테스트핸들러는 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 미리 정한 수량의 디바이스를 행렬 형태로 반송 처리하면서, 테스트 결과에 따라 디바이스를 등급별로 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핸들러를 구분하는 방법 중에는 수평식과 수직식으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수직식이란, 디바이스의 테스트시, 디바이스가 수직상태에서 테스트되는 방식을 말하고, 수평식이란, 디바이스가 수평상태에서 테스트되는 방식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직식의 테스트핸들러는 하기의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으며, 디바이스를 받은 테스트트레이도 수직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와 접촉하는 하이픽스보드도 수직상태로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하이픽스보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특허문헌3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하이픽스보드는 테스트되는 디바이스가 변경될 경우, 상기 변경된 디바이스에 대응하게 새로운 테스트부유니트로 교체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테스트핸들러의 사이즈가 커지고, 이와 동시에 테스트되는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하이픽스보드 자체도 커지고, 이에 따라 무게도 많이 나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 들어, 하이픽스보드의 중량은 100kg ~ 200kg까지 나가기도 하고, 이 하이픽스보드를 사람의 손으로 운반하면서,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로부터 하이픽스보드를 분리, 이동 또는 설치시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한편, 하이픽스보드는 1개의 퍼포먼스보드에 병렬로 2개의 소켓보드가 배치된 통합타입 보드가 있고, 각 퍼포먼스보드에 각 소켓보드가 배치되어 2개의 세트로 사용되는 분리타입 보드가 있다.
이렇게 테스트핸들러가 수직식, 수평식이 있으면서도, 하이픽스보드 타입이 자체도 통합타입 보드 및 분리타입 보드가 있는 상황이므로, 보드 타입이나 테스트핸들러의 수직식 또는 수평식에 관계없이,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의 사이에 고중량의 하이픽스보드를 설치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6098호(2008.09.25.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0742214호(2007.07.18.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700호(2011.03.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이픽스보드를 운반하기 위한 대차형 기저부와, 기저부를 기준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기초로 회전되고 하이픽스보드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보드바스켓에 의해서, 테스트핸들러의 형식(수평식 또는 수직식) 또는 보드 타입에 관계없이 해당 고중량의 하이픽스보드를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바퀴를 갖는 대차형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위에 배치되고, 원호형 가이드벽체와 수직프레임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기저부의 사이에 위치한 업다운모듈;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원호면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보드바스켓; 상기 보드바스켓에서 이격 배치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이픽스보드를 탑재시키는 슬라이딩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기초로 상기 보드바스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바스켓의 측면에 부착된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부에 다수로 설치되고, 록킹레버를 누름에 따라 고정판이 하강하고, 릴리스레버를 누름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가 해제되고, 상기 고정판이 상승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부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상기 바퀴가 설치되는 골격프레임과, 상기 골격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에 이격 배치된 LM(Linear Modules)블록과, 상기 LM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을 상기 프레임부의 승강판에 연결한 LM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모듈은, 상기 승강판과 상기 기저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기저판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저판에 설치된 잭업장치와, 상기 잭업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잭업장치에 연결된 피동샤프트와, 상기 피동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기어를 내장하고, 상기 기저판에 설치된 모듈박스와,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잭업장치의 업다운샤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업다운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업다운모듈에 의해 승강되고, 확장부를 갖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드바스켓의 폭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 상기 업다운모듈의 모듈박스의 위쪽에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보강판;
상기 모듈박스의 반대쪽에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고, 다수의 통공을 갖는 제 2 보강판; 상기 확장부의 테두리면에서 수직하게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보드바스켓의 회전샤프트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보강판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1 보강판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상부 외측면에는 보드바스켓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바스켓스톱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고,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회로를 갖는 전장박스; 상기 보드바스켓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지지블록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보드바스켓의 회전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각도판; 및 상기 각도판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바스켓의 회전 각도를 계측하도록, 상기 전장박스의 전자회로에 접속된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안착부는,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되고, 통합타입 보드 및 분리타입 보드에 각각 대응되도록 2단으로 구성된 다수의 롤러를 갖는 제 1 레일; 상기 제 1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2개의 분리타입 보드를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갖는 제 2 레일; 상기 제 2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되고, 분리타입 보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갖는 제 4 레일; 및 상기 제 2 레일과 상기 제 4 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 2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통합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위해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분리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위해 비 돌출되는 롤러를 갖는 제 3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바스켓은, 상기 제 1 레일과 상기 제 4 레일이 상기 바닥판의 단변쪽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의 양측에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바닥판; 상기 바닥구멍의 양쪽 내측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3 레일과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을 갖는 레일받침대; 하이픽스보드를 출입시키도록 개방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바닥판의 장변쪽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레일, 상기 제 2 레일 및 상기 제 4 레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바스켓측판; 및 상기 바스켓측판의 중심에 마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샤프트지지블록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샤프트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샤프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홈과, 상기 제 1 레일 및 상기 제 3 레일에는, 하이픽스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드스톱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원호면을 향하도록 상기 보드바스켓의 저부에 결합된 부채꼴 형상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원호면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된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모듈지지대; 상기 모듈지지대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헤드; 상기 실린더헤드와 상기 보드바스켓의 측면의 조인트 사이에 결합되어 신축가능한 파워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헤드에 결합되고, 회전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파워실린더의 신축력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하이픽스보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카트는,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한 카트 상판; 상기 카트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상측부에 마련된 카트 손잡이; 상기 구조물의 저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전방향 회전식 휠; 및 상기 휠과 겹치지 않는 곳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의 저부에 마련된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에 의하면, 바퀴(CASTER)를 갖는 대차형 기저부를 구비하여서, 고중량의 하이픽스보드를 설치 장소까지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저부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기저부의 저면에 구비하여, 하이픽스보드의 설치 또는 분리 작업시, 작업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업다운모듈을 구비하여서, 기저부를 기초로 프레임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부에 탑재된 보드바스켓의 높이를 하이픽스보드의 설치 높이까지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회전모듈을 구비하여서, 프레임부를 기초로 보드바스켓을 수형 또는 수직되게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 테스트핸들러의 형식, 즉 수평식 또는 수직식에 대응하게 하이픽스보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보드바스켓에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제 1 레일 내지 제 4 레일을 구비하고 있되, 제 1 레일이 통합타입 보드 및 분리타입 보드에 각각 대응되도록 2단으로 구성된 롤러를 가지고 있고, 제 2 레일이 2개의 분리타입 보드를 보드바스켓의 중심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고 있고, 제 3 레일이 분리타입 보드 또는 통합타입 보드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컨버젼 레일로 구성되어 있고, 제 4 레일이 분리타입 보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통합타입 보드 또는 분리타입 보드를 선택적으로 장착,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각 레일 또는 레일 주변에 보드스톱퍼를 구비하여, 일단 보드바스켓에 장착된 하이픽스보드가 운반 또는 회전 중, 보드바스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보드바스켓을 고정하기 위한 바스켓스톱퍼를 구비하여, 보드바스켓의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가 안전하게 고정 또는 릴리스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평계를 장착하여, 보드바스켓의 수직 또는 수평 동작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장박스 및 전장박스에 접속된 회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보드바스켓의 수직 또는 수평 동작에 따른 회전 상태를 전자 회로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알림을 통해서 작업자에게 수직 또는 수평 동작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서브 카트를 더 구비하여, 하이픽스모듈을 안전하게 보드바스켓의 슬라이딩안착부에 탑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사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정면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배면쪽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1 레일의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레일의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 3 레일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 3 레일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제 4 레일의 사시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도.
도 13 및 도 14는 통합타입 보드의 탑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분리타입 보드의 탑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7은 통합타입 보드용 보드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18은 분리타입 보드용 보드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바스켓스톱퍼 및 보드바스켓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1은 통합타입 보드를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2는 분리타입 보드를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사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하이픽스보드(H, H1, H2, H3)의 운반 및 설치 장치로서, 일종의 무빙 카트와 같은 시스템 지그(SYSTEM JIG)로서, 본체(100) 및 서브 카트(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체(100)가 적용 가능한 시스템은 테스트핸들러 시스템일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핸들러 시스템은 디바이스를 검사하는 테스트핸들러(1) 및 테스터(2)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테스트핸들러(1)와 테스터(2)의 사이에 하이픽스보드(H, H1, H2, H3)를 장착하기 위한 거치대(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터(2)와 거치대(3)는 각각 시스템 레일(4) 및 레일 이송부(2a, 3a)에 의해 왕복 이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거치대(3)는 일측이 개구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로서, 개구된 쪽을 기준으로 하이픽스보드(H, H1, H2, H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대(3)의 상부 가로대(3b)와 하부 가로대(3c)에는 하이픽스보드(H, H1, H2, H3)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가이드롤러(미 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하이픽스보드(H, H1, H2, H3)에는 상기 가이드롤러 또는 하기에 설명할 슬라이딩안착부(150)의 각 레일의 롤러에 정합될 수 있는 가이드 단턱부(Q1, Q2)들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하이픽스보드(H, H1, H2, H3)는 일체의 퍼포먼스보드(P1)에 2개의 소켓보드(S1)가 병렬 배치된 통합타입 보드(H, H1)가 있을 수 있고, 사이즈가 다른 테스터, 거치대 및 테스트핸들러(미 도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 퍼포먼스보드(P2)에 각 소켓보드(S2)가 각각 배치되어 2개 세트로 사용되는 분리타입 보드(H2, H3)가 있다.
통합타입 보드(H, H1) 또는 분리타입 보드(H2, H3)는 거치대(3) 쪽으로 운반 및 설치되기 전에 서브 카트(10)에 놓인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카트(10)는 주로 하이픽스보드(H, H1, H2, H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과, 하이픽스보드(H, H1, H2, H3)를 본체(100)에 좀 더 안정적으로 탑재 또는 장착시키기 위한 본체(100)의 부속 구성품으로서, 본체(100)의 보드바스켓(140)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브 카트(10)는 보드바스켓(140)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한 카트 상판(11)과, 상기 카트 상판(11)을 지지하는 구조물(12)과, 상기 구조물(12)의 상측부에 마련된 카트 손잡이(13)와, 상기 구조물(12)의 저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전방향 회전식 휠(14)과, 상기 휠(14)과 겹치지 않는 곳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12)의 저부에 마련된 고정장치(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장치(15)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하기에서 설명할 본체(100)의 고정수단(112)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록킹레버를 누름에 따라 고정판이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하고, 릴리스레버를 누름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가 해제되고, 상기 고정판이 상승될 수 있다.
서브 카트(10)의 카트 상판(11)에 위치한 통합타입 보드(H1) 또는 분리타입 보드(H2, H3) 중 어느 하나는 본 실시예(100)의 보드바스켓(140)의 슬라이딩안착부(150) 쪽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탑재될 수 있고, 이때,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테스트핸들러 시스템은 다수의 테스트핸들러(1) 및 테스터(2)들로 구성될 수 있고, 테스트핸들러(1)와 테스터(2)의 사이에는 본 실시예(100)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존재하고, 그 통로를 통해서, 본 실시예(100)가 거치대(3) 쪽으로 이동 후, 정지될 수 있다.
만일, 도 1에서 테스트핸들러(1)가 수직식인 경우, 본 실시예(100)의 보드바스켓(140)이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드바스켓(140) 및 하이픽스보드(H, H1, H2, H3)가 수직 상태가 될 수 있고, 이후 하이픽스보드(H, H1, H2, H3)가 거치대(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후, 거치대(3)가 테스터(2) 쪽으로 이동 및 밀착되어서, 하이픽스보드(H, H1, H2, H3)의 퍼포먼스보드(P1, P2)의 외측면 접촉단자가 테스터(2)의 접촉단자(2b)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3) 및 테스터(2)가 테스트핸들러(1) 쪽으로 이동하여, 거치대(3)에 장착된 하이픽스보드(H, H1, H2, H3)의 소켓보드(S1, S2)가 테스트핸들러(1) 쪽에 도킹될 수 있고, 이후 디바이스의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미 도시되었지만, 테스트핸들러가 수평식인 경우, 작업자는 수평 상태의 보드바스켓(140)에 안착된 수평 상태의 통합타입 보드(H, H1)를 해당 수평식 거치대(미 도시) 쪽으로 밀어 넣어서, 역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하이픽스보드(HI-FIX BOARD)는 어댑터 또는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퍼포먼스보드와, 퍼포먼스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소켓이 설치된 소켓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픽스보드는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설치되고, 이후, 거치대를 테스터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퍼포먼스보드의 접촉단자가 테스터의 접촉단자에 접촉되고, 그 결과 하이픽스보드가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후, 하이픽스보드 및 테스터가 테스트핸들러 쪽으로 이동하여 도킹(docking)되나, 테스트가 종료되면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로부터 분리 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정면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배면쪽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0)는 그룹별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기저부(110), 프레임부(120), 업다운모듈(130), 보드바스켓(140), 슬라이딩안착부(150), 회전모듈(160), 가이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0)는 하나 이상의 바퀴(111)를 갖는 대차형 구조물일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통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는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기저부(11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와, 일측의 원호형 가이드벽체(121)로부터 역시 이격 배치되어 있는 수직프레임(122)을 가질 수 있다.
업다운모듈(130)은 프레임부(120)와 기저부(110)의 사이에 위치하고, 기저부(110)를 기준으로 프레임부(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프레임부(120) 또는 그 프레임부(120)의 위에 위치한 보드바스켓(1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보드바스켓(140)은 수직프레임(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의 원호면(12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170)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딩안착부(150)는 상기 보드바스켓(140)에서 이격 배치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이픽스보드를 탑재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기에 설명할 다수의 레일, 즉 제 1 레일 내지 제 4 레일(151, 152, 153, 15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듈(160)은 프레임부(120)를 기초로 상기 보드바스켓(1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보드바스켓(140)을 회전시킨다는 의미에는 보드바스켓(140)에 탑재될 각종 하이픽스보드가 상기 보드바스켓(140)과 함께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 또는 반대로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전후 정지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드바스켓(140)의 측면에는 수평계(141)가 더 부착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본 실시예(100)의 이동 또는 정지 상태, 혹은 보드바스켓(140)의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를 육안으로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저부(110)의 저면에는 바퀴(111)와 겹치지 않는 위치를 기준으로하나 이상의 고정수단(112)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수단(112)은 앞서 언급한 도 1의 고정장치(15)와 동일하거나 유사한장치로서, 일명 플로어 록(floor rock)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12)은 고정수단(112)에 마련되어 있고, 작업자가 작업자의 발로 누를 수 있는 도 2 또는 도 3의 록킹레버(112a)를 누름에 따라, 고정수단(112)의 하단에 마련된 고정판(112b)이 지면쪽으로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함으로써,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본체(10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고정수단(112)에 마련된 릴리스레버(112c)를 누름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112a)가 해제, 즉 원위치되고, 상기 고정판(112b)이 지면에서 상승됨에 따라, 본체(10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기저부(110)는 상기 고정수단(112) 또는 상기 바퀴(111)가 설치되도록, 격자 프레임의 외곽을 이루는 골격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골격프레임(113)을 비롯하여 격자 프레임 등은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 재질 또는 중공의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기저부(110)는 골격프레임(113)의 상부를 덮는 기저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저판(114)도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고, 다수의 개구(115)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 중 어느 하나의 도면을 참조하면, 기저부(110)는 기저판(114)에서 기저판(114)의 평면 방향을 따라 분산 또는 이격 배치된 LM(Linear Modules)블록(116)과, 상기 LM블록(116)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을 상기 프레임부(120)의 승강판(124)에 연결한 LM샤프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판(124)은 역시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일정 높이를 갖는 업다운모듈(130)의 모듈박스(13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승강판(124)의 단변 중간 위치에는 통과홈(124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LM블록(116) 및 LM샤프트(117)는 프레임부(120) 및 그 위에 탑재될 구성품 혹은 하이픽스보드 등과 같은 하중물의 하중을 균형있게 분산시키면서, 하중물의 상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프레임부(120)에 결합된 한 쌍의 핸들지지대(101)와, 핸들지지대(101)를 서로 연결하는 핸들바(102)로 이루어진 대차핸들(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70)는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의 원호면(123)을 향하도록 상기 보드바스켓(140)의 저부에 결합된 부채꼴 형상의 지지판(17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70)는 지지판(171)과 원호면(12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171)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모듈(160)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모듈지지대(161)와, 상기 모듈지지대(161)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헤드(162)와, 상기 실린더헤드(162)와 상기 보드바스켓(140)의 측면의 조인트(163) 사이에 결합되어 신축가능한 파워실린더(164)와, 상기 실린더헤드(162)에 결합되고, 회전핸들(165)의 회전력을 상기 파워실린더(164)의 신축력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듈(160)의 파워실린더(164)는 보드바스켓(140)의 회전 중심[예: 샤프트지지블록(127)의 회전샤프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서 파워실린더(164)의 축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보드바스켓(140)을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듈(160)은 회전핸들(165)의 회전에 의해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미 도시되어 있지만, 동력장치(예: 모터, 유압장치)를 동력변환부(166)에 연결하고, 동력변환부(166)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 및 각종 센서장치를 전장박스(200)에 탑재할 경우, 본 실시예의 회전모듈(160)은 전자제어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드바스켓(140)은, 제 1 레일(151)과 제 4 레일(154)이 보드바스켓(140)의 바닥판(143)의 단변쪽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143)의 중심부의 양측에 바닥구멍(144)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드바스켓(140)은 상기 바닥구멍(144)의 양쪽 내측변에 걸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3 레일(153)과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155c)을 갖는 레일받침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드바스켓(140)은 하이픽스보드를 출입시키도록 개방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바닥판(143)의 장변쪽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레일(151), 상기 제 2 레일(152) 및 상기 제 4 레일(154)의 단부와 연결되는 바스켓측판(1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드바스켓(140)은 바스켓측판(145)의 중심에 마련되고, 수직프레임(122)의 샤프트지지블록(127)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샤프트(142)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샤프트결합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드바스켓(140)의 바닥홈에는 다수, 예컨대 제 3 내지 제 6 보드스톱퍼(310, 320, 330, 340)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내지 제 6 보드스톱퍼(310, 320, 330, 340)는 회전 방식으로 스톱퍼홈에서 돌출되거나, 스톱퍼홈에서 비 돌출되도록 안착되어 있다.
업다운모듈(130)은 승강판(124)과 기저판(114)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기저판(114)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판(12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의 잭업장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잭업장치(131)의 케이싱은 기저판(11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잭업장치(131)에서 실제 잭업, 즉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을 수행하는 업다운샤프트(131a)는 승강판(124)용 고정판(132)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고정판(132)은 승강판(124)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업다운샤프트(131a)는 고정판(132) 및 승강판(124)을 승강시킴으로써, 승강판(124)을 포함한 프레임부(12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한편, 업다운모듈(130)은 상기 잭업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잭업장치(131)에 연결된 피동샤프트(133)와, 승강판(124)의 통과홈(124a)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샤프트(133)를 회전시키는 기어(미 도시)를 내장하고, 상기 기저판(114)에 설치된 모듈박스(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다운모듈(130)은 모듈박스(135)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잭업장치(131)의 업다운샤프트(131a)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업다운핸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업다운모듈(130)은 업다운핸들(134)의 회전에 의해 수동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미 도시되어 있지만, 동력장치(예: 모터)를 모듈박스(135)의 기어에 축결합시키고, 업다운모듈(130)의 동력장치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 및 각종 센서장치를 전장박스(200)에 탑재할 경우, 킬 경우, 본 실시예의 업다운모듈(130)은 전자제어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상기 업다운모듈(130)에 의해 승강되고, 확장부(124b)를 일체형으로 갖는 상기 승강판(124)과, 상기 승강판(124)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드바스켓(140)의 폭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와, 상기 업다운모듈(130)의 모듈박스(135)의 위쪽에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보강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는 상기 모듈박스(135)의 반대쪽에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고, 다수의 통공(126a)을 갖는 제 2 보강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는 상기 확장부(124b)의 테두리면에서 수직하게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프레임(122)은 확장부(124b)의 테두리면에 볼트 결합되는 수직프레임바닥판(122a)과, 수직프레임바닥판(122a)의 바닥판에서 수직하게 세워지고 상단이 일체로 연결된 수직프레임지지판(122b)과, 수직판(122b)의 사이에 형성된 구멍부(122c) 및, 수직프레임바닥판(122a) 및 수직프레임지지판(122b)의 코너에 마련된 보강판(12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는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상부에서 상기 보드바스켓(140)의 회전샤프트(142)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지지블록(127)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승강판(124)에 설치되고,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회로를 갖는 전장박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보드바스켓(140)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지지블록(127)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보드바스켓(140)의 회전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각도판(210)과, 상기 각도판(210)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22)의 끝단 또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바스켓(140)의 회전 각도를 계측하도록, 상기 전장박스(200)의 전자회로에 접속된 회전감지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안착부(150)는 제 1 레일(151)과 제 2 레일(152)의 사이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분리타입 보드(H2, H3)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안착부(150)는 제 3 레일(153)을 수평 상태로 바꾼 상태에서, 제 2 레일(152)과 제 4 레일(154) 사이의 공간에 분리타입 보드(H2, H3)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안착부(150)는 제 3 레일(153)을 수직 상태로 바꾼 상태에서, 제 1 레일(151)과 제 3 레일(153)의 사이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통합타입 보드(H, H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 1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 3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제 3 레일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제 4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레일(151)은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되고, 통합타입 보드 및 분리타입 보드에 각각 대응되도록 2단으로 구성된, 즉 상단과 하단에서 제 1 레일(151)을 따라 이격 배열된 다수의 롤러(151a, 151b)를 갖는다.
예컨대, 상단쪽에 배열된 롤러(151a)들은 분리타입 보드의 가이드 단턱부(Q1)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하단쪽에 배열된 롤러(151b)들은 분리타입 보드의 가이드 단턱부(Q2)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제 1 레일(151)에는 상단쪽의 롤러(151a)의 입구쪽에 제 1 보드스톱퍼(151c)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보드스톱퍼(151c)는 고정핀(151d)을 상향으로 릴리스 시킨 후, 제 1 보드스톱퍼(151c)의 노브(151e)를 밀거나 잡아당겨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제 1 보드스톱퍼(151c)에 의해 하이픽스보드의 가이드 단턱부(Q1)의 이탈이 방지되거나, 또는 반대로 제 1 보드스톱퍼(151c)가 돌출되지 않을 때, 상기 가이드 단턱부(Q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 1 보드스톱퍼(151c)에는 제 1 보드스톱퍼(151c)의 이동 위치별로 고정핀(151d)과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핀구멍(미 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레일(151)의 전방쪽에는 분리타입 보드 또는 통합타입 보드와 같은사용처를 명확히 하거나, 보드타입을 표시하도록, 마킹부(151f)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마킹부(151f)의 문자 'B'는 통합타입 보드를 지칭하며, 마킹부(151f)의 문자 'A2'는 분리타입 보드를 지칭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식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레일(152)은 제 1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2개의 분리타입 보드를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의 중심부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152a, 152b)를 갖는다.
제 2 레일(152)의 롤러(152a, 152b)들은 상하로 쌍을 이루어서, 제 2 레일(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 2 레일(152)의 롤러(152a, 152b)의 결합 위치는 제 1 레일의 하단쪽에 배열된 롤러의 결합 위치와 일치되어 있음으로써, 분리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 레일(152)의 전방의 양측면에도 분리타입 보드가 끼워지는 곳임을 명확히 표시하도록, 마킹부(152c)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마킹부(152c)의 문자 'A1' 또는 반대쪽의 'A2'(미 도시)는 분리타입 보드의 사용처를 지칭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식별력을 역시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3 레일(153)의 전방쪽에는 통합타입 보드의 사용처를 명확히 하도록, 마킹부(153j)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킹부(153j)의 문자 'B'는 통합타입 보드의 사용처를 지칭한다.
제 3 레일(153)은 제 2 레일과 상기 제 4 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 2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통합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위해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분리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위해 비 돌출되는 롤러(153a)를 가질 수 있다.
제 3 레일(153)의 롤러(153a)들은 상하로 쌍을 이루어서, 제 3 레일(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제 3 레일(153)에는 첫 번째 롤러(153a)의 뒤쪽에 제 2 보드스톱퍼(153f)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보드스톱퍼(153f)에는 제 2 보드스톱퍼(153f)의 이동 위치별로 고정핀(153g)과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핀구멍(미 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보드스톱퍼(153f)는 고정핀(153g)을 수평방향으로 릴리스 시킨 후, 제 2 보드스톱퍼(153f)의 손잡이핀(153h)을 상향으로 잡아당겨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제 2 보드스톱퍼(153f)가 하이픽스보드의 가이드 단턱부의 이탈을 막거나, 또는 반대로 제 2 보드스톱퍼(153f)가 돌출되지 않을 때, 하이픽스보드의 가이드 단턱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 3 레일(153)은 롤러(153a)들이 설치된 장착대(153b)와, 장착대(153b)에 결합된 브래킷(153c)과, 브래킷(153c)을 도 8에 도시된 레일받침대(155)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탈장치(153d)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장치(153d)는 레일받침대(155)의 수평면의 제 1 핀구멍(155a) 또는 수직면의 제 2 핀구멍(155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착탈핀(153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레일(153)의 양쪽 부위에는 장공(153i)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장공(153i)에는 레일받침대(155)의 힌지핀(155c)이 삽입되어 있다.
작업자는 우선 착탈장치(153d)의 착탈핀(153e)을 제 1 핀구멍(155a)에서 분리시킨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도 8의 제 3 레일(153)이 도 9와 같은 상태, 즉 상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힌지핀(155c)을 기준으로 수평 상태가 되도록 제 3 레일(153)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착탈장치(153d)의 착탈핀(153e)을 제 2 핀구멍(155b)에 끼워서 제 3 레일(15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수평 상태가 된 제 3 레일(153)은 분리타입 보드를 제 2 레일과 제 4 레일에 설치시킬 때 분리타입 보드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제 3 레일(153)은 통합타입 보드를 장착할 때는 다시 도 8에 도시된 수직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상태의 제 3 레일(153)은 롤러(153a)의 결합 위치는 제 1 레일의 상단쪽에 배열된 롤러의 결합 위치와 일치되어 있음으로써, 통합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4 레일(154)은 제 1 레일의 하단쪽에 배치된 롤러와 동일한 배치 구조를 갖는 다수의 롤러(154a)를 가질 수 있다.
제 4 레일(154)의 롤러(154a)의 결합 위치는 제 2 레일의 롤러 결합 위치와 동일하거나, 제 1 레일의 하단쪽에 배열된 롤러 결합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제 4 레일(154)의 롤러(154a)는 제 1 레일 또는 제 2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되고, 분리타입 보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4 레일(154)의 전방쪽에는 분리타입 보드의 사용처를 명확히 하도록, 마킹부(154b)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마킹부(154b)의 문자 'A1'은 분리타입 보드의 사용처를 지칭한다.
이하, 하이픽스보드의 탑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3 및 도 14는 통합타입 보드의 탑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분리타입 보드의 탑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서브 카트(10)에는 하이픽스보드인 통합타입 보드(H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통합타입 보드(H1)의 슬라이딩 방식의 탑재를 위해서, 이때, 보드바스켓(140)에는 제 3 레일(153)이 수직 상태로 위치한다.
제 3 레일(153)의 롤러 결합 위치 및 제 1 레일(151)의 상단쪽 롤러 결합 위치는 제 2 레일(152)의 상측 끝단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함으로써, 통합타입 보드(H1)가 제 1 레일(151) 및 제 3 레일(153)에 안착되더라도 제 2 레일(152)에 접촉 또는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는 본체(100)의 측면을 서브 카트(10)의 대응하는 측면과 밀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업다운모듈(130)을 사용하여, 프레임부(120) 및 보드바스켓(1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통합타입 보드(H1)의 레벨과 제 1 레일(151) 및 제 3 레일(153)의 레벨을 일치시킨다.
이렇게 레벨이 일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통합타입 보드(H1)를 본체(100) 쪽으로 밀어 넣고, 그 결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타입 보드(H1)가 제 1 레일(151)과 제 3 레일(153)의 사이 위치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서브 카트(10)에는 다른 형식의 하이픽스보드인 분리타입 보드(H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분리타입 보드(H2)의 슬라이딩 방식의 탑재를 위해서, 이때, 보드바스켓(140)에는 제 3 레일(153)이 수평 상태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제 3 레일(153)이 분리타입 보드(H2)의 탑재시 장애물 또는 간섭물이 되지 않게 된다.
작업자는 역시 본체(100)의 측면을 서브 카트(10)의 대응하는 측면과 밀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업다운모듈(130)을 사용하여, 프레임부(120) 및 보드바스켓(1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분리타입 보드(H2)의 레벨과 제 1 레일(151), 제 2 레일(152) 및 제 4 레일(155)의 레벨을 일치시킨다.
이때, 보드바스켓(140)의 각 바닥홈(300)의 제 3 내지 제 6 보드스톱퍼(310, 320, 330, 340)는 각각 바닥홈(300)에서 비 돌출된 상태이다.
이렇게 레벨이 일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각 분리타입 보드(H2)를 본체(100) 쪽으로 밀어 넣고, 그 결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리타입 보드(H2)가 제 1 레일(151)과 제 2 레일(152)의 사이 위치 및, 제 2 레일(152)과 제 4 레일(154)의 사이 위치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제 3 내지 제 6 보드스톱퍼(310, 320, 330, 340)를 회전시키고, 그 결과 바닥홈(300)에서 제 3 내지 제 6 보드스톱퍼(310, 320, 330, 340)가 각각 돌출되게 함으로써, 분리타입 보드(H2)가 보드바스켓(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통합타입 보드용 보드스톱퍼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에는 앞서 제 1 레일(151)의 설명에서 언급한 제 1 보드스톱퍼(151c)가 확대되어 있다.
일단 통합타입 보드(H1)가 본체(100)에 탑재된 경우, 작업자는 제 1 보드스톱퍼(151c)의 고정핀(151d)을 상향으로 릴리스 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 1 보드스톱퍼(151c)의 노브(151e)를 밀어서, 제 1 보드스톱퍼(151c)가 통합타입 보드(H1)의 가이드 단턱부(Q1)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고정핀(151d)을 하향으로 록킹 시킨다.
이런 경우, 본체(100)의 이동 또는 보드바스켓(140)의 회전시에, 통합타입 보드(H1)가 보드바스켓(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에는 앞서 제 3 레일(153)의 설명에서 언급한 제 2 보드스톱퍼(153f)가 확대되어 있다. 역시, 작업자는 제 2 보드스톱퍼(153f)의 고정핀(153g)을 바깥쪽 수평방향으로 릴리스 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 2 보드스톱퍼(153f)의 손잡이핀(153h)을 상향으로 이동시켜서, 제 2 보드스톱퍼(153f)가 통합타입 보드(H1)의 가이드 단턱부(Q1)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고정핀(153g)을 안쪽 수평방향으로 록킹 시킨다. 이를 통해 통합타입 보드(H1)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바스켓스톱퍼 및 보드바스켓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분리타입 보드(H2)가 탑재된 본체(100)에서는 보드바스켓(140)이 수평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20)에는 상기 제 1 보강판(125)과, 상기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제 1 보강판(125)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121)의 상부 외측면에는 보드바스켓(140)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바스켓스톱퍼(350, 360, 370)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바스켓스톱퍼(350, 360, 370)를 해제 상태로 만들고, 회전모듈(160)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회전모듈(160)의 파워실린더(164)의 축길이가 신장되고, 그 신장에 따라 보드바스켓(140) 및 분리타입 보드(H2)가 상기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가 될 수 있다.
물론, 파워실린더(164)의 축길이가 축소되면, 그 축소에 따라 보드바스켓(140) 및 분리타입 보드(H2)도 상기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20)의 전후단에 위치한 바스켓스톱퍼(350, 370)는 보드바스켓(140)의 수평 상태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데 사용되고, 수직프레임(122)에 위치한 바스켓스톱퍼(360)는 보드바스켓(140)의 수직 상태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은 통합타입 보드를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2는 분리타입 보드를 테스트핸들러와 테스터 사이의 거치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21 또는 도 2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통합타입 보드(H1) 또는 분리타입 보드(H2)를 갖는 본체부(100)를 밀고 이동시켜서, 하이픽스보드의 장착부위[예: 도 1의 테스트핸들러(1)와 테스터(2) 사이의 거치대(3) 또는 도 22의 다른 타입의 거치대(3a)] 까지 이동 후, 본체(100)의 고정수단(112)을 록킹시킴으로써, 상기 하이픽스보드의 장착부위의 지면상에 본체(100)를 고정시킨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모듈(160)을 조작하여, 보드바스켓(140)을 수직 상태로 만든다.
또한, 업다운모듈(130)을 조작하여, 통합타입 보드(H1) 또는 각 분리타입 보드(H2)의 레벨을 하이픽스보드의 장착부위의 레벨에 일치되도록, 프레임부(120) 및 보드바스켓(14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보드바스켓(140) 또는 해당 레일에 마련된 각 보드스톱퍼를 해제시킨 후, 통합타입 보드(H1) 또는 각 분리타입 보드(H2)를 해당 하이픽스보드의 장착부위에 밀어 넣어서 장착을 한다.
이후, 작업자는 고정수단(112)을 릴리스시키고, 보드바스켓(140)을 수평 상태로 만든 후, 본체(100)를 밀어서 본체 보관 장소(미 도시)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서브 카트 100 : 본체
110 : 기저부 120 : 프레임부
130 : 업다운모듈 140 : 보드바스켓
150 : 슬라이딩안착부 160 : 회전모듈
170 : 가이드부 200 : 전장박스

Claims (14)

  1. 하나 이상의 바퀴를 갖는 대차형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위에 배치되고, 원호형 가이드벽체와 수직프레임이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기저부의 사이에 위치한 업다운모듈;
    상기 수직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원호면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갖는 보드바스켓;
    상기 보드바스켓에서 이격 배치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이픽스보드를 탑재시키는 슬라이딩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기초로 상기 보드바스켓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을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바스켓의 측면에 부착된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에 다수로 설치되고, 록킹레버를 누름에 따라 고정판이 하강하고, 릴리스레버를 누름에 따라 상기 록킹레버가 해제되고, 상기 고정판이 상승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고정수단 또는 상기 바퀴가 설치되는 골격프레임과, 상기 골격프레임의 상부를 덮는 기저판과, 상기 기저판에 이격 배치된 LM(Linear Modules)블록과, 상기 LM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을 상기 프레임부의 승강판에 연결한 LM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모듈은, 상기 승강판과 상기 기저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기저판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저판에 설치된 잭업장치와, 상기 잭업장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잭업장치에 연결된 피동샤프트와, 상기 피동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기어를 내장하고, 상기 기저판에 설치된 모듈박스와,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잭업장치의 업다운샤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업다운핸들을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업다운모듈에 의해 승강되고, 확장부를 갖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드바스켓의 폭에 대응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
    상기 업다운모듈의 모듈박스의 위쪽에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보강판;
    상기 모듈박스의 반대쪽에서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보강판;
    상기 확장부의 테두리면에서 수직하게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보드바스켓의 회전샤프트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지지블록을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보강판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제 1 보강판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상부 외측면에는 보드바스켓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바스켓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고, 배터리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회로를 갖는 전장박스;
    상기 보드바스켓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지지블록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보드바스켓의 회전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연결된 각도판; 및
    상기 각도판을 향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보드바스켓의 회전 각도를 계측하도록, 상기 전장박스의 전자회로에 접속된 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안착부는,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의 일측 테두리에 배치되고, 통합타입 보드 및 분리타입 보드에 각각 대응되도록 2단으로 구성된 다수의 롤러를 갖는 제 1 레일;
    상기 제 1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2개의 분리타입 보드를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에서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갖는 제 2 레일;
    상기 제 2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타측 테두리에 배치되고, 분리타입 보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갖는 제 4 레일; 및
    상기 제 2 레일과 상기 제 4 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 2 레일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통합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위해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분리타입 보드의 슬라이딩 장착을 위해 비 돌출되는 롤러를 갖는 제 3 레일을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바스켓은, 상기 제 1 레일과 상기 제 4 레일이 단변쪽 테두리에 설치되고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바닥판;
    상기 바닥구멍에 걸쳐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 3 레일과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핀을 갖는 레일받침대;
    상기 하이픽스보드를 출입시키도록 개방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바닥판의 장변쪽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레일, 상기 제 2 레일 및 상기 제 4 레일의 단부와 연결되는 바스켓측판; 및
    상기 바스켓측판의 중심에 마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샤프트지지블록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샤프트의 타측 끝단에 연결된 샤프트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홈과, 상기 제 1 레일 및 상기 제 3 레일에는, 하이픽스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드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벽체의 원호면을 향하도록 상기 보드바스켓의 저부에 결합된 부채꼴 형상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원호면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된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모듈지지대;
    상기 모듈지지대에 힌지 결합된 실린더헤드;
    상기 실린더헤드와 상기 보드바스켓의 측면의 조인트 사이에 결합되어 신축가능한 파워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헤드에 결합되고, 회전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파워실린더의 신축력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하이픽스보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브 카트를 더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카트는, 상기 보드바스켓의 바닥판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한 카트 상판;
    상기 카트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상측부에 마련된 카트 손잡이;
    상기 구조물의 저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전방향 회전식 휠; 및
    상기 휠과 겹치지 않는 곳을 기준으로 상기 구조물의 저부에 마련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KR1020130064243A 2013-06-04 2013-06-04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KR10199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43A KR101995901B1 (ko) 2013-06-04 2013-06-04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243A KR101995901B1 (ko) 2013-06-04 2013-06-04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40A true KR20140143240A (ko) 2014-12-16
KR101995901B1 KR101995901B1 (ko) 2019-07-04

Family

ID=5267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243A KR101995901B1 (ko) 2013-06-04 2013-06-04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66B1 (ko) * 2020-05-27 2021-12-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풍구용 파쇄장치
KR102600170B1 (ko) * 2023-05-19 2023-11-09 주식회사 대성사 3d 스캐너 범용 측정 테이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655A (ja) * 2002-03-27 2003-10-03 Ando Electric Co Ltd テストボード搬送台車
JP2005347526A (ja) * 2004-06-03 2005-12-15 Nsk Ltd 搬送台車
KR100742214B1 (ko) 2006-01-20 2007-07-25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KR20080086098A (ko) 2007-03-21 2008-09-25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반도체 디바이스 핸들러 시스템
KR100938172B1 (ko) * 2007-12-28 2010-01-21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반도체 소자 로딩방법,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및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110022700A (ko) 2008-09-26 2011-03-07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테스트부유니트 및 테스트헤드
KR20110076118A (ko) * 2009-12-29 2011-07-06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트레이 자세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655A (ja) * 2002-03-27 2003-10-03 Ando Electric Co Ltd テストボード搬送台車
JP2005347526A (ja) * 2004-06-03 2005-12-15 Nsk Ltd 搬送台車
KR100742214B1 (ko) 2006-01-20 2007-07-25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KR20080086098A (ko) 2007-03-21 2008-09-25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반도체 디바이스 핸들러 시스템
KR100938172B1 (ko) * 2007-12-28 2010-01-21 미래산업 주식회사 핸들러, 반도체 소자 로딩방법, 테스트트레이 이송방법, 및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110022700A (ko) 2008-09-26 2011-03-07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테스트부유니트 및 테스트헤드
KR20110076118A (ko) * 2009-12-29 2011-07-06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트레이 자세변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766B1 (ko) * 2020-05-27 2021-12-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풍구용 파쇄장치
KR102600170B1 (ko) * 2023-05-19 2023-11-09 주식회사 대성사 3d 스캐너 범용 측정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901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718B2 (en) Battery mount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unit transfer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unit
KR101687685B1 (ko) 두 위치 사이의 부품 이동 및 장착을 위한 장치
KR101420990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US10976364B2 (en) Test head and wafer inspection apparatus
US747110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tester with interchangeable tester module
KR101995901B1 (ko) 하이픽스보드의 운반 및 설치 장치
JP2014070413A (ja) 回動体の取付装置
KR102099198B1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EP1216420B1 (en) Integrated test cell
CN210893595U (zh) 一种振动主动控制装置用测试台
JPH0833433B2 (ja) プローブ装置
TW536626B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load, and safety lock apparatus for preventing unlocking of a balanced loaded unit in an unloaded state
CN112952653B (zh) 间隔棒安装检修机器人的作业承托模块
JP5117457B2 (ja) エレベータ昇降路内機器の点検台装置
KR20190054414A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JP2015037153A (ja) 電子機器用筐体および筐体用作業台
JP2011251799A (ja) エレベータ機器の点検作業台
CN215525882U (zh) 集成电路测试安装架
US20040172170A1 (en) Portable wheel alignment device
US7279886B2 (en) Slidable mounting plate
CN118010506B (zh) 一种电梯链条性能检测装置
CN104656005B (zh) 检查设备
CN211603449U (zh) 一种pcb板测试装置
CN217488861U (zh) 一种可伸缩把手的医用台车
CN219758423U (zh) 一种主板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