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040B1 -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040B1
KR100908040B1 KR1020080032126A KR20080032126A KR100908040B1 KR 100908040 B1 KR100908040 B1 KR 100908040B1 KR 1020080032126 A KR1020080032126 A KR 1020080032126A KR 20080032126 A KR20080032126 A KR 20080032126A KR 100908040 B1 KR100908040 B1 KR 10090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lectric bike
rail electric
bik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일
최윤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08003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은, 차체(110),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며 전동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력 수단(120), 상기 동력 수단(120)의 전원 ON/OFF, 속도 조절, 방향 조절을 포함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21), 상기 차체(110) 상에 부착되는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 상기 차체(110)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이용표 상에 부착되는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R)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주 바퀴(130),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140) 및 상기 차체(110) 하부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15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152)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51)이 회전하여 상기 암(152)이 펼쳐지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110)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레일(R)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차체(110)를 지지하고,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바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152)은 상기 차체(110) 하단면과 상기 레일(R) 상단면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축(151)으로부터 상기 암(152)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보조 바퀴(150)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더 크도록 그 길이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 상기 레일(R)을 따라 각각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를 식별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00);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RFID 리더(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RFID 리더(200)에서 식별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 및 상기 이용표를 휴대한 승객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수단(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일 전동 바이크, RFID 태그, RFID 리더, 인식, 편의 시설

Description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 Rail-Bike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광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편리성 및 관리 편의성을 높여, 관광객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관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광지나 유원지 등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레일 바이크는 일반적으로 인력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시속 15km 정도의 저속으로 움직이므로, 안전하고 편안하게 경치를 즐길 수 있어 사용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일 바이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일 바이크(100')는, 탑승자가 그 위에 앉도록 구비되는 탑승부(140')가 상측에 구비되는 차체부(110')와, 레일(R) 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차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륜(130')을 페달을 밟아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동력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레일 바이크의 경우 페달을 밟아서 구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신체적인 피로를 느끼거나 구동에 집중하느라 관광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어떤 레일 바이크 탑승자가 피로를 느끼거나 경치를 보다 음미하기 위하여 해당 레일 바이크를 세워둘 경우, 그 뒤에 따라오는 다른 레일 바이크들이 세워둔 레일 바이크 때문에 진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탑승자들의 불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레일 바이크 시설 운영자의 입장에서도 빠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용요금 소득이 감소되는 악영향을 불러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레일 바이크에는 그 구조나 운영 방식 등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어, 탑승자와 운영자 양측 모두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선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일 바이크의 경우, 피로 축적이나 이에 따른 경치 감상의 어려움 등의 문제, 뒤에 따라오는 다른 레일 바이크 차량 때문에 느긋하게 경치를 감상할 수 없는 문제 등 탑승자들이 느끼는 문제와, 레일 바이크의 이용요금 외의 부가이득 획득 수단이나 모델이 전혀 없다는 문제 등 운영자들이 느끼는 문제 등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개선은 아니지만 일부 문제에 대하여 레일 바이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 왔다.
한국특허등록 제0799386호("레일 바이크 장치", 이하 선행기술1)에서는 기존의 철도구간에 보조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 바이크를 이에 맞도록 변형 설계함으로써 레일 바이크가 왕복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객 수송 효율 및 레일 바이크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레일 바이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1의 레일 바이크는 왕복 운행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영자 입장에서 레일 바이크 차량의 빠른 사용 회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적 특성상 탑승자가 마주보고 앉거나 횡방향으로 앉을 수 없이 단지 전후 방향으로밖에는 앉을 수 없어, 탑승자 간 단절감을 크게 발생시키게 되며, 특히 탑승자 수가 2인 이상이 될 경우 이러한 경향은 더욱 커지게 되어, 탑승자 입장에서의 불편을 해소시키기보다는 오히려 불편을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0406375호("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 이하 선행기술2)에서는 레일 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 바이크의 출발점과 도착점에 각각 턴테이블이 구비되고, 턴테이블에는 철도선로와 동일한 높이와 간격을 가진 레일이 구비되어 턴테이블상의 레일에 레일 바이크가 위치한 상태에서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주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하는 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2에 의한 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이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단지 레일 바이크의 방향을 바꾸어 레일 바이크가 왕복 운행이 가능해질 수 있겠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탑승자의 불편 사항을 해소하는 데에는 아무 영향을 주지 못하고, 또한 운영자 문제점인 부가 소득 획득 수단이 전혀 없는 문제에도 역시 아무 영향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평지 지형 뿐 아니라 구릉 지형에서도 적합하게 운행될 수 있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구동이 가능함으로써 탑승자의 피로 축적을 예방하여 탑승자가 보다 관광을 잘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바퀴에 의하여 레일 전동 바이크를 레일을 벗어난 지역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레일 전동 바이크 및 탑승자의 이용표를 RFID 태그를 사용하여 관리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여유있고 다양한 관광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운영자에게는 부가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은, 차체(110),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며 전동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력 수단(120), 상기 동력 수단(120)의 전원 ON/OFF, 속도 조절, 방향 조절을 포함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21), 상기 차체(110) 상에 부착되는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 상기 차체(110)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이용표 상에 부착되는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R)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주 바퀴(130),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140) 및 상기 차체(110) 하부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15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152)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51)이 회전하여 상기 암(152)이 펼쳐지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110)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레일(R)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차체(110)를 지지하고,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바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152)은 상기 차체(110) 하단면과 상기 레일(R) 상단면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축(151)으로부터 상기 암(152)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보조 바퀴(150)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더 크도록 그 길이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 상기 레일(R)을 따라 각각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를 식별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00);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RFID 리더(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RFID 리더(200)에서 식별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 및 상기 이용표를 휴대한 승객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수단(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부터 전송하는 안내 또는 공지 사항, 광고 및 홍보물, 서비스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며, 승객의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 리더(200)의 간격은 상기 RFID 리더(200)의 성능에 따른 인식 가능 거리의 50% 내지 120% 범위 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간격 감지 센서(171) 및 상기 간격 감지 센서(171)와 연결되어 소정 제한 거리 이하의 간격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동하는 경보 장치(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간격 감지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간격 감지부(170)는 상기 동력 수단(120)과 연결되어, 감지된 간격이 소정 제한 거리 이하이면 상기 동력 수단(120)의 출력을 낮추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를 자동으로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원격 조정에 의한 회전 및 줌이 가능한 영상 촬영 카메라(181), 원격 조정에 의한 회전 및 줌이 가능한 사진 촬영 카메라(182), 상기 영상 촬영 카메라(181) 및 상기 사진 촬영 카메라(182)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촬영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촬영부(180)는 RFID 리더를 내장하여 상기 이용표 상에 부착된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하고,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의 저장 요청이 검출되면 저장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의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영상 또는 사진을 CD, DVD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촬영 처리부(1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 시야 공간에 앞유리(191)가 구비되되, 상기 앞유리(191)는 전방 시야 공간의 1/2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앞유리(191)가 상기 차체(110)의 전방 시야 공간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앞유리(191)는 가드레일 상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지붕 공간에 지붕유리(192)가 구비되되, 상기 지붕유리(192)는 지붕 공간의 1/2 크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붕유리(192)가 상기 차체(110)의 지붕 공간 프레임을 따라 각각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붕유리(192)는 서로 독립된 가드레일 상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접거나 말림 가능한 천, 가죽, 비닐을 포함하는 원단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1/2 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방 방풍덮개(193a),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풍덮개(193a)가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수납되는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 접거나 말림 가능한 천, 가죽, 비닐을 포함하는 원단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지붕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고, 타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하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차체 방풍덮개(194a),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지붕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풍덮개(194a)가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수납되는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 및 상기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는 그물망 주머니 형태 또는 덮개가 달린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자(140)는 회전이 가능하되, 운전석 의자(140)는 운행 중 회전이 되지 않도록 잠금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 내부에 간이 테이블(195)이 구비되되, 상기 간이 테이블(195)은 상기 간이 테이블(195)의 상판이 3등분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각 양쪽 면이 중앙 면의 폭 너비에 맞게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이 테이블(195) 상판 상에는 상기 상판 상에 놓여진 사물과 상기 상판 상의 정지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레이저 조명 시설(19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하는 단계; a2)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부착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상기 레일(R) 주변의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a5)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하는 단계; a2)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부착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상기 레일(R) 주변의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a5)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 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a6)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5)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a7)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a6) 단계에서 산출된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구비된 상기 통신 수단(160)으로 안내 또는 광고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하는 단계; a2)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부착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상기 레일(R) 주변의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a5)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a6)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5)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a8) 상기 통신 수단(160)이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된 정보로 된 승객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9)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8) 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b1) 상기 제어 수단(121)에 의해 보조 바퀴(150) 작동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b2)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주 바퀴(130)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b3)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켜 상기 암(152)을 펼치는 단계; b4) 상기 암(152)이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보조 바퀴(150)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c1) 상기 b4)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수단(121)에 의해 주 바퀴(130) 작동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c2)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보조 바퀴(150)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b3)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켜 상기 암(152)을 접는 단계; c4) 상기 암(152)이 완전히 접혀지면,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주 바퀴(130)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d1) 승객이 휴대한 이용표에 부착된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가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 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d4)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d3) 단계에서 산출한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종래의 레일 전동 바이크와는 달리 전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레일 전동 바이크 탑승자가 페달을 밟느라 피로가 축적되는 문제점, 또한 페달을 밟는데 집중하느라 주변 경관을 제대로 즐길 수 없었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소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조건으로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코스 중 특히 경치가 좋은 위치나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된 휴게소 등에서 레일 전동 바이크가 보조 바퀴를 이용하여 레일을 이탈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뒤에 오는 다른 레일 전동 바이크 차량에 대한 부담이 없이 탑승자로 하여금 느긋하고 편안한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
운영자 입장에서는, 레일 전동 바이크 탑승자가 레일을 이탈하여 지정된 휴게소 등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음료수, 간식 등을 판매할 수 있음으로서 부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커다란 경제적 효과가 있다. 더불어, 레일 전동 바이크와 탑승자의 이용표에 각각 부착된 RFID 태그를 사용하여 관리하기 때 문에, 레일 전동 바이크가 레일로부터 이탈한다 하여도 위치 추적이 실시간으로 가능하여 분실이나 절도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RFID 태그의 활용에 따라 레일 전동 바이크 및 탑승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운영 효율을 높이고 나아가 소득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 다수 개의 RFID 리더(200) 및 상기 RFID 리더(200)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체 상황을 관리하는 관리 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크게 차체(110), 동력 수단(120), 제어 수단(121),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 주 바퀴(130), 의자(140) 및 보조 바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또한, 통신 수단(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부가 수단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구비되는 부가 수단들 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8 이하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차체(1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안전성을 높이도록 안전바와 같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면 상에서는 안전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문 형태, 칸막이 형태 등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동력 수단(120)은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주 바퀴(130) 및 상기 보조 바퀴(150)를 구동한다. 상기 동력 수단(120)은 전동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차체(110)가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동력 수단(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121)은, 전원의 ON/OFF 또는 속도 조절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과 같은 방향 조절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레일(R)을 이탈하여 주행할 경우에 승객이 자유로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상기 차체(110) 상에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부착되며, 또한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이용표 상에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가 부착된다. 상기 RFID 태그들(122a, 122b) 및 이와 관련하여 상기 RFID 리더(200), 관리 수단(300) 및 통신 수단(16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 바퀴(130)는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주 바퀴(130)는 레일(R)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주 바퀴(130)가 구동되면 상기 차체(110)가 상기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의자(140)는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어 탑승자가 그 위에 앉을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40)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되거나, 모두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나란히 배열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의자(140)의 방향이 자유로이 바뀔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보조 바퀴(150)는 상기 주 바퀴(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 때, 상기 보조 바퀴(150)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레일을 벗어난 영역, 즉 일반 지면에서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바퀴(150)는 상기 차체(110) 하부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15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152)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151)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암(152)이 접힌 상태일 때와 펼쳐진 상태일 때를 도 4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주 바퀴(130)에 의해 주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보조 바퀴(15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암(152)이 접혀 있게 된다. 물론 이 때 상기 보조 바퀴(150)는 구동되지 않는다.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상기 레일(R)을 벗어나고자 하면, 상기 회전축(151)이 회전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152)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암(152)은 물론, 상기 차체(110) 하단면과 상기 레일(R) 상단면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축(151)으로부터 상기 암(152)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보 조 바퀴(150)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더 크도록 그 길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51)이 회전하여 상기 암(152)이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바퀴(150)가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1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110)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차체(110)가 상기 레일(R)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상기 보조 바퀴(150)가 지면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상기 보조 바퀴(150)가 구동되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레일(R)을 벗어난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또한 통신 수단(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 수단(160)은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8b에 상기 통신 수단(160) 형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통신 수단(160)은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부터 전송하는 안내 또는 공지 사항, 광고 및 홍보물, 서비스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 수단(160)을 사용하여 불편 사항이나 궁금한 사항 등을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등의 형태로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할 수 있게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수단(300)에서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게 됨으로써 어떤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레일(R) 상에서 장시간 멈추어 있는 것을 발견하여 위기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수단(160)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승객이 직접 상기 통신 수단(160)을 통해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위기 상황임을 알릴 수도 있어,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하여 신속하 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상기 RFID 태그들(122a, 122b) 및 이와 관련하여 상기 RFID 리더(200), 관리 수단(300) 및 통신 수단(16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의 위치 추적 방법 원리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R)을 따라 다수 개의 RFID 리더(2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일반적인 RFID 리더(200)는 고주파 사용 시 최대 약 30m 정도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RFID 리더(200) 제품마다 성능에 따라 인식 가능 거리가 달라지나, 이는 제품 설명서 상에 필수 기재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RFID 리더(200) 제품 성능에 따른 인식 가능 거리에 따라 상기 RFID 리더(200)가 이격된 거리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200)가 이격된 거리는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를 얼마나 상세히 파악할 것인지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 가능 거리의 50% 간격으로 상기 RFID 리더(200)를 배치할 경우, 모든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항상 적어도 2개 이상의 RFID 리더(200)에 의하여 인식될 것이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각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를 보다 상세히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인식 가능 거리의 120% 간격으로 배치할 경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 중에 그 위치가 인식되지 않는 범위가 일부 발생하겠으나, 어차피 상기 레일 전 동 바이크(100)는 하나의 RFID 리더(200) 인식 범위를 벗어난 후 조금만 진행하면 다음 RFID 리더(200)의 인식 범위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에, 각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를 약간의 오차 내에서 거의 실시간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RFID 리더(200)의 배치 간격은 상기 RFID 리더(200)의 인식 가능 거리의 50% 내지 120% 범위 내의 값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통해 상기 RFID 리더(200)를 사용하여 개별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전동 바이크A(100A)와 레일 전동 바이크B(100B)가 레일(R) 상을 주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리더A1(200A1) 및 RFID 리더A2(200A2) 사이에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A(100A)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A(100A)에 부착되어 있는 차량 식별용 RFID 태그가 상기 RFID 리더A1(200A1) 및 상기 RFID 리더A2(200A2)에 의해 인식된다.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A(100A)가 좀더 진행하여 상기 RFID 리더A2(100A2)의 인식 가능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A(100A)는 상기 RFID 리더A1(100A1)에만 인식된다. 상기 RFID 리더A1(200A1) 및 상기 RFID 리더A2(200A2)가 실제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는 미리 알려져 있는 사항이기 때문에, 차량 식별용 RFID 태그가 부착된 레일 전동 바이크A(100A) 차량의 위치는, 해당 차량이 어느 RFID 리더에서 인식되고 있는지의 정보를 사용하여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는 레일 전동 바이크 차량마다 구별 가능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A(100A)와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B(100B)는 구별되어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근처에 설치된 다수 개의 RFID 리더들에 의하여 어떤 레일 전동 바이크가 인식되었다는 정보는 관리 수단(300)으로 일괄적으로 전송된다. 상기 관리 수단(300)과 상기 다수 개의 RFID 리더(200)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관리 수단(300)은 각 RFID 리더(200)들을 식별 가능하며, 따라서 어떤 RFID 리더(200)에서 어떤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하면 해당 태그를 부착한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즉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수단(300)에서는 아래의 표와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RFID 리더1 RFID 리더2 RFID 리더3 RFID 리더4 RFID 리더5
10:20 차량A인식 x x x x
10:21 차량A인식 차량A인식 x x x
10:22 x 차량A인식 차량A인식 x x
10:23 x x 차량A인식 차량A인식
10:24 차량B인식 x x 차량A인식 차량A인식
10:25 x 차량B인식 차량B인식 x 차량A인식
10:26 x x x 차량B인식 차량B인식
상기 표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관리 수단(300)은, RFID 리더1에서 10시 20분에 차량A가 인식되면, 차량A가 현재 RFID 리더1이 설치된 위치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시 21분에는 차량A가 RFID 리더1 및 RFID 리더2에 인식되며, 그러면 상기 관리 수단(300)은 차량A가 RFID 리더1 및 RFID 리더2 사이 위치를 통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상기 RFID 리더들이 동일 간격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차량A가 안정적으로 등속 주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시 24분에는 차량A와는 구분되는 차량B가 RFID 리더1에 인식되며, 또한 이 때 RFID 리더4 및 RFID 리더5에 차량A가 인식되고 있으므로, 상기 관리 수단(300)은 10시 24분 현재 두 차량이 적절한 거리를 두고 주행 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10시 25분에는 차량B가 RFID 리더2 및 RFID 리더3에 인식되고 있으며, 10시 26분에는 차량B가 RFID 리더4 및 RFID 리더5에 인식되고 있어, 상기 관리 수단(300)에서는 차량B가 차량A와 비교하여 훨씬 빠른 속도로 주행 중임을 쉽게 인식해 낼 수 있다.
상기 관리 수단(300)은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 및 상기 RFID 리더(200)를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각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통신 수단(160)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 수단(300)은 상기 통신 수단(160)으로 여러 가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수단(300)은 실시간으로 어떤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어떤 위치를 통과하고 있는지를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통신 수단(160)으로 해당 위치에 대한 안내 동영상(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통과하는 지점에 문화재가 위치한다면 해당 문화재에 대한 설명이 담긴 안내 동영상)을 전송하거나, 또는 해당 시설이 위치한 지역의 지역 특산물 홍보 영상, 스폰서 기업의 광고 영상 등을 전송하여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어떤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너무 느린 속도로 주행하여 뒤에 따라오는 다른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주행에 지장을 줄 것으로 예상되거나, 또는 어떤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너무 빠른 속도로 주행하여 앞서 가는 다른 레일 전동 바이크(100)와 지나치게 가까워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예상될 경우, 해당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통신 수단(160)으로 속도를 높이거나 줄여줄 것을 요청하는 공지 음성을 전송하여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 동안 완주하지 않을 경우 부가 요금을 산정하고, 이를 상기 통신 수단(160)을 통해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일례로 제시한 것일 뿐으로, 실제로 레일 형태 및 RFID 리더 배치 위치를 이미지로서 화면 상에 출력하고, 상기 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현재 각 레일 전동 바이크 차량의 위치를 상기 이미지 상에 출력하는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운영자의 편의성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승객 위치 추적 원리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레일(R) 궤도 중에는 특별히 경관이 좋은 지점이나 거리상 중간 휴식이 필요한 지점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지점에 전망대, 휴게소, 매점 등과 같은 편의 시설(400)이 세워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편의 시설(400)에 RFID 리더(200)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레일 전동 바이크(100) 차량에는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부착되며, 이에 의하여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레일 전동 바이크(100) 차량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차체(110)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이용표 상에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가 부착되어, 각 이용표를 휴대하고 있는 승객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용표는 물론 표 형태 뿐만 아니라, 카드 형태, 팔찌 형태, 목걸이 형태로 될 수도 있는 등,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내장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용표 상에 부착된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는 상기 편의 시설(400) 상에 구비된 RFID 리더(200)에 의하여 인식되게 된다. 상기 편의 시설(400)이 단순한 전망대나 휴게소일 경우, 상기 RFID 리더(200)는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승객이 해당 편의 시설(400)에 들렀다는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편의 시설(400)이 매점일 경우, 상기 RFID 리더(200)는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승객이 매점에서 구매를 했다는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해당 승객은 매점에서 여러 상품을 일일이 가격을 치르고 구매를 하지 않고, 단지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에 의해 본인을 인식한 후 상품을 일단 사용한 다음, 레일 전동 바이크 이용이 끝난 후 시설로부터 퇴장할 때 한꺼번에 계산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관리 수단(300)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승객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휴게소 등 편의 시설(400)을 설치하는 위치나 개수 등을 결정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가 전무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들이 어떤 편의 시설(400)에 자주 들르는지, 또한 어떤 편의 시설(400)에서의 체류 시간이 가장 긴지 등의 정보가 누적적으로 저장될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용이 적은 편의 시설(400)을 없애거나 옮길 수도 있고, 또한 이용이 매우 많 은 편의 시설(400) 주변에 편의 시설(400)을 더 지을 수도 있는 등, 합리적인 시설의 운영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지면을 운행할 수 있는 보조 바퀴(15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레일(R)에 분기 레일(R')을 구비함으로써 어떤 레일 전동 바이크 이용 승객이 상기 편의 시설(400)에 들르고 싶을 때 쉽게 레일(R)을 이탈할 수 있다. 만일 보조 바퀴(150)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레일(R)을 벗어날 수 없게 설계될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레일(R')을 구비한다 하여도 분기 레일(R')이 수용할 수 있는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개수에 한계가 있어, 승객들이 마음놓고 편의 시설(400)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조 바퀴(150)를 구비하여 레일(R)을 이탈한 지면에서도 운행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주차 공간이 마련되기만 하면 얼마든지 많은 승객들을 편의 시설(400)에 수용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객의 편의성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도 6(C)에서는 분기 레일(R')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레일(R)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진입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분기 레일(R')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레일(R) 상에 차량이 지나갈 수 있는 철도 건널목과 같은 구조가 일부 구성되어 있으면, 분기 레일(R')이 없이도 상기 보조 바퀴(150)를 사용하여 건널목 부분에서 레일(R)로의 이탈 혹은 진입이 가능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보조 바퀴(150)를 구비하고 있음으 로써, 도 7에서와 같은 편의 시설 단지(P)의 조성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경우 레일(R)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편의 시설(400)을 거의 설치할 수 없었으려니와, 화장실 등의 간단한 편의 시설(400)이 설치된다 하여도 레일(R)에서 매우 밀접한 위치에 설치되어야만 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보조 바퀴(150)를 사용하여 레일(R)을 이탈하여 지면을 다닐 수 있게 됨으로써, 편의 시설(400)을 반드시 레일(R)에 밀접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다수의 편의 시설(400)들이 모여 있는 편의 시설 단지(P)를 조성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의 시설 단지(P)의 입구 및 출구까지는 레일(R)이 깔려 있되 편의 시설 단지(P) 내에는 레일(R)이 깔려 있지 않음으로써, 승객들이 편의 시설 단지(P) 내를 레일 전동 바이크(100)를 타고 다니거나 또는 적절한 장소에 주차해 둔 뒤 걸어서 다닐 수도 있는 등 자유로이 편의 시설 단지(P) 내를 돌아다닐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편의 시설 단지(P)를 조성함으로써, 운영자로서는 보다 다양하고 많은 편의 시설(400)을 유치할 수 있어 소득을 더욱 올릴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어느 지역의 관광 시설일 경우, 해당 지역의 특산물 농가 등과 연계하여 농가 직송 특산물을 판매하는 편의 시설(400)들을 상기 편의 시설 단지(P)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지 레일 전동 바이크 시설의 운영자 뿐만 아니라 해당 레일 전동 바이크 시설이 있는 지역 근방의 경제 발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승객으로서는, 종래의 레일 전동 바이크의 경우 단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경치를 구경하는 이외에 할 수 있는 일이 없었으나 본 발명 의 경우 다양한 편의 시설을 (특히 뒤에 따라오는 다른 레일 전동 바이크를 신경쓸 필요가 전혀 없이) 여유있게 이용할 수 있어 훨씬 즐거운 관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에 구비되는 부가 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감지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 감지부(170)는 간격 감지 센서(171) 및 경보 장치(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 감지 센서(171)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경보 장치(172)는 상기 간격 감지 센서(171)와 연결되어 소정 제한 거리 이하의 간격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동하게 된다.
상기 간격 감지 센서(171)는 물체들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떤 종류의 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 장치(172)는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릴 수 있는 장치라면 어쩐 종류의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빛으로 경고하는 경고등, 소리로 경고하는 사이렌,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구비된 통신 수단(도 8b의 160)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나타나는 경고 메시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경고등과 사이렌이 동시에 울리거나, 제1제한 거리에서는 경고등이 울리고 제1제한거리보다 가까운 제2제한 거리에서는 사이렌이 울리게 하는 등 적절한 알고리즘에 따라 작동하게 할 수도 있는 등, 상기 경보 장치(172)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제한 거리는 운영자의 편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5~20m 범위 내의 거리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실제로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약 시속 15km/h 정도의 매우 저속으로 달리기 때문에 제동 거리를 계산하면 10m 이하가 되는 바, 상기 소정 제한 거리를 10m 정도의 거리로 결정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간격 감지부(170)는 상기 동력 수단(120)과 연결되어, 상기 간격 감지부(170)에 감지된 간격이 소정 제한 거리 이하가 될 경우 상기 동력 수단(120)의 출력을 낮추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속도를 늦추거나 멈추도록 감속하여 안전성을 더욱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에 구비되는 부가 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내부 전방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180)는 영상 촬영 카메라(181), 사진 촬영 카메라(182) 및 디스플레이(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촬영 처리부(18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 카메라(181) 및 상기 사진 촬영 카메라(182)는 각각 원격 조정에 의한 회전 및 줌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83)는 상기 영상 촬영 카메라(181) 및 상기 사진 촬영 카메라(182)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출력한다.
상기 촬영 처리부(184)는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영상 또는 사진 저장 기능을 부가 서비스로서 운영자에게 요금을 정산한 후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운영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를 사용하면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요금 정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촬영 처리부(184)는 RFID 리더를 내장하여 상기 이용표 상에 부착된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하고,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의 저장 요청이 검출되면 저장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의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영상 또는 사진을 CD, DVD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함으로써, 매우 편리하게 자동적인 요금 정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c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에 구비되는 부가 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앞유리(191) 및 지붕유리(1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앞유리(19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10)의 전방 시야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앞유리(191)는 전방 시야 공간의 1/2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앞유리(191)는 가드레일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앞유리(191)가 상기 차체(110)의 전방 시야 공간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바람이 통하게 하고 싶으면 상기 앞유리(191)를 아래쪽으로 내려두고, 바람을 막고 싶으면 상기 앞유리(191)를 위쪽으로 올려둘 수 있다. 물론 상기 앞유리(191)의 움직임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상기 동력 수단(120)으로부터 동력을 끌어와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지붕유리(19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10)의 지붕 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지붕유리(192)는 지붕 공간의 1/2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지붕유리(192)가 서로 독립된 가드레일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차체(110)의 지붕 공간 프레임을 따라 각각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탑승자는 공기의 유통을 조절하거나 또는 햇볕이나 눈비의 들이침을 막기 위해 상기 지붕유리(192)의 열리거나 닫힌 상태를 원하는 대로 조절해 둘 수 있다. 역시 상기 지붕유리(192)의 움직임은 상기 앞유리(191)의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또한 상기 동력 수단(120)으로부터 동력을 끌어와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8d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에 구비되는 부가 수단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방풍덮개(193a),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 차체 방풍덮개(194a),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방풍덮개(193a)는 접거나 말림 가능한 천, 가죽, 비닐을 포함하는 원단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 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1/2 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동절기나 비가 오는 날씨 등과 같은 경우, 상기 앞유리(191)를 위쪽으로 올리고 상기 전방 방풍덮개(193a)을 올려 덮게 되면 외부로부터의 바람이나 눈비 등을 완전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풍덮개(193a)가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수납된다.
상기 차체 방풍덮개(194a)는 역시 접거나 말림 가능한 천, 가죽, 비닐을 포함하는 원단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지붕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고, 타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하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역시 전방 방풍덮개(193a)와 마찬가지로, 동절기, 비가 오는 날씨 등에 상기 차체 방풍덮개(194a)를 펼쳐 고정시키면 외부로부터의 바람 등으로부터 탑승자가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지붕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풍덮개(194a)가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수납된다.
상기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 및 상기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는 그물망 주머니 형태 또는 덮개가 달린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탑승자가 쉽게 상기 방풍덮개들을 펼치거나 다시 접어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을 보다 튼튼히 할 수 있도록 상기 방풍덮개의 모서리를 따라 더 고정하는 부분들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8e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에 구비되는 부가 수단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 테이블(195) 및 레이저 조명 시설(19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이 테이블(195)은 상기 차체(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간이 테이블(195)은 상판이 3등분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각 양쪽 면이 중앙 면의 폭 너비에 맞게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이 테이블(195) 상판 상에는 상기 상판 상에 놓여진 사물과 상기 상판 상의 정지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의자(140)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전방의 의자(140)를 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고 상기 간이 테이블(195)을 펼침으로써 식사, 게임 등을 쉽게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레이저 조명 시설(196)이 구비됨으로써, 야간에 레이저 조명을 비추어 보다 안전하면서도 즐거운 관광이 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레일 바이크.
도 3은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의 주 바퀴 및 보조 바퀴 운용 예.
도 5는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의 위치 추적 예.
도 6은 본 발명의 승객 위치 추적 예.
도 7은 본 발명의 편의 시설 단지 예.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부가 수단들의 실시예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110: 차체
120: 동력 수단 121: 제어 수단
122a: 차량 식별용 RFID 태그 122b: 승객 식별용 RFID 태그
130: 주 바퀴 140: 의자
150: 보조 바퀴 151: 회전축
152: 암 160: 통신 수단
170: 간격 감지부
171: 간격 감지 센서 172: 경보 장치
180: 촬영부
181: 영상 촬영 카메라 182: 사진 촬영 카메라
183: 디스플레이 184: 촬영 처리부
191: 앞유리 192: 지붕유리
193a: 전방 방풍덮개 193b: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
193a: 차체 방풍덮개 193b: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
195: 간이 테이블 196: 레이저 조명 시설
200: RFID 리더 300: 관리 수단
R: 레일 R': 보조 레일

Claims (20)

  1. 차체(110),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며 전동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력 수단(120),
    상기 동력 수단(120)의 전원 ON/OFF, 속도 조절, 방향 조절을 포함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21),
    상기 차체(110) 상에 부착되는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
    상기 차체(110)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이용표 상에 부착되는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R)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주 바퀴(130),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140) 및
    상기 차체(110) 하부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15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152)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51)이 회전하여 상기 암(152)이 펼쳐지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110)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레일(R)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차체(110)를 지지하고,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바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152)은 상기 차체(110) 하단면과 상기 레일(R) 상단면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축(151)으로부터 상기 암(152)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보조 바퀴(150)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더 크도록 그 길이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
    상기 레일(R)을 따라 각각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를 식별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00);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RFID 리더(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RFID 리더(200)에서 식별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 및 상기 이용표를 휴대한 승객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수단(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부터 전송하는 안내 또는 공지 사항, 광고 및 홍보물, 서비스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며, 승객의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 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200)의 간격은
    상기 RFID 리더(200)의 성능에 따른 인식 가능 거리의 50% 내지 120% 범위 내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간격 감지 센서(171) 및 상기 간격 감지 센서(171)와 연결되어 소정 제한 거리 이하의 간격이 감지되면 경보를 발동하는 경보 장치(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간격 감지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감지부(170)는
    상기 동력 수단(120)과 연결되어, 감지된 간격이 소정 제한 거리 이하이면 상기 동력 수단(120)의 출력을 낮추어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를 자동으로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원격 조정에 의한 회전 및 줌이 가능한 영상 촬영 카메라(181), 원격 조정에 의한 회전 및 줌이 가능한 사진 촬영 카메라(182), 상기 영상 촬영 카메라(181) 및 상기 사진 촬영 카메라(182)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촬영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80)는
    RFID 리더를 내장하여 상기 이용표 상에 부착된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하고,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의 저장 요청이 검출되면 저장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의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영상 또는 사진을 CD, DVD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촬영 처리부(1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 시야 공간에 앞유리(191)가 구비되되, 상기 앞유리(191)는 전방 시야 공간의 1/2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앞유리(191)가 상기 차체(110)의 전방 시야 공간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앞유리(191)는 가드레일 상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지붕 공간에 지붕유리(192)가 구비되되, 상기 지붕유리(192)는 지붕 공간의 1/2 크기로 형성되며, 한 쌍의 상기 지붕유리(192)가 상기 차체(110)의 지붕 공간 프레임을 따라 각각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붕유리(192)는 서로 독립된 가드레일 상에 설치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는
    접거나 말림 가능한 천, 가죽, 비닐을 포함하는 원단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1/2 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방 방풍덮개(193a),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전방 시야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풍덮개(193a)가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수납되는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
    접거나 말림 가능한 천, 가죽, 비닐을 포함하는 원단 소재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지붕 모서리부에 각각 부착되고, 타측 모서리는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하부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차체 방풍덮개(194a),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10)의 양쪽 측면 및 후면의 지붕 모서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 방풍덮개(194a)가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수납되는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풍덮개 수납부(193b) 및 상기 차체 방풍덮개 수납부(194b)는
    그물망 주머니 형태 또는 덮개가 달린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140)는
    회전이 가능하되, 운전석 의자(140)는 운행 중 회전이 되지 않도록 잠금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 내부에 간이 테이블(195)이 구비되되, 상기 간이 테이블(195)은 상기 간이 테이블(195)의 상판이 3등분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각 양쪽 면이 중앙 면의 폭 너비에 맞게 접힘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이 테이블(195) 상판 상에는 상기 상판 상에 놓여진 사물과 상기 상판 상의 정지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이크(100)는
    상기 차체(110)의 전방에 레이저 조명 시설(19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하는 단계;
    a2)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부착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상기 레일(R) 주변의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a5)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6. 제 2항에 의한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하는 단계;
    a2)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부착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가 상기 레일(R) 주변의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a5)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a6)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5)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a7)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a6) 단계에서 산출된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구비된 상기 통신 수단(160)으로 안내 또는 광고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7. 제 2항에 의한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레일(R)을 따라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가 주행하는 단계;
    a2)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에 부착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 그(122a)가 상기 레일(R) 주변의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a3)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a3)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a5)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4)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a6)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5)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a8) 상기 통신 수단(160)이 텍스트, 음성 또는 영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된 정보로 된 승객으로부터의 요청 또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a9)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a8) 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8.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b1) 상기 제어 수단(121)에 의해 보조 바퀴(150) 작동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b2)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주 바퀴(130)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b3)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켜 상기 암(152)을 펼치는 단계;
    b4) 상기 암(152)이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보조 바퀴(150)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c1) 상기 b4)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 수단(121)에 의해 주 바퀴(130) 작동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c2)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보조 바퀴(150)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b3)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회전축(151)을 회전시켜 상기 암(152)을 접는 단계;
    c4) 상기 암(152)이 완전히 접혀지면, 상기 동력 수단(120)이 상기 주 바 퀴(130)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20.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d1) 승객이 휴대한 이용표에 부착된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가 상기 RFID 리더(200)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감지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를 인식 및 식별한 상기 RFID 리더(200)가 인식 시각을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으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에서 상기 RFID 리더(200)가 전송한 인식 정보를 상기 관리 수단(300)이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위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d4) 상기 관리 수단(300)이 상기 d3) 단계에서 산출한 위치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080032126A 2008-04-07 2008-04-07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90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26A KR100908040B1 (ko) 2008-04-07 2008-04-07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126A KR100908040B1 (ko) 2008-04-07 2008-04-07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040B1 true KR100908040B1 (ko) 2009-07-15

Family

ID=41337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126A KR100908040B1 (ko) 2008-04-07 2008-04-07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0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07B1 (ko) * 2012-12-07 2014-08-0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KR20170030187A (ko)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에이엠티 관광열차 제어장치
KR102048547B1 (ko) * 2018-08-10 2019-11-25 길승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KR102143787B1 (ko) * 2019-02-12 2020-08-12 이영순 레일 바이크 충돌 예방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44899A (zh) * 2019-02-11 2020-08-18 马克里德斯有限及两合公司 乘用游乐设施、以及用于运行乘用游乐设施的方法
KR102160104B1 (ko) * 2020-05-25 2020-09-25 이현수 안전성이 향상된 모노레일 바이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203A (ko) * 2003-10-01 200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돌 방지 경고장치
KR20070047935A (ko) * 2005-11-03 2007-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리더
KR20070105806A (ko) * 2006-04-27 2007-10-31 조용균 미아 찾기 시스템
KR100799386B1 (ko) 2006-02-21 2008-01-30 강기세 레일바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203A (ko) * 2003-10-01 200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돌 방지 경고장치
KR20070047935A (ko) * 2005-11-03 2007-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Rfid리더
KR100799386B1 (ko) 2006-02-21 2008-01-30 강기세 레일바이크 장치
KR20070105806A (ko) * 2006-04-27 2007-10-31 조용균 미아 찾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07B1 (ko) * 2012-12-07 2014-08-0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 대차
KR20170030187A (ko)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에이엠티 관광열차 제어장치
KR102048547B1 (ko) * 2018-08-10 2019-11-25 길승환 중력에너지를 이용한 중력하강 장치 및 체험시설물
CN111544899A (zh) * 2019-02-11 2020-08-18 马克里德斯有限及两合公司 乘用游乐设施、以及用于运行乘用游乐设施的方法
CN111544899B (zh) * 2019-02-11 2022-01-21 马克里德斯有限及两合公司 乘用游乐设施、以及用于运行乘用游乐设施的方法
KR102143787B1 (ko) * 2019-02-12 2020-08-12 이영순 레일 바이크 충돌 예방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0104B1 (ko) * 2020-05-25 2020-09-25 이현수 안전성이 향상된 모노레일 바이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6223B2 (en) Vehicle and service management device
KR100908040B1 (ko)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1511336B (zh) 具有控制和通信单元的电动便利车辆(ecv)
US11037475B1 (en) Various interior and exterior features for autonomous vehicles
US6816085B1 (en) Method for managing a parking lot
US7123166B1 (en) Method for managing a parking lot
CN103370249B (zh) 用于预测检测到的物体的行为的系统和方法
CN106240456A (zh) 驾驶员辅助设备及其控制方法
CN109703607A (zh) 一种智能行李车
CN106530806A (zh) 一种水上智能停车船停车系统及其应用方法
CN106143282A (zh) 车辆用组合尾灯及包括其的车辆
EP2175089A2 (de) Vorrichtung für einen integrierten Multifunktionsstellplatz
CN109564731A (zh) 车辆状态控制装置、车辆状态控制方法和车辆
US11247746B2 (en) Electric convenience vehicle (ECV) with control and communications unit
KR20190087930A (ko) 광고 차량 및 차량용 광고 시스템
US11537214B2 (en) Vehicle display system for vehicle
DE102019116875A1 (de) Ladevorrichtung und system
CN214376963U (zh) 一种停车服务机器人
KR102369197B1 (ko) 방역 겸용 인휠 모터 전동리어카 및 그 플랫폼 시스템
US20080094251A1 (en) Control System
US20200286379A1 (en) Mobile object and server apparatus
Harrow et al. Driverless futures: Design for acceptance and adoption in urban environments
US20230316332A1 (en) Scooter advertis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JP3244611U (ja) 駐車場システム
TWM593702U (zh) 一種能提供多功能的行車記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