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931B1 -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931B1
KR101424931B1 KR1020130053193A KR20130053193A KR101424931B1 KR 101424931 B1 KR101424931 B1 KR 101424931B1 KR 1020130053193 A KR1020130053193 A KR 1020130053193A KR 20130053193 A KR20130053193 A KR 20130053193A KR 101424931 B1 KR101424931 B1 KR 10142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plate
slider memb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명
Original Assignee
홍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명 filed Critical 홍정명
Priority to KR102013005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60N2/23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by linear screw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럼버 서포트를 동력에 의해 출몰되도록 조정하여 시트에 착좌한 승차원과의 밀착성과 안락함을 향상시키고, 승차원의 자세가 흐트러져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몸체 중앙에 받침판(11)가 마련되고, 이 받침판(11) 양측에 다수의 받침윙(12)이 구비되며, 받침판(11)의 후면 상부에는 지지부재 고정걸이(13)가 형성되고, 후면 하부에는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가 성형된 서포트 플레이트(10)와;
받침지지부(21)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부(22)가 상향 절곡되고, 이 수직지지부(22)의 상단에 수평지지부(23)가 외측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수평지지부(23) 사이에 수평받침부(24)를 접합시켜 일체 구성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후방에서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에 받침지지부(21)가 끼워지고, 지지부재 고정걸이(13)에 수평지지부(23)와 수평받침부(24)가 끼워져 결합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후방에서 수직지지부(22)에 양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며, 중앙부에 나선홀(31)이 구비되고 전방에 결속홈(32)이 형성된 슬라이더부재(30)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 후면과 지지부재(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결속홈(32)에 끼워지는 결속돌출부(41)가 상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결속돌출부(41)의 중앙에 와이어 고정구멍(41a)이 구비되고, 하부 후방으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갖는 끼움돌출부(42)가 성형된 누름판(40)과;
상기, 누름판(40)의 하부에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통과해 진입되며, 일단이 결속돌출부(41)의 와이어 고정구멍(41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된 와이어(50)와;
외부 입력 신호 조작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결합된 웜피니언(62)의 회전으로 상기 웜피니언(62)에 직교방향으로 치합하는 웜기어(63)가 연동 회전하며, 이 웜기어(63)에 연동해 회전하는 스크류(64)가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나선홀(31)에 결합되어, 구동모터(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부재(3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60)과;
상기 구동수단(60)의 구동모터(61), 웜피니언(62), 웜기어(63)를 감싸는 커버(71)을 갖고, 이 커버(71) 전방으로 상기 지지부재(20)의 수평받침부(24)에 결속되는 결속돌기(73)가 돌출 성형된 고정하우징(70)으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LUMBAR SUPPORT FO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럼버 서포트를 동력에 의해 출몰되도록 조정하여 시트에 착좌한 승차원과의 밀착성과 안락함을 향상시키고, 승차원의 자세가 흐트러져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차량 내부의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운전자 및 동승객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백 패드를 포함하는 시트백이 있고, 프론트 시트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착석하는 운전자는 시트의 회동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습관 및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백을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백 패드만으로는 장시간 운전 시 승객의 착좌 자세 변화에 근본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움이 있어, 시트백 내부에는 등을 편안하게 감싸주는 완충장치 및 요추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럼버 서포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럼버 서포트는 탑승자의 요추부에 접촉되는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출몰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럼버 서포트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122980호와 같이 시트백의 내부 상하부에 구비되는 고정횡바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결착수단과, 상기 결착수단과 결착수단 사이의 좌우 양측에 복수개의 서포트윙을 가지며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플레이트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엉치받침부가 형성되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부에서 선택적으로 만곡 돌출가능한 서포트 플레이트의 돌출 높이를 무단 조절하는 지지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며, 아울러 상기 서포트부재에 엉치받침부에 일체로 그 상부에 요추받침부가 더 구비하고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럼버서포트는 시트의 측벽에 설치되는 회전식 레버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서포트 플레이트의 굽힘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나, 탑승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동 이외의 다른 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럼버 서포트를 자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085154호와 같이 럼버 서포트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를 구동모터와 결합 연결된 웜과 웜기어 및 스크류가 포함되어 구성된 감속부의 동작으로, 상기 스크류에 나선 결합된 슬라이더가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어 서포트 플레이트의 굽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럼버 서포트의 굽힘 정도를 서포트 플레이트 상,하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이용해 굽힘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와이어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122980호 - 자동차 시트의 람버서포트(등록일자 2012년 02월 24일).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1085154호 -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엑추에이터 시스템(등록일자 2011년 11월 14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럼버 서포트의 굽힘 정도를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조정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서포트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 중앙에 받침판(11)가 마련되고, 이 받침판(11) 양측에 다수의 받침윙(12)이 구비되며, 받침판(11)의 후면 상부에는 지지부재 고정걸이(13)가 형성되고, 후면 하부에는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가 성형된 서포트 플레이트(10)와;
받침지지부(21)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부(22)가 상향 절곡되고, 이 수직지지부(22)의 상단에 수평지지부(23)가 외측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수평지지부(23) 사이에 수평받침부(24)를 접합시켜 일체 구성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후방에서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에 받침지지부(21)가 끼워지고, 지지부재 고정걸이(13)에 수평지지부(23)와 수평받침부(24)가 끼워져 결합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후방에서 수직지지부(22)에 양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며, 중앙부에 나선홀(31)이 구비되고 전방에 결속홈(32)이 형성된 슬라이더부재(30)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 후면과 지지부재(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결속홈(32)에 끼워지는 결속돌출부(41)가 상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결속돌출부(41)의 중앙에 와이어 고정구멍(41a)이 구비되고, 하부 후방으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갖는 끼움돌출부(42)가 성형된 누름판(40)과;
상기, 누름판(40)의 하부에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통과해 진입되며, 일단이 결속돌출부(41)의 와이어 고정구멍(41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된 와이어(50)와;
외부 입력 신호 조작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결합된 웜피니언(62)의 회전으로 상기 웜피니언(62)에 직교방향으로 치합하는 웜기어(63)가 연동 회전하며, 이 웜기어(63)에 연동해 회전하는 스크류(64)가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나선홀(31)에 결합되어, 구동모터(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부재(3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60)과;
상기 구동수단(60)의 구동모터(61), 웜피니언(62), 웜기어(63)를 감싸는 커버(71)을 갖고, 이 커버(71) 전방으로 상기 지지부재(20)의 수평받침부(24)에 결속되는 결속돌기(73)가 돌출 성형된 고정하우징(70)으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직선 운동하는 슬라이더부재가 누름판을 전방을 향해 출몰시키고, 상기 누름판의 출몰과 연동되어 서포트 플레이트의 받침판이 출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고 있어, 상기 구성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다.
또, 상기 슬라이더부재는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서포트 플레이트의 굽힘 정도를 설정 범위 내에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으로 럼버 서포트가 자동 조정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럼버 서포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결합 구성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에서 구동수단 내부가 표현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럼버 서포트의 슬라이더부재가 상단에 위치된 초기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럼버 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엑츄에이터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는 시트백 내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럼버 서포트를 동력에 의해 출몰되도록 조정하여 시트에 착좌한 승차원과의 밀착성과 안락함을 향상시키고, 승차원의 자세가 흐트러져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럼버 서포트(100)의 후방을 도시한 것으로 크게 판 형상의 서포트 플레이트(10)를 갖고, 이 서포트 플레이트(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를 따라 승하강 하는 슬라이더부재(30)와,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승하강에 따라 서포트 플레이트(10)를 출몰시키는 누름판(40)과, 상기 누름판(40)에 결합되는 와이어(50)와, 상기 슬라이더부재(30)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60)과, 상기 구동수단(60)을 지지부재(20)에 고정하는 고정하우징(70)으로 구성된 엑츄에이터장치가 포함되어 달성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는, 도 1에서와 같이 판 형상의 몸체 중앙에 탄력을 갖도록 관통구멍이 수개가 형성된 받침판(11)가 마련되고, 이 받침판(11) 양측에 다수의 받침윙(12)이 구비되며, 받침판(11)의 후면 상부에는 지지부재 고정걸이(13)가 형성되고, 후면 하부에는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가 성형된다.
이와 같은 서포트 플레이트(10)는 받침판(11)의 중앙과 양측에 장방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받침판(11)가 보다 안정적으로 구부려지거나 펴질수 있게 하며, 양측에 마련된 받침윙(12)은 상부와 하부가 중앙의 윙들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하고, 각 받침윙(12)의 사이에는 결여공간이 형성되어 탄력성이 증대되게 한다.
또, 상기 받침판(11)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 고정걸이(13)는 후술되는 지지부재(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감싸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후면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는 지지부재(20)가 끼워져 하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금속봉을 절곡시켜 하단의 받침지지부(21)를 형성하고, 이 받침지지부(21)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부(22)가 상향 절곡되며, 이 수직지지부(22)의 상단에 수평지지부(23)가 외측으로 절곡 성형하여, 상기 수평지지부(23) 사이에 다른 수평받침부(24)를 접합시켜 일체 구성한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20)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에 받침지지부(21) 상부가 접촉되게 끼워지고, 지지부재 고정걸이(13)에 수평지지부(23)와 수평받침부(24)가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부재(30)는 몸체 양단부에 상기 수직지지부(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끼움홈(33)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0)의 후방에서 한 쌍의 수직지지부(22)에 조립한다.
또, 슬라이더부재(30)의 몸체 중앙부에는 나선홀(31)이 관통 형성되며, 서포트 플레이트(10)를 향한 전방으로 결속홈(32)을 갖도록 성형시켜, 이 결속홈(32)에 누름판(4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판(40)은,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 후면과 지지부재(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결속홈(32)에 끼워지는 결속돌출부(41)가 상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결속돌출부(41)의 중앙에 와이어 고정구멍(41a)이 구비되고, 하부 후방으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갖는 끼움돌출부(42)가 더 성형되어 있다.
또, 누름판(40)은 판 형상의 몸체 중앙에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장방형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하부 끼움돌출부(42)를 시트백 내부에 고정한 상태로 이 누름판(40) 상부가 슬라이더부재(30)에 의해 가압되어 구부려지거나 펴지면서 전방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를 출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누름판(40)의 하부에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통과해 진입되어, 일단이 상기 결속돌출부(41)의 와이어 고정구멍(41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와이어(50)를 이용해 상기 누름판(40)이 과도하게 굽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를 출몰시키기 위해 누름판(40)을 자동으로 구부리거나 펴지게 하는 구동수단(60)은, 외부 입력 신호 조작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61)와, 이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결합된 웜피니언(62)과, 상기 웜피니언(62)에 직교방향으로 치합하는 웜기어(63)와, 이 웜기어(63)에 연동해 회전하는 스크류(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웜기어(63)는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구비된 웜피니언(62)과 직교방향으로 치합되면서, 회전방향을 수직하게 변경함과 아울러 모터의 회전수를 일정 기어비로 감속시키게 한다.
또, 상기 스크류(64)의 최하단에는 스토퍼(64a)가 구비되어 스크류(64)를 따라 승하강하는 슬라이더부재(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한다.
따라서, 구동모터(61)의 작동으로 웜피니언(62)이 화전하면 치합된 웜기어(63)가 연동 회전시고, 상기 웜기어(63)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부재(30)의 나선홀(31)에 결합된 스크류(64)를 회전시켜 슬라이더부재(30)가 직선 왕복 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60)에는 구동모터(61)의 구동축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 센서(도면에 미도시)와, 구동모터의 구동축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이르면 구동모터(6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도면에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홀 센서를 통해 구동모터(61)의 구동축이 미리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했는지가 판단되면, 모터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6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재(30) 상부에는 지지부재(20)의 수평받침부(24)에 결합 고정되면서 구동수단(6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하우징(70)이 구비된다.
이 고정하우징(70)은, 구동수단(60)의 구동모터(61), 웜피니언(62), 웜기어(63)를 감싸는 커버(71)가 형성되며. 이 커버(71)의 전방으로 상기 지지부재(20)의 수평받침부(24)에 결속되는 결속돌기(73)가 돌출 성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하우징(70)에 의해 구동수단(60)이 지지부재(20) 상단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스크류(64)의 회전으로 슬라이더부재(30)가 지지부재(20)의 수직지지부(22)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는 럼버 서포트(100)의 슬라이더부재(30)가 상단에 위치하여 누름판(40) 및 받침판(11)가 펼쳐진 상태의 초기상태이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서포트 플레이트(10)의 지지부재 고정걸이(13)에 지지부재(20)의 수평지지부(23)와 수평받침부(24)가 결합되고,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에 받침지지부(21)가 상부가 접촉된 상태로 끼워진다.
또, 상기 수평지지부(23)와 수평받침부(24)에는 구동수단(60)을 감싼 고정하우징(70)의 결속돌기(72)가 결합되어 구동수단(60)의 위치가 시트백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수단(60)의 스크류(64)와 결합되어 수직지지부(22)를 따라 가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부재(30)에 누름판(40)이 조립된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에, 운전석 또는 보조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해 조작부(도면에 미도시)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에 전달되면서 컨트롤러를 통해 전원을 구동모터(61)에 인가한다.
다음으로,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피니언(62)이 웜기어(63)를 감속비에의해 감속시킨 후 종동시키고, 상기 웜기어(63)가 결합된 스크류(64)를 회전시켜, 이 스크류(64)가 나선홀(31)에 결합된 슬라이더부재(3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게 된다.
도 5는 상기 구동수단(60)의 동작으로 슬라이더부재(30)가 하강되어 럼버 서포트(100)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하강에 따라 누름판(40)이 굽혀지면서 동시에 받침판(11)도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므로 탑승객의 등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끼움홈(33)에는 지지부재(20)의 수직지지부(22)가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슬라이더부재(30)는 몸체 중앙의 나선홀(31)에 결합된 스크류(64) 회전에 따라 양측부가 수직지지부(22)를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 이동 한다.
그리고, 조작부를 조작하여 구동모터(61)를 반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웜기어(6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더부재(30)가 승강되면서 누름판(40)이 펼쳐지면서 동시에 받침판(11)도 펼쳐진 상태 즉, 도 4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럼버 서포트(100)는 구동수단(60)을 이용해 자동으로 서포트 플레이트(10)의 출몰 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서포트 플레이트 11 - 받침판
12 - 받침윙 13 - 지지부재 고정걸이
14 - 지지부재 가이드고리 20 - 지지부재
21 - 받침지지부 22 - 수직지지부
23 - 수평지지부 24 - 수평받침부
30 - 슬라이더부재 31 - 나선홀
32 - 결속홈 33 - 끼움홈
40 - 누름판 41 - 결속돌출부
42 - 끼움돌출부 50 - 와이어
60 - 구동수단 61 - 구동모터
62 - 웜피니언 63 - 웜기어
64 - 스크류 64a - 스토퍼
70 - 고정하우징 71 - 커버
72 - 결속돌기 100 - 럼버서포트

Claims (3)

  1. 몸체 중앙에 받침판(11)가 마련되고, 이 받침판(11) 양측에 다수의 받침윙(12)이 구비되며, 받침판(11)의 후면 상부에는 지지부재 고정걸이(13)가 형성되고, 후면 하부에는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가 성형된 서포트 플레이트(10)와;
    받침지지부(21)의 상부 중앙에 한 쌍의 수직지지부(22)가 상향 절곡되고, 이 수직지지부(22)의 상단에 수평지지부(23)가 외측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수평지지부(23) 사이에 수평받침부(24)를 접합시켜 일체 구성하여,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후방에서 지지부재 가이드고리(14)에 받침지지부(21)가 끼워지고, 지지부재 고정걸이(13)에 수평지지부(23)와 수평받침부(24)가 끼워져 결합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20)의 후방에서 수직지지부(22)에 양단부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며, 중앙부에 나선홀(31)이 구비되고 전방에 결속홈(32)이 형성된 슬라이더부재(30)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 후면과 지지부재(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결속홈(32)에 끼워지는 결속돌출부(41)가 상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결속돌출부(41)의 중앙에 와이어 고정구멍(41a)이 구비되고, 하부 후방으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갖는 끼움돌출부(42)가 성형되며, 상기 끼움돌출부(42)를 시트백 내부에 고정한 상태로 그 상부가 상기 슬라이더부재(30)에 의해 가압되어 구부려지거나 펴지면서 전방 서포트 플레이트(10)의 받침판(11)를 출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누름판(40)과;
    상기, 누름판(40)의 하부에서 와이어 끼움구멍(42a)을 통과해 진입되며, 일단이 결속돌출부(41)의 와이어 고정구멍(41a)에 끼워져 고정 결합된 와이어(50)와;
    외부 입력 신호 조작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결합된 웜피니언(62)의 회전으로 상기 웜피니언(62)에 직교방향으로 치합하는 웜기어(63)가 연동 회전하며, 이 웜기어(63)에 연동해 회전하는 스크류(64)가 상기 슬라이더부재(30)의 나선홀(31)에 결합되어, 구동모터(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부재(3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수단(60)과;
    상기 구동수단(60)의 구동모터(61), 웜피니언(62), 웜기어(63)를 감싸는 커버(71)을 갖고, 이 커버(71) 전방으로 상기 지지부재(20)의 수평받침부(24)에 결속되는 결속돌기(73)가 돌출 성형된 고정하우징(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0)에는 구동모터(61)의 구동축 회전수를 감지하는 홀 센서와, 구동모터의 구동축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이르면 구동모터(6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홀 센서를 통해 구동모터(61)의 구동축이 미리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했는지가 판단되면, 모터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6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0)의 스크류(64)에는, 슬라이더부재(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64a)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KR1020130053193A 2013-05-10 2013-05-10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KR10142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93A KR101424931B1 (ko) 2013-05-10 2013-05-10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193A KR101424931B1 (ko) 2013-05-10 2013-05-10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931B1 true KR101424931B1 (ko) 2014-08-01

Family

ID=5174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193A KR101424931B1 (ko) 2013-05-10 2013-05-10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9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3916A (zh) * 2022-03-16 2022-06-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的主动防护装置、方法、汽车座椅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40037A (ko) * 2010-06-24 2011-12-30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20010623A (ko) * 2010-07-21 2012-02-06 홍정명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
KR20120107549A (ko) * 2011-03-22 2012-10-04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의 돌출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40037A (ko) * 2010-06-24 2011-12-30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20120010623A (ko) * 2010-07-21 2012-02-06 홍정명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
KR20120107549A (ko) * 2011-03-22 2012-10-04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시트 등받이의 돌출량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3916A (zh) * 2022-03-16 2022-06-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的主动防护装置、方法、汽车座椅及车辆
CN114643916B (zh) * 2022-03-16 2024-05-0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的主动防护装置、方法、汽车座椅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321B1 (ko)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가동장치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N108725280B (zh) 用于汽车座椅的扶手模块
EP2085262B1 (en) Seat cushion adjusting apparatus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KR100929791B1 (ko) 높이 조정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구비한 후방 등받이
US9004594B2 (en) Actuator system for controlling lumbar support
JP6371405B2 (ja) 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シート調整方法
KR101664697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US9415714B2 (en) Lumbe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US9131777B2 (en) Variable lumbar support assembly
US10703242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CN109562709A (zh) 头枕的无级调节机构
US20130234484A1 (en) Backrest Inclination Structure for Lumbar Support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162122B1 (ko)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25413B1 (ko) 차량용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US20190270396A1 (en) Stowable headrest assembly
KR101424931B1 (ko) 자동차 시트의 럼버 서포트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US20210070203A1 (en) Thigh support and seat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H0579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