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247B1 -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247B1
KR101423247B1 KR1020130049957A KR20130049957A KR101423247B1 KR 101423247 B1 KR101423247 B1 KR 101423247B1 KR 1020130049957 A KR1020130049957 A KR 1020130049957A KR 20130049957 A KR20130049957 A KR 20130049957A KR 101423247 B1 KR101423247 B1 KR 10142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hielding
film
cold air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
Original Assignee
유진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하이텍(주) filed Critical 유진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3004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69Details, e.g. night cov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4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lowerable rolle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원단으로서, 상기 위사의 일부가 필름 스플릿사이고, 위사의 나머지와 경사는 투명 합성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냉기 차폐재는 냉기와 온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도 내부 투시성의 저하가 없고, 메쉬 또는 직물형태로 제작되어 스크래치, 찢김 등이 없으며, 직조점에서의 밀림이나 쏠림이 없어 형태보전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FABRIC MATERIALAND FOR PREVENTING COLD AIR LEAK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기와 온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도 내부 투시성의 저하가 없으면서도 스크래치, 찢김 등이 없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이 필요한 야채, 과일 및 육류 등과 같이 신선도를 유지해야하는 식료품을 진열하기 위하여 쇼케이스 장치가 사용되며, 상기 쇼케이스 장치에는 통상 전면에 냉기 차단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냉기 차단장치는 수시로 개폐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쉽게 걷히거나 닫힐 수 있는 롤 블라인드 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롤 블라인드 형 냉기차단 장치는 닫힌 상태에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면서도 투명한 차폐재로 사용하고, 상기 차폐재의 양 단에 각각 롤 블라인드 구동부와 마감부재를 구비하는 형태이다.
상기 롤 블라인드 형 냉기차단 장치의 차폐재로는 플라스틱 필름이나(특허문헌 1), 타공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타공된 것이 사용되며, 이는 차폐재를 중심으로 내부와 외부의 공기 순환이 완전하게 차단되는 경우 발생하는 이슬 맺힘, 곰팡이 발생 등을 막기 위함이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강도, 필름상태에서 투명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은 스크래치에 취약하기 때문에 반복사용에 의한 누적된 스크래치로 인하여 외관상태가 나빠질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 발생시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금속사를 직조한 금속사 직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그러나 금속사 직물의 경우에는 내부 투시성 저하뿐만이 아니라, 이슬 맺힘이 쉽게 발생하여, 이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의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투시성의 저하가 없으면서도 스크래치, 찢김 등의 문제점에서 자유로운 냉기 차폐재 및 장치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필름 스플릿사를 사용하여 메쉬 또는 직물 형태로 제작된 차폐재를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023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2519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72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냉기와 온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도 내부 투시성의 저하가 없으면서도 스크래치, 찢김 등이 없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냉기 차폐재를 사용한 롤 블라인드형 냉기차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기 차단용 차폐재는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원단으로서, 상기 위사의 일부가 필름 스플릿사이고, 위사의 나머지와 경사는 투명 합성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 스플릿사는 두께 0.01~0.1mm, 폭이 0.2~2mm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사이고; 상기 합성섬유사는 300~600 데니어의 굵기의 텍스쳐 가공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섬유사는 바람직하게는 필라멘트사, 더욱 바람직하게는 드로-텍스쳐 가공사(draw textured yarn)이다.
상기 위사는 복수의 필름 스플릿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필름 스플릿사 군과 복수의 투명 합성섬유사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합성섬유사 군이 교대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스플릿사 군의 폭은 5~50mm이고; 합성섬유사 군의 폭은 2.5~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사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사 군이 경사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사들과 직조되어 메쉬를 형성하되, 상기 메쉬의 크기는 단변이 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롤 블라인드형 냉기차폐 장치는 상기 냉기 차단용 차폐재가 재단되어 형성된 냉기 차폐재; 상기 냉기 차폐재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냉기 차폐재를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롤 블라인드 구동부; 및 상기 냉기 차폐재의 타측에 부착된 마감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기 차폐재는 냉기와 온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도 내부 투시성의 저하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냉기 차폐재는 메쉬 또는 직물형태로 제작되어 스크래치, 찢김 등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냉기 차폐재는 경사와, 위사의 일부를 텍스쳐 가공사로 사용하여 메쉬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라도 직조점에서의 밀림이나 쏠림이 없어 형태보전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10)의 일부 부분에 대한 모식적 확대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기 차단용 차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냉기 차폐장치(100)의 일 형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원단으로서, 상기 위사의 일부가 필름 스플릿사이고, 위사의 나머지와 경사는 필라멘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경사 또는 위사라 함은 임의적 정의이다. 즉, 설명의 편의상 직조에 있어서 필름 스플릿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직조에 사용되는 방향을 위방향으로, 그 수직인 방향을 경방향으로 보아 각각 경사 또는 위사라 기술할 뿐으로, 실제에 있어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필름 스플릿사라 함은 두께 투명성 플라스틱 필름을 일정한 폭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섬유를 말한다. 본 발명의 냉기 차단용 차폐재에 적용되는 필름 스플릿사의 원료가 되는 필름은 필름상태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80%이상이 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부터 얻어진 필름 스플릿사를 사용한다.
필름 스플릿사를 제조하는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필름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약하여 직조 후에 필름의 굴곡이 너무 심하게 됨에 따라, 내부 투시성이 오히려 나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직조한다 하여도 차폐재로서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없으며,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차폐재의 내부 투시성이 나빠진다.
상기 필름을 분할하여 얻어지는 필름 스플릿사의 폭은 0.2~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스플릿사의 촉이 0.2mm 미만이면, 이를 이용하여 직조된 차폐재의 내부 투시성이 나빠지며, 직조된 차폐재의 형태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필름 스플릿사는 투명 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어야 한다. 차폐스크린의 필수적인 특징은 차폐스크린의 일 방향에서 차폐스크린을 통하여 타방향의 물체를 보았을 때, 그 형태와 색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축연신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분할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그 중에서도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필름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필름 스플릿사의 내부 투시성과 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기 차단용 차폐재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서 필름 스플릿사를 제외한 나머지 위사 및 경사는 투명 합성섬유사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재질의 필라멘트사(fliament yarn)를 사용한다. 투명 필라멘트사는 이를 이용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경우 방적사(spun yarn)를 이용하여 직조된 것보다 내부 투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필라멘트사는 모노필라멘트사(mono- filament yarn, 모노사)이거나 또는 멀티필라멘트사(multi-filament yarn, 멀티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폐스크린용 원단은 투시성의 확보를 위하여 단위 폭 및/또는 면적 내에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위사 또는 경사를 사용하여 직조하여야 한다.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이점은, 방적사에 비하여 단위 두께당 강도가 크기 때문에 적은 수 또는 적은 두께의 위사 또는 경사를 사용하여 원단의 직조가 가능하고, 그만큼 내부 투시성 확보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상기 필라멘트사는, 바람직하게는 텍스쳐 가공사를 사용한다. 텍스쳐 가공사를 사용하는 경우 가공사의 표면에 존재하는 굴곡으로 인하여 직조시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직조점에서의 미끄러짐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드로-텍스쳐 가공사(draw textured yarn, DTY)를 사용한다. 냉기 차단용 차폐재는 투명성을 목적으로 성글게 직조되어야 하므로 직조점에서의 미끄러짐 또는 밀림이 적다는 것은 직조 후의 후가공이나 또는 최종 제품의 사용중에 있어서 원단의 형태보존에 특히 유리한 이점으로 작용한다.
상기 필라멘트사의 굵기는 300~600데니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0데니어 미만인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원단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600데니어를 초과하는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섬유의 굴기가 지나치게 크게 되어 투시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필라멘트사의 재질 역시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필라멘트사를 사용한다.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필라멘트사는 300데니어 이상의 두께에서도 타 소재에 비하여 비교적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기 차단용 차폐재는 위사로서 합성섬유사가 사용되는 부분에서, 경사인 합성섬유사와 교차, 직조되는 영역에서 메쉬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메쉬 형태라 함은 경사와 위사에 의하여 직조된 원단이 정사각형(위사와 경사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 또는 직사각형 형태(위사와 경사의 간격이 다른 경우)의 구멍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10)의 일부에 대한 모식적 확대 평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는 차폐재(10)에서, 경사는 모두 필라멘트사(21)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사는 복수의 필라멘트사(11)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합성섬유사 군(12)과 역시 복수의 필름 스플릿사(13)가 연속적으로 배열된 필름 스플릿사 군(14)을 포함한다. 실제의 제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각각 하나의 합성섬유사 군(12)과 필름 스플릿사 군(14)을 포함하는 반복단위가 필요한 만큼 반복된다. 도 1에 따르는 실시형태에서, 상기 합성섬유사 군(12)과 필름스필릿사 군(14)이 교대로 배치되는 형태로 위사가 되어, 경사인 필라멘트사(21) 함께 직조되어 냉기 차단용 차폐재(10)가 완성된다.
직조의 형태는 위사와 경사가 번갈아가면서 교차되는 형태, 즉, 직물로 친다면 평직의 형태가 차폐재의 강도가 우수하여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름 스플릿사 군(14)를 구성하는 각각의 필름 스플릿사(13)의 간격은 좁을수록 좋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모식적인 것으로서 필름 스플릿사 군(14)을 형성하는 각각의 단위 필름 스플릿사(13)가 서로 간의 간격이 없이 배열된 것이나 실제의 제품에서는 경사와 위사가 번갈아 배치되어 교차하기 때문에 간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간격은 커질수록 냉기차단이라는 차폐재 본래의 목적에 불리하다.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10)에서, 상기 필름 스플릿사 군(14)을 형성하는 단위 필름 스플릿사(13)가 10개인 것이 도시되었으나, 그 군(14)을 형성하는 단위 필름 스플릿사(13)의 수, 즉, 전체 필름 스플릿사 군(14)의 폭을 정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는 제조되는 제품인 차폐재(10)의 통기성, 내부 투시성 및 형태안정성이다. 즉, 상기 필름 스플릿사 군(12)의 폭이 지나치게 작으면 통기성, 내부 투시성이 저하되고, 지나치게 넓은 경우에는 형태안정성이 떨어진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필름 스플릿사 군(14)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5~5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mm이다. 예를 들어, 폭이 1mm인 단위 필름 스플릿사(13)를 사용하는 경우 5~5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개의 필름 스플릿사를 연속으로 배열하여 필름 스플릿사 군(1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10)에서, 상기 합성섬유사 군(12)을 형성하는 단위 필라멘트사(12)가 4개인 것이 도시되었으나, 그 군(12)을 형성하는 단위 필라멘트사(11)의 수는 전체 합성섬유사 군(14)의 폭이 2.5~25mm인 범위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합성섬유사 군(14)의 폭이라 함은 편의상 필름 스플릿사 사이의 폭으로 정의된다.
한편,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위사로 사용되는 필라멘트사(11)와 경사로 사용되는 필라멘트사(21)와 직조되는 영역에서는 메쉬 형태를 형성하여, 메쉬의 공간 사이로 통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의 크기는, 예를 들어 각각 두 개씩의 위사와 경사로 형성되는 면적의 형태를 직사각형으로 가정할 때, 그 한 변의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이어야 한다. 즉, 필라멘트사의 배열은 경사와 위사를 불문하고 섬유 자체의 두께를 제외하고 그 섬유 간의 간격이 바람직하게는 0.5mm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이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메쉬의 크기가 0.5mm 이하인 경우에는 통기성이 저하된다. 다만, 메쉬의 크기가 2mm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기성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제조된 차폐재(10)의 강도 저하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필리멘트사 군(12)을 이용하여 직조된 부분의 폭은 필름 스플릿사 군(14)을 이용하여 직조된 폭의 1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이다. 10% 이하이면 통기성이 떨어져 이슬 맺힘 등의 위생상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그 폭이 100%를 초과하면 내부 투시성이 저하된다.
상기 메쉬의 형태는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직사각형 형태의 메쉬는 위사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사 군을 형성하는 단위 필라멘트사들 사이의 간격과, 경사로 사용되는 필라멘트사들 사이의 간격이 다를 때 형성된다. 이 경우는 그 직사각형의 단변이 상기 범위이어야 한다.
필라멘트사를 이용한 직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메쉬에 있어서, 그 간격 또는 단변의 길이가 0.5mm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투시성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필라멘트사의 접착을 위한 후처리, 예를 들어, 아크릴 코팅, 우레탄 코팅 등의 공정에서 메쉬를 형성하는 섬유들 사이에 코팅 막이 형성되기 쉽고, 그 결과, 메쉬를 형성하는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아크릴 수지가 막게 되어, 냉기 차단용 차폐재에 필요한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메쉬의 형성에 있어 그 크기의 상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어, 강도가 보장되는 한에는 그 메쉬의 크기는 클수록 좋다. 다만, 상기 메쉬의 크기, 즉, 필라멘트사들 사이의 간격(직사각형 형태인 메쉬의 경우는 장변의 길이)이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라멘트사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강도와 형태안정성의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 발명자들의 반복실험 결과이다.
상기 냉기 차단용 차폐재(10)는 직조된 후에, 직조점의 추가고정, 발수처리, 강도보완 등을 목적으로 후가공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직조점의 추가고정, 발수처리, 강도보완을 위한 후처리는 아크릴 코팅, 우레탄 코팅 등을 이용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상기 차폐재(10)에서, 필라멘트사들(11, 21) 만을 이용하여 직조된 메쉬가, 후처리 공정 중에서 막히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코팅은 주로 용액 함침법을 사용한다. 즉, 저농도의 코팅용 모노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코팅용액에 상기 코팅 전의 차폐재를 함침시킨 후 꺼낸 다음, 필름 스플릿사 부분이나, 메쉬를 막고 있는 잉여분의 코팅용액을 제거한 후에, 열경화 또는 방사선 경화 방법으로 후처리 하여 코팅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 냉기 차단용 차폐재는 다양한 형태의 냉기 차단 장치를 구성하는 차폐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기 차단용 차폐재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상술한 냉기 차단용 차폐재(10)가 사용된 냉기차단 장치의 일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냉기차폐 장치는 롤 블라인드 형으로서, 펼쳐진 상태에서 냉기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냉기 차단용 차폐재가 적절한 크기로 재단된 차폐부재(110)와, 상기 차폐부재(1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차폐부재(110)를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갖는 롤 블라인드 구동부(120), 상기 차폐부재(110)의 타측에 부착되는 마감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롤 블라인드 구동부(120)에는 냉기차폐 장치(100)가 냉장고 등의 벽체 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고정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 블라이드 구동부(120)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12028호, 제20-2012-0179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0992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130)는 냉기 차폐부재(110)가 전개되었을 때에, 상기 차폐부재(110)에 적절한 크기의 장력이 가해져 차폐부재(110)가 평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130)는 금속의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거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130)에는 사용자가 차폐부재를(110)을 견인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1)에는 인근의 물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벨크로, 자석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차폐재 11,, 위사용 필라멘트사
12.. 합성섬유사 군 13.. 필름 스플릿사
14.. 필름 스플릿사 군 21.. 경사용 필라멘트사
100..냉기차폐 장치 110..냉기 차폐부재
120..롤 블라인드 구동부 130..마감부재
131..손잡이

Claims (8)

  1.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원단으로서, 상기 위사의 일부가 필름 스플릿사이고, 위사의 나머지와 경사는 투명 합성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합성섬유사는 필라멘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냉기차단용 차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플릿사는 두께 10~100㎛, 폭이 0.2~2mm인 투명 플라스틱 필름사이고; 상기 투명 합성섬유사는 300~600 데니어의 굵기의 텍스쳐 가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쳐 가공사는 드로-텍스쳐 가공사(draw textured yar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복수의 필름 스플릿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필름 스플릿사 군과 복수의 합성섬유사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합성섬유사 군이 교대로 배열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플릿사 군의 폭은 5~50mm이고; 합성섬유사 군의 폭은 2.5~25mm이며; 상기 합성섬유사 군의 폭은 필름 스플릿사 군의 폭의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사 군이 경사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사들과 직조되어 메쉬를 형성하되, 상기 메쉬의 크기는 단변이 0.5~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차단용 차폐재.
  8. 제1항의 냉기 차단용 차폐재가 재단되어 형성된 냉기 차폐부재;
    상기 냉기 차폐부재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냉기 차폐부재를 감거나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롤 블라인드 구동부; 및
    상기 냉기 차폐부재의 타측에 부착된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형 냉기차폐 장치.
KR1020130049957A 2013-05-03 2013-05-03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KR10142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57A KR101423247B1 (ko) 2013-05-03 2013-05-03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57A KR101423247B1 (ko) 2013-05-03 2013-05-03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247B1 true KR101423247B1 (ko) 2014-07-24

Family

ID=5174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957A KR101423247B1 (ko) 2013-05-03 2013-05-03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655B1 (ko) 2014-09-25 2016-04-20 (주)풍전티.티 문발용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US10189920B2 (en) 2015-05-15 2019-01-29 Lg Chem, Ltd. Hybrid supported catalyst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polyolefin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470B1 (ko) * 1984-07-03 1987-03-11 타랏타인 캄페니 색가변 직물
KR20010025195A (ko) * 2000-10-11 2001-04-06 강근순 냉장 쇼케이스용 냉기 차폐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7792A (ko) * 2008-10-02 2010-04-12 한서실업(주) 재귀반사직물
KR101193150B1 (ko) 2012-04-27 2012-10-22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겉보기 구멍크기와 투수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직포 지오텍스타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470B1 (ko) * 1984-07-03 1987-03-11 타랏타인 캄페니 색가변 직물
KR20010025195A (ko) * 2000-10-11 2001-04-06 강근순 냉장 쇼케이스용 냉기 차폐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7792A (ko) * 2008-10-02 2010-04-12 한서실업(주) 재귀반사직물
KR101193150B1 (ko) 2012-04-27 2012-10-22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겉보기 구멍크기와 투수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제직구조를 가지는 직포 지오텍스타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655B1 (ko) 2014-09-25 2016-04-20 (주)풍전티.티 문발용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
US10189920B2 (en) 2015-05-15 2019-01-29 Lg Chem, Ltd. Hybrid supported catalyst system and method of preparing polyolefi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195B1 (en) Insulating sheer fabric
US9777411B2 (en) Woven shielding textile impervious to visible and ultraviolet electromagnetic radiation
KR101194144B1 (ko) 광투과성 시트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9016B1 (ko) 블라인드용 커튼지 제조방법 및 커튼지 직물구조
US9175509B2 (en) Screen with visible marker
KR101423247B1 (ko) 직물형 냉기 차폐재 및 그를 이용한 냉기차폐 장치
EP2642003A1 (en) Fabric and clothing
KR20210153133A (ko) 직조 재료를 갖는 건축물 덮개
US20150247267A1 (en) Variable transparency fabric, window shad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KR101537347B1 (ko) 입체효과를 갖는 블라인드 원단 제조방법
JP2004162194A (ja) 防視認性織物及びインテリア用品
JP5220798B2 (ja) メッシュ織物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72629B1 (ko) Pvc코팅된 모노필라멘트사를 이용한 망 및 그 제조방법
JP2022166677A (ja) 装飾性遮光織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テン
CN104970468A (zh) 带有抗紫外线层的正反交错提花闪光面料
EP3310950B1 (en) Yar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screening applications
KR200471659Y1 (ko)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JP7094630B2 (ja) 眩しさ抑制効果の指標化方法、評価方法
JP2011231598A (ja) 車両用内装具
DE202013000879U1 (de) Teppich mit Photochromen Textilfasern zur Farbänderung durch UV-Licht zu zumindest einer oder mehreren Sichtseiten hin
CN216466560U (zh) 一种抗拉伸的缠绕膜
KR100383478B1 (ko) 냉장 쇼케이스용 냉기 차폐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10152A1 (en) Tarpaulin by using polyolefin group split yarn and method thereof
JP3195859U (ja) シェ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