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762B1 -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762B1
KR101422762B1 KR1020120108753A KR20120108753A KR101422762B1 KR 101422762 B1 KR101422762 B1 KR 101422762B1 KR 1020120108753 A KR1020120108753 A KR 1020120108753A KR 20120108753 A KR20120108753 A KR 20120108753A KR 101422762 B1 KR101422762 B1 KR 10142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door
open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250A (ko
Inventor
임동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7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60J9/04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은, 에어 분사부; 상기 에어 분사부를 통해 차량 외부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에어 분사부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 우설량(雨雪量)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우설량 감지 센서와,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개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개폐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개폐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차량 도어의 오픈이 인식되면, 상기 우설량 감지 신호에 상응하는 우설량에 대응되도록 미리 지정된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Air curtai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자동차는 날씨에 관계없이 원거리를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운송수단이다.
이를 위해, 자동차는 외부 기온에 따라 차량 내부를 냉난방 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운전자는 선루프 또는/및 차량 윈도우를 개방하여 차량 내부의 환기도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차량에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및 환기 설비는 비나 눈이 오는 날씨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책이 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비나 눈이 오는 날씨에서는, 차량에서의 승하차를 위해 차량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 차량 내부로 빗물이나 눈이 유입될 수 밖에 없어 차량 내부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나 눈이 내리는 날씨에서 차량 도어를 오픈하더라도 차량 내부로 빗물이나 눈의 유입이 방지되어 차량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우량 등의 외부 요인을 실시간 반영하여 차량 내부로의 눈이나 빗물 유입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 분사부; 상기 에어 분사부를 통해 차량 외부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에어 분사부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 우설량(雨雪量)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우설량 감지 센서와,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개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개폐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개폐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차량 도어의 오픈이 인식되면, 상기 우설량 감지 신호에 상응하는 우설량에 대응되도록 미리 지정된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우설량 감지 센서는 우설의 세기 및 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우설 센서 및 와이퍼(wiper)의 조작 속도에 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와이퍼 감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닛은, 차량 도어의 오픈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 센싱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에어 분사부를 통해 분사될 공기의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외부의 풍향을 측정하여 풍향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풍향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 센싱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에어 분사부의 분사 노즐각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부는 차량의 에이필러 영역 및 씨필러 영역 중 하나 이상과 차량 도어의 상측 프레임 영역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 스텝부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에어 석션 모듈을 구비한 에어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나 눈이 내리는 날씨에서 차량 도어를 오픈하더라도 차량 내부로 빗물이나 눈의 유입이 방지되어 차량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우량 등의 외부 요인을 실시간 반영하여 차량 내부로의 눈이나 빗물 유입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은 센서 유닛(110), 에어 컴프레셔(120), 에어 분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유닛(110)은 우설(雨雪) 센서(112), 개폐 감지 센서(114), 거리 감지 센서(116) 및 와이퍼 감지부(118)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센서 이외에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 구성을 위한 센서는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도시된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에 관계없이 차량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에어커튼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현된 경우라면 거리 감지 센서(116)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설 센서(112)는 빗물이나 눈의 세기와 양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레인센서(rain sensor), 우적 감지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개폐 감지 센서(114)는 차량 도어의 오픈(열림) 또는 클로즈(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거리 감지 센서(116)는 차량 도어가 오픈된 경우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와이퍼 감지부(118)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를 감지한다. 와이퍼는 비나 눈이 오는 날씨에서 차량 전면의 주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차량 전면 유리에 흐르거나 쌓이는 비나 눈을 닦아내는 장치로서, 비나 눈이 내리는 정도에 따라 그 조작 속도가 수동 또는 자동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의 조작 속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함으로써 비나 눈이 내리는 정도(우설량)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120)는 예를 들어 로터의 회전 운동 또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해 기체를 압축하고 압축된 공기가 소정의 압력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에어 컴프레셔(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공기가 에어 분사부(13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압축된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 분사부(130)는 에어 컴프레셔(120)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사한다.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나 눈의 양 및/또는 세기에 대한 우설(雨雪) 정보,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도어 개폐 정보 및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 정보와, 와이퍼 감지부(118)로부터 수신되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에어커튼 기능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도어 개폐 정보 등을 참조하여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도어 중 어떤 도어가 오픈된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만일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정한 경우라면 제어부(140)는 에어 컴프레셔(120)가 동작 개시하도록 제어하여, 에어 컴프레셔(120)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에어 분사부(13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제공받은 이격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압력으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에어 컴프레셔(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차량의 도어가 많이 열릴수록(즉, 차체와 도어의 이격 폭이 넓을수록) 우설(雨雪) 방지 범위가 커지므로 더 강한 압력으로 공기를 분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2에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필러(pillar) 영역과 도어 상측 프레임 영역에 각각 에어 분사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필러는 차량의 지붕을 지지하고, 일체형 차체의 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이며, 도 2에는 운전석 부분의 에이필러(A pillar, 프론트 필러) 영역에 제1 에어 분사부(130a)가 형성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물론, 에어 분사부(130)는 에이필러 영역뿐 아니라, 씨필러(C pillar, 리어 필러)영역에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각 필러 영역에 대응되는 차량 도어의 상측 프레임 영역에 제2 에어 분사부(130b)가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할지라도 당연하다.
운전석 부분의 에이필러 영역에 형성된 제1 에어 분사부(130a)는 차체의 외부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며, 그 방향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방향 및 수직 하부 방향으로 각각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공기 분사 방향에 의해 위쪽에서 떨어지는 빗물이나 눈이 차량의 외부 측면 방향으로 밀리거나 차량의 외측 하부 방향으로 가속 낙하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바닥에서 튀어 오르는 빗물이나 수평으로 날리는 빗물 등이 차량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 상측 프레임 영역에 형성된 제2 에어 분사부(130b)는 도어의 외부 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며, 그 방향은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방향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공기 분사 방향에 의해 위쪽에서 떨어지는 빗물이나 눈에 의해 도어의 내측면이 젖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픈된 도어를 클로즈하더라도 운전자가 젖은 도어 내측면에 의해 느끼게 되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은 센서 유닛(110), 와이퍼 감지부(118), 에어 컴프레셔(120), 에어 분사부(130), 제어부(140) 및 에어 유입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별화되는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에어 유입부(310)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어 모터, 팬(fan)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에어 석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정한 경우, 에어 컴프레셔(120)가 동작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서 에어 유입부(310)도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유입부(310)는 차량의 도어 스텝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차체의 필러 영역에 형성된 제1 에어 분사부(130a)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분사하는 고압의 공기에 대응하여 도어 스텝부에 에어 유입부(310)를 부가함으로써 차체 내부로의 우설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나 눈의 양 및/또는 세기에 대한 우설(雨雪) 정보,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도어 개폐 정보 및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 정보와 와이퍼 감지부(118)로부터 제공되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한다.
단계 52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도어 개폐 정보 및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우설 정보 및/또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우설량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140)는 생성한 동작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열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도어 클로즈(닫힘) 상태인 경우라면 단계 51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도어 오픈 상태인 경우라면, 단계 540에서 제어부(140)는 생성된 동작 정보 및 우설량 정보를 참조하여 우설량, 차체와 도어간의 이격 거리에 부합하도록 미리 설정된 풍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에어 컴프레셔(120)를 제어한다. 우설량 및 이격 거리에 따라 어느 정도의 풍압을 설정할 것인지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단계 540의 수행 과정에서,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우설(雨雪) 정보, 도어 개폐 정보 및 이격 거리 정보와 와이퍼 감지부(118)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를 참조하여, 우설량 및/또는 이격 거리가 변동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풍압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에어 컴프레셔(12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550에서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도어 개폐 정보 및 이격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차량의 도어가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도어 오픈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라면 단계 54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도어 클로즈 상태로 변경된 상태라면, 단계 560에서 제어부(140)는 에어 분사부(130)를 통한 공기 분사를 중지한다.
도 5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차량의 에어커튼 기능의 자동 조작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차량의 에어커튼 기능은 사용자의 수동 조작 스위치 온/오프에 의해 수동 조작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도어 오픈 상태에서만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100)은 센서 유닛(110), 와이퍼 감지부(118), 에어 컴프레셔(120), 에어 분사부(130), 제어부(140) 및 풍향계(6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별화되는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차량의 일 측에 구비되는 풍향계(610)는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여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제어부(140)로 제공하며, 예를 들어 초음파 풍속 풍향계(ultrasonic anemovaner), 풍차형 풍속풍향계(wind fun-type anemovaner)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에어커튼 기능을 수행하도록 결정한 경우, 풍향계(610)로부터 제공된 풍향에 대한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풍향 정보를 생성하고, 풍향 정보에 상응하여 차량 내부 및 도어의 내측면이 비나 눈에 의해 젖지 않도록 최적의 방향(예를 들어, 바람의 풍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공기 분사를 위한 에어 분사부(130)의 노즐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지정된 에어 분사부(130)의 노즐각은 유지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커튼 형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비나 눈의 양 및/또는 세기에 대한 우설(雨雪) 정보,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도어 개폐 정보 및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 정보와 와이퍼 감지부(118)로부터 제공되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과 풍향계(610)로부터 제공되는 풍향 관련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720에서 제어부(140)는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도어 개폐 정보 및 차량 본체와 차량 도어간의 이격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동작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우설 정보 및/또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우설량 정보를 생성하고, 풍향계(610)로부터 제공된 풍향 관련 센싱 신호에 상응하는 풍향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730에서 제어부(140)는 생성한 동작 정보를 참조하여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열림)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도어 클로즈(닫힘) 상태인 경우라면 단계 71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도어 오픈 상태인 경우라면, 단계 740에서 제어부(140)는 현재의 풍향에 상응하여 공기 분사 방향이 조절되도록 에어 분사부(130)의 분사 노즐각을 조정 제어한다.
단계 750에서 제어부(140)는 생성된 동작 정보 및 우설량 정보를 참조하여 우설량, 차체와 도어간의 이격 거리에 부합하도록 미리 설정된 풍압의 공기를 분출하도록 에어 컴프레셔(120)를 제어한다. 우설량 및 이격 거리에 따라 어느 정도의 풍압을 설정할 것인지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단계 750의 수행 과정에서, 제어부(140)는 풍향계(610)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풍향 관련 센싱 신호를 참조하여 실시간 풍향에 대응되도록 분사 노즐각의 조정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우설(雨雪) 정보, 도어 개폐 정보 및 이격 거리 정보, 와이퍼 감지부(118)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와이퍼의 조작 속도 정보 및 우설량 및/또는 이격 거리가 변동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풍압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에어 컴프레셔(12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760에서 제어부(140)는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도어 개폐 정보 및 이격 거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차량의 도어가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도어 오픈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라면 단계 75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도어 클로즈 상태로 변경된 상태라면, 단계 770에서 제어부(140)는 에어 분사부(130)를 통한 공기 분사를 중지한다.
상술한 차량의 에어커튼 형성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센서 유닛 112 : 우설 센서
114 : 개폐 감지 센서 116 : 거리 감지 센서
118 : 와이퍼 감지부 120 : 에어 컴프레셔
130 : 에어 분사부 140 : 제어부
310 : 에어 유입부 610 : 풍향계

Claims (7)

  1.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 분사부;
    상기 에어 분사부를 통해 차량 외부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상기 에어 분사부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셔;
    와이퍼(wiper)의 조작 속도에 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와이퍼 감지부와, 차량 도어의 오픈/클로즈에 대한 개폐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개폐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개폐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차량 도어의 오픈이 인식되면, 상기 와이퍼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센싱 신호에 대응되도록 미리 지정된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에어 컴프레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차량 도어의 오픈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 센싱 정보를 더 반영하여 상기 에어 분사부를 통해 분사될 공기의 압력을 결정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풍향을 측정하여 풍향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풍향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향 센싱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에어 분사부의 분사 노즐각을 조정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부는 차량의 에이필러 영역 및 씨필러 영역 중 하나 이상과 차량 도어의 상측 프레임 영역에 각각 구비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 스텝부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에어 석션 모듈을 구비한 에어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KR1020120108753A 2012-09-28 2012-09-28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KR10142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53A KR101422762B1 (ko) 2012-09-28 2012-09-28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53A KR101422762B1 (ko) 2012-09-28 2012-09-28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50A KR20140042250A (ko) 2014-04-07
KR101422762B1 true KR101422762B1 (ko) 2014-07-24

Family

ID=5065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53A KR101422762B1 (ko) 2012-09-28 2012-09-28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25A (ko) 2019-01-11 2020-07-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에어장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61B1 (ko) * 2014-06-16 2016-02-26 대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가림막을 갖는 휠체어
KR101597957B1 (ko) * 2014-06-16 2016-02-26 대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접이식 가림막을 갖는 휠체어
CN108068600B (zh) * 2016-11-16 2023-12-19 浙江群实王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车用防雨置伞系统
KR101928405B1 (ko) * 2017-11-07 2019-02-25 주식회사 정림이피 전해연마 가공물을 안전하게 물세척할 수 있는 세척용 리프트 장치
KR20200028007A (ko) * 2017-12-18 2020-03-13 에스지 디제이아이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도어 검사방법, 시스템, 모바일 플랫폼 및 식물보호용 기기
KR102081499B1 (ko) * 2018-05-08 2020-02-25 박희권 차량용 에어커튼 장치
KR102081687B1 (ko) * 2018-09-20 2020-02-26 신지현 탈부착식 차량 공기막 형성 장치
KR102083224B1 (ko) * 2018-10-10 2020-03-02 타타대우상용차(주) 상용차용 에어 나이프 어닝 시스템
GB2579548A (en) * 2018-11-30 2020-07-01 Jaguar Land Rover Ltd A vehicle cabin
KR102304811B1 (ko) * 2020-08-24 2021-09-27 주식회사 애니텍 미세먼지 유입 차단 기능과 바이러스 살균 기능을 갖춘 스마트 버스 쉘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116A (ja) * 1992-10-06 1994-04-26 Kajima Corp エアーカーテンによる建設工事の防風雨方法
JP2004058929A (ja) * 2002-07-31 2004-02-26 Miki Giken:Kk 車両乗降口の雨除け用エアカーテン装置
KR20060028214A (ko) * 2004-09-24 2006-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110021321A (ko) * 2009-08-26 2011-03-04 김미광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116A (ja) * 1992-10-06 1994-04-26 Kajima Corp エアーカーテンによる建設工事の防風雨方法
JP2004058929A (ja) * 2002-07-31 2004-02-26 Miki Giken:Kk 車両乗降口の雨除け用エアカーテン装置
KR20060028214A (ko) * 2004-09-24 2006-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
KR20110021321A (ko) * 2009-08-26 2011-03-04 김미광 차량의 빗물유입방지용 공기차단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25A (ko) 2019-01-11 2020-07-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에어장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50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762B1 (ko) 차량의 에어커튼 시스템 및 방법
EP1609644B1 (en) Dust reducing apparatus
CN113508047A (zh) 具有用于自动或部分自动驾驶的机动车的传感装置的、包括顶打开系统和/或固定顶元件的顶模块
US201200348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penetration of foreign particles into a vehicle interior
JP2012132988A (ja) 車載光学センサの洗浄システム
CN106249409A (zh) 用于操作车辆中抬头显示器的方法及包含抬头显示器的车辆
KR20110018943A (ko) 자동차 뒷면 유리 공기 분사장치
KR20150004210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및 사이드윈도우 빗물제거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CN109838168A (zh) 车辆驾驶室自动除雾方法和控制模块
KR20150114337A (ko) 고압풍을 이용한 차량 윈드쉴드 우수 제거장치
JP2005349979A (ja) 車両用のエアカーテン装置
KR101376049B1 (ko) 우적 센서를 이용한 사이드 미러의 물기 제거 장치
KR102083224B1 (ko) 상용차용 에어 나이프 어닝 시스템
CN206914299U (zh) 车窗清洁系统以及包括该车窗清洁系统的车辆
KR20180102460A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클리닝 장치
KR20190133991A (ko) 자동차 사이드미러 에어 분사장치
JP6123996B2 (ja) サイドミラーの水滴除去装置
KR100296748B1 (ko) 자동차도어윈도우의에어커튼
JP6079964B2 (ja) ドアウインドウの水滴除去装置
KR102283907B1 (ko) 사이드 미러 빗물 제거장치
KR20170114553A (ko) 에어커튼 시스템을 갖는 버스
CN110077467A (zh) 一种车辆
KR100980942B1 (ko) 선루프의 열림량 제어시스템
KR100611434B1 (ko) 선루프 세척장치
CN215321922U (zh) 一种喷气式防淋雨装置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