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640B1 -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640B1
KR101422640B1 KR1020130067573A KR20130067573A KR101422640B1 KR 101422640 B1 KR101422640 B1 KR 101422640B1 KR 1020130067573 A KR1020130067573 A KR 1020130067573A KR 20130067573 A KR20130067573 A KR 20130067573A KR 101422640 B1 KR101422640 B1 KR 101422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tainer
cell
ent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욱
김경미
박종화
이지훈
이훈곤
정상열
주주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컨테이너 적재시 컨테이너의 진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 상단에 마련되어, 셀가이드로의 컨테이너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엔트리가이드에 있어서, 셀가이드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셀가이드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셀가이드와 대응되는 형상의 셀가이드끼움홈이 마련되는 엔트리가이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ENTRY GUIDE FOR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창 내 셀가이드로 컨테이너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은 선내의 화물창이나 상부데크 등에 다수의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게 된다. 이러한 컨테이너선에는 보다 많은 수의 컨테이너 적재나 운항 중 컨테이너의 요동 등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적재, 배열, 고정 수단수단이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단 중 하나로,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내에는 컨테이너의 적재나 배열을 보조하기 위한 셀가이드가 설치되고 있다.
셀가이드(cell guide)는 화물창 내 격벽(bulkhead)에 'ㄱ'자 형상의 앵글바(angle bar)를 일정간격 다수개 배치한 것으로, 격벽 상부측에서 하부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셀가이드는, 컨테이너 적재시 컨테이너의 네 모서리를 잡아주어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나 배열,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셀가이드의 상단부에는 컨테이너가 셀가이드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도록 엔트리가이드(entry guide) 구조가 마련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154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엔트리가이드는 셀가이드 상단부가 소정정도 플레어(flare)된 형태로 형성되어, 컨테이너의 셀가이드로의 진입을 안내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엔트리가이드는, 컨테이너의 진입시 컨테이너와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셀가이드에 손상을 입히는 것은 물론, 손상시 인근 구조로 크랙(결함)이 확대되어 유지보수가 빈번하게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1541호 (2013년 04월 25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교체가 용이하며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cell guide)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셀가이드로의 컨테이너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엔트리가이드(entry guide)에 있어서, 상기 셀가이드에 탈부착 가능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셀가이드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상기 셀가이드와 대응되는 형상의 셀가이드끼움홈이 마련되는 엔트리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물창 내 격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획판;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횡단면상 상기 구획판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후면부가 상기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구획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면에는, 셀가이드(cell guide)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셀가이드와 대응되는 형상의 셀가이드끼움홈이 마련된 엔트리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엔트리가이드는, 셀가이드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셀가이드와 별개로 분리 및 교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엔트리가이드 및 셀가이드의 교체나 유지점검에 필요한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엔트리가이드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컨테이너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한편, 파손 가능성이 적어 내구 수명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의 화물창 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엔트리가이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엔트리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엔트리가이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의 화물창 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컨테이너선의 화물창 내부는 복수의 격벽(bulkhead, B)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각 격벽(B)에는 컨테이너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셀가이드(cell guide, C)가 마련될 수 있다. 셀가이드(C)는 격벽(B)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서포터(미표기) 등을 통해 격벽(B)에서 소정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각 격벽(B)에는 상기와 같은 셀가이드(C)가 폭 방향으로 복수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셀가이드(C)는 화물창 내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폭 등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선적이나 하역시 컨테이너의 위치를 조정하고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컨테이너의 선적시를 예로 들면, 화물창 내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크레인 등에 의해 인양되어, 화물창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 화물창 내부로 진입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는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셀가이드(C) 사이로 안내되어, 한 쌍의 셀가이드(C)를 따라 화물창 내부로 진입되게 되며, 이로 인해, 선적시 컨테이너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의 선적 과정에서, 컨테이너는 화물창 상단의 개구부를 통해 화물창 내로 진입되게 된다. 즉, 컨테이너는 셀가이드(C) 상단을 통해 진입되어 셀가이드(C)를 따라 화물창 하부로 안내되게 되는데, 이러한 컨테이너의 진입 과정에서 셀가이드(C) 상단과 컨테이너가 충돌되어 셀가이드(C) 또는 컨테이너에 손상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또한, 화물창 내로 진입되는 컨테이너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셀가이드(C) 사이로 안내되어야 하는데, 대형 크레인 등의 경우, 이러한 정밀한 위치 조정이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C) 상단에는 컨테이너의 진입을 보조하기 위한 엔트리가이드(entry guide, 100)가 마련될 수 있다. 엔트리가이드(100)는 셀가이드(C) 상단이 컨테이너의 모서리 등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컨테이너가 폭 방향 이격된 한 쌍의 셀가이드(C) 사이로 배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진입시 컨테이너의 위치를 가이드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엔트리가이드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엔트리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엔트리가이드의 정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는 엔트리가이드(100)를 셀가이드(C)에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3 및 4에서는 엔트리가이드(100)가 셀가이드(C)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음을 알려둔다.
도 2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100)는 셀가이드(C)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셀가이드(C)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100)는 셀가이드(C)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는 엔트리가이드(100) 및 셀가이드(C)의 교체나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부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경우, 엔트리가이드는 셀가이드의 상단에 일체화된 형태로 마련되게 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이러한 경우, 엔트리가이드의 교체를 위하여는 이에 연결된 셀가이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엔트리가이드는 셀가이드 상단에서 컨테이너의 최초 진입을 안내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사용중 컨테이너와 충돌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이로 인해 셀가이드 등에 잦은 파손을 유발하여, 엔트리가이드 또는 셀가이드의 교체가 요구된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100)는 셀가이드(C)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셀가이드(C)와 별개로 분리 및 교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엔트리가이드(100)의 교체나 유지점검에 필요한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통상적으로 엔트리가이드(100)는 컨테이너의 선적시 컨테이너를 셀가이드(C)로 안내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컨테이너의 적재 후에는 특별히 필요치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컨테이너의 적재 후에는 엔트리가이드(100)를 셀가이드(C)에서 별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분리 보관되는 엔트리가이드(100)는 컨테이너의 선적이나 하역이 이뤄지는 항만시설 등에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컨테이너선의 운항시 불필요한 선내 구조물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운항시 선체 중량을 줄이고 연료 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10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재질의 엔트리가이드(100)는 컨테이너의 셀가이드(C) 내 진입시 컨테이너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탄성재질의 엔트리가이드(100)는, 강재(鋼材)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엔트리가이드에 비해 충격으로 인한 파손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엔트리가이드(100)의 자체의 내구수명 또한 향상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셀가이드(C)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셀가이드(C)의 파손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10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트리가이드(100)는 구획판(110), 지지판(120) 및 양측의 가이드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획판(110), 지지판(120) 및 양측의 가이드판(130)은 전체적으로 대략 십자 형태의 횡단면을 이루게 되며, 고무 등의 탄성재질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110)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획판(110)은 화물창 내측 또는 셀가이드(C)의 전방(즉, 도 2의 x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획판(110)은 격벽(B)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110)은 양측에 소정넓이를 가지는 측면부(1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측면부(111)는 컨테이너의 모서리 등에 접촉되어 컨테이너의 진입을 가이드하게 된다.
구획판(110)의 상단에는 경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2)는 상단으로 갈수록 폭(W)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부(112)는 컨테이너의 진입시 컨테이너의 모서리 등이 구획판(110) 상단면과 접촉 또는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120)은 구획판(110)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판(120)은 후술할 가이드판(130)을 기준으로 구획판(110)의 후방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B)을 향해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20)은 후면부(121)가 격벽(B)에 접촉되어 엔트리가이드(100)를 지지하게 된다. 부연하면, 컨테이너의 진입시, 컨테이너가 구획판(110)의 측면부(111)나 가이드판(130)의 전면부(131) 등에 접촉되면서, 엔트리가이드(100)는 후방으로(즉, 격벽(B) 측을 향해) 소정정도 외력을 받게 된다. 지지판(120)은 후면부(121)가 격벽(B)에 접촉되어 상기와 같은 외력을 지지하게 되며, 엔트리가이드(100)가 셀가이드(C) 등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가이드판(13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구획판(110) 및 지지판(12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판(130)은 구획판(110)의 양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횡단면상 구획판(110)과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가이드판(130)은 각각 엔트리가이드(100)의 폭방향(즉, 도 2의 y축 방향)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판(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13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정도 경사각(θ)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판(130)은 하방으로 갈수록 격벽(B)과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의 진입시 컨테이너의 모서리 등이 가이드판(130)의 전면부(131)에 접촉 및 슬라이딩되어, 하방으로 셀가이드(C)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구획판(110) 및 가이드판(130)의 하부면에는 셀가이드(C)로의 장착을 위한 셀가이드끼움홈(113)이 마련될 수 있다. 셀가이드끼움홈(113)은 셀가이드(C)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면에서 상측을 향해 소정높이 연장되어, 엔트리가이드(100)가 셀가이드(C)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엔트리가이드(100)는, 필요에 따라 셀가이드(C) 상단에 끼움 결합되어 컨테이너 진입을 안내하거나, 셀가이드(C)에서 분리 보관 또는 분리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엔트리가이드 110: 가이드판
120: 지지판 130: 경사리브

Claims (4)

  1.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cell guide)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셀가이드로의 컨테이너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엔트리가이드(entry guide)에 있어서,
    상기 셀가이드에 탈부착 가능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셀가이드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상기 셀가이드와 대응되는 형상의 셀가이드끼움홈이 마련되는 엔트리가이드.
  2.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화물창 내 격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획판;
    소정 두께를 가지고 상기 구획판의 양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횡단면상 상기 구획판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판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후면부가 상기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구획판 및 상기 가이드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면에는, 셀가이드(cell guide)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셀가이드와 대응되는 형상의 셀가이드끼움홈이 마련된 엔트리가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격벽과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엔트리가이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상단부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경사부가 마련된 엔트리가이드.
KR1020130067573A 2013-06-13 2013-06-13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KR101422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73A KR101422640B1 (ko) 2013-06-13 2013-06-13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73A KR101422640B1 (ko) 2013-06-13 2013-06-13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640B1 true KR101422640B1 (ko) 2014-07-23

Family

ID=5174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573A KR101422640B1 (ko) 2013-06-13 2013-06-13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6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094U (ko) * 1977-04-25 1978-11-18
JPS54150296U (ko) * 1978-04-11 1979-10-19
JPS61172884U (ko) * 1985-04-18 1986-10-27
KR20130041541A (ko) * 2011-10-17 2013-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094U (ko) * 1977-04-25 1978-11-18
JPS54150296U (ko) * 1978-04-11 1979-10-19
JPS61172884U (ko) * 1985-04-18 1986-10-27
KR20130041541A (ko) * 2011-10-17 2013-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9787B2 (ja) コンテナ船及びコンテナ船のコンテナ積載方法
US10065492B2 (en) Vehicle bottom structure
CN108466676B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KR100705208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장치
KR101422640B1 (ko) 컨테이너선의 엔트리가이드
WO2010021416A2 (en) Bulkhead structure of container carrier using cross beams
JP6424378B2 (ja) 貨物船の甲板に積載されて輸送される複数のコンテナを支えるための設備
CN205574223U (zh) 运输船用凹陷型箱脚位组件
KR102035578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화물창 구조
KR101110728B1 (ko) 선박의 해치커버 탑재 구조
KR101307856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안내기구
JP2006264940A (ja)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のバッテリ搭載室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KR101584333B1 (ko) 화물 차량용 레벨 유지장치
KR20130094085A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안내기구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KR20120007429U (ko) 컨테이너선의 셀 가이드 지그
CN218907545U (zh) 一种集装箱附件储藏箱
KR2013004154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 구조
KR20130055918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 가이드 지지 구조
KR20100071466A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KR20210069323A (ko) 컨테이너 선박의 셀 가이드 구조
KR101774926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장치
JP5094706B2 (ja) 車両の荷室内面構造
KR20150007650A (ko) 컨테이너선의 측면 블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