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243B1 - 형상 유지 연결관 - Google Patents

형상 유지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243B1
KR101422243B1 KR1020120113250A KR20120113250A KR101422243B1 KR 101422243 B1 KR101422243 B1 KR 101422243B1 KR 1020120113250 A KR1020120113250 A KR 1020120113250A KR 20120113250 A KR20120113250 A KR 20120113250A KR 101422243 B1 KR101422243 B1 KR 10142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uct
elastic wire
wire
elastic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266A (ko
Inventor
나승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2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플렉시블 덕트가 쳐지거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유지 연결관이 소개된다.
이 형상 유지 연결관은 플렉시블 덕트와,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와, 탄성 와이어의 단부를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형상 유지 연결관{CONNECTING DUCT FOR MAINTAINING SHAPE}
본 발명은 형상 유지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플렉시블 덕트가 처지거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유지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덕트는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원통형의 덕트로, 뼈대를 이루는 복수개의 스테인리스 와이어 링이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덕트는 공조기의 에어 공급통로 또는 에어 배출통로에 장착되어 에어의 흐름 경로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선박의 환기나 냉난방을 위해, 플렉시블 덕트는 선박 공조기의 에어 덕트와 객실의 에어 터미널 사이에 연결되기도 한다.
그런데,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짧은 경우 덕트의 형태 유지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긴 경우 덕트의 형태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길이가 긴 플렉시블 덕트를 설치한 후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를 줄이게 되면, 플렉시블 덕트가 꼬이거나 꺾일 수 있다.
예컨대, 스윙 타입의 에어 터미널 커버에 조립된 선박의 에어 터미널에 플렉시블 덕트를 조립하는 경우, 에어 터미널 커버를 회전시켜 개방하고, 개방된 에어 터미널 커버의 에어 터미널과 플렉시블 덕트를 사이에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한 후, 에어 터미널 커버를 회전시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이때, 플렉시블 덕트가 꼬이거나 꺾이게 되므로, 설계에서 허용하는 압력 손실(pressure loss)값보다 더 큰 압력 손실이 발생될 수 있고, 결국, 원하는 에어 볼륨(air volume)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국내 특허등록 10-0835787 (2008.05.30.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플렉시블 덕트의 전체적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형상 유지 연결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시블 덕트;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 및 상기 탄성 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 와이어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탄성 와이어의 단부를 당겨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일단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단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 와이어; 및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타단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 와이어의 측부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탄성 와이어와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방향 중심 내부 사이를 수직되게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지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측부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측부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일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측부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지지 와이어; 및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측부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측부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타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측부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3 지지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탄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덕트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플렉시블 덕트의 처짐이나 꺾임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플렉시블 덕트의 처짐이나 꺾임을 방지하여, 공조기에서 선실로 이동되는 에어의 이동 경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에어의 선실 이동시 완만한 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덕트 내 에어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100)은, 플렉시블 덕트(110)의 중심라인에 인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플렉시블 덕트(110)의 형태를 유체 흐름에 최적인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유지 연결관(100)은 플렉시블 덕트(110), 탄성 와이어(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덕트(110)는 구부러짐이 용이한 가요성의 덕트로, 복수의 스테인리스 와이어 링이 코일 형태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플렉시블 덕트(110)의 양단은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선박 내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210)와 각 선실로 에어가 분기되는 에어 터미널(2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 덕트(210)의 에어는 서로 다른 직선상에 위치한 에어 터미널(220)로 플렉시블 덕트(110)를 통해 이동될 수 있으며, 에어 터미널(220)로 이동된 에어는 에어 터미널(220)에 연결된 다른 에어 덕트(미도시)로 이동되거나, 디퓨저(240)를 통해 선실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덕트(110)는 에어 덕트(210)와 에어 터미널(22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형상 유지 연결관(100)은 덕트의 굽힘이 필요한 다양한 위치와 구조에 적용되어, 유체의 흐름 경로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20)는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에서 중심라인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위치될 수 있고, 고정부(130)를 통해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탄성 와이어(120)는 가요성 재질의 플렉시블 덕트(110)가 과도하게 처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시블 덕트(110)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와이어(120)의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덕트(110) 내 설치시, 탄성 와이어(120)는 고정부(130)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플렉시블 덕트(110)에 고정된다.
이로써, 플렉시블 덕트(110)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플렉시블 덕트(110)의 자체 하중에 의해 플렉시블 덕트(110)가 처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덕트(110)의 처짐이나 꺾임을 방지하여, 덕트내 에어의 이동 경로를 최단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130)는 탄성 와이어(120)를 플렉시블 덕트(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으로, 제 1 고정 와이어(130a) 및 제 2 고정 와이어(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와이어(130a)는 탄성 와이어(120)의 일단과 플렉시블 덕트(110)의 일단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되, 탄성 와이어(120)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 와이어(120)의 일단을 당겨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고, 제 1 고정 와이어(130a)는 탄성 와이어(120)의 일단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 와이어(130b)는 탄성 와이어(120)의 타단과 플렉시블 덕트(110)의 타단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하되, 탄성 와이어(120)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 와이어(120)의 타단을 당겨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20)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고정 와이어(130a)는 탄성 와이어(120)의 일단에 120도 각도의 방사 형태로 펼쳐지게 연결되는 3개의 고정부로 구성되고, 제 2 고정 와이어(130b)는 탄성 와이어(120)의 타단에 120도 각도의 방사 형태로 펼쳐지게 연결되는 3개의 고정부로 구성되지만, 이 고정부의 개수 및 연결 각도는 탄성 와이어(120)의 단부를 플렉시블 덕트(1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30)가 제 1 고정 와이어(130a) 및 제 2 고정 와이어(130b)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고정부(130)는 이 외에 강성을 가지는 기둥 등으로 마련되어 탄성 와이어(120)를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 공간이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하, 선박의 에어 덕트와 에어 터미널 사이에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100)이 설치되는 경우, 형상 유지 연결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타입의 에어 터미널 커버(221)가 선반 루프(23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는, 에어 덕트와 에어 터미널 사이에 연결된 플렉시블 덕트(110)는 직선에 가까운 곡선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플렉시블 덕트(110) 내 탄성 와이어(120)의 길이는 최대한 늘어날 수 있으며, 탄성 와이어(120)는 플렉시블 덕트(110)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플렉시블 덕트(110)를 중심 라인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터미널 커버(221)가 선반 루프(230)에 닫힌 상태에서는, 플렉시블 덕트(110)가 최단 거리로 접혀지면서, 플렉시블 덕트(110)의 전체적인 형태가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와이어(12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직선 형태가 유지되면서 플렉시블 덕트(110)를 중심 라인으로 끌어당기게 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플렉시블 덕트(P)가 처지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부분 절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을 도시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유지 연결관(100')은, 플렉시블 덕트(110), 탄성 와이어(120), 고정부(130) 및 지지 와이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와이어(140)를 제외한 플렉시블 덕트(110), 탄성 와이어(120) 및 고정부(130)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덕트(110), 탄성 와이어(120), 고정부(130)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기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유사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지지 와이어(140)는 탄성 와이어(120)의 측부를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에 연결함으로써, 플렉시블 덕트(110)의 전체 형태를 일정 형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와이어(140)는 제 1 지지 와이어(140a), 제 2 지지 와이어(140b) 및 제 3 지지 와이어(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 와이어(140a)는 탄성 와이어(120)의 중심과 플렉시블 덕트(110)의 중심 내부 사이를 수직되게 연결하고, 탄성 와이어(120)의 중심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 와이어(140b)는 탄성 와이어(120)의 일측부와 플렉시블 덕트(110)의 일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탄성 와이어(120)의 일측부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 와이어(120)의 일측부를 당겨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20)의 일측부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지지 와이어(140c)는 탄성 와이어(120)의 타측부와 상기 플렉시블 덕트(110)의 타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탄성 와이어(120)의 타측부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탄성 와이어(120)의 타측부를 당겨 플렉시블 덕트(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고, 탄성 와이어(120)의 타측부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내지 제 3 지지 와이어(140a),(140b),(140c)는 탄성 와이어(120)에 120도 각도의 방사 형태로 펼쳐지게 연결되는 3개의 지지 와이어로 구성되지만, 이 지지 와이어의 개수 및 연결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 와이어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덕트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플렉시블 덕트의 처짐이나 꺾임을 방지할 수 있고, 공조기에서 선실로 이동되는 에어의 이동 경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에어의 선실 이동시 완만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덕트 내 에어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형상 유지 연결관 110 :플렉시블 덕트
120 :탄성 와이어 130 :고정부
130a :제 1 고정 와이어 130b :제 2 고정 와이어
140 :지지 와이어 140a :제 1 지지 와이어
140b :제 2 지지 와이어 140b :제 3 지지 와이어
210 :에어 덕트 220 :에어 터미널
230 :선실 루프

Claims (6)

  1. 플렉시블 덕트;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탄성 와이어; 및
    상기 탄성 와이어의 단부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탄성 와이어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탄성 와이어의 단부를 당겨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 고정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단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일단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단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고정 와이어; 및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타단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는 형상 유지 연결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의 측부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내부에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형상 유지 연결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탄성 와이어와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길이방향 중심 내부 사이를 수직되게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형상 유지 연결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측부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측부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일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측부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지지 와이어; 및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측부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측부과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타측 내부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타측부에서 일정 각도의 방사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3 지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형상 유지 연결관.
KR1020120113250A 2012-10-12 2012-10-12 형상 유지 연결관 KR10142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50A KR101422243B1 (ko) 2012-10-12 2012-10-12 형상 유지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250A KR101422243B1 (ko) 2012-10-12 2012-10-12 형상 유지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66A KR20140047266A (ko) 2014-04-22
KR101422243B1 true KR101422243B1 (ko) 2014-07-22

Family

ID=5065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250A KR101422243B1 (ko) 2012-10-12 2012-10-12 형상 유지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66B1 (ko) * 2017-12-07 2020-07-31 심성수 확장날개를 가진 스프링 튜브, 그것을 이용한 스프링 튜브 보완체 및 스프링 튜브 보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5495A (ja) 1999-12-09 2001-06-22 Ryuki Engineering:Kk 換気用風管装置
JP2004116793A (ja) 2002-09-24 2004-04-15 Ryuki Engineering:Kk 吸引ダクト
KR100715897B1 (ko) 2005-04-27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용 스노클 덕트의 벨로우즈관 지지구조
JP2009052397A (ja) 2008-11-05 2009-03-12 Kajima Corp トンネル内の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5495A (ja) 1999-12-09 2001-06-22 Ryuki Engineering:Kk 換気用風管装置
JP2004116793A (ja) 2002-09-24 2004-04-15 Ryuki Engineering:Kk 吸引ダクト
KR100715897B1 (ko) 2005-04-27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량용 스노클 덕트의 벨로우즈관 지지구조
JP2009052397A (ja) 2008-11-05 2009-03-12 Kajima Corp トンネル内の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66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074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9171649A (ja) ワイヤハーネスの外装保護用チューブ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WO2007139083A1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遠隔操作装置
AU2012244311B2 (en) Cable for use in concentrated solar power installation
KR101422243B1 (ko) 형상 유지 연결관
CN103939432A (zh) 紧固夹子
JP4591434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向規制材
ITRM980482A1 (it) Dispositivo per connettere due segmenti di condotti tubolari
US9162550B2 (en) Wire harness mounting assembly
US10864864B2 (en) Grommet and grommet-equipped wire
JP6276161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7126022A (ja) 車両用エアガイド
KR101663360B1 (ko) 내경가변 전선피복금형
JP2009027786A (ja) グロメット
JP2014068419A (ja) 電線ガイド
JP5811947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固定部材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並びにワイヤーハーネス用固定部材の取付方法
EP1899658B1 (en) Brace of air diffuser body part
JP2002354634A (ja) グロメットの電線配索構造およびその電線配索方法
JP6117077B2 (ja) グロメット
JP5203087B2 (ja) リンク用ハーネス配索構造
JP4820380B2 (ja) ダクト用たわみ継手
WO2015111705A1 (ja) マフラ
EP3722644A1 (en) A cable spacer arrangement
CN211765340U (zh) 用于车辆线束与接插件连接处的保护装置和线束单元
JP2010154664A (ja) 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