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76B1 -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76B1
KR101421276B1 KR1020097017986A KR20097017986A KR101421276B1 KR 101421276 B1 KR101421276 B1 KR 101421276B1 KR 1020097017986 A KR1020097017986 A KR 1020097017986A KR 20097017986 A KR20097017986 A KR 20097017986A KR 101421276 B1 KR101421276 B1 KR 10142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iding door
guide rail
opening
doo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041A (ko
Inventor
베르너 에울
Original Assignee
트수바키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수바키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트수바키 카벨슐레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11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of roller-blind type made of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2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b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3)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도어 개구 근처의 차체에는 가이드 레일(4)이 제공된다. 가이드 소자(4)는 가이드 레일(4)을 따라 변위되며, 상기 소자는 유지 아암(6)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차체(2) 상의 고정 연결부(9)로부터 연결 소자(10)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8)을 수용하고 안내하도록 관절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전력 안내 유닛(7)을 가진다. 전력 안내 유닛(7)은 가이드 레일(4)의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몇몇 영역에서 전력 안내 유닛과 중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SLIDING DO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밴 또는 미니밴을 포함하는 자동차, 특히 승용차는 최근에 커다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들 차량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이들 승용차는 차량 내부로의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를 가진다.
밴은 승용차로부터 공지된 것에 비견될 수 있는 수준의 안락함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전기 작동식 윈도우 리프터, 조명 시설, 스피커 박스 또는 중앙 로킹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부품들이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에 끼워 맞춰져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이 EP 1 010 558 A2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전방 영역, 즉 차량 전방 쪽으로 지향된 영역에, 각각의 가이드 롤러가 가이드 소자로서 장착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유지 아암을 가진다. 가이드 롤러는 도어 개구의 위 또는 아래로 차체 상의 가이드 레일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개방 작동 중에 도어 개구로부터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고 폐쇄 작동 중에 도어 개구 쪽으로 슬라이딩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레일의 전방으로 뾰족한 단부가 차량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게, 내부에서 가이드되는 라인-홀딩 장치(line-holding device)를 갖춘 덕트가 하부 홀더 상에 장착되는 롤러를 위한 하부 가이드 레일에 평행한 도어 개구를 향한 쪽에 배열된다. 라인 홀딩 장치는 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체인 링크로부터 동력 안내 유닛으로서 형성되며 한 단부가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차체의 위치 고정부에 연결된다. 동력 안내 유닛은 양 단부 사이에 상호 연결된 체인 링크의 곡선 영역을 가진다.
전술한 에너지 안내 유닛은 이미 전술한 슬라이딩 도어 내에 배열되는 다양한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차체 상의 터미널로부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 유지 아암 상의 터미널로의 라인을 유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시스템의 다른 예가 WO 2005/090825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보의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장치는 슬라이딩 도어가 개폐 작동 중에 이동하는 영역 내의 차체 또는 그 외측에 배열된다. 슬라이딩 아암의 유지 아암은 슬라이딩 도어의 후방 단부 영역, 즉 차량 후방으로 지향된 영역 내에 배열된다.
또한, 상기 공보에는 라인 홀딩 장치가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소자를 위한 가이드 레일 내에 통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이전에 공지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승용차로부터 공지된 피봇가능한 도어 시스템 위에 하나의 차이점을 가진다. 피봇가능한 도어 시스템의 경우에, 전기 라인이 도어 패널 또는 필러 또는 링 패널에 의해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덮여 있어서 도어가 폐쇄될 때 또는 그 밖에 도어가 개방될 때 외측으로부터의 접근이 어렵다.
본 발명은 도어가 폐쇄되고 선택적으로 또한 도어가 개방될 때 전력 안내 라인이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접근 불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의 범위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차량, 특히 자동차용 슬라이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슬라이딩 시스템의 유용한 발전과 개선점은 종속항의 요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도어 개구 근처의 차체 상에 또는 차체 내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가이드 레일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유지 아암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는 가이드 소자, 및 관절 방식으로 서로에 연결되는 링크로 형성되고 차체 상의 위치 고정된 터미널로부터 터미널 소자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수용 및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안내 유닛을 포함한다. 전력 안내 유닛은 안내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경우에, 전력 안내 유닛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가이드 레일도 제공된다. 이러한 중복은 도어가 폐쇄되거나 또는 그 밖에 도어가 개방될 때 차량 외측으로부터의 허용되지 않은 접근에 대해 전력 안내 유닛 내로 안내되는 라인을 보호한다.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내에 전력 안내 유닛의 배열은 오물 또는 먼지 입자나 습기가 전력 안내 유닛으로 유입 및 그로 인한 전력 안내 라인의 부식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고 가이드 소자에 연결되는 유지 아암을 가진다. 전방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차량 내측을 향해 구부러진 가이드 레일을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의 경우에, 도어의 추가의 피봇이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통해 보상되도록 특정 연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서, 가이드 레일은 채널 형상의 디자인이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개구를 가진다.
슬라이딩 도어와 체결되는 유지 아암이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연장한다. 유지 아암은 가이드 레일 내부에서, 축선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채널형 가이드 레일 상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가지는 가이드 소자에 연결된다. 가이드 소자도 복수의 상이한 방향으로의 지지가 가능하여 안정한 가이드를 보장하는 복수의 롤러를 가진다. 특히, 유지 아암 및 가이드 소자도 단일 부품으로 설계되어 추가의 연결 소자들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개선예에 따라서, 유지 아암은 바람직하게 피봇 소자를 갖춘 다중 부품으로 설계될 수 있어서, 가이드 소자와 유지 아암, 및 유지 아암과 슬라이딩 도어가 단단하게, 특히 피봇가능하지 않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그러한 피봇은 유지 아암 소자들 사이의 피봇 소자를 통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가이드 소자의 이동로를 따라 가이드 레일 내에 제 2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가이드 아암 및/또는 유지 아암에 연결된 연결 소자가 제 2 개구를 통해 연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에 따라 제 2 개구는 시일을 가진다.
가이드 레일 내의 상기 제 2 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시스템의 실시예들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연결 소자는 가이드 레일 내의 제 1 개구를 통해 연장하며 가이드 레일 내에서 가이드 소자 및/또는 유지 아암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에 따라, 연결 소자 및 유지 아암은 가이드 레일 외측에서 서로 연결되며, 또한 제 2 개구는 생략될 수 있다.
연결 소자는 한 측면에서 전력 안내 유닛의 터미널 소자에 연결되며 다른 측면에서 가이드 레일 내부로 및/또는 유지 아암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소자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이들 연결은 각각 피봇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에 따라, 터미널 소자가 안내 소자 및/또는 유지 아암에 연결되며, 이들 각각의 연결은 피봇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개별 부품들은 슬라이딩 도어의 전기 장치들이 전력 안내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안내 라인에 연결되며 터미널 소자, 바람직하다면 연결 소자 및/또는 안내 소자를 통해 연결되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유지 아암을 통해 슬라이 도어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전력 안내 유닛이 가이드 장치 내에 배열되며, 상기 가이드 장치는 유사하게 두 개의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들이 각각 전력 안내 유닛의 스트랜드의 외측 지향 측면을 안내하는 길다란 가이드 하우징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가이드는 또한 하우징의 길이방향 측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는 전력 안내 체인이 작은 마찰력과 실질적으로 마모가 없는 방식으로 미끄럼하는 것을 보장한다.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 레일 또는 차체를 갖는 조립체의 형태로 설계되어, 추가의 연결소자가 불필요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개선예에 따라, 가이드 장치는 차체의 외측 벽과 인접 배열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형성되어 추가의 부품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유리한 구성은 가이드 장치가 가이드 레일에 해체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가이드 장치의 개선예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개별 부품으로 설계할 때 설계자에게 더 큰 자유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추가의 유리한 개선예는 가이드 장치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격된 곳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특정한 공간적 제한은 더욱 자유롭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개선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차체 상에 완전히 예비조립되어 설치되거나 적합하다면, 슬라이딩 도어와 함께 유닛으로서 차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자동차의 대량 생산 관점으로부터 구조적으로 실질적으로 유리하다.
가이드 소자의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 장치는 연결 소자가 연장하는 갭을 가진다. 상기 갭은 바람직하게 시일을 갖는데, 이 시일은 특히 오염물과 먼지 입자의 침투로부터 전력 안내 유닛을 보호하여 전력 안내 체인의 마모를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특히 유리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 레일은 차량 외측으로 가이드 장치의 갭을 완전히 커버하여 전력 안내 체인과 그 내부로 안내되는 전력 라인이 차량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첫째로 전력 안내 체인의 가이드 장치 내측으로의 먼지의 유입이 최소화되며, 둘째로 외측으로부터 허용되지 않은 접근으로 인한 전기 라인의 조절이 불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요지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됨이 없이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갖춘 차량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가이드 레일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차체 상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실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전력 안내 유닛의 가이드 레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채널과 전력 안내 유닛을 갖춘 가이드 레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갖춘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 시하며,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지 아암(6)이 슬라이딩 도어(3)의 후방부에 체결되어 있는 중앙에 배열된 가이드 레일(4)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가이드 레일(4)은 슬라이딩 도어(4)가 폐쇄된 때 전체 길이의 수직을 따라 보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4)의 내측 곡선 영역은 본 실시예에서 폐쇄된 슬라이딩 도어(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져 있다.
도 2는 차체(2) 상에 또는 차체 내에 있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가이드 레일(4)은 차체(2)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며 유지 아암(6)이 슬라이딩 도어(3)(도시 않음) 쪽으로 차체의 외측 벽 내의 갭을 통해 연장하고 있다. 유지 아암(6)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3)로 안내되는 전력 안내 라인(8)이 보인다. 이 경우에, 유지 아암(6)은 슬라이딩 도어(3)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피봇 소자(도시 않음)를 가지며, 상기 피봇 소자를 통해서 유지 아암(6)의 제 2 부분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3)에 연결됨으로써 도어 컷아웃(cutout)의 근처 쪽으로 구부러진 가이드 레일(4)을 따른 슬라이딩 도어(3)의 운동이 보상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예에 따라, 라인(8)은 유지 아암(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그에 따라 외측으로부터의 접근이 불가능해 진다. 전력 안내 유닛(7)은 가이드 장치(15) 내에 배열되며 서로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16)에 의해 안내된다. 길이방향 측면(16)은 슬라이딩 도어(3)의 작용에 의한 전력 안내 유닛(7)의 동적 운동 중에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의 소자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마멸로 인한 전력 안내 유닛(7)의 마모와 길리방향 측면(16)의 부식도 방지된다. 유지 아암(6)과 전력 안내 유닛(7) 사이의 연결은 가이드 레일(4) 위아래에 놓이는 방식으 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는 유지 아암과 전력 안내 유닛 사이의 연결이 가이드 레일의 슬롯을 통해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슬롯을 갖는 두 부품으로 가이드 레일을 설계할 수도 있다.
도 2는 또한, 전력 안내 유닛(7)이 내부에 유지되는 인접 배열된 가이드 장치(15)를 갖춘 가이드 레일(4)을 도시한다.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은 제 2 개구(13)를 갖지 않는다. 전력 안내 라인(8)은 전력 안내 유닛(7)으로부터 터미널 소자(10)와 연결 소자(14)를 통해 가이드 레일(4)과 가이드 장치(15) 사이의 갭(18)을 통해 유지 아암(6)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에, 가이드 레일(4)은 가이드 장치(15)의 외측을 덮는다.
도 3에서, 차체(2)의 외측 벽은 절단되어 있으며 가이드 레일(4)이 노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여기서 유지 아암(6)은 가이드 소자(5)의 기능과 통합된다. 유지 아암(6)은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위치 1)와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위치 2)인 두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유지 아암(6)은 제 1 개구(11)를 통해 가이드 레일(4)의 내측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롤러(12)를 통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4)은 가이드 장치(15)의 정면에서 외측에 놓이며, 가이드 장치와 함께 연결 소자(14)가 연장하는 갭(18)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 레일(4)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제 1 개구(11)와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열되는 제 2 개구(13)를 가진다. 이 경우에, 가이드 장치(18)는 가이드 장치(15)가 가이드 레일(4)에 의해 외측이 완전히 커버되는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4)에 인접하게 또는 가이드 레일의 뒤에서 이격되게 놓인다. 전력 안내 유닛(7)은 가이드 장치(15) 내에 배열되며, 전력 안내 유닛 내로 안내되는 전력 안내 라인(8)이 터미널 소자(10)와 연결 소자(14)를 통해 가이드 소자(10)와 유지 아암(6)으로, 그리고 유지 아암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3)로 연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유지 아암(6)이 가이드 소자(5)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연결 소자(14)는 갭(18)과 제 2 개구(13)를 통해 연장하며 가이드 레일(4)의 외부에서 터미널 소자(10)와 가이드 소자(5) 또는 터미널 소자(10)와 유지 아암(6)을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의 추가의 유리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 레일(4)은 가이드 레일(4) 내에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제 2 개구(13)를 가지며, 가이드 장치(15)는 가이드 레일(4)에 대해 바람직하게 배열되어서 전력 안내 유닛(7)과 가이드 소자(5) 사이에 래비린스(laybyrinth) 연결이 형성되며, 그 결과로써 차량 외측으로부터 전력 안내 유닛(7)으로의 접근이 실질적으로 더 어려워지며 또한 전력 안내 유닛(7)의 이동 영역으로 먼지 또는 습기의 유입이 최소화된다. 연결 소자(14)는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로드-형상 또는 보우(bow)-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터미널 소자(10) 및 가이드 소자(5) 또는 유지 아암(6)에 단단히 또는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시스템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 2 개구 및/또는 갭(18)은 특히 유리한 설계인, 전력 안내 유닛(7)의 이동 영역으로 먼지 및 습기의 유입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는 시일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체를 지향하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 사시도이며,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1)의 후방 측면이 이미 차체(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벽 소자로도 가능하다. 에너지 안내 라인(8)은 잠재적 고정 터미널(9)에서 차량 전기부품에 연결된다. 터미널 아암(6)은 폐쇄된 슬라이딩 도어(3)의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이드 레일(4)에 대한 전력 안내 유닛(7)의 위치를 도시한다. 전력 안내 유닛(7)은 잠재적 고정 터미널(9)로부터 터미널 소자(10)로 연장하며 슬라이딩 도어(3)가 개방(위치 1) 및 폐쇄(위치 2)되어 있는 두 개의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 소자(14)는 터미널 소자(1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는 정면 영역 내로 안쪽으로 구부러진 가이드 레일(4)에 따른 유지 아암(6)의 운동을 보상한다. 그 결과로써, 전력 안내 유닛(7)의 추가의 구부림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6은 전력 안내 유닛과 가이드 레일의 배열을 횡단면도 도시한다. 전력 안내 유닛(7)은 채널(20) 내로 안내된다. 채널(20)과 가이드 레일은 바람직하게 구조적 유닛을 형성한다. 가이드 레일은 상부(21)와 하부(22)로 형성된다. 채널(20)과 가이드 레일(4)은 단일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두 부품으로 설계할지 연결 수단(도시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할지는 선택적인 것이다.
전력 안내 체인과 전력 안내 체인을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력 안내 유닛 과 가이드 레일은 이미 예비조립된 구조적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라인, 호스 등도 전력 안내 체인 내에 놓일 수 있다. 설치 위치에서, 구조적 유닛은 단지 차체에 연결된다.
가이드 체널 내에 전력 안내 유닛을 안내하는데에도 선택이 있을 수 있다. 가이드 채널은 바람직하게, 첫째로 전력 안내 유닛을 안내하고, 둘째로 전력 안내 유닛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가이드 채널도 전력 안내 유닛의 운동 중에 형성되는 소음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채널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적합하다면, 채널은 증가된 미끄럼 특성을 가지는 작동 표면을 가짐으로써, 전력 안내 유닛과 채널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력 안내 유닛은 스트랜드가 서로 상하로 또는 좌우로 수평면 내에 놓일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력 안내 유닛의 위치 고정 터미널이 채널의 내측에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 도면 참조 부호 *
1 :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2 : 차체
3 : 슬라이딩 도어
4 : 가이드 레일
5 : 가이드 소자
6 : 유지 아암
7 : 전력 안내 유닛
8 : 전력 안내 라인
9 : 위치 고정 터미널
10 : 터미널 소자
11 : 제 1 개구
12 : 롤러
13 : 제 2 개구
14 : 연결 소자
15 : 가이드 장치
16 : 길이방향 측면
17 : 스트랜드
18 : 갭
19 : 차량 주위
20 : 채널
21 : 상부
22 : 하부

Claims (16)

  1.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2)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1)으로서,
    상기 도어 개구의 근처에서 차체 상에 또는 차체 내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가이드 레일(4)을 갖춘 슬라이딩 도어(3),
    상기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유지 아암(6)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3)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소자(5), 및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차체(2) 상의 위치 고정 터미널(9)로부터 터미널 소자(10)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라인(8)을 수용하고 가이드하도록 의도되는 링크들로부터 형성되는 전력 안내 유닛(7)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안내 유닛(7)이 상기 가이드 레일(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4)은 외부에서 전력 안내 유닛(7)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4)은 상기 가이드 레일(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개구를 갖춘 채널 형태로 설계되며 상기 유지 아암(6)이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연장하며, 상기 가이드 소자(5)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지 아암(6) 상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채널 형상 가이드 레일(4) 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12)를 갖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4)은 연결 소자(14)가 관통해 연장하는 제 2 개구(13)를 갖고,
    상기 제 2 개구(13)는 상기 가이드 레일(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개구(11)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유지 아암(6)은 상기 가이드 레일(4)의 외부에서 상기 연결 소자(1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6)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3) 및 상기 가이드 소자(5) 중 하나 이상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13)는 시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소자(10)는 상기 가이드 소자(5) 및 상기 유지 아암(6)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소자(10)는 상기 연결 소자(14)를 통해 상기 가이드 소자(5) 및 상기 유지 아암(6)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들 중에 하나 이상은 피봇가능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력 안내 라인(8)은 상기 전력 안내 유닛(7)의 한 단부로부터 나오며, 상기 터미널 소자(10)와 상기 유지 아암(6)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3)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안내 유닛(7)은 가이드 장치(15)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15)는 길다란 가이드 하우징으로서 설계되며, 상기 가이드 하우징 내에 있는 두 개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16)이 각각 상기 전력 안내 유닛(7)의 스트랜드(17)의 외측 지향 측면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15)는 상기 가이드 레일(4)에 해체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15)는 상기 가이드 레일(4)로부터 이격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소자(5)의 운동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장치(15)는 갭(18)을 가지며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연결 소자(14)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갭(18)은 시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4)은 상기 차량 외측(19)을 향해 상기 가이드 장치(15)의 갭(18)을 완전히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구를 가지는 차체를 구비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KR1020097017986A 2007-02-16 2008-02-14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1421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7002499.1 2007-02-16
DE202007002499U DE202007002499U1 (de) 2007-02-16 2007-02-16 Schiebetürsystem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ein Kraftfahrzeug
PCT/EP2008/051776 WO2008098981A1 (de) 2007-02-16 2008-02-14 Schiebetü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041A KR20090118041A (ko) 2009-11-17
KR101421276B1 true KR101421276B1 (ko) 2014-07-18

Family

ID=3799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986A KR101421276B1 (ko) 2007-02-16 2008-02-14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72678B2 (ko)
EP (1) EP2117862B1 (ko)
JP (1) JP5512286B2 (ko)
KR (1) KR101421276B1 (ko)
CN (1) CN101646578B (ko)
AT (1) ATE531548T1 (ko)
DE (1) DE202007002499U1 (ko)
WO (1) WO2008098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9493A1 (de) 2008-08-23 2010-02-25 Leoni Bordnetz-Systeme Gmbh Schiebetüranordnung sowie Montageeinheit für eine Schiebetür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6A (ja) * 1996-06-12 1998-01-06 Honda Motor Co Ltd スライドドアと車体とを結ぶハーネス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955Y2 (ja) * 1987-08-26 1995-08-30 日産車体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ガイドレ−ル部車体構造
JPH10194017A (ja) * 1997-01-13 1998-07-28 Hashimoto Forming Ind Co Ltd ガイドレ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H1193514A (ja) * 1997-07-25 1999-04-06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構造
US6174020B1 (en) * 1998-12-15 2001-01-1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liding door system for vehicles
JP3806357B2 (ja) * 2002-02-19 2006-08-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給電機構
DE10333834A1 (de) * 2003-07-24 2005-08-11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Schiebetürensystem
DE102004013974B4 (de) * 2004-03-19 2007-01-04 Igus Gmbh Schiebetür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6A (ja) * 1996-06-12 1998-01-06 Honda Motor Co Ltd スライドドアと車体とを結ぶハーネス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7862A1 (de) 2009-11-18
JP2010517873A (ja) 2010-05-27
ATE531548T1 (de) 2011-11-15
CN101646578B (zh) 2013-05-15
EP2117862B1 (de) 2011-11-02
US8272678B2 (en) 2012-09-25
KR20090118041A (ko) 2009-11-17
WO2008098981A1 (de) 2008-08-21
CN101646578A (zh) 2010-02-10
JP5512286B2 (ja) 2014-06-04
US20100071268A1 (en) 2010-03-25
DE202007002499U1 (de)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368B2 (en) Sliding door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the assembly thereof
US20060267380A1 (en) Harness routing structure
US6860549B2 (en) Retractable roof panel
JP4447633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CN111946191A (zh) 滑动车门及车辆
CN102812606A (zh) 供电配线结构
JP6887884B2 (ja) 車両用開閉装置
US20130001374A1 (en) Power feeding wiring structure
JP2018202933A (ja) 車両用開閉装置
KR101421276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JP200925572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616599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US6685253B1 (en) Power sliding door wire housing
CN210554102U (zh) 滑移车门及车辆
US8544936B2 (en) Device for connecting functional elements to a supply source
CN210768332U (zh) 滑动车门及车辆
KR101120311B1 (ko) 차량용 특히 모터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JP5182986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スライドドアおよび車両
KR102132723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상부지지장치
JP2006027372A (ja) 給電装置
JP4858405B2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010142063A (ja) ハーネスの支持構造
KR101776760B1 (ko) 운반장치의 슬라이딩 도어구조
JP2005075280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支持構造
JP2008302861A (ja) スライドドアへ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