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971B1 -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971B1
KR101420971B1 KR1020130031277A KR20130031277A KR101420971B1 KR 101420971 B1 KR101420971 B1 KR 101420971B1 KR 1020130031277 A KR1020130031277 A KR 1020130031277A KR 20130031277 A KR20130031277 A KR 20130031277A KR 101420971 B1 KR101420971 B1 KR 10142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opening
cleaning
chamber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053A (ko
Inventor
요우 도리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10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액을 사용해서 바닥면을 물 닦기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흡입구체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바닥 브러시는 케이스체를 갖고, 케이스체의 하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브러시 실(42)을 설치한다. 바닥 브러시는 바닥면과 접촉가능한 청소 부재(33)를 구비하고, 브러시 실(42) 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 브러시(34)를 배치한다. 바닥 브러시는 회전 브러시(34)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갖는다. 바닥 브러시는 세정액(51)을 청소 부재(33)에 공급하는 공급부(73)를 갖는다. 공급부(73)는 세정액(51)을 내부에 저류 가능한 탱크 실(43)을 구비한다. 공급부(73)는 탱크 실(43)에 연통하여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59)를 구비한다. 공급부(73)는 브러시 실(42)의 부압에 대응해서 개구부(59)를 개폐하는 밸브체(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SUCTION PORT BODY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회전 청소체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를 갖는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 및 이러한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집진부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집진부에 연통해서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풍로 형성체인 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관부는 호스체, 연장관 및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를 하류측부터 상류측에 차례로 갖고 있으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의 바닥면 상에 적재한 바닥 브러시로부터 진애를 흡입한다.
그리고, 청소를 하는 바닥면으로는, 예를 들어 카페트, 다다미(疊), 혹은 플로어링 등이 있고, 특히 플로어링은 진애를 흡입할 뿐만 아니라, 달라붙은 오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정액인 물을 사용해서 물 닦기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159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은, 바닥 브러시의 케이스체 하부의 흡입구에 회전 청소체를 구성하는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의 상부에는 세정액을 수용한 탱크가 설치되고, 이 탱크로부터 회전 브러시에 세정액을 항상 공급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청소할 때마다 탱크를 케이스체에 대하여 착탈할 필요가 있어, 반드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정액을 사용해서 피청소면을 물 닦기가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하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회전 청소체실과, 피청소면과 접촉 가능한 청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청소체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와, 이 회전 청소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세정액을 내부에 저류 가능한 저류부, 이 저류부에 연통해 상기 회전 청소체의 상기 청소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회전 청소체실 내의 부압에 대응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류부의 내부에 저류한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청소 부재에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세정액을 사용해서 피청소면을 물 닦기가 가능하고,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에 있어서의 세정액의 공급부 근방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의 (a)는 밸브체가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밸브체가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함.
도 2는 동상 흡입구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의 (a)는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화살표도, 도 3의 (b)는 도 1의 I-I 상당의 위치를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의 (c)는 도 1의 I-I 상당의 위치를 화살표 C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동상 흡입구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의 (a)는 상측부터 도시하고, 도 4의 (b)는 하측부터 도시함.
도 5는 동상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와, 이 청소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풍로 형성체를 구성하는 관부(13)를 갖고 있다.
청소기 본체(12)는 피청소면의 바닥면 F(도 2) 상을 선회 및 주행 가능하고, 전동 송풍기(18), 이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 제어부, 및 이들 전동 송풍기(18), 본체 제어부 등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부 등을 수용하면서, 또한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집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2)의 전방부에는 집진부에 연통하면서, 또한 관부(13)의 기단부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관부(13)는 호스체(21)와, 이 호스체(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연장관(22)과, 이 연장관(2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흡입구체인 바닥 브러시(23)를 구비하고 있다.
호스체(21)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부(25)와, 이 호스부(25)의 기단부측(하류측)에 설치되어 본체 흡입구(19)에 접속되는 접속관부(26)와, 호스부(25)의 선단측(상류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27)를 갖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27)에는 연장관(22)의 기단부측(하류측)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이 손잡이 조작부(27)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28)가 기단부측에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이 파지부(28)에는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모드 등을 본체 제어부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2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3)는 좌우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 즉 가로로 길게 형성된 케이스체(31), 이 케이스체(31)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연장관(22)의 선단측(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관(32), 청소 부재(33)를 외주에 갖고 케이스체(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청소체를 구성하는 회전 브러시(34), 이 회전 브러시(34)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의 모터(35) 및, 이 모터(3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을 구비한 제어 수단의 제어부(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바닥 브러시(23)는, 예를 들어 주행륜(37) 등에 의해 바닥면 F 상을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체(31)는, 예를 들어 복수의 케이스부를 서로 조합하여 폭 방향으로 길이 형상, 즉 가로로 길게 구성되어 있고, 하부에 흡입구(41)를 개구하여 회전 브러시(3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청소체실을 형성하는 브러시 실(42), 이 브러시 실(42)의 상부에 위치하는 세정액의 저류부가 되는 탱크 실(43), 모터(35)를 수용하는 구동 수단 수용부가 되는 모터 실(44) 및, 제어부(36)를 수용하는 제어 실(45) 등이 내부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방향은 케이스체(3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이 주행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폭 방향), 이 주행 방향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흡입구(41)는 케이스체(31)의 하측, 즉 바닥면 F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하는, 예를 들어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이며, 브러시 실(42)과 케이스체(31)의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또한, 브러시 실(42)은 케이스체(31)의 하면(31a)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연통 개구부가 후부에 형성되며, 이 연통 개구부를 통해서 접속관(32)과 연통하고 있다. 즉, 이 브러시 실(42)은 접속관(32), 연장관(22), 호스체(21), 본체 흡입구(19) 및 집진부 등을 통하여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과 연통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브러시 실(42)은 흡입구(41)로부터 흡입한 진애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실이 되고 있다. 또한, 이 브러시 실(42)의 양측은 흡입구(41)의 양측에 위치하여 케이스체(31)의 하면(31a)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폐 덮개(47, 47)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의 개폐 덮개(47, 47)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 브러시(34)를 브러시 실(42)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탱크 실(43)은 물, 혹은 액체 왁스 등의 세정 기능을 갖는 세정액(51)을 저류 가능한 부분이며, 케이스체(31)의 내부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탱크 실(43)에는 브러시 실(42)의 후부 상측에 위치하여, 복수의 노즐부(52)가 브러시 실(42)측에 돌출 설치되며, 이들 노즐부(52) 각각에는 밸브체(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31)의 탱크 실(43)의 상부에는 이 탱크 실(43) 내에 외부로부터 세정액(51)을 주입(보충)하기 위한 주입 개구부(54)와, 이 탱크 실(43) 내로 공기를 흡입해서 탱크 실(43)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흡입 구멍(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탱크 실(43)의 저부는 브러시 실(42)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세정액(51)을 노즐부(52)로 유도하기 위한 격벽부(56)가 되고 있다. 이 격벽부(56)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즉 노즐부(52)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서서히 경사져 있고, 세정액(51)을 각 노즐부(52)로 유도한다. 여기서,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데, 탱크 실(43)의 내부에 저류한 세정액(51)을 노즐부(52)에 형성한 개구부(59)로부터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7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노즐부(52)는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예를 들어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체(31)(바닥 브러시(23))의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대략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노즐부(52)의 내부에는 밸브체(53)를 지지하는 리브인 지지부(58)가 선단측 근방의 위치에 벽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부(58)의 중앙부에, 예를 들어 사각 형상(각공(角孔) 형상)의 개구부(5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노즐부(52) 내부의 지지부(58)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은 밸브체(53)가 끼워 맞추어진 끼워 맞춤부(60)로 되어 있다.
지지부(58)는 노즐부(52)의 중심축에 대하여 교차(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59)는 도 1,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브러시 실(42) 내에 위치하는 회전 브러시(34) 외주의 상부의 청소 부재(33)에 대향하고 있어, 탱크 실(43) 내와 브러시 실(42) 내를 연통하고, 탱크 실(43) 내에 저류된 세정액(51)을 브러시 실(42) 내의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밸브체(53)는 각 노즐부(52)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밸브체(53)는 개구부(59)를 개폐하는, 예를 들어 사각형 판상의 개폐부(61)를 일단부측에 갖고, 타단부측에는 탱크 실(43)측에 위치하는, 예를 들어 사각형 판상의 미끄럼 접촉부(62)를 갖고, 이들 개폐부(61)와 미끄럼 접촉부(62)가, 예를 들어 각기둥 형상 등의 긴 형상의 연결부(63)에 의해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밸브체(53)는 노즐부(52) 내부의 지지부(58)와의 사이에, 가압 수단이 되는 코일 스프링(65)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지지되고, 브러시 실(42)의 부압에 대응해서 개구부(59)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부(61)는 밸브체(53)(개폐부(61))에 의해 개구부(59)를 폐쇄한 상태에서 끼워 맞춤부(60)에 끼워 맞추는 부분이며, 개구부(59)의 내형보다도 크고, 또한 끼워 맞춤부(60)의 내형보다도 작은 외형을 가지며, 끼워 맞춤부(60)의 내측 테두리와의 사이에 간극(67)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개폐부(61)는 지지부(58)에 대하여 배면측, 즉 미끄럼 접촉부(62)측이 면 형상으로 압접됨으로써 개구부(59)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접촉부(62)는 외측 테두리부가 노즐부(52)의 내면과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노즐부(52)에 대하여 밸브체(53)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다. 또한, 이 미끄럼 접촉부(62)에는 절결 개구(69, 69)가, 외측 테두리부의 서로 대향하는 변부에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절결 개구(69, 69)에 의해 노즐부(52)의 내부를 통해서 탱크 실(43)과 개구부(59)가 연통하고 있다.
연결부(63)는 개구부(59) 내에 삽입 관통되어서 노즐부(52)의 중심축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연결부(63)는 개구부(59)의 내형보다도 작은 외형을 갖고, 이 개구부(59)의 내측 테두리와의 사이에 간극(71)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65)은 지지부(58)와 미끄럼 접촉부(62) 사이에 개재되고 있고, 개구부(59)를 액밀하게 폐쇄하는 방향으로 밸브체(53)를 노즐부(52)(지지부(58))에 대하여 가압하고 있다. 즉, 이 코일 스프링(65)에 의해, 개폐부(61)가 지지부(58)에 대하여 압접되어서 개구부(59)가 액밀하게 폐쇄되게 되고 있다.
또한, 이 코일 스프링(65)은 브러시 실(42)측과 탱크 실(43)측과의 압력차에 의해 수축하도록, 구체적으로는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브러시 실(42)측이 부압이 되었을 때에 수축해서 밸브체(53)에 의해 개구부(59)가 개방하도록 탄성 계수가 설정되어 있다.
탱크 실(43), 노즐부(52), 밸브체(53) 및, 개구부(59) 등에 의해,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동작해서 개구부(59)를 개방하고, 탱크 실(43)의 내부에 저류한 세정액(51)을 개구부(59)로부터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공급하는 세정액(51)을 공급하는 공급부(73)가 구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공급부(73)는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에 기초하는 브러시 실(42)측과 탱크 실(43)측과의 압력차에 의해 동작해서 개구부(59)를 개방하고, 탱크 실(43)의 내부에 저류한 세정액(51)을 개구부(59)로부터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공급하는 세정액(51)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체(31)의 상부에 형성한 주입 개구부(54)는 탱크 실(43)과 외기를 연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탱크 실(43)의 일측에서 덮개(7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흡입 구멍(55)은 탱크 실(43) 내와 외기를 연통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탱크 실(43)의 일측에서 케이스체(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 구멍(55)의 상부, 즉 흡입 구멍(55)에 대응하는 케이스체(31)의 상부에는 오목 형상의 단차부(77)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77)에는 흡입 구멍(55)의 개폐를 전환하는 개폐 커버(78)가 이동(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개폐 커버(78)는 단차부(77)에 의해 이동 범위가 규제된다.
또한, 이 개폐 커버(78)는 단차부(77)의 일단부측,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입 구멍(55)을 폐쇄하고, 단차부(77)의 타단부측에서는 후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입 구멍(55)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에 의해 개폐 커버(78)를 이동시킴으로써, 흡입 구멍(55)의 개폐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흡입 구멍(55) 및 개폐 커버(78)에 의해, 탱크 실(43)로부터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로의 세정액(51) 공급의 유무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79)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전환 수단(79)은 개폐 커버(78)를 이동시켜서 흡입 구멍(55)을 개방함으로써 탱크 실(43) 내와 외기를 연통시켜, 공급부(73)(밸브체(53))의 동작을 가능하게 해서 세정액(51)의 공급을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개폐 커버(78)를 이동시켜서 흡입 구멍(55)을 닫음으로써 탱크 실(43)을 밀폐하고, 공급부(73)(밸브체(53))의 동작을 불가능하게 하여 세정액(51)의 공급이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환 수단은 주입 개구부(54)와, 이 주입 개구부(54)를 개폐하는 덮개(75)에 의해서도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입 개구부(54)와 흡입 구멍(55)을 별개로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1개의 개구부에 의해 주입 개구부와 흡입 구멍의 각각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좋다.
모터 실(44) 및 제어부(45)는 브러시 실(42) 및 탱크 실(43)의 후방이면서, 또한 접속관(32)의 전단부측의 좌우 양측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접속관(32)은 연장관(22)의 선단측(상류측)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부분이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관(32)은 케이스체(31)의 후부로 돌출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이 케이스체(31)에 대하여, 축 주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34)는 긴 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브러시(34)는 양단이 브러시 실(42)의 양측 등에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부를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벨트, 혹은 기어 등이 도시하지 않은 전달 수단을 통해서 모터(35)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청소 부재(33)는 회전 브러시(34)에, 예를 들어 복수 회전 브러시(34)의 양단 사이에 걸쳐서 각각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청소 부재(33)는 바닥 브러시(23)를 바닥면 F에 적재한 상태로, 적어도 선단측이 바닥면 F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모터(35)는 사용자의 설정 버튼(29)의 조작에 의해 회전의 온과 오프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는 설정 버튼(29)에 의해 전동 송풍기(18)와 회전 브러시(34)의 각각의 회전 및 정지(별개로 또는 동시에)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34)는 전동 송풍기(18)가 구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6)는 사용자의 설정 버튼(29)의 설정 조작에 대응해서 회전 브러시(34)의 회전의 유무 및 회전 방향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청소 시에는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에 호스체(21)의 접속관부(26)를 접속하고, 이 호스체(21)의 손잡이 조작부(27)에 연장관(22)을 접속하며, 이 연장관(22)에 바닥 브러시(23)의 접속관(32)을 접속한다. 이 결과, 바닥 브러시(23)가 연장관(22), 호스체(21), 본체 흡입구(19) 및 집진부를 거쳐서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개폐 커버(78)를 이동시켜서 흡입 구멍(55)을 폐쇄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브러시 실(42)에 전동 송풍기(18)의 부압이 작용해서 브러시 실(42) 내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져도 탱크 실(43) 내가 대기압과 격리되어 있으므로, 탱크 실(43)로부터 세정액(51)을 이동할 수 없고, 공급부(73)(밸브체(53))가 동작하지 않고서 개구부(59)가 개방되는 경우는 없다.
즉, 전환 수단(79)에 의해, 공급부(73)(탱크 실(43))로부터 청소 부재(33)로의 세정액(51)의 공급은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사용자는 전원부로부터 급전 가능한 상태로 한 후, 파지부(28)를 파지하고, 원하는 설정 버튼(29)을 조작함으로써, 본체 제어부를 통해서 전동 송풍기(18)를 원하는 동작 모드로 기동시킨다. 이 전동 송풍기(18)의 구동에 의해 부압이 집진부, 본체 흡입구(19), 호스체(21), 연장관(22) 및 바닥 브러시(23)에 차례로 작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3)를 바닥면 F 상에 적재해서 주행륜(37, 37)에 의해 전후로 주행시킴으로써, 흡입구(41)로부터 진애를 공기와 함께 브러시 실(42) 내에 흡입한다.
흡입구(41)로부터 공기와 함께 흡입된 진애는 접속관(32), 연장관(22), 호스체(21), 본체 흡입구(19)를 거쳐서 집진부에 흡입되고, 집진부에 있어서 분리 포집된다. 또한, 진애가 포집된 공기는 전동 송풍기(18)에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18)를 냉각한 후, 배기되어서 배기풍이 되고, 청소기 본체(12)의 외부로 배기된다.
사용자는 청소하는 바닥면 F의 종류에 대응하여, 회전 브러시(34)를 사용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융단 등, 세정액(51)을 사용해서 물 닦기를 할 필요가 없는 바닥면 F를 청소할 때에는, 간단히 설정 버튼(29)을 조작해서 제어부(36)를 통해서 모터(35)을 구동시켜, 회전 브러시(34)를 회전시킨다.
이 결과,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가 바닥면 F와 접촉하여, 진애 등을 퍼낸다.
한편, 예를 들어 플로어링 등, 세정액(51)을 사용한 물 닦기가 요구되는 바닥면 F를 청소할 때는, 개폐 커버(78)를 이동시켜서 흡입 구멍(55)을 개방한다. 이때, 브러시 실(42) 내에 전동 송풍기(18)의 부압이 작용함으로써 브러시 실(42) 내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밸브체(53)가 코일 스프링(65)의 가압에 저항해서 브러시 실(42)측으로 이동하여, 개구부(59)가 개방한다.
즉, 전환 수단(79)에 의해, 공급부(73)(탱크 실(43))로부터 세정액(51)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절결 개구(69) 및 개구부(59)의 간극(71)을 거쳐서, 세정액(51)이 브러시 실(42) 내의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 버튼(29)을 조작하여 제어부(36)를 통해서 모터(35)를 구동시켜, 회전 브러시(34)를 회전시키면, 세정액(51)이 공급된 청소 부재(33)가 바닥면 F에 접촉하고, 이 바닥면 F를 세정액(51)에 의해 물로 닦게 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설정 버튼(29)을 조작하여, 본체 제어부를 통해서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킨다. 이때, 예를 들어 개폐 커버(78)가 흡입 구멍(55)을 개방한 상태이며, 전환 수단(79)에 의해 세정액(51)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전동 송풍기(18)의 정지에 의해 부압이 브러시 실(42) 내에 작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65)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53)의 개폐부(61)가 끼워 맞춤부(60)에 끼워 맞춰져서 지지부(58)에 압접되어 개구부(59)를 폐쇄하고, 세정액(51)이 브러시 실(42)의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공급되는 경우는 없다.
청소의 개시와 동시에 회전 브러시(34)를 회전시켜서 바닥면 F를 물로 닦고 싶을 경우에는, 부압이 브러시 실(42)에 작용하지 않고 있는 청소의 개시 전부터 개폐 커버(78)를 조작해서 미리 흡입 구멍(55)을 개방해 두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탱크 실(43)에 주입 개구부(54) 또는 흡입 구멍(55)을 형성하고, 이 주입 개구부(54) 또는 흡입 구멍(55)을 덮개(75) 또는 개폐 커버(78)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정액(51)을 사용한 바닥면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정액(51)으로서 물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물 닦기 외에 보호 광내기 등의 보조 청소 기능을 부여하는 액체 왁스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청소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격벽부(56)에 브러시 실(42) 내와 탱크 실(43) 내를 연통하는 연통 개구(81)가 형성되고, 이 연통 개구(81)를 폐색하도록 열전소자(82)(펠티에 소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펠티에 소자(82)는, 한쪽의 주면인 방열면(82a)측을 브러시 실(42)측으로 하고, 다른 쪽의 주면인 흡열면(82b)측을 탱크 실(43)측으로 하여 격벽부(56)에 지지되고, 예를 들어 제어부(36)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게 되어 있다.
즉, 이 펠티에 소자(82)는 방열면(82a)측이 브러시 실(42)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 형성하고, 흡열면(82b)측이 탱크 실(43) 하측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펠티에 소자(82)는 흡열면(82b)측(탱크 실(43)측)의 열을 방열면(82a)측(브러시 실(42)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열면(82b)측인 탱크 실(43) 내의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결로시켜, 세정액(51)으로서 탱크 실(43)에 저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펠티에 소자(82)의 방열면(82a)측 및 흡열면(82b)측은 적당한 전열 부재와 열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절연 시트 등의 절연 부재에 의해 덮어져 있어도 좋다. 또한, 이 펠티에 소자(82)는 방습을 위해서 시일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펠티에 소자(82)는,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동작의 개시(종료)와 동일한 타이밍에 동작을 개시(종료)시키면 좋다.
또한, 보다 많은 세정액(51)(수분)을 탱크 실(43) 내에 저류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기 청소기(11)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했을 때(전동 송풍기(18) 등에 급전 가능한 상태로 되었을 때), 혹은, 전원부로서 전원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 코드를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했을 때(플러그인 시) 등으로부터 동작을 개시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탱크 실(43) 내의 공기의 냉각에 의해 탱크 실(43)에 저류되는 세정액(51)인 수분을 생성하는 펠티에 소자(82)를 사용함으로써, 탱크 실(43)에 세정액(51)인 수분을 보급하는 등의 유지 보수를 생략할 수 있고, 즉 메인터넌스 프리임에도 불구하고, 세정액(51)을 사용한 청소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펠티에 소자(82)의 방열면(82a)측은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에 의해 진애를 포함한 공기가 흐르는 브러시 실(42)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중에는 이 브러시 실(42)을 통과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에 의해 상시 냉각되게 되고, 흡열면(82b)측의 냉각 효율이 향상하여, 세정액(51)이 되는 수분을 더 효과적으로 탱크 실(43) 내에 결로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적어도 1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브러시 실(42) 내에 배치한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대향하도록 형성한 탱크 실(43)의 개구부(59)를 브러시 실(42) 내의 부압에 대응해서 밸브체(53)에 의해 개폐하도록 한 것으로, 탱크 실(43)의 내부에 저류한 세정액(51)을 청소 부재(33)에 공급 가능한 공급부(73)를 바닥 브러시(23)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세정액(51)을 사용해서 회전 브러시(34)의 청소 부재(33)에 의해 바닥면 F를 물 닦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어도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동작시켜서 브러시 실(42)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지 않는 한, 탱크 실(43)에 저류된 세정액(51)이 개구부(59)로부터 청소 부재(33)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탱크 실을 케이스체에 착탈하거나 할 필요가 없고, 전기 청소기(11)(전동 송풍기(18))를 기동시켜서 청소를 개시하는 만큼만의 타이밍으로 자동으로 세정액(51)이 청소 부재(33)에 공급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공급부(73)에 의한 탱크 실(43) 내로부터 청소 부재(33)로의 세정액(51) 공급의 유무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79)을 바닥 브러시(23)에 구비함으로써, 전환 수단(79)의 전환에 의해, 회전 브러시(34) 및 세정액(51)을 사용해서 바닥면 F를 물로 닦을 경우와, 회전 브러시(34)를 사용하면서 세정액(51)을 사용한 물 닦기를 하지 않을 경우 각각에 대응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게다가, 전환 수단(79)을 케이스체(31)에 설치한 주입 개구부(54) 또는 흡입 구멍(55)을 덮개(75) 또는 개폐 커버(78)에 의해 개폐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저렴하면서 또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환 수단(79)은 흡입 구멍(55)(주입 개구부(54))과 개폐 커버(78)(덮개(75))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바닥 브러시(23)를 사용함으로써, 세정액(51)을 사용한 바닥면 F의 물 닦기가 가능하면서, 또한 사용 편의성이 양호한 전기 청소기(1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체(53)는, 예를 들어 플랩 형상으로 형성하고, 가압 수단으로서 토션 스프링 등을 사용해서 개구부(59)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구성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전환 수단(79)은, 예를 들어 제어부(36) 등에 의해 회전 브러시(34)의 회전 유무에 대응해서 자동으로 이동, 즉 회전 브러시(34)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흡입 구멍(55)을 개방하고, 회전 브러시(34)를 회전시키지 않을 경우에 흡입 구멍(55)을 폐쇄하도록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동 송풍기(18)를 구동시키면서, 또한 회전 브러시(34)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등에 세정액(51)이 불필요하게 회전 브러시(34)에 공급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탱크 실(43)로부터 청소 부재(33)로의 세정액(51) 공급의 유무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79)으로는 흡입 구멍(55)과 개폐 커버(78)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어 밸브체(53)의 동작을 기계적으로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 등을 전환 수단(79)으로 사용해도 좋다.
전기 청소기(11)는 캐니스터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길이 형상의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23)를 접속한 업라이트형인 것 등으로도 대응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1: 전기 청소기
12: 청소기 본체
18: 전동 송풍기
23: 흡입구체(바닥 브러시)
31: 케이스체
31a: 하면
33: 청소 부재
34: 회전 청소체(회전 브러시)
35: 구동 수단(모터)
42: 회전 청소체실(브러시 실)
43: 저류부(탱크 실)
51: 세정액
53: 밸브체
59: 개구부
73: 공급부
79: 전환 수단
82: 열전소자(펠티에 소자)

Claims (4)

  1.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로서,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하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회전 청소체실과,
    피청소면과 접촉 가능한 청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청소체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청소체와,
    이 회전 청소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세정액을 내부에 저류 가능한 저류부, 이 저류부에 연통해 상기 회전 청소체의 상기 청소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회전 청소체실 내의 부압에 대응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저류부의 내부에 저류한 세정액을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청소 부재에 공급하는 공급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저류부 내의 공기의 냉각에 의해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는 세정액인 수분을 생성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 의한 상기 저류부로부터 상기 청소 부재로의 세정액 공급의 유무를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
  4.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흡입구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30031277A 2012-03-26 2013-03-25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KR10142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0462 2012-03-26
JP2012070462A JP2013198699A (ja) 2012-03-26 2012-03-26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53A KR20130109053A (ko) 2013-10-07
KR101420971B1 true KR101420971B1 (ko) 2014-07-17

Family

ID=4935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277A KR101420971B1 (ko) 2012-03-26 2013-03-25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98699A (ko)
KR (1) KR101420971B1 (ko)
CN (1) CN103356133B (ko)
TW (1) TWI5583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05B1 (ko) * 2015-06-22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KR102033935B1 (ko) * 2018-02-20 2019-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20190125912A (ko) *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N110961420A (zh) * 2019-10-22 2020-04-07 江苏海企化工仓储股份有限公司 一种储存罐清扫器及清扫方法
KR20210121470A (ko) * 2020-03-30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물걸레 모듈
CN111714043B (zh) * 2020-07-03 2021-06-25 白洪副 一种新型自动拖地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480A (ja) 2001-06-25 2003-01-07 Sanyo Electric Co Ltd 集塵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4223372A (ja) 2003-01-21 2004-08-12 Sankyo Reijakku Kk ノズル及びノズル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5261591A (ja) 2004-03-17 2005-09-29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70001046U (ko) * 2007-09-05 2007-09-28 장진욱 회전브러시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2409B2 (en) * 2001-09-18 2004-12-21 The Hoover Company Wet/dry floor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US7392566B2 (en) * 2003-10-30 2008-07-01 Gordon Evan A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a surface
DE10357637A1 (de) * 2003-12-10 2005-07-0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elbstfahrendes oder zu verfahrendes Kehrgerät sowie Kombination eines Kehrgeräts mit einer Basisstation
DE102007050533A1 (de) * 2007-10-19 2009-04-23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Geschirrspülmaschine mit verbesserter Wärmerückgewinnung
DE102007061607A1 (de) * 2007-12-18 2009-06-25 Carl Freudenberg Kg Reinigungsgerät
JP4968047B2 (ja) * 2007-12-25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480A (ja) 2001-06-25 2003-01-07 Sanyo Electric Co Ltd 集塵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4223372A (ja) 2003-01-21 2004-08-12 Sankyo Reijakku Kk ノズル及びノズル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5261591A (ja) 2004-03-17 2005-09-29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70001046U (ko) * 2007-09-05 2007-09-28 장진욱 회전브러시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6133B (zh) 2016-08-24
CN103356133A (zh) 2013-10-23
KR20130109053A (ko) 2013-10-07
TWI558364B (zh) 2016-11-21
JP2013198699A (ja) 2013-10-03
TW201340928A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971B1 (ko)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6974639B2 (ja) 表面掃除機及びトレー
EP3162262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4046347B2 (ja) 携帯・可搬型真空掃除機
WO2021253509A1 (zh) 表面清洁设备
US9265393B2 (en) Vacuum cleaner
JP3223737U (ja) 吸引洗浄機
KR20120015477A (ko) 로봇청소기
US20240041280A1 (en) Spot cleaner apparatus
KR200410157Y1 (ko) 스팀겸용 물흡입 청소기의 흡입유닛
KR102251953B1 (ko) 물걸레 청소 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0761667B1 (ko) 무배기 로봇 청소기
JP2021104341A (ja) 表面掃除機及びトレー
JP2012228360A (ja) 縦型電気掃除機
US20240108188A1 (en) Battery-power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30063470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40130591A1 (en) Cleaner
JP2017023293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TW202320692A (zh) 清掃機
TW202304368A (zh) 清掃機
KR20230087858A (ko) 청소기
KR20230017094A (ko) 청소기
JP2000325275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240001990A (ko) 청소기
KR20230017095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