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858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858A
KR20230087858A KR1020210176462A KR20210176462A KR20230087858A KR 20230087858 A KR20230087858 A KR 20230087858A KR 1020210176462 A KR1020210176462 A KR 1020210176462A KR 20210176462 A KR20210176462 A KR 20210176462A KR 20230087858 A KR20230087858 A KR 20230087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leaning module
disposed
cleaner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우
류정완
김성준
양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858A/ko
Publication of KR2023008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걸레가 청소모듈 하우징의 하단에 복수개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배치된 걸레축을 따라 걸레들의 회전중심들이 배치되고,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걸레에 동력을 공급하고 걸레축과 어긋나게 배치된 걸레모터축을 따라 배치된 샤프트를 구비한 걸레모터를 포함하여, 좌측과 우측 동력전달수단에 동일한 종류의 웜기어와 웜휠기어를 적용하더라도, 좌측 걸레와 우측 걸레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설계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비용이 감소함과 동시에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물걸레 중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기를 구비한 물걸레가 있다. 스팀기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탱크를 포함하고, 탱크에 저장된 물을 기화하여 증기를 생성한다. 상기 스팀 물걸레는 발생된 스팀을 걸레에 공급하여, 스팀으로 걸레를 소독하고, 바닥에 존재하는 세균 등을 고온의 스팀으로 살균한다.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2320365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에 따른 청소기의 노즐은,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흡입 유로를 구비하는 노즐 하우징, 노즐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구동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 장치, 노즐 하우징의 하측에서 구동 장치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판, 회전판의 하측에 부착되는 걸레를 포함하는 회전 청소부, 걸레로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하며 노즐 하우징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노즐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벽이 노즐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고 바닥벽의 일부는 구동 장치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물 탱크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를 회전시켜 바닥을 닦을 수 있고, 걸레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청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선행문헌은 2개의 걸레를 구비하고, 2개의 걸레를 구동하기 위하여 2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하지만, 구동장치는 상당한 자중을 가지므로, 2개의 구동장치를 구비한 청소기의 노즐은 무겁기 때문에 휴대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모터 중에는 양축모터(Bi-axial motor)가 있다. 양축모터는 하나의 모터에 샤프트가 양쪽으로 돌출되어, 양쪽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에 양축모터를 적용하여 청소기의 노즐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따르면 좌측걸레와 우측걸레의 회전방향은 반대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좌측 웜기어와 우측 웜기어의 나사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좌측 웜기어와 우측 웜기어를 별개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좌측 웜기어와 우측 웜기어의 나사선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양축모터 내부에서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양축모터의 내부에서 좌측 샤프트와 우측 샤프트 사이에 별도의 방향전환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좌측 웜기어와 우측 웜기어의 나사선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웜휠기어에서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좌측 웜휠기어와 우측 웜휠기어를 별개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에 따른 물통은 우측면에 급수구가 형성된다. 하지만, 물통이 노즐에 장착된 경우 급수구는 노즐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물통에 추가로 물을 공급할 때에는 매번 물통을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232036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선행문헌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즉, 청소모듈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양축모터를 적용하여 청소모듈에 배치된 복수개의 걸레를 구동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터에서 걸레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와 우측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의 형상을 동일하게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통이 청소모듈에 장착된 때에 급수구를 외부에 노출시켜, 동작 중에 추가 급수를 용이하게 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파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고 청소영역을 닦는 걸레를 구비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한다. 청소모듈은,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걸레가 청소모듈 하우징의 하단에 복수개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배치된 걸레축을 따라 걸레들의 회전중심들이 배치되고,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걸레에 동력을 공급하고 걸레축과 어긋나게 배치된 걸레모터축을 따라 배치된 샤프트를 구비한 걸레모터를 포함한다.
걸레모터의 샤프트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고, 우측으로 돌출되어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청소모듈은, 샤프트에 결합되는 웜기어, 웜기어에 연결되고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웜휠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웜기어는 걸레모터의 좌측방에 배치된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웜기어와 걸레모터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웜기어를 포함하고, 좌측 웜기어와 우측 웜기어는 나사선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웜휠기어는 걸레모터의 좌측방에 배치된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웜휠기어와 걸레모터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웜휠기어를 포함하고, 좌측 웜휠기어와 우측 웜휠기어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청소모듈은, 걸레축을 따라 배치되고, 웜휠기어에 연결되고, 회전중심이 걸레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은, 청소모듈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를 저장하고, 상부면에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구가 형성된 물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 하우징의 중앙에서 청소모듈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청소모듈 하우징을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획하는 청소기의 중심축이 정의될 때, 청소모듈은,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되고, 물통에 저장된 유체를 유동시키는 분사펌프,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되고 제어부가 배치되는 PCB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청소모듈은,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물통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걸레의 전방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모듈은,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모듈 하우징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 하우징의 중앙에서 청소모듈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청소모듈 하우징을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획하는 청소기의 중심축이 정의될 때, 청소모듈은,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파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고 청소영역을 닦는 걸레를 구비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한다. 청소모듈은,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청소모듈 하우징의 좌측 하단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좌측 걸레, 청소모듈 하우징의 우측 하단에 배치되고 좌측 걸레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우측 걸레,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구비한 걸레모터, 좌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좌측 웜기어, 좌측 웜기어에 연결되고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웜휠기어, 우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에 결합되는 우측 웜기어, 우측 웜기어에 연결되고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웜힐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걸레모터축이 정의될 때, 좌측 웜휠기어는 걸레모터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우측 웜휠기어는 상기 걸레모터축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모듈은, 걸레모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를 저장하고,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구가 형성된 물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청소모듈은, 청소모듈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고 물통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걸레의 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물통과 노즐 사이에 배치되고 물통에 저장된 유체를 노즐로 압송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걸레모터의 샤프트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우측으로 돌출되어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바, 하나의 모터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선행기술 대비 청소모듈의 무게가 감소하여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걸레모터의 샤프트는 걸레축과 어긋나게 배치된 걸레모터축을 따라 배치되는 바, 한 종류의 웜기어와 한 종류의 웜휠기어를 생산하더라도 좌측 걸레와 우측 걸레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설계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비용이 감소함과 동시에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셋째, 물통은 청소모듈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면에 급수구가 형성되는 바, 물통이 청소모듈에 장착된 때에 급수가 외부에 노출되어, 용이하게 물통에 추가 급수가 가능하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선행문헌에 양축모터를 단순히 조합할 경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의 분해도,
도 6은 도 4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B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듈을 상부에서 바라본 내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청소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청소기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는 본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청소기를 작동시키거나 휴대하는 구성요소이다.
본체는 파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본체는 내부에 흡입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모듈(100)은 흡입구를 구비하여, 청소영역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본체는 연장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는 연장관을 통해 청소모듈(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은 본체의 흡입모터와 연통되고, 청소모듈의 흡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본체에는 청소모듈(100)과 연장관(200)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주요 구성요소들을 수납한다. 본체에는 먼지통, 먼지분리부, 흡입모터, 필터, 핸들, 조작부 및 메인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먼지통(미도시)은 먼지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먼지통은 먼지 분리부와 연통되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분리부(미도시)는 연장관(200)과 연통된다. 먼지 분리부는 연장관(200)을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먼지분리부는 먼지통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에 집진되고, 공기는 먼지분리부 외부로 배출된다.
먼지 분리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흡입모터(미도시)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흡입모터는 본체 내에 수용된다. 흡입모터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필터(미도시)는 유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는 프리필터 또는 헤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필터들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되는 필터로,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리적으로 큰 먼지들을 일차로 여과한다. 프리필터는 메시의 간격보다 큰 먼지들을 물리적으로 여과하며, 다른 필터들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헤파필터는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HEPA)의 약자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헤파필터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여과한다. 헤파필터는 프리필터의 하류에 배치된다.
손잡이(미도시)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손잡이는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손잡이는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미도시)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조작부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작동버튼 및 정지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에는 배터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며, 흡입모터를 포함한 청소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배터리는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는 청소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소모듈(100)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청소기는 청소모듈(100)을 포함한다. 청소모듈(10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걸레로 문질러 청소영역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모듈(100)은 본체에 연결되고, 청소영역을 닦는 걸레(161)를 구비한다.
청소모듈(100)은 본체에 연결된다. 청소모듈(100)은 본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장관을 통하여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축을 정의한다.
청소기의 중심축(A1)은 청소기를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하는 축이다. 청소기의 중심축(A1)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중앙에서 청소모듈(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청소모듈 하우징(110)을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획한다. 청소기의 중심축(A1)은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청소기의 중심축(A1)은 연장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걸레축(A2)은 복수개의 걸레(161)들의 각 회전중심을 연결한 선이고, 걸레(161)들의 회전중심들은 걸레축(A2)을 따라 배치된다. 걸레축(A2)은 일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걸레축(A2)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걸레축(A2)은 청소기의 중심축(A1)과 직교한다.
걸레모터축(A3)은 걸레모터의 샤프트(16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이고, 샤프트(163)는 걸레모터축(A3)을 따라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청소모듈(100)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청소모듈(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연결된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연장관의 전단과 연결되고, 연장관의 후단은 본체에 연결되어,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연장관을 통해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후단에는 연장관 연결부(180)가 배치된다. 연장관 연결부(110)가 연장관 또는 본체에 체결됨으로써,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연장관 또는 본체에 연결된다.
전술한 '연결'의 의미는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공기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청소모듈 하우징(110)을 통하여 본체로 유동할 수 있다. 또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에 배치된 배터리로부터 청소모듈 하우징(110)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물통(120)이 장착된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노즐(144)이 배치되어, 전방으로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면 하부에는 발광모듈(150)이 배치되어, 청소모듈(100)의 전방 바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걸레(161)가 배치된다. 걸레(161)는 청소영역을 문질러 습식청소할 수 있다.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흡입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를 빨아들여 건식청소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모듈 하우징(110)은 하부하우징(111) 및 상부하우징(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1)은 청소모듈(100)의 하부면 및 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하부하우징(111)에는 발광부재(151)가 설치된다. 발광부재(151)는 하부하우징(111)의 전면에 배치되고, 청소모듈의 전방의 청소영역을 비춘다.
하부하우징(111)의 바닥면에는 걸레(161)가 배치된다. 하부하우징(111)의 바닥면의 일 측은 걸레(161)가 배치되도록 상부로 함몰된 홈이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11)의 바닥면에는 흡입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걸레(16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111)의 상부면에는 청소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12)은 청소모듈(100)의 상부면 및 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부하우징(112)은 하부하우징(111)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물통(120)이 설치된다.
상부하우징(112)에는 해제버튼(1123)이 배치된다. 해제버튼(1123)은 물통(120)을 상부하우징(112)에 고정한다. 해제버튼(1123)이 작동하는 경우 물통(120)이 상부하우징(112)으로부터 탈착된다.
해제버튼(1123)은 물통(120)의 연장관 배치부(127)에 배치될 수 있다.
걸레 어셈블리(160)는 걸레(161)로 바닥면을 닦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레 어셈블리(160)는 물통(120)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고, 마찰에 의하여 바닥면을 습식 청소한다.
걸레 어셈블리(160)는 걸레(161) 및 걸레모터(162)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청소모듈(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레(161)를 포함한다. 걸레(161)는 수분을 포함하며, 바닥을 문질러 청소영역을 닦는 구성요소이다.
걸레(161)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하단에 복수개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걸레(161)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걸레(161)는 하부하우징(111)의 하부면에 배치된다.
걸레(161)는 청소모듈(160)의 좌측과 우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레(161)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걸레(161a)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의 좌측 하단에 배치되고, 우측걸레(161b)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다.
걸레(161)는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닥을 문질러 청소한다.
걸레(161)의 회전중심은 일 방향으로 배치된 걸레축(A2)을 따라 배치된다.
좌측 걸레(161a)와 우측 걸레(161b)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청소기의 조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4를 예로 들면, 좌측 걸레(161a)는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고, 우측 걸레(161b)는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걸레(161)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청소영역을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청소모듈(100)은 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바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청소기를 전진시킬 수 있다.
청소모듈(100)은 걸레판(167)을 포함한다. 걸레판(167)은 걸레(161)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레판(167)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걸레판(167)의 상부면은 평기어(16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하부면은 걸레(161)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걸레판(167)은 평기어(16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걸레판(167)이 회전하면 걸레(161)가 동시에 회전한다.
걸레판(167)은 걸레(161)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걸레판(167)은 걸레(161)의 형상과 유사하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레판(167)은 청소기의 중심축(A1)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걸레판(167a)과 청소기의 중심축(A1)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걸레판(167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청소모듈(100)은 걸레모터(162)를 포함한다. 걸레모터(162)는 걸레(161)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레모터(162)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되고, 걸레축(A2)과 어긋나게 배치된 걸레모터축(A3)을 따라 배치된 샤프트(163)를 구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걸레축(A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걸레모터축(A3)은 좌측전방에서 우측후방으로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레모터(162)는 양축모터(Bi-axial motor)일 수 있다. 단축모터가 모터의 일 측으로 샤프트(163)가 돌출되는 것과 달리, 양축모터는 모터의 양 측으로 샤프트(163)가 돌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샤프트(163)는 모터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구성요소들을 최적화된 위치에 배치하여, 청소모듈(1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걸레(161)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중앙에 배치되어야 하며, 도 1 또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평기어(166)의 위치는 제한된다. 만약 걸레모터(162)가 좌측 평기어(166a)와 우측 평기어(166b) 사이에 배치되고 걸레모터축(A3)과 걸레축(A2)이 동축상에 배치된다면, 청소모듈(100)의 좌우 너비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걸레모터(162)가 평기어(166)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청소모듈(100)의 좌우 너비가 짧아지는 장점이 있으나, 청소모듈(100)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어 걸레(161)가 청소영역에 균일하지 밀착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청소기의 조작이 보다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모터(162)가 좌측 평기어(166a)와 우측 평기어(166b) 사이에 배치되어도 청소모듈(100)의 좌우 너비가 길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중심이 청소모듈(100)의 전방에 쏠리지 않으므로, 걸레(161)가 청소영역에 균일하게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걸레모터(162)의 샤프트(163)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좌측 걸레(161a)에 동력을 전달하고, 우측으로 돌출되어 우측 걸레(161b)에 동력을 전달한다.
샤프트(163)는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샤프트(163)는 걸레모터(162)를 우측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샤프트(163)는 걸레모터(162)를 좌측에서 바라돌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63)는 좌측 샤프트(163)와 우측 샤프트(163)로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좌측 샤프트(163)와 우측 샤프트(163)가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좌측 샤프트(163)와 우측 샤프트(163)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청소모듈(100)은 웜기어(164), 웜휠기어(165) 및 평기어(166)를 포함한다.
웜기어(164)는 샤프트(163)에 결합된다.
웜기어(164)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웜기어(164)는 샤프트(163)에 결합되어, 샤프트(163)와 동시에 회전된다.
또는, 웜기어(164)는 샤프트(163)의 외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샤프트(16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웜휠기어(165)는 웜기어(164)에 연결되고, 걸레(161)에 동력을 전달한다.
웜휠기어(165)는 웜기어(164)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웜휠기어(165)는 웜기어(164)에 치함된다.
웜휠기어(165)는 측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으로 변경시켜, 동력을 걸레(161)에 용이하게 전달하게 한다. 또한, 웜기어(164)의 높은 회전속도를 낮은 회전속도로 변경시켜, 걸레(161)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웜기어(164)는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5b))로 구분된다.
좌측 웜기어(164a)는 걸레모터(162)의 좌측방에 배치된 좌측 걸레(161a)에 동력을 전달한다. 우측 웜기어(164b)는 걸레모터(162)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걸레(161b)에 동력을 전달한다.
좌측 웜기어(164a)는 좌측으로 돌출된 샤프트(163)에 결합된다. 우측 웜기어(164b)는 우측으로 돌출된 샤프트(163)에 결합된다.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4b)는 나사선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4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통합된 하나의 웜기어(164)를 제작하여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4b)에 필요에 따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종래의 청소모듈(100)은 좌측 걸레(161a)와 우측 걸레(161b)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기 위하여,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4b)의 나사선을 반대로 설계하여,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4b)를 별개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웜휠기어(165)는 좌측 웜휠기어(165a)와 우측 웜휠기어(165b)로 구분된다.
좌측 웜휠기어(165a)는 걸레모터(162)의 좌측방에 배치된 좌측 걸레(161a)에 동력을 전달한다. 우측 웜휠기어(165b)는 걸레모터(162)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걸레(161)에 동력을 전달한다.
좌측 웜휠기어(165a)는 좌측 웜기어(164a)에 연결된다. 우측 웜휠기어(165b)는 우측 웜기어(164b)에 연결된다.
좌측 웜휠기어(165a)와 우측 웜휠기어(165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통합된 하나의 웜휠기어(165)를 제작하여 좌측 웜휠기어(165a)와 우측 웜휠기어(165b)에 필요에 따라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종래의 청소모듈(100)은 좌측 평기어(166a)와 우측 평기어(166b)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하기 위하여, 좌측 웜휠기어(165a) 또는 우측 웜휠기어(165b) 중 어느 하나에 회전 방향을 바꾸는 구성을 추가하여, 좌측 웜휠기어(165a)와 우측 웜휠기어(165b)를 별개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좌측 웜휠기어(165a)는 걸레모터축(A3)의 일 측에 배치되고, 우측 웜휠기어(165b)는 걸레모터축(A3)의 타 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좌측 웜휠기어(165a)는 걸레모터축(A3)의 후방에 배치되고, 우측 웜휠기어(165b)는 걸레모터축(A3)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좌측 웜기어(164a)와 우측 웜기어(164b)를 동일한 부품으로 제조하고, 좌측 웜휠기어(165a)와 우측 웜휠기어(165b)를 동일한 부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좌측 웜휠기어(165a)와 우측 웜휠기어(165b)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좌측 부품과 우측 부품이 동일한 경우에도, 부품의 배치만을 변경함으로써 걸레(161)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평기어(166)는 걸레축(A2)을 따라 배치되고, 웜휠기어(165)에 연결되고, 회전중심이 걸레(161)의 회전중심에 연결된다. 평기어(166)는 동력을 웜휠기어(165)로부터 전달받아, 동력을 걸레판(167)에 전달한다.
평기어(166)의 회전중심은 걸레(161)의 회전중심과 동심 상에 배치된다.
평기어(166)는 걸레판(167)과 결합되어, 걸레판(167)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평기어(166)의 회전중심은 걸레축(A2) 상에 배치된다.
좌측 평기어(166a)와 우측 평기어(166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평기어(166)를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좌측 평기어(166a) 또는 우측 평기어(166b)에 배치한다.
물통(120)은 노즐(144)에 유체를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물통(120)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를 저장하고,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구(121)가 형성된다.
유체는 담수일 수 있다. 또는, 유체는 액상 세제일 수 있다.
물통(120)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물통(120)은 상부하우징(112)에 장착된다. 상부하우징(112)은 물통(120)이 안착되기 위하여 상부면에서 하부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고, 물통(120)은 상기 상부하우징(112)의 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물통(120)은 걸레모터(162)의 상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물통(120)은 걸레모터(162)의 상부에서 걸레모터(16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통(120)은 걸레모터와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걸레모터(162)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물통(120) 내부에는 유체가 저장되는 바, 걸레모터(162)의 진동이 물통(120)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걸레모터(162)의 진동이 유체에 흡수되어 청소모듈(100)이 진동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물통(120)은 급수구(121)를 포함한다. 급수구(121)는 물통(12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구멍이다. 급수구(121)는 물통(12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물통(120)이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 급수구(121)는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청소 중에 물통(120)이 분리되지 않고 급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통(120)은 급수구 캡(122)을 포함한다. 급수구 캡(122)은 급수구(121)를 커버하여, 유체의 누수를 차단한다.
급수구 캡(122)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구 캡(122)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구 캡(122)은 급수 동안 물통(120)으로부터 분리되고, 급수가 종료되면 물통(120)에 다시 결합된다.
물통(120)은 배수구(123)를 포함한다. 배수구(123)는 물통(12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구멍이다. 배수구(123)에서 배출된 물은 노즐(144)로 유동한다.
배수구(123)는 물통(120)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수구(123)는 물통(120)의 좌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분사펌프(141)는 물통(120)에 저장된 유체를 유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분사펌프(141)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분사펌프(141)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펌프(141)는 물통(120)과 노즐(144) 사이에 배치되고, 물통(120)에 저장된 유체를 노즐(144)로 압송한다.
탱크호스(142)는 일 단이 물통(120)의 배수구(123)에 연결되고, 타 단이 분사펌프(141)의 입구단에 연결된다.
분사펌프(141)는 물통(120)의 배수구(123)에 연결되고, 부압에 의해 물통(120)에 저장된 유체를 유동시킨다. 분사펌프(141)의 하류에 노즐(144)이 연결되고, 유체는 노즐(144)로 압송되고 외부로 분사된다.
노즐호스(143)는 일 단이 분사펌프(141)의 출구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노즐(144)에 연결된다.
청소모듈(100)은 노즐(144)을 포함한다. 노즐(144)은 유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노즐(144)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A1) 상에 배치되고, 물통(120)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걸레(161)의 전방으로 유체를 분사한다.
노즐(144)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된다. 노즐(144)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유체를 분사하고, 청소모듈(100)이 전진하면 걸레(161)가 상기 유체를 흡수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노즐(144)은 청소기의 중심축(A1) 상에 배치되고, 좌측 걸레(161a)와 우측 걸레(161b) 사이로 유체를 분사한다. 이에 따라, 청소모듈(100)이 전진하면, 좌측 걸레(161a)와 우측 걸레(161b)에 유체가 균등하게 흡수된다.
노즐(144)은 좌측 발광부재(151)와 우측 발광부재(15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발광부재(151)에 의해 분사된 유체의 존재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유체가 좌측 걸레(161a)와 우측 걸레(161b)에 보다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발광부재(151)의 전방에는 광을 투과하는 확산판이 배치되고, 노즐(144)은 확산판에 형성될 수 있다.
PCB(190)는 청소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되고, 전류가 유동할 수 있고, 통신선이 배치될 수 있는 기판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PCB(190)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된다.
PCB(190)는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분사펌프(141)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되고, PCB(190)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무게중심이 청소기의 중심축(A1) 상에 배치됨으로써, 청소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CB(190)는 분사펌프(141)로부터 상당 거리 이격되기 때문에, 분사펌프(141)에서 발산된 열에 의해 PCB(190)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발광부재(151)은 청소모듈(100)의 전방을 밝혀, 청소모듈(100)의 전방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확인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모듈(150)은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되고,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한다.
발광부재(151)는 LED(light emitting diode) 일 수 있고, 이와 달리 광을 조사하는 다른 물체일 수 있다.
발광부재(151)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청소모듈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청소모듈(100)의 전방의 먼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분사된 유체의 존재를 확인하여, 걸레(161)에 용이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발광부재(151)는 청소기의 중심축(A1)을 기준으로 노즐(14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분사된 유체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유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처져 분사되는 경우, 노즐(144)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도센서(153)는 조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조도센서(153)는 외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광부재(151)의 조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도센서(153)는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배치되되 청소기의 중심축(A1) 상에 배치된다.
조도센서(153)는 노즐(144)의 상부에 배치된다.
조도센서(153)는 청소기의 주위환경의 조도를 측정한다. 이때, 노즐(144)에서 분사된 유체 안개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하여, 조도센서(153)는 노즐(144)의 상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걸레모터(162)의 샤프트(163)에는 웜기어(164)가 결합되어, 걸레모터(162)의 동력이 웜기어(164)로 전달된다. 웜기어(164)는 웜휠기어(165)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웜기어(164)의 동력이 웜휠기어(165)로 전달된다. 웜휠기어(165)는 평기어(166)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웜휠기어(165)의 동력이 평기어(166)로 전달된다. 평기어(166)는 걸레판(167)에 결합되고, 걸레(161)는 걸레판(167)에 부착되는 바, 평기어(166)와 걸레판(167)과 걸레(161)는 일체로 회전한다.
걸레모터(162)의 걸레모터축(A3)은 걸레축(A2)과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한 종류의 웜기어(164)와 한 종류의 웜휠기어(165)만을 생산하여 좌측 또는 우측에 조립하는 경우에도, 좌측 걸레(161a)의 회전방향과 우측 걸레(161b)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설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모듈(100)의 좌우 길이가 종래기술 대비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급수구(121)는 물통(12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물통(120)이 청소모듈 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에도 급수구(121)는 위부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청소 중에 급수구(121)를 통해 물통(120)에 유체가 공급될 수 있고, 급수를 위해 물통(120)을 분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청소모듈
110: 청소모듈 하우징 111: 하부하우징
112: 상부하우징 1123: 해제버튼
120: 물통 121: 급수구
122: 급수구 캡 123: 배수구
141: 분사펌프 142: 탱크호스
143: 노즐호스 144: 노즐
151: 발광부재 152: 조도센서
160: 걸레 어셈블리 161: 걸레
162: 걸레모터 163: 샤프트
164: 웜기어 165: 웜휠기어
166: 평기어 167: 걸레판
170: PCB
180: 연장관 연결부
A1: 청소기의 중심축 A2: 걸레축
A3: 걸레모터축

Claims (15)

  1. 파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청소영역을 닦는 걸레를 구비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걸레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하단에 복수개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배치된 걸레축을 따라 상기 걸레들의 회전중심들이 배치되고,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걸레에 동력을 공급하고, 상기 걸레축과 어긋나게 배치된 걸레모터축을 따라 배치된 샤프트를 구비한 걸레모터;를 포함하는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모터의 샤프트는,
    좌측으로 돌출되어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고,
    우측으로 돌출되어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웜휠기어;를 포함하는 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는,
    상기 걸레모터의 좌측방에 배치된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웜기어;
    상기 걸레모터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웜기어와 상기 우측 웜기어는 나사선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웜휠기어는,
    상기 걸레모터의 좌측방에 배치된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웜휠기어;
    상기 걸레모터의 우측방에 배치된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웜휠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웜휠기어와 상기 우측 웜휠기어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청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걸레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웜휠기어에 연결되고, 회전중심이 상기 걸레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를 저장하고,
    상부면에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구가 형성된 물통;을 포함하는 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중앙에서 상기 청소모듈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을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획하는 청소기의 중심축이 정의될 때,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상기 청소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에 저장된 유체를 유동시키는 분사펌프;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상기 청소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타 측에 배치되고, 제어부가 배치되는 PCB;를 포함하는 청소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중앙에서 상기 청소모듈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을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획하는 청소기의 중심축이 정의될 때,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상기 청소기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걸레의 전방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중앙에서 상기 청소모듈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을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획하는 청소기의 중심축이 정의될 때,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되 상기 청소기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청소기.
  12. 파지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청소영역을 닦는 걸레를 구비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청소모듈 하우징;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좌측 하단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좌측 걸레;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우측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좌측 걸레와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우측 걸레;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에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고,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를 구비한 걸레모터;
    좌측으로 돌출된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좌측 웜기어;
    상기 좌측 웜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좌측 웜휠기어;
    우측으로 돌출된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우측 웜기어;
    상기 우측 웜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걸레에 동력을 전달하는 우측 웜힐기어;를 포함하는 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걸레모터축이 정의될 때,
    상기 좌측 웜휠기어는 상기 걸레모터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우측 웜휠기어는 상기 걸레모터축의 타 측에 배치되는 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걸레모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유체를 저장하고,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급수구가 형성된 물통;을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 하우징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걸레의 전방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물통과 상기 노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에 저장된 유체를 상기 노즐로 압송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210176462A 2021-12-10 2021-12-10 청소기 KR20230087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62A KR20230087858A (ko) 2021-12-10 2021-12-10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462A KR20230087858A (ko) 2021-12-10 2021-12-10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858A true KR20230087858A (ko) 2023-06-19

Family

ID=8698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462A KR20230087858A (ko) 2021-12-10 2021-12-10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8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65B1 (ko) 2018-04-30 2021-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365B1 (ko) 2018-04-30 2021-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4639B2 (ja) 表面掃除機及びトレー
US11096540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20280006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0661339B1 (ko) 로봇 청소기
US11122946B2 (en) Brushrol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19111338A (ja) 表面洗浄装置
KR102511617B1 (ko) 청소기
KR20230087858A (ko) 청소기
CN217852771U (zh) 清洁设备
JP4592584B2 (ja) 湿式電気掃除機
JP2021104341A (ja) 表面掃除機及びトレー
CN211408876U (zh) 一种清洁头组件及其吸尘器
TW202304368A (zh) 清掃機
KR20230120210A (ko) 청소기
KR20230017094A (ko) 청소기
TW202320692A (zh) 清掃機
KR20220057138A (ko) 청소기
KR20240020600A (ko) 진공 청소기
KR20220122472A (ko) 청소기
KR20240001990A (ko) 청소기
KR20230017095A (ko) 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