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88B1 -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388B1
KR101420388B1 KR1020120081138A KR20120081138A KR101420388B1 KR 101420388 B1 KR101420388 B1 KR 101420388B1 KR 1020120081138 A KR1020120081138 A KR 1020120081138A KR 20120081138 A KR20120081138 A KR 20120081138A KR 101420388 B1 KR101420388 B1 KR 10142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yellow clay
herb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571A (ko
Inventor
박규완
Original Assignee
박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완 filed Critical 박규완
Priority to KR102012008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3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를 이용한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으로서, (a) 황토와 물을 교반하여 황토지장수를 제조하는 단계,(b) 허브를 마련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황토지장수와 상기 (b)단계에서 마련된 허브를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가열된 가열물을 여과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살균 및 충진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를 거친 충진물을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피 전용수는 황토지장수와 허브의 결합 특성에 의해 보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커피의 산도를 중성으로 중화시켜 부정맥, 위궤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WATER FOR COFFEE AND MANUR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황토지장수 및 허브를 이용하여 커피의 부작용은 제거하고, 기능성은 부여된 건강지향적인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천초과(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서, 주로 열대성 기후의 강우량(연간 1,5000~2,000mm)이 많은 곳에서 재배되며, 해발 1,000~3,000m의 고산지대에서 좋은 상품이 생산되는 편이다.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커피 품종은 Arabica, Robusta, Liberica 3대 원종으로 분류되며, 원두커피의 주류를 이루는 커피는 Arabica와 Robusta이다.
커피는 1890년을 전후하여 국내에 도입된 후 소비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 우리 식생활 문화의 기초음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소비량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커피의 맛을 내는 주성분은 카페인으로, 상기 카페인은 식물성 알칼로이드로 무색, 무취이고 쓴맛을 내는 침상의 결정이다. 이러한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깨우고, 심장의 기능을 촉진하며, 이뇨제의 역할을 하여 소변의 양을 늘리고, 위를 자극하여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한 잔의 커피는 몸에 좋다 나쁘다 말이 많은 카페인이라는 성분이 80~100mg이 들어 있어 하루 카페인 섭취량을 230~300mg가 가장 적당하다고 하였을 경우, 하루에 커피 3잔 이상을 마시면 심근경색 발생률이 2~3배 증가하는 등 득보다는 실이 더 많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하루에 커피 3잔 이상을 마시면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고, 두통이 생기며, 머리가 휑한 기분이 드는 부작용을 낳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특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121호(2010.02.2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6호(2011.01.31 공개)가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121호에는 김치 유산균 발효커피 및 그제조방법으로 고농도의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를 함유한다. 이에 발효되지 않은 커피에 비해 맛과 향이 월등하게 개선되고, 저하된 카페인 농도를 갖으며, 발효커피를 다량 섭취하였을 때에도 불면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오히려 숙면을 도와주는 효과를 기대한다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6호에는 옻으로부터 추출된 옻추출물 중의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이에 통상적인 원두의 향과 차별화될 수 있는 향을 가지는 커피를 제공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페인의 함량이 낮아 카페인의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카페인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미미하고, 옻의 특유 향이 거부감을 주어 누구나 애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0121호(2010.02.2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786호(2011.01.31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의 산도를 중화시켜 주는 허브 성분을 함유하며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누구나 애용가능한 커피 전용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은 (a) 황토와 물을 교반하여 황토지장수를 제조하는 단계, (b) 허브를 마련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황토지장수와 상기 (b)단계에서 마련된 허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가열된 가열물을 여과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살균 및 충진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를 거친 충진물을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에서 혼합물은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2~8배(V/W)의 황토지장수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황토와 물은 15:85 내지 20:80 중량비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가열은 50~70℃온도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여과는 필터 또는 0.2um 실린지 필터(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커피의 산도를 중성으로 중화하여 건강에 유익한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황토지장수와 허브의 결합 특성에 의해 보존성이 향상된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피전용수의 원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허브는 푸른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 허바(herba)에 어원을 두고 있으며, 고대 국가에서는 허브를 향과 약초라는 뜻으로 사용하였고, 잎이나 줄기를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허브는 향수의 원료로 쓰이는 향초, 비타민이나 미량원소 등 미네랄을 공급하는 채소, 건강의 유지와 병의 치료에 쓰이는 약초 및 음식물에 향을 첨가하기 위한 향신료 등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각종 약리성분으로 소화·수렴·이뇨·살균·항균 등의 작용을 하고, 단맛·매운맛·쓴맛·신맛 등의 맛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음식에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이외에 허브를 이용하는 예로서, 카페인이 전혀 없는 허브 차는 혈액순환이 잘 되고 위가 상쾌해져 기분이 느긋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향을 이용한 아로마서로피는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피곤할 때 또는 피부가 거칠어졌을 때 미용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황토는 각종 점토광물, 산화철, 석영 및 장석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 광물들은 각각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점토광물에는 유기물과 반응하고 이온교환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양이온 성분이 녹아 있는 용액에 점토광물이 포함된 황토를 넣으면, 점토광물의 결정구조 내에 존재하던 양이온과 물에 녹아 있는 양이온 간에 치환이 일어난다. 이에 물에 중금속이나 방사성 물질이 녹아 있는 경우에 스멕타이트나 제올라이트 같은 광물을 물에 넣으면 중금속과 방사성 핵종이 점토광물에 흡착되어 중금속이 제거된 물이 생성된다. 또한, 유기물과 반응하여 머트팩처럼 황토를 얼굴에 바르면 점토광물들이 피부에 있는 기름 등 유기물을 빨아들여 점토 유기물 복합체를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황토지장수는 이와 같은 특성의 점토광물이 물에 분산되어 있는 현탁액이기 때문에 이 물로 세수하면 현탁액의 미세한 점토가 피부에 있는 지방 등 노폐물을 흡수해 피부가 탄력을 갖게 되고, 황토 온천 황토 목욕의 효능도 이러한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점토광물은 일반적으로 물을 함유하고 있지만 습도의 변화에 따라 점토광물이 가지고 있는 물분자를 방출하기도 하고 흡수하기도 하는 성질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산화철광물은 주위에 존재하는 중금속이나 방사성 물질을 흡수하는 성질을 띠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황토는 암석이 풍화될 때 생성되는 중금속 같은 유해물질을 잡아두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하로 흘러들어가는 지하수를 정화하는 성질이 있다고 문헌 등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커피 전용수의 제조방법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지장수를 제조한다(S10).
오염되지 않은 양지바른 산이나 언덕에 노출된 황토의 표토 속 70~90cm 이하의 양질의 호황토를 150mesh 체에 쳐서 황토를 준비한다.
유약을 바르지 않은 항아리에 상기 황토와 물을 15:85 내지 20:80 중량비로 교반한 후, 나무 막대기로 20~30회 저어주고 5~7시간 동안 황토를 1차 침전시킨다. 상기 물은 수돗물, 우물물, 지하암반수 등 통상적인 음용수를 이용한다. 상기 침전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상등액을 걸러낸 후, 상기 상등액을 3~5시간 동안 황토를 2차 침전시킨다. 상기 2차 침전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상등액을 보관하여 황토지장수로 사용한다.
상기 물은 황토를 이용한 황토지장수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맥반석 또는 숯을 이용하여 제조가능하다. 상기 유약을 바르지 않은 항아리에 맥반석 또는 숯을 넣고 12~24시간 동안 대나무 소쿠리를 덮어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놓아둔 후, 상등액을 지장수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숯은 면보자기를 싸서 숯가루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본 발명의 주재료인 허브를 마련한다(S20).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캐모마일, 자스민, 바질, 세이지, 타라곤, 레몬밤, 애플민트, 딜, 스피아민트, 파슬리, 오레가노, 타임, 차이브, 시소, 루꼴라, 크레숑, 처빌, 고수, 오레가노, 스테비아 및 로즈힙 등의 식용 허브를 구입하여 이물질의 혼입이 없도록 정선하여 세척한다.
상기와 같이 스테비아를 이용함으로 인해 커피 음용시 설탕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당조절에 도움이 된다.
그 후, 상기 황토지장수와 허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S30).
상기 S20단계에서 마련된 허브 중 적어도 5종류 이상을 엄선하여 S10단계에서 제조된 황토지장수를 상온에서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2~8배(V/W), 바람직하게는 4~6배(V/W) 가한다.
다음에 상기 혼합물을 가열한다(S40).
상기 S30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50~70℃온도 하에서 20~50분 동안 가열한다. 상기 온도가 50℃미만이게 되면 가열시간이 길어지고, 70℃를 초과하게 되면 허브 성분이 열분해를 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후, 상기 가열물을 여과한다(S50).
상기 S40단계에서 가열된 가열물을 필터 또는 여과지(0.2um syringe filter; Millipore Corporation, Bedford, MA, USA)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다음에 상기 여과물을 살균 및 충진한다(S60).
상기 S50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살균법을 이용하여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향을 변하게 하는 효소를 무능하게 하는 등 효소작용을 멎게 한다.
상기 사용되는 살균법으로는 통상의 식품 살균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63~65℃에서 30분간 실행하는 저온 장시간 살균법, 63~65℃에서 15~20초간 실행하는 고온 단시간 살균법, 130~150℃에서 0.5~5초간 실행하는 초고온 순간 살균법이 있다. 이외에 적외선살균법, 자외선살균법, 초음파살균법 또는 방사선조사살균법을 부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살균물을 소독된 용기에 담는다. 상기 용기는 유리, 플라스틱, 종이, 셀로판 등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살균, 충전단계가 완료된 후, 냉각 및 포장한다(S70).
상기 살균된 커피 전용수를 자연대류 또는 송풍에 의해 냉각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의 방법으로 10℃이하로 냉각시켜 상기 S60단계에서 사멸되지 않은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시키고, 위생적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냉각된 냉각물에 이물질의 혼입 또는 세균의 감염이 없도록 밀봉시킨 후 포장한다.
본 발명의 커피 전용수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허브를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또한,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커피 전용수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커피 전용수 100 중량부 당 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커피 전용수는 황토지장수와 허브의 결합 특성에 의해 보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커피의 산도를 중성으로 중화시켜 부정맥, 위궤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은 커피 애호가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

Claims (5)

  1. (a) 황토와 물을 교반하여 황토지장수를 제조하는 단계,
    (b) 허브를 마련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황토지장수와 상기 (b)단계에서 마련된 허브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가열된 가열물을 여과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여과된 여과물을 살균 및 충진하는 단계,
    (g) 상기 (e)단계를 거친 충진물을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 황토와 물은 15:85 내지 20:80 중량비로 교반한 후, 나무 막대기로 20~30회 저어주고 5~7시간 동안 황토를 1차 침전시키고, 상기 침전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상등액을 걸러낸 후, 상기 상등액을 3~5시간 동안 황토를 2차 침전시킨 다음 상기 2차 침전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상등액을 보관하여 황토지장수로 사용하며,
    상기 (b)단계의 허브는 라벤더, 페퍼민트, 로즈마리, 캐모마일, 자스민, 바질, 세이지, 타라곤, 레몬밤, 애플민트, 딜, 스피아민트, 파슬리, 오레가노, 타임, 차이브, 시소, 루꼴라, 크레숑, 처빌, 고수, 오레가노, 스테비아 및 로즈힙의 식용 허브이며,
    상기 (c)단계에서 혼합물은 상기 (b)단계의 허브 중 적어도 5종류 이상이고, 상기 (a) 단계의 황토지장수를 상온에서 허브 총 중량에 대하여 2~8배(V/W) 가해진 것이며,
    상기 (d)단계에서 가열은 50℃~70℃ 온도에서 20~50분간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e)단계에서 여과는 필터 또는 0.2um 실린지 필터(syringe filter)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커피 전용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전용수.
KR1020120081138A 2012-07-25 2012-07-25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42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138A KR101420388B1 (ko) 2012-07-25 2012-07-25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138A KR101420388B1 (ko) 2012-07-25 2012-07-25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71A KR20140013571A (ko) 2014-02-05
KR101420388B1 true KR101420388B1 (ko) 2014-07-16

Family

ID=5026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138A KR101420388B1 (ko) 2012-07-25 2012-07-25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587A (ko) 2021-04-14 2022-10-24 손다슬 상황버섯이 함유된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817A (ko) * 2003-09-25 2003-11-01 정찬복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버섯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090080259A (ko) * 2008-01-21 2009-07-24 김종웅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연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9675A (ko) * 2011-03-24 2012-10-09 우창근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건강음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817A (ko) * 2003-09-25 2003-11-01 정찬복 황토 지장수를 이용한 버섯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090080259A (ko) * 2008-01-21 2009-07-24 김종웅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연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9675A (ko) * 2011-03-24 2012-10-09 우창근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및 건강음료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_지장수 이야기(2008.1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571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2455A (zh) 保健咖啡
CN107529775A (zh) 组合物、饮品、其生产方法及用途
CN105961694A (zh) 玫瑰茶醋饮料的生产方法
KR100800241B1 (ko) 기능성 커피, 그의 제조방법 및 이의 포장방법
CN102696836A (zh) 袋泡水果马黛茶
CN104186875A (zh) 一种咖啡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20388B1 (ko) 커피 전용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147B1 (ko) 증포무우 또는 증포야콘을 베이스로 하는 한방발효농축 식품첨가제
KR101623540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액상차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839369A (zh) 夏季明目清热茶叶
KR20170114100A (ko) 비타민나무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348B1 (ko)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KR101549927B1 (ko) 용암해수와 황칠을 이용한 액상 커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705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CN105520014A (zh) 一种菌陈植物饮品pet瓶灌装饮料生产工艺
CN104397290A (zh) 一种蕈丝茶的制作方法
KR101585406B1 (ko) 버섯차 제조방법
CN108041210A (zh) 一种蓝莓复合绿茶及其制备方法
KR20150101842A (ko) 허브 더치커피 제조방법
CN103396926A (zh) 一种明目护肝西洋参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0219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개똥쑥 어린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170133554A (ko)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4078A (ko) 그라비올라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49281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