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075B1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075B1
KR101420075B1 KR1020140043370A KR20140043370A KR101420075B1 KR 101420075 B1 KR101420075 B1 KR 101420075B1 KR 1020140043370 A KR1020140043370 A KR 1020140043370A KR 20140043370 A KR20140043370 A KR 20140043370A KR 101420075 B1 KR101420075 B1 KR 101420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memory alloy
port
friction
fri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균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발생 도중 마찰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소산 시키며, 그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소성변형을 복원시키는 마찰형 포트 받침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510); 상기 받침부(51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형상기억합금(42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51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탄성체(513); 상기 탄성체(513)의 일측에 위치하는 마찰부(512); 및 상기 마찰부(5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미끄럼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은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결정 구조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이며, 포트 받침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물의 안전/안정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전방향에 대응하는 맞춤형 포트 받침이 디자인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으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An auto recovering frictional pot bearing using shape memory alloy for omni-directional vibration}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 도중 마찰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소산 시키며, 그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소성 변형을 자동으로 복원시키는 마찰형 포트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포트 받침은, 지진이 일어난 후 일반적으로 소성 변형을 겪게 되어 구조물의 위치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영구적인 변형은 지진 후에 구조물의 사용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전체 구조물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종래에는 포트 받침의 종류가 면진 원리에 따라 크게 마찰형과 납-고무형으로 분류되어 사용되었다.
마찰형 포트 받침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 형상의 탄성체와, 전달되는 하중에 의하여 기울기 운동을 하는 디스크 형상의 피스톤과, 상부플레이트와 피스톤 사이의 상대적인 미끄럼운동이 양호하도록 설치된 PTEF계 수지(불소수지)로 제작된 마찰판, 그리고 그 외에 기타 면진기능을 가지는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마찰형 포트 받침들은 지진 발생 후 잔류변형이 남을 수밖에 없다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었다.
납-고무형 포트 받침과 같은 경우에는, 원주형상의 납이 일정한 크기의 수평하중에 대하여 소성 변형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평하중에 의한 수평진동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고, 소성 변형에 의한 상대적 변위가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일정 부분이 원래 형태로 복구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면진 장치는 납이 탄성체의 중앙부에 빈틈없이 구속되어 설치되어야 그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납의 설치작업은 탄성체의 두께에 따라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납은 항복 후 저항력이 거의 없으므로 큰 상대변위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없으며, 이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탄성체에 잔류변형을 남길 수 있어, 이러한 영구변형에 의하여 지진 후 반드시 교체되어야 한다. 지진으로 인한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포트 받침은 기본적인 면진 기능까지 상실할 수 있다는 불안정성이 큰 문제가 된다.
종래의 마찰형 또는 납-고무 포트 받침들의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하는 포트 받침들이 등장했다. 형상기억합금은 자신의 기하형태를 기억하여 변형이 가해져도 원상태로 복구하는 특징을 갖는 합금이다. 이러한 합금은 일반적으로 결정 구조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상태: 오스테나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 상태로 존재한다. 합금은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는 단단하고 견고한 성질, 그리고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는 부드럽고 유연한 성질이 드러난다.
예를 들면, 국내특허등록 제10-0950861호는 공지의 포트 받침과 유사한 구성요소에 더해,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기둥을 상부 및 하부판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에너지 흡수 내지 소산 기능과 거동 후의 복원력을 강화했다. 하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진동 에너지 소산 기능이 더 요구될 때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합금 기둥을 사용하고, 복원력 및 변위제어 기능이 더 요구될 때 마르텐사이트 상태의 합금 기둥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모든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효과 대비 비용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국내특허등록 제10-0731210호는 공지의 포트 받침에 봉 또는 판 형태의 형상기억합금을 더함으로써 진동 에너지에 따른 수평 및 수직방향의 변위 또는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포트 받침을 사용함으로써 잔류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납-고무형 또는 마찰형 포트 받침에 형상기억합금을 더할 때에 오스테나이트 상태인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마르텐사이트 상태의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였으면, 이에 소정의 열을 가해야지만 원래의 위치로 복구될 수 있어 비효율적이다. 즉, 형상기억합금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열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형상기억합금이 가열되지 않아도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는 가열됨에 따라 다시 결정 구조형태가 원상태로 복구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마르텐사이트 상태로 알려진 저-대칭성 결정 구조로부터,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알려진 고-대칭성 결정 구조로 바뀌면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하여 합금이 늘여지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지만, 가열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변환되면서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기 때문에 형상기억합금의 가열 및 냉각으로 잔류변형을 없애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1998-088851호는 상술된 종래의 포트 받침들과 달리, 형상기억합금의 복원력을 고려한 적합한 환경온도를 제공하는 면진 장치를 제공한다. 형상기억합금의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는 열환경을 위해 여러 장의 고무형태 탄성판과 강성판을 교대로 적층하여 그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기둥형의 형상기억합금을 일체적으로 매설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여러장의 탄성판과 강성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재료비가 증가하며, 또한 지진 후에 파괴된 부분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시공성이 떨어져 매우 비경제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진이 일어난 후 구조물의 위치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시된 포트 받침들은 잔류변형을 없애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효과 대비 비용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며, 형상기억합금의 상태에 따른 효과가 달라지는 불안정성, 또한 교체 작업의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0950861 B1
(특허문헌 2) KR10-0731210 B1
(특허문헌 3) JP1998-088851 A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안정성/안전성을 높이며, 더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내진 설계를 가능케 하는 마찰형 포트 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포트 받침의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하여 버려졌던 열을 더 에너지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포트 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용되는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에 따라 적합하게 디자인될 수 있는 포트 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명이 길고, 변형이 일어나도 원래 형태로 복구 가능한 포트 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받침부(510); 상기 받침부(51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형상기억합금(42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51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탄성체(513); 상기 탄성체(513)의 일측에 위치하는 마찰부(512); 및 상기 마찰부(5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미끄럼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은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결정 구조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받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510)와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단열판(310a, 310b)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512) 및 상기 미끄럼부(511)가 상기 단열판(310a, 310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512)가 불소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부(511),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이 복수 개의 기둥형태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이 판 형태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420)과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510)를 둘러싸는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512) 및 상기 미끄럼부(511) 사이의 마찰계수가 0.03에서 0.15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진으로 구조물이 받는 에너지를 포트 받침이 흡수하여, 마찰열로 변환시켜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또한, 포트 받침의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기존 포트 받침보다 수명이 연장되며, 포트 받침이 적용되는 구조물의 안전/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포트 받침이 적용되는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역의 특성에 맞춰, 자주 발생하는 진동의 방향 또는 전방향에 대응하는 맞춤형 포트 받침이 디자인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다.
또한, 이러한 포트 받침은 안전/안정성을 갖추는 동시에 재료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가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 A에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가 절단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평면에 따라 절단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포트 받침의 구성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을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은, 원통형의 받침부(510)와 받침부(5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210)가 받침부(510)의 상하측 각각에 위치하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형상기억합금(420), 및 단열벽(320)과 단열판(310a, 310b)으로 형성된 단열재(300)를 포함한다. 이때 단열재(300)는 단열 성능을 가지는 재료로써 일반적인 건물 또는 구조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기억합금(420) 및 단열재(300)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
형상기억합금(420)은 복수 개의 기둥형태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고정되며, 받침부(510)의 외연에 위치하여 받침부(510)를 둘러싼다. 형상기억합금(420) 기둥들이 서로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될 때,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가 포트 받침에 균형있게 전달되어, 포트 받침의 수명이 연장되며, 내구성이 양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420)은 그 양측단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변형예로서, 양측 중 어느 한 측만 상부 또는 하부 플레이트(110 또는 21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부 또는 하부 플레이트(110 또는 210)로부터 이격된 측은 구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다른 수단, 예를 들면 기둥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고리 또는 파이프 형태의 강재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포트 받침을 구성하는 단열재(300) 중, 받침부(5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받침부(51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단열판(310a, 310b)은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형성된 통공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통공들은 각 형상기억합금(420) 기둥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각 형상기억합금(420)의 기둥을 수용하며, 기둥들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에 고정되는 데에 방해가 안 되고,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한 기둥의 변형에 의하여 단열판(310a, 310b)이 쉽게 파손되지 않아 포트 받침의 수명이 길어진다.
형상기억합금(420) 기둥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도 단열벽(320)이 배치된다. 이때 배치되는 단열벽(320)은 받침부(510)의 외주연을 형상기억합금(420) 기둥과 함께 둘러싼다. 단열벽(320)은 굴곡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평평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받침부(510)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은 이러한 단열재(300) 및 형상기억합금(420)의 기둥으로 밀폐된 구성으로 인하여 쉽게 손실되지 않아, 형상기억합금(420)의 복원력을 돕는 열로 활용되어 에너지 효율적이며, 진동 에너지로 인하여 포트 받침이 변형된 형태로부터 원래 위치로 복구하도록 하는 형상기억합금(420)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받침부(510)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
받침부(51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탄성체(513)와 이의 일측에 위치하는 마찰부(512), 및 마찰부(5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미끄럼부(511)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는 내구성이 좋은 재료, 예를 들면 강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마찰형 포트 받침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구조물이 전달받는 진동 에너지를 탄성체가 일부 흡수하며 받침 내부의 미끄럼 운동을 통해 에너지를 소산 시킨다. 이때, 탄성체(513)는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는, 그 두 가지 사용되는 재료 사이의 마찰계수가 0.03에서 0.15인, 예를 들면 각각 불소수지 및 강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에,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 사이의 마찰계수가 작을수록 발생하는 마찰열이 감소하여 형상기억합금(420)이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바뀌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마찰계수가 너무 크면 미끄럼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소산 시키지 못한다.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는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밀착되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서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마찰열은 받침부(51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단열판(310a, 310b)과 받침부(510)의 외연을 형상기억합금(420)과 함께 연결되어 둘러싸는 단열벽(320)에 의하여 형상기억합금(420)의 복원력을 돕는 열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포트 받침은, 형상기억합금(420) 기둥의 배치를 제 1 실시예와 달리한 경우이다.
즉, 지역의 진동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기둥의 배치를 달리함으로써, 안전성/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420)의 기둥의 개수를 필요에 맞게 최소화하여 포트 받침의 원가를 낮춤으로써 더 경제적이다.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지 않고 기둥의 배치를 달리하는 이 원리는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3)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포트 받침은, 원형이 아닌 사각형의 형태를 연상케 하는 형상을 지닌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형상기억합금(420)은 기둥이 아니라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열벽(320)은 형상기억합금(420)과 연결되어 각 형상기억합금(420)의 판 사이의 공간을 메워 받침부(510)의 외연을 둘러싼다. 이로 둘러 쌓인 받침부(510) 또한 사각형의 형태를 연상케 하는 형상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각진 형태의 포트 받침은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가 접촉하는 면적을 원형의 포트 받침보다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어 마찰열이 더 요구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포트 받침은, 원형이 아닌 사각형의 형태를 연상케 하는 형상을 지닌 것으로서, 형상기억합금(420)이 기둥 형태인 것이다.
포트 받침을 사각형의 형태로 하되 형상기억합금(420)을 기둥형태로 설치함으로써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가 접촉하는 면적을 원형의 포트 받침보다 상대적으로 넓힐 수 있는 동시에 형상기억합금(420)의 배치가 용이하다.
(실시예 5)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포트 받침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포트 받침은, 원형의 받침부(510)와 사각형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열벽(320)을 제외한 형상기억합금(420)으로만 받침부(510)의 외연을 둘러싼 형태인 것이다.
포트 받침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를 사각형의 형태로 함으로써 포트 받침의 설치 작업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곳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및 진동 에너지를 수용하는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420)으로 받침부(510)의 외연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으로 내구성 및 형태 복원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술한 제 1 내지 5 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의 기둥 또는 판의 개수, 설치 위치, 크기, 단면 모양은, 이를 적용할 포트 받침이 요구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다양하게 선택 가능하며 단열재(300) 또한 마찬가지이다.
2. 포트 받침의 적용 설명
포트 받침의 적용은 도 1 내지 도 5의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트 받침은 지진하중을 받아서 좌우로 흔들리는 구조물에 대하여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 사이에 마찰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때, 상온에 있던 포트 받침은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하중을 받으면서 상변화가 일차로 발생한다.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로 인해 발생한 마찰에너지는 열로 변환되어 형상기억합금(420)에 전달된다.
마찰부(512)와 미끄럼부(511)의 미끄럼운동과 함께, 받침부(510)를 둘러싼 부드럽고 유연한 성질의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의 형상기억합금(420)에 의하여 진동 에너지를 흡수되어 소산 됨으로써 구조물을 보호된다.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심한 경우 마찰로 인한 온도 상승이 가속되어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변형되었던 형상기억합금(420)이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바뀌면서 단단하고 견고해져 원래의 위치로 복구된다.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바뀌었던 형상기억합금(420)은 온도가 떨어지면서 다시 마르텐사이트 상태로 바뀌면서 원래의 위치에 복구된 포트 받침은 초기 상태로 복구된다. 이러한 변형 및 복구되는 과정에서 단열재(300)는 일부 파괴될 확률이 높지만, 포트 받침의 단열재(300) 교체 작업을 통해 포트 받침의 재사용이 용이하여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함으로,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상부 플레이트
210: 하부 플레이트
300: 단열재
310a, 310b: 단열판
320: 단열벽
420: 형상기억합금
510: 받침부
511: 미끄럼부
512: 마찰부
513: 탄성체

Claims (8)

  1. 받침부(510);
    상기 받침부(510)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210); 및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형상기억합금(420)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51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탄성체(513);
    상기 탄성체(513)의 일측에 위치하는 마찰부(512); 및
    상기 마찰부(5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미끄럼부(511)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은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결정 구조가 변하는,
    포트 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510)와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단열판(310a, 310b)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512) 및 상기 미끄럼부(511)가 상기 단열판(310a, 310b) 사이에 위치하는,
    포트 받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512)가 불소수지인,
    포트 받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511),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강재인,
    포트 받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이 복수 개의 기둥형태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포트 받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420)이 판 형태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0 및 210)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510)의 외연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포트 받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420)과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510)를 둘러싸는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단열벽(320)을 더 포함하는,
    포트 받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512) 및 상기 미끄럼부(511) 사이의 마찰계수가 0.03에서 0.15사이인,
    포트 받침.
KR1020140043370A 2014-04-11 2014-04-11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KR101420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70A KR101420075B1 (ko) 2014-04-11 2014-04-11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70A KR101420075B1 (ko) 2014-04-11 2014-04-11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075B1 true KR101420075B1 (ko) 2014-07-15

Family

ID=5174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70A KR101420075B1 (ko) 2014-04-11 2014-04-11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26A (ko) * 2015-06-29 2017-01-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형 지반격리 면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332A (ja) 1999-01-11 2000-07-25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振支持装置
KR20040069704A (ko) * 2003-01-30 200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JP2005221046A (ja) 2004-02-09 2005-08-18 Bridgestone Corp 積層支持体
KR100950861B1 (ko) 2008-02-04 2010-03-3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332A (ja) 1999-01-11 2000-07-25 Mitsubishi Heavy Ind Ltd 防振支持装置
KR20040069704A (ko) * 2003-01-30 200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JP2005221046A (ja) 2004-02-09 2005-08-18 Bridgestone Corp 積層支持体
KR100950861B1 (ko) 2008-02-04 2010-03-3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받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126A (ko) * 2015-06-29 2017-01-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형 지반격리 면진장치
KR101710612B1 (ko) 2015-06-29 2017-02-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복원형 지반격리 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5431B2 (ja) 吸振体
US9829063B2 (en)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JP2015135124A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と、それを用いた能動型制振装置および能動型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073121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용 면진교좌장치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1578198B1 (ko) 좌굴구속형 강재댐퍼
KR101420075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JP7213766B2 (ja) 免震装置の固定構造
JPH11210827A (ja) 免震装置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JP2001241502A (ja) 免震滑り支承
KR101291809B1 (ko) 교량용 면진장치
EP1678399B1 (en) Isolator/dissipator for interfacing between the ground and supporting structures
JP2002070943A (ja) 免震滑り支承装置
KR101402681B1 (ko)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KR101291808B1 (ko) 교량용 면진장치
JP6651933B2 (ja) 免振装置及び積層ゴム支承の変形量調整方法
KR101815654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스포크 스프링
JP2002048192A (ja) 防振装置およびこの防振装置の設置方法
KR101830869B1 (ko) 압축고무를 이용한 3축 배관 진동제어 스마트 댐퍼
JP2853048B2 (ja) 制振装置
KR101343002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200371648Y1 (ko)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RU2547736C1 (ru) Амортизатор
KR20150000709U (ko) 미끄러짐이 가능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지진 격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