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002B1 - 교량용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002B1
KR101343002B1 KR1020120026765A KR20120026765A KR101343002B1 KR 101343002 B1 KR101343002 B1 KR 101343002B1 KR 1020120026765 A KR1020120026765 A KR 1020120026765A KR 20120026765 A KR20120026765 A KR 20120026765A KR 101343002 B1 KR101343002 B1 KR 10134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ll
elastic pad
bridg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195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대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대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2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0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의 교량용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가능한 상부플레이트(210)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가능한 하부플레이트(220)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패드(230)와, 탄성 패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240), 및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시에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탄성 패드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중 분산으로 인한 탄성 패드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교좌장치{The pot bearing for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플레이트에서 하부플레이트로 전달되는 하중 및/또는 진동 등을 분산시켜 탄성 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상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구조물과 교각으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의 사이에는 교좌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교좌장치는 상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어 상부 구조물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크게 상부 구조물(111)의 하부에 앵커볼트(112)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 구조물(114)의 상부에 앵커볼트(112)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115), 및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플레이트(115)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패드(116)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상부 구조물(111)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탄성 패드(11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플레이트(115)의 양측에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패스너(117)를 매개로 고정되는 금속 고정편(118)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탄성 패드(116)가 고정편(118)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111)의 변위가 탄성 패드(116)의 신축 허용범위를 넘어서면 탄성 패드(116)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교좌장치(100)는 상부 구조물(111)의 하중을 탄성 패드(116)가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로서, 상부 구조물(111)의 변위가 탄성 패드(116)의 신축 허용범위 내에 있더라도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탄성 패드(116)가 상부플레이트(113) 및/또는 하부 구조물(115)에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탄성 패드(116)가 상부플레이트(113) 및/또는 하부 구조물(115)에 고착됨에 따라, 고착된 탄성 패드(116)가 복원력을 상실하여 더 이상의 교좌장치(10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탄성 패드(116)의 경질화 현상은 교좌장치(100)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으로 직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중 분산으로 인한 탄성 패드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은 금속 고정편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 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금속 고정편 등으로 의한 탄성 패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볼을 이용함에 따라 그 부피에 해당하는 고가의 탄성 패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교량용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용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가능한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가능한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패드와, 탄성 패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 및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시에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탄성 패드가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지지 볼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분씩을 감싸는 한 쌍의 볼 하우징을 포함하며, 한 쌍의 볼 하우징은 그 내부에서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 볼을 감싸되, 지지 볼의 상하 중심부근에서 한 쌍의 볼 하우징이 서로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볼 하우징 중 어느 한 쪽은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은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볼 하우징은 그 외측이 사각 형태를 갖되, 일측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외측이 일측의 개방부 쪽을 향해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진 면을 가지며, 탄성 패드는 한 쌍의 볼 하우징의 테이퍼진 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서 중앙부근까지 그 횡방향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은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 볼의 양 단부가 면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하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 볼과 탄성 패드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지 볼은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타원구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하중 분산으로 인한 탄성 패드의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같은 금속 고정편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 볼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금속 고정편 등으로 의한 탄성 패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볼을 이용함에 따라 그 부피에 해당하는 고가의 탄성 패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상부플레이트(210), 하부플레이트(220), 탄성 패드(230) 및 지지 볼(240)을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210)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 방식에 있어서 크게 제한받지는 않는다. 한편, 이 실시예의 상부플레이트(210)는 앵커볼트(260)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플레이트(220)는 교량의 하부 구조물,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교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고정 방식에 있어서 크게 제한받지는 않는다. 한편, 이 실시예의 하부플레이트(220)는 상부플레이트(210)와 동일하게 앵커볼트(260)를 이용하여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패드(230)는 상기와 같은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향으로 상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다양한 충격, 진동 등을 흡수 또는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탄성 패드(230)는 고무로 이루어진 바디(231)의 내부에 복수개의 보강용 금속판(232)을 수평방향으로 삽입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탄성 패드(230)에 사용되는 고무로는 부틸고무, NBR 등이 있고 이외에도 NR, SBR, BR, 폴리노르보오넨(Polynorbornene), 실리콘 고무, 불소고무, 클로로부틸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우레탄 일래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상술한 예에서 예시된 물질에 보강체, 충전제, 수지류, 유연제 등을 배합하여 얻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 실시예의 보강용 금속판(232) 또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탄성 패드(230)의 중앙에는 상부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240)이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 볼(240)은 금속, 스테인리스 또는 합금 등을 비롯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의 다양한 재료로 구성하면 된다. 한편, 지지 볼(240)은 상부플레이트(210)에 가해지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한 상부 구조물의 움직임(거동)이 있을 때에, 거동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예의 지지 볼(240)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수직 방향의 직경이 수평 방향의 직경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는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타원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 볼(240)은 상부 구조물의 거동시에, 지지 볼(24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탄성 패드(230)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볼(240)을 구비하여 탄성 패드(2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탄성 패드(23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종래기술과 달리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즉,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종래기술과 같은 금속 고정편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 볼(240)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 볼(2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구조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지지 볼(2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의 구조개선을 통해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는 구성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 지지 볼(240)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을 더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은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지지 볼(240)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분씩을 감싸되, 지지 볼(240)이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내부에서 지지 볼(24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이 지지 볼(240)을 감쌀 경우 지지 볼(240)의 상하 중심부근에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이 서로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한편,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은 사각 형태를 갖되, 일측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은 일측의 개방부 쪽을 향해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은 그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상부플레이트(210) 또는 하부플레이트(220)의 표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210)에 고정되는 한 쪽의 볼 하우징(250)은 상부플레이트(210)와 일체로 거동하고, 하부플레이트(220)에 고정되는 다른 한 쪽의 볼 하우징(250)은 하부플레이트(220)에 일체로 거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은 탄성 패드(230)의 중앙을 따라 밀착된 형태로 삽입 배치된다. 즉, 탄성 패드(230)의 중앙에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이 밀착된 형태로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탄성 패드(230)의 공간은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에 대응하는 형태, 예를 들어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테이퍼진 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또는 하부에서 중앙부근까지 그 횡방향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는 그 내측면이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가지며, 그로 인해 지지 볼(240)의 거동에 따라 거동하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에 의해 압축하였다가 원위치하는 반복적인 거동을 수행한다. 즉, 탄성 패드(230)는 그 중앙에 삽입 배치되며 상부플레이트(210) 또는 하부플레이드(2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과, 한 쌍의 볼 하우징(2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 볼(24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과 지지 볼(240) 간의 지지구조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종래기술과 달리 탄성 패드(2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금속 고정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그에 따라 종래기술의 금속 고정편 등으로 의한 탄성 패드(230)의 손상(크랙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탄성 패드(23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는 한 쌍의 볼 하우징(250)과 지지 볼(240)을 이용함에 따라 그 부피에 해당하는 고가의 탄성 패드(230)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이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200A)는 탄성 패드(230)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지지 볼(240)의 지지구조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 및 동일한 장점 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와, 외관 전체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교량용 교좌장치의 각각에 대한 정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교좌장치(200A)는 지지 볼(240A)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함에 있어서 지지 홈을 이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 실시예의 교량용 교좌장치(200A)는 상부플레이트(210A) 및 하부플레이트(220A)에 지지 볼(240A)의 양 단부를 선회 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211, 221)을 각각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지지 볼(240A)은 지지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양 단부가 탄성 패드(230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지지 볼(240A)의 양 단부는 둥근 형태의 지지 홈(211, 221)에 각각 구면 접촉하면서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둥근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 볼(240A)은 그 양 단부가 지지 홈(211, 221)에 구면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 볼(240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 볼(240A)은 탄성 패드(230A)와 일체로 성형된다. 즉, 지지 볼(240A)을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둘레에 탄성 패드(230A)가 위치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A)는 그 내측면이 지지 볼(240A)의 외측면에 일체화된 상태를 가지며, 그로 인해 지지 볼(240A)의 거동에 따라 압축하였다가 원위치하는 반복적인 거동을 수행한다. 즉, 탄성 패드(230A)는 그 중앙에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그 양 단부가 상부플레이트(210A) 및 하부플레이트(220A)의 지지 홈(211, 221)에 각각 구면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 볼(240A)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 패드(230A)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플레이트(210A), 하부플레이트(220A) 및 지지 볼(240A) 간의 지지구조를 통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부플레이트(210A)와 하부플레이트(220A)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200 : 교량용 교좌장치 210 : 상부플레이트
220 : 하부플레이트 230 : 탄성 패드
231 : 바디 232:금속판
240 : 지지 볼 250 :볼 하우징
260 : 앵커볼트

Claims (2)

  1. 교량의 상부 구조물의 하부에 고정 가능한 상부플레이트와, 교량의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 가능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패드와, 상기 탄성 패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볼,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시에 상기 지지 볼이 상기 탄성 패드를 가압하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탄성 패드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교량용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볼은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구면 접촉상태로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 볼의 상부 및 하부의 일부분씩을 감싸는 한 쌍의 볼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볼 하우징은 그 내부에서 상기 지지 볼이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볼을 감싸되, 상기 지지 볼의 상하 중심부근에서 상기 한 쌍의 볼 하우징이 서로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볼 하우징 중 어느 한 쪽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 볼은 수직 방향의 직경이 수평 방향의 직경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연장되는 상하방향으로 기다란 타원구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 구조물의 거동시에 상기 지지 볼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탄성 패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교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볼 하우징은 그 외측이 사각 형태를 갖되, 일측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외측이 상기 일측의 개방부 쪽을 향해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진 면을 가지며,
    상기 탄성 패드는 상기 한 쌍의 볼 하우징의 테이퍼진 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서 중앙부근까지 그 횡방향 단면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의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교좌장치.
KR1020120026765A 2012-03-15 2012-03-15 교량용 교좌장치 KR101343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65A KR101343002B1 (ko) 2012-03-15 2012-03-15 교량용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765A KR101343002B1 (ko) 2012-03-15 2012-03-15 교량용 교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751 Division 2011-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95A KR20120127195A (ko) 2012-11-21
KR101343002B1 true KR101343002B1 (ko) 2013-12-18

Family

ID=4751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765A KR101343002B1 (ko) 2012-03-15 2012-03-15 교량용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9861A (zh) * 2014-08-01 2014-10-15 北京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桥梁支座囊式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517A (ja) * 2001-06-15 2002-12-26 Yokohama Rubber Co Ltd:The 橋梁用支承
KR100489577B1 (ko) * 2002-01-29 2005-05-16 (주)청룡건설 수평조절 교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517A (ja) * 2001-06-15 2002-12-26 Yokohama Rubber Co Ltd:The 橋梁用支承
KR100489577B1 (ko) * 2002-01-29 2005-05-16 (주)청룡건설 수평조절 교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95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48B1 (ko) 이중완충구조를 갖는 교좌장치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200398506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1343002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0687452B1 (ko) 교좌장치
KR101489897B1 (ko)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343001B1 (ko) 교량용 교좌장치
JP2012202518A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KR101365093B1 (ko) 구조물 지지용 면진장치
KR101201957B1 (ko) 슬라이딩 탄성 받침
KR101291809B1 (ko) 교량용 면진장치
JP2006300160A (ja) 免振装置
JP5562821B2 (ja) 防振装置
CN110644352B (zh) 可减振桥梁
KR200474621Y1 (ko) 지진 격리 장치
JP4850875B2 (ja) パレット
KR101402681B1 (ko)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JP3134802U (ja) パレット
JP5988708B2 (ja) ローリング防止機構付き防振架台
KR100501429B1 (ko) 포트베어링
KR100948681B1 (ko) 오목 볼록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복합 거동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탄성 받침
KR200266327Y1 (ko) 교좌장치
JP6306910B2 (ja) 吊支装置の揺れ防止具を用いた揺れ防止構造
KR102062574B1 (ko) 스프링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