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81B1 -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 Google Patents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81B1
KR101402681B1 KR1020130061455A KR20130061455A KR101402681B1 KR 101402681 B1 KR101402681 B1 KR 101402681B1 KR 1020130061455 A KR1020130061455 A KR 1020130061455A KR 20130061455 A KR20130061455 A KR 20130061455A KR 101402681 B1 KR101402681 B1 KR 10140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ortion
disposed
side wall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박진영
이완하
박정우
심기철
장광석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면진 받침은 측벽부를 갖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수직 지지 받침, 상기 수직 지지 받침 위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제2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가이드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에 대응하여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EASILY REPAIRABLE AND REPLACEABLE LOW-HEIGHT EARTHQUAKE ISOLATION SUPPORTER}
본 발명은 면진 받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지보수 및 노후받침 교체용으로 용이하여 적용성이 확대된 면진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구조물의 시공은 지진 등의 피해를 예방하고 구조물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내진 설계를 필요로 한다. 특히, 교량의 경우 구조적으로 지진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아 내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와 내진 보강 작업이 필요하다.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아니한 교량은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진력이 교량 받침에 집중되어 지진 발생 시 교량 받침이 파괴되거나, 상판의 이탈, 붕괴 등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진 설계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구조물은 면진 받침을 포함한다. 상기 면진 받침은 디스크 받침 등의 수직 지지 받침과, 면진 받침의 수평 변위를 허용하는 수평 미끄러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면진 받침은 수평 미끄러짐부에서 발생하는 변위를 복원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복원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원 장치를 채용하는 경우, 복원 장치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직 지지 받침 위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부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상기와 같이, 중간 지지부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면진 받침의 부피가 증가하고 다양한 건설구조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변위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면진 받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은 측벽부를 갖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수직 지지 받침, 상기 수직 지지 받침 위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제2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가이드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에 대응하여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 받침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 받침은 고무 받침이며, 상기 면진 받침은 상기 고무 받침의 가장자리 상부에 배치된 링 형태의 돌출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장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은 상기 측벽부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로드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고, 상기 복원 장치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는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며, 상기 복원 장치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는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진 받침은, 제1 지지부가 수직 지지 받침과 중간 지지부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므로, 중간 지지부는 복원 장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면진 받침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면진 받침의 활용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면진 받침을 I-I' 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면진 받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진 받침을 I-I' 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은 제1 지지부(40), 상기 제1 지지부(40) 위에 배치된 수직 지지 받침(30),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 위에 배치된 중간 지지부(20), 상기 중간 지지부(20) 위에 배치된 제2 지지부(10), 상기 중간 지지부(20)와 상기 제2 지지부(10) 사이에 배치된 수평 미끄러짐부, 상기 중간 지지부(20)와 상기 제2 지지부(10)의 수평 변위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장치(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40)는 상부 지지부이고, 상기 제2 지지부(10)는 하부 지지부에 해당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면진 받침은 뒤집힌 형상, 즉 제2 지지부가 상부 지지부이고, 제1 지지부가 하부 지지부가 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지지부(40)는 바닥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 및 상기 중간 지지부(20)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40)는 평면도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20)는 상기 제1 지지부(40)와 이격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중간 지지부(20)는 상기 제1 지지부(40)의 수납 공간에 완전히 수용되지 않으며, 일부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0)는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42)의 측면과 대향하는 가이드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부(10) 위에는 상부 구조물이 놓여지며, 상기 제2 지지부(10)는 세트 앵커, 스터드 볼트 등의 결합 부재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20) 사이에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된다. 상기 수평 미끄러짐부는 서스(SUS) 플레이트(70)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60)를 포함한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70)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60)는 각각 상기 제2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20)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스 플레이트(70)는 상기 제2 지지부(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수지 플레이트(60)는 상기 중간 지지부(2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7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불소수지 플레이트(60)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등의 불소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스 플레이트(70)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60)는 평면도 상에서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 미끄러짐부는 상기 제2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20)의 마찰을 방지하고, 외부에서의 횡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2 지지부(10)와 상기 중간 지지부(20)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일어나 면진 받침의 전단 변형이 일어난다.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은 평면도 상에서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의 측면에는 수평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홈은 V자 형상 또는 곡선으로 이루어진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은 고무, 우레탄 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우레탄 디스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은 관통홀을 갖지 않는 우레탄 패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은 하나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에 함입되어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의 강도 및 탄성을 보강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로는 스틸 등의 금속 재질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은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의 두께는 약 10mm 내지 약 200mm일 수 있으며, 원하는 강도 및 탄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40)는 하부 구조물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구조물에 앵커(44) 등을 삽입하고, 상기 제1 지지부를 관통하는 볼트를 상기 앵커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를 상기 하부 구조물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원 장치(80)는 상기 제1 지지부(40)의 측벽부(12)와 상기 가이드부(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복원 장치(80)는 상기 제1 지지부(20)의 네 변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면진 받침의 용도 및 기능에 따라 상기 복원 장치는 한 변에 두 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원 장치(80)는 탄성체(81) 및 상기 탄성체(81)를 관통하는 가이드 부재(8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83)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체(81)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85)가 연결된다. 상기 가압 부재(85)는 상기 측벽부(42)에 인접하여, 상기 측벽부(42)와 상기 탄성체(8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83)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12)를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부(12)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87)와 결합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81)는 실린더 형상, 또는 직육면체와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81)는, 폴리우레탄, 천연 고무, 합성 고무, 가황 고무 등의 고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81)는 가이드 부재(83)의 축 방향을 따라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코일 스프링과 탄성 부재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지지부(20)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부(40)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복원 장치에는 압축력이 가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체(81)는 압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수축하며, 이에 대응하여, 압축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8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거나 감소하면, 탄성체(81)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압축된 탄성체(81)는 압축력이 가해지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팽창하며, 이에 따라, 면진 받침의 수평 변위를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의 수축이 일어나는 복원 장치의 반대편에 위치한 복원 장치는 상기 측벽부(42)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장치(80)와 상기 제1 지지부(40)의 측벽부(42) 사이에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부(42)의 외측면에는 서스 플레이트(46)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 부재(85)에 불소수지 플레이트(89)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 미끄러짐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20)에 대하여 상기 제2 지지부(40)가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 상기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원 장치(80)와 측벽부(42)의 마찰을 방지하여, 수평 변위를 용이하게 허용하고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40)는 수직 지지 받침(30)과 중간 지지부(20)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벽부(42)를 포함하므로, 중간 지지부(20)는 복원 장치(8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면진 받침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면진 받침의 활용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면진 받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면진 받침은 제1 지지부(40), 상기 제1 지지부(40) 위에 배치된 수직 지지 받침(30), 상기 수직 지지 받침(30) 위에 배치된 중간 지지부(20), 상기 중간 지지부(20) 위에 배치된 제2 지지부(10), 상기 중간 지지부(20)와 상기 제2 지지부(10) 사이에 배치된 수평 미끄러짐부, 상기 중간 지지부(20)와 상기 제2 지지부(10)의 수평 변위를 복원하기 위한 복원 장치(80)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 장치(80)는, 상기 제1 지지부(40)의 측벽부(12)와 상기 제2 지지부(10)의 가이드부(12)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체(81) 및 상기 탄성체(81)를 관통하는 가이드 부재(8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에 인접한 상기 탄성체(81)의 일단에는, 상기 탄성체(8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85)가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장치(80)와 상기 가이드부(12) 사이에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12)의 내측면에는 서스 플레이트(46)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 부재(85)에 불소수지 플레이트(89)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83)의 일단은 상기 중간 지지부(2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83)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12)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부(12)의 외측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부(12)는 상기 가이드 부재(83)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6)을 갖는다. 상기 면진 받침에 수평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83)와 상기 가이드부(12) 사이에서도 변위가 발생하며,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16)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와 상기 복원 장치(80) 사이에 배치되는 서스 플레이트(14) 역시 유사한 형상의 가이드 홈을 갖는다.
면진 받침은 열차 등과 같은 운행 수단을 위한 교량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직 부반력에 의해 제2 지지부(10)의 들뜸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면진 받침에서는, 가이드 부재(83)의 일단이 중간 지지부(20)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제2 지지부(10)의 가이드부(12)를 관통하므로, 상기 가이드 부재(83)가 제2 지지부(10)의 부반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면진 받침은 수직 지지 받침으로서 고무 받침(1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면진 받침은 고무 받침(1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중간 지지부(20)와 측벽부 사이로 고무 받침(130)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 받침(130)의 가장자리 상부에 배치된 링 형태의 돌출 방지 부재(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진 받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면진 받침은 수직 지지 받침으로서, 고무 받침(130)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 받침(130)의 가장자리 상부에 배치된 링 형태의 돌출 방지 부재(132)를 더 포함하며, 복원 장치의 가이드 부재(83)의 일단이, 제1 지지부(42)의 측벽부(42)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83)의 타단은, 제2 지지부(12)의 가이드부(12)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진 받침은 건축, 교량, 플랜트, 해양 구조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제2 지지부 20 : 중간 지지부
30 : 수직 지지 받침 40 : 제1 지지부
50 : 전단 부재 80 : 복원 장치

Claims (8)

  1. 측벽부를 갖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수직 지지 받침;
    상기 수직 지지 받침 위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부;
    상기 측벽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측벽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제2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가이드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에 대응하여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복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며, 상기 복원 장치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는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받침은 우레탄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받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받침은 고무 받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받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받침의 가장자리 상부에 배치된 링 형태의 돌출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받침.
  5. 삭제
  6. 측벽부를 갖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수직 지지 받침;
    상기 수직 지지 받침 위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부;
    상기 측벽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측벽부와 상기 중간 지지부 위에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부의 측면에 대향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제2 지지부;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에 대한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가이드부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의 수평 변위에 대응하여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복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은 상기 측벽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받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는 서스 플레이트 및 불소수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수평 미끄러짐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진 받침.
  8. 삭제
KR1020130061455A 2013-05-30 2013-05-30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Active KR10140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455A KR101402681B1 (ko) 2013-05-30 2013-05-30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455A KR101402681B1 (ko) 2013-05-30 2013-05-30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681B1 true KR101402681B1 (ko) 2014-06-03

Family

ID=5113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455A Active KR101402681B1 (ko) 2013-05-30 2013-05-30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05B1 (ko) * 2016-10-27 2018-01-29 (주)큐빅스 교량용 면진장치
CN109821410A (zh) * 2019-03-22 2019-05-31 国电环境保护研究院有限公司 一种脱硫脱硝塔的支撑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927A (ja) * 1995-08-25 1997-03-04 Kaimon:Kk 横桁支承用弾性支承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KR101010955B1 (ko) * 2010-05-13 2011-01-26 유니슨이앤씨(주) 교량 받침
KR101051059B1 (ko) * 2010-07-13 2011-07-21 유니슨이앤씨(주)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130043857A (ko) * 2011-10-21 2013-05-02 김재욱 탄성중합체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927A (ja) * 1995-08-25 1997-03-04 Kaimon:Kk 横桁支承用弾性支承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KR101010955B1 (ko) * 2010-05-13 2011-01-26 유니슨이앤씨(주) 교량 받침
KR101051059B1 (ko) * 2010-07-13 2011-07-21 유니슨이앤씨(주)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130043857A (ko) * 2011-10-21 2013-05-02 김재욱 탄성중합체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905B1 (ko) * 2016-10-27 2018-01-29 (주)큐빅스 교량용 면진장치
CN109821410A (zh) * 2019-03-22 2019-05-31 国电环境保护研究院有限公司 一种脱硫脱硝塔的支撑结构
CN109821410B (zh) * 2019-03-22 2024-02-06 国电环境保护研究院有限公司 一种脱硫脱硝塔的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20150047754A (ko) 스프링 및 고무 댐퍼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마찰형 지진 격리받침
KR101402681B1 (ko) 유지보수 및 노후 받침교체가 용이한 높이 축소형 면진받침
KR101483071B1 (ko)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CA2907567A1 (en) Disc and spring isolation bearing
US20190120321A1 (en) Seismic isolation apparatus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KR200474621Y1 (ko) 지진 격리 장치
KR101334658B1 (ko) 대변위 지진 격리 장치
KR20130043857A (ko) 탄성중합체 스프링을 이용한 교량용 디스크받침
JP6683381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KR100456286B1 (ko) 건물용 면진장치
KR200474170Y1 (ko) 수평 변위의 복원이 가능한 지진 격리 장치
KR20120020615A (ko) 교량용 면진장치
KR200472482Y1 (ko) 지진 격리 장치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KR101709699B1 (ko) 시공이 용이한 교량 받침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KR101815654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위한 스포크 스프링
JP2008095932A (ja) すべり支承免震装置
KR101788819B1 (ko) 교량용 받침장치 교체 시공 방법
KR20160099409A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KR20150047752A (ko) 내구성 증대 가능한 교량용 고무받침
KR101420075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자동복원 전방향 마찰형 포트 받침
JP4776554B2 (ja) すべりプレート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すべり支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